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II형 잠수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일 II형 잠수함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해군이 운용한 소형 잠수함으로, 베르사유 조약으로 잠수함 개발이 금지된 상황에서 비밀리에 개발되었다. II형 잠수함은 IIA, IIB, IIC, IID의 4가지 파생형으로 나뉘며, 소형 선체로 인해 "통나무배"라는 별칭을 얻었다. 이 잠수함은 핀란드 해군을 위해 설계된 베시코 잠수함을 참고하여 설계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UBII형 잠수함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II형 잠수함은 제한적인 성능으로 인해 주로 연안 작전과 훈련용으로 사용되었으며, 흑해에서 소련을 상대로 작전을 수행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보트 - 대서양 전투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 해군은 U-보트를 이용하여 연합국의 해상 수송로를 공격하는 대서양 전투를 벌였으나, 루시타니아 호 침몰 사건 이후 작전을 축소했고, 연합국의 반격과 미국의 참전으로 쇠퇴했다. - 유보트 - 독일 VII형 잠수함
독일 VII형 잠수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해군의 주력 잠수함으로, 700척 이상 건조되었으며 대서양 해전에서 연합군에 큰 피해를 입혔고, 다양한 파생형 중 VIIC형이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 - 잠수함 함급 - 시울프급 잠수함
시울프급 잠수함은 냉전 시대 소련 잠수함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해군이 개발한 정숙성과 고속 잠항 능력이 뛰어난 공격형 원자력 잠수함이지만, 막대한 건조 비용으로 3척만 건조되었고, 정보 수집, 감시, 정찰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지미 카터함은 특수 임무 수행을 위해 개조되었다. - 잠수함 함급 - 시에라급 잠수함
시에라급 잠수함은 소련/러시아 해군의 공격형 핵잠수함으로, 티타늄 합금 선체를 사용하여 경량화와 저소음 성능을 달성했으며, 미국 SSBN/SSN 저지를 목표로 개발된 945형(시에라 I급)과 945A형(시에라 II급)으로 나뉜다.
독일 II형 잠수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함 종류 | 연안 잠수함 훈련함 |
주요 정보 | |
건조 | 1934년–1940년 |
취역 | 1935년–1945년 |
건조 수량 | "IIA: 6척" "IIB: 20척" "IIC: 8척" "IID: 16척" |
건조사 | "IIA: 도이체 베르케 (6척)" "IIB: 도이체 베르케 (4척), 게르마니아베르프트 (14척), 플렌더 베르케 (2척), 갈라치 조선소 (6척 재조립)" "IIC: 도이체 베르케 (8척)" "IID: 도이체 베르케 (16척)" |
운용 국가 | (전후; U-9, U-18, U-24) |
이전 함급 | CV 707형 잠수함 |
이후 함급 (계획) | Type XIII |
이후 함급 (실제) | Type XVII (HTP 동력) Type XXIII (재래식) |
제원 | |
배수량 | "IIA:" "수상: " "수중: " "총 톤수: " "IIB:" "수상: " "수중: " "총 톤수: " "IIC:" "수상: " "수중: " "총 톤수: " "IID:" "수상: " "수중: " "총 톤수: " |
길이 | "IIA:" "전체 길이: " "압력 선체: " "IIB:" "전체 길이: " "압력 선체: " "IIC:" "전체 길이: " "압력 선체: " "IID:" "전체 길이: " "압력 선체: " |
폭 | "IIA, IIB, IIC:" "전체 폭: " "압력 선체: " "IID:" "전체 폭: " "압력 선체: " |
높이 | "IIA, IIB: " "IIC: " "IID: " |
흘수선 | "IIA: " "IIB: " "IIC: " "IID: " |
추진 | 2 × MWM RS 127 S 6기통 디젤 엔진, 2 × SSW PG VV 322/36 복동 전기 모터, |
속력 | "IIA:" "수상: " "수중: " "IIB:" "수상: " "수중: " "IIC:" "수상: " "수중: " "IID:" "수상: " "수중: " |
항속 거리 | "IIA:" (수상, 속력) (수중, 속력) "IIB:" (수상, 속력) (수중, 속력) "IIC:" (수상, 속력) (수중, 속력) "IID:" (수상, 속력) (수중, 속력) |
승조원 | 장교 3명, 부사관 11명, 사병 11명 |
센서 | Gruppenhorchgerät |
무장 | 3 × 어뢰 발사관 (함수) 어뢰 5발 또는 어뢰 1발과 9개의 TMB 기뢰 다양한 C/30 대공포 |
2. 배경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독일은 잠수함 보유가 금지되었다. 그러나 1920년대 후반부터 독일은 비밀리에 군비 확장을 시작했으며, 아돌프 히틀러가 집권한 이후 재무장 속도는 더욱 빨라졌다. 1935년 2월 11일, 첫 번째 II형 잠수함의 건조가 시작되었다.
