맨위로가기

독용산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독용산성(禿用山城)은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금봉리 독용산(해발 955m)에 있는 산성입니다. 가야 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며, 영남 지역에서 가장 큰 규모의 산성 중 하나입니다.
역사:


  • 정확한 축조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성산가야 시대에 처음 쌓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성주는 김천, 합천, 거창, 구미 등지의 사이에 위치하고 성산가야의 중심지였다는 사실에 근거합니다.
  • 조선시대에는 1675년(숙종 1년)에 수축(修築)되었으며, 합천, 거창의 병사와 군량미가 배속되어 경상도 중부 지역의 군사적 요충지 역할을 했습니다.
  • 조선 말기에는 군사적 필요성이 사라지면서 방치되었고, 시설이 대부분 퇴락했습니다.
  • 일제 강점기 발굴 조사에서 군기고(軍器庫)에서 쇠도끼, 쇠창, 쇠화살, 삼지창, 말안장, 갑옷 등이 출토되었습니다.
  • 1992년과 1999년 두 차례에 걸쳐 대구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정밀 지표 조사가 이루어졌습니다.

특징:

  • 규모: 둘레는 약 7.4km ~ 7.7km, 높이는 2.5m, 성벽의 폭은 평균 1.5m이며, 성안 면적은 1,175,16㎡입니다.
  • 형태: 산성 안에 한 개 이상의 계곡을 포함하고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산줄기의 능선을 따라 성벽을 구축한 포곡식(包谷式) 산성입니다.
  • 축조 방법: 대부분 전통적인 성벽 쌓기 방식(협축법(夾築法)과 내탁법(內托法) 혼용)을 사용했습니다. 급경사에는 단계식으로 축조되었고, 지형에 따라 직선형과 곡선형이 복합되어 있으며, 우리나라 성의 특징인 치(雉)도 존재합니다.
  • 수원: 성 안에 수원이 풍부하고 활용 공간이 넓어 장기전에 유리합니다.

현재 상태:

  • 성벽이 많이 허물어지고 성문지도 동문과 남소문의 일부만 남아 있었으나, 현재 복원 사업이 진행 중입니다.
  • 성주호 둘레길(독용산성길)을 통해 독용산성 주차장까지 차량으로 이동 가능하며, 주차장에서 동문까지 도보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약 3km, 1시간 소요)
  • 성주호 전망대에서 성주호의 아름다운 경관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 2023년 6월 22일 네이버 블로그 게시물에 따르면 독용산성은 아직 완전히 복원되지 않아 일주(一周)하기는 어렵지만, 복원된 동문까지는 방문이 가능합니다.

기타:

  • 1995년 1월 14일 경상북도 기념물 제105호로 지정되었습니다.
  • 성주 10경 중 하나입니다.


독용산성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섬네일
국가대한민국
위치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금봉리 산171-1번지 외 9필
지정일1995년 1월 14일
상세 정보
유형기념물 (성주 10경)
지정 번호105
시대시대 미상
면적169,493m2
기타 정보
문화재청 ID23,01050000,37
웹사이트http://www.cha.g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