II형 유보트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건조된 독일 제국 해군의 UBII형 잠수함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1] 핀란드 해군을 위해 독일이 설립한 해군 기술 회사(IvS)가 설계한 잠수함 베시코(CV-707)를 본보기로 삼았다. 이는 베르사유 조약으로 잠수함 보유가 금지되었던 독일이 재무장을 시작하며 건조한 첫 유보트 유형이다. 아돌프 히틀러 집권 후 재무장이 가속화되어 1935년 2월 11일 첫 II형 잠수함이 기공되었고, 같은 해 6월 영국-독일 해군 협정이 체결된 지 11일 후인 6월 29일 U-1이 취역했다.
II형 잠수함은 개발 과정에서 여러 개량을 거쳐 네 가지 주요 파생형인 IIA, IIB, IIC, IID형으로 나뉜다. 각 파생형은 선체 길이, 연료 탑재량, 항속 거리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독일의 재무장 움직임을 국제 사회가 주시하는 가운데, 히틀러는 영국-독일 해군 협정을 추진했다. 이 협정을 통해 독일은 수상함 전력을 영국 해군의 35%까지 보유하고, 잠수함은 영국과 동등한 수량을 보유하는 것에 합의했다. 협정은 1935년 6월 18일에 체결되었고, 첫 II형 잠수함인 U-1은 협정 체결 11일 후에 취역했다.
II형 잠수함의 설계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운용된 UBII형 잠수함을 기반으로 발전시킨 것이다. 또한, 1차 대전 이후 독일 해군 기술자들이 설립한 회사(IvS)가 핀란드 해군을 위해 설계했던 잠수함 '베시코'를 참고했다.
II형 잠수함은 주로 연안 작전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다. 선체가 작고 항속 거리가 짧다는 단점이 있었지만, 당시 재건 중이던 독일 해군에게는 중요한 전력이었다. 짧은 항속 거리 때문에 대양에서의 작전에는 한계가 있었으나, 조작이 쉬워 훈련용 잠수함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었고, 많은 잠수함 승조원을 양성하는 데 기여했다.
3. 설계
II형 잠수함은 작은 크기가 특징으로, 수면 배수량은 VII형 잠수함의 절반에서 3분의 1, IX형 잠수함의 3분의 1에서 4분의 1 수준이었다. 이 때문에 "Einbaum|아인바움de"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작은 크기는 얕은 물에서의 작전 능력, 빠른 잠수 속도(약 30초), 낮은 함교로 인한 높은 은밀성이라는 장점을 제공했지만, 최대 잠수 깊이가 120m로 얕고 항속 거리가 짧으며 내부 공간이 매우 비좁다는 단점이 있었다.
설계상 단일 선체 구조를 가졌으며 내부에 방수 구획은 없었다. 무장은 선수에 533mm 어뢰 발사관 3개를 갖추고 있었으며, 선체 내부에 예비 어뢰 2발을 탑재할 공간만 있었다. 원래 갑판포 설치 계획도 있었으나, 실제로는 주로 항공기 방어용 20mm 대공포 1문이 장착되었다.
내부 공간은 극도로 제한적이었다. 예비 어뢰 2발이 어뢰 발사관 바로 뒤부터 조종실 앞까지 공간을 차지했으며, 24명의 승무원 대부분은 이 어뢰 주변 공간에서 12개의 침대를 공유하며 생활했다. 기관실 뒤편에 기관 승무원을 위한 침대 4개가 추가로 있었을 뿐이다. 취사 및 위생 시설도 기본적인 수준에 그쳐 장기간의 작전 수행은 승무원에게 매우 힘든 일이었다.
원래 연안 작전용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항속 거리가 짧아 대양 작전에는 부적합했지만, 취급이 용이하여 크릭스마리네의 잠수함 승조원 양성을 위한 훈련함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II형 잠수함은 독일 잠수함 건조 및 운용 경험을 축적하고 더 큰 잠수함 개발의 발판을 마련하는 역할을 했다.
아래는 프로토타입인 CV-707과 양산형인 IIA형의 주요 제원을 비교한 표이다.특징 CV-707 (베시코 프로토타입) IIA형 (U-1 ~ U-6) 진수 1933년 5월 10일 1935년 배수량 (톤) 수상 254 254 수중 303 303 총톤수 381 381 크기 (미터) 전체 길이 40.9m 40.9m 전체 폭 4.1m 4.1m 흘수 4.2m 3.8m 속도 (노트) 수상 13 13 수중 8 6.9 항속 거리 (해리) 수상 (8노트 순항 시) 1,350 nmi 1,000 nmi 수중 (4노트 순항 시) 40 nmi 35 nmi 최대 잠항 심도 정보 없음 120m 추진 방식 디젤-전기 디젤-전기 엔진 출력 (PS) 디젤 엔진 (MWM) 2 × 700 PS 2 × 700 PS 전기 모터 (지멘스-슈케르트) 2 × 360 PS 2 × 402 PS
4. 파생형
4. 1. IIA형
IIA형은 독일 II형 잠수함의 첫 번째 형식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잠수함 보유가 금지되었던 독일이 재무장을 시작하며 건조한 초기 잠수함 유형 중 하나이다. 1935년 영국-독일 해군 협정 체결 직후 건조가 본격화되었다.
설계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 해군이 운용한 UBII형 잠수함을 발전시킨 것으로, 전간기 독일이 네덜란드에 설립한 위장 회사 IvS가 핀란드 해군을 위해 설계했던 잠수함 베시코를 기반으로 하였다. 내부 밸러스트 탱크를 갖춘 단일 선체 구조이며, 선체는 완전 용접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다른 II형 잠수함 변형들에 비해 함교가 더 작다는 특징이 있다. 선수에는 어뢰 방어망을 절단하기 위한 네트 커터(net cutter)가 장착되었으나,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무장으로는 독일 해군의 표준 어뢰인 G7a 어뢰와 G7e 어뢰, 그리고 기뢰 부설용 TM형 기뢰를 탑재할 수 있었다.
IIA형은 킬에 위치한 도이체 베르케 AG(Deutsche Werke AG) 조선소에서 총 6척이 건조되었으며, 모든 함선은 1935년에 취역했다. 건조된 함선은 다음과 같다.
수상 배수량 254ton의 소형 잠수함으로 크기가 작아 다루기 쉬웠고, 수중 기동성이 우수하여 승조원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원래 연안 작전용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항속거리가 짧아 대양에서의 작전에는 한계가 있었다. 실전용 잠수함으로는 성능이 부족하다고 여겨져, 이후 VII형과 같은 더 크고 성능이 우수한 잠수함들이 취역하면서 주로 훈련용으로 사용되었다. IIA형은 많은 유보트 승조원을 양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주요 제원'''
구분 | IIA형 (U1-U6) |
---|---|
진수 | 1934년 – 1935년 |
배수량 (톤) | |
수상 | 254ton |
수중 | 303ton |
크기 (미터) | |
전체 길이 | 40.9m |
전체 폭 | 4.1m |
전체 높이 | 3.8m |
속력 (노트) | |
수상 | 13 |
수중 | 6.9 |
항속 거리 (해리) | |
수상 | 8 노트 항해 시 1,000 해리 |
수중 | 4 노트 항해 시 35 해리 |
기관 | |
형식 | 디젤-전기 |
디젤 엔진 | 2 × MWM 디젤 700hp |
전기 모터 | 2 × 지멘스 전동기 402hp |
4. 2. IIB형
IIB형은 IIA형의 선체를 1.8m 연장하여 항속 거리를 개선한 유형이다.[2] 선체 중앙부에 구획 3개를 추가하고 조종실 아래에 추가 디젤 탱크를 설치하여 연료 탑재량을 기존 12ton에서 21ton으로 늘렸다. 이를 통해 항속 거리는 12노트에서 1,800해리(약 3,300km)로 증가했으며, 잠수 시간도 30초로 개선되었다.
총 20척의 IIB형이 건조되었다.[3] 도이체 베르케(Deutsche Werke AG)는 1935년과 1936년에 4척, 킬의 게르마니아 베르프트(Germaniawerft)는 1935년과 1936년에 14척, 뤼베크(Lübeck)의 플렌더 베르케(Flender Werke AG)는 1938년과 1940년에 2척을 건조했다.
IIB형은 대부분 실전을 경험했으며, 일부 함선은 제30U보트 전대에 편입되어 분해된 후 육상과 운하를 통해 흑해로 운반되었다. 이후 루마니아의 콘스탄차를 기지로 삼아 작전을 수행하며 전과를 올렸다.
함번 | 함번 | 함번 | 함번 |
---|---|---|---|
U-7 | U-12 | U-17 | U-22 |
U-8 | U-13 | U-18 | U-23 |
U-9 | U-14 | U-19 | U-24 |
U-10 | U-15 | U-20 | U-120 |
U-11 | U-16 | U-21 | U-121 |
4. 3. IIC형
IIC형은 IIB형의 선체를 1.2m 더 연장한 개량형이다.[2] 선체 중앙에 격실 두 개를 추가하여 늘어난 공간은 향상된 무선 설비를 탑재하고 잠망경 1기를 추가하는 데 사용되었다. 또한, 조종실 아래의 추가 디젤 탱크 용량을 늘려 연료 탑재량이 23ton으로 증가했으며, 이에 따라 항속 거리는 12노트에서 1900nmi로 늘어났다.[2]건조는 모두 킬의 도이체 베르케 조선소에서 이루어졌으며, 1938년 말부터 1940년까지 총 8척이 건조되어 취역했다.
4. 4. IID형
IID형은 IIC형의 선체에 새롭게 외부 새들 탱크를 장착한 개량형이다. 이 새들 탱크의 일부는 추가 연료 탱크로 사용되어 연료 탑재량이 38ton으로 크게 늘어났다. 디젤유는 새들 탱크 위에 떠 있는 방식으로 저장되었고, 연료가 소모됨에 따라 바닷물이 탱크를 채워 부력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를 통해 항속 거리는 12 노트 기준으로 크게 증가한 3450nmi에 달했으며, 영국 제도 주변 해역에서 더 장기간 작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또한, 선체 폭 증가로 인한 속도 저하를 보완하고 추진 효율을 높이기 위해 스크류에 코르트 노즐(슈라우드 링)을 부착했다.
건조는 모두 킬의 도이치 베르케 조선소에서 이루어졌으며, 1940년부터 1941년까지 총 16척이 건조되어 취역했다.
항목 | 제원 |
---|---|
전장 | 44m |
전폭 | 4.9m |
배수량 | 수상 314ton, 수중 364ton |
최대 속도 | 수상 12.7 노트, 수중 7.4 노트 |
항속 거리 | 수면: 12 노트에서 3450nmi 수중: 4 노트에서 50nmi |
무장 | 53cm 어뢰 발사관 × 3 (함수, 탑재 어뢰 5발) 20mm 단장 기관포 × 1 어뢰 대신 기뢰(TMA) 탑재 가능 |
아래는 취역한 16척의 IID형 잠수함 목록이다.
함번 | 취역 연도 |
---|---|
U-137 | 1940년 |
U-138 | 1940년 |
U-139 | 1940년 |
U-140 | 1940년 |
U-141 | 1940년 |
U-142 | 1940년 |
U-143 | 1940년 |
U-144 | 1940년 |
U-145 | 1940년 |
U-146 | 1940년 |
U-147 | 1940년 |
U-148 | 1940년 |
U-149 | 1940년 |
U-150 | 1940년 |
U-151 | 1941년 |
U-152 | 1941년 |
5. 제원
독일 II형 잠수함은 내부에 잠수 전지와 작은 단일 선체를 가진 유보트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에서 건조된 최초의 유보트 유형으로, 높은 기동성을 갖추어 주로 연안 해역 작전에 투입되었다. 작은 크기 때문에 "Einbaum|아인바움de"이라고 불렸으며, 얕은 물에서 작전이 가능하고 빠르게 잠수할 수 있으며 낮은 함교 덕분에 은밀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었다. 반면, 최대 잠수 깊이가 얕고 항속 거리가 짧으며, 내부 공간이 매우 비좁고 탑재 어뢰 수가 적다는 단점도 가졌다.
구분 | 내용 |
---|---|
배수량 | 수상: 254ton 수중: 303ton 총: 381ton |
크기 | 길이: 40.9m 폭: 4.1m 높이: 8.6m 흘수: 3.8m |
성능 | 수상 속력: 13 노트 수중 속력: 6.9 노트 최대 잠수 심도: 120m 고속 잠수 시간: 30초 |
항속 거리 | 수상: 1,000 해리 (8 노트 시) 수중: 35 해리 (4 노트 시) |
추진 방식 | 디젤-전기 엔진: MWM 디젤 엔진 2기 (총 700 PS) 전기 모터: SSW 전기 모터 2기 (총 402 PS) |
무장 | 전방 533mm 어뢰 발사관 3문 예비 어뢰 2발 (내부 탑재) 20mm 대공포 1문 |
잠망경 | 공격 잠망경 1대 |
승무원 | 24명 |
II형 잠수함은 방수 구획이 없는 단일 선체 구조를 가졌다. 3개의 어뢰 발사관은 모두 전방에 있었고, 예비 어뢰 2발은 압력 선체 내부의 조종실 바로 앞 공간에 보관되었다. 갑판에는 20mm 포 1문이 설치되었으나 주로 항공기에 대한 방어용으로 사용되었다.
내부 공간은 매우 제한적이었다. 예비 어뢰가 차지하는 공간 때문에 24명의 승무원 대부분은 어뢰 주변의 이 전방 구역에서 12개의 침대를 공유하며 생활해야 했다. 기관실 승무원을 위해 엔진 뒤쪽에 4개의 침대가 추가로 마련되었다. 취사 및 위생 시설은 기본적인 수준에 불과하여 장기간의 작전 수행은 승무원에게 매우 힘든 일이었다.
특징 | CV-707 (Vesikko) | IIA형 U1–U6 | |
---|---|---|---|
진수 | 1933년 5월 11일 | 1935년 | |
배수량 (톤) | 수상 | 254ton | 254ton |
수중 | 303ton | 303ton | |
총계 | 381ton | 381ton | |
크기 (미터) | 길이 | 40.9m | 40.9m |
폭 | 4.1m | 4.1m | |
흘수 | 4.2m | 3.8m | |
속도 (노트) | 수상 | 13 | 13 |
수중 | 8 | 6.9 | |
항속 거리 (해리) | 수상 | 1,350 nmi (8 노트 시) | 1,000 nmi (8 노트 시) |
수중 | 40 nmi (4 노트 시) | 35 nmi (4 노트 시) | |
추진 | 엔진 | 디젤-전기 | 디젤-전기 |
디젤 | MWM 디젤 2기 (총 700 PS) | MWM 디젤 2기 (총 700 PS) | |
전기 | SSW 전기 모터 2기 (총 360 PS) | SSW 전기 모터 2기 (총 402 PS) |
6. 동형함 목록
핀란드에서 건조된 프로토타입: Vesikko
개별 함선 상세 정보는 독일 II형 잠수함 목록을 참고하십시오.
; IIA형
IIA형은 킬의 도이치 베르케 조선소에서 6척이 건조되어, 모든 함선이 1935년에 취역했다. 배수량 250ton의 소형 잠수함으로 다루기 쉽고 수중 기동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항속 거리가 짧아 실전용으로는 성능이 부족했고, 보다 대형인 VII형 등이 취역하면서 연습 잠수함으로 주로 사용되었다.
- 총 6척: U-1 ~ U-6
; IIB형
IIB형은 IIA형의 항속 거리를 개선하기 위해 선체를 1.8m 연장하고 연료 탑재량을 12ton에서 21ton으로 늘린 형식이다. 도이치 베르케 조선소, 킬의 게르마니아 조선소, 플렌스부르크의 플렌더 조선소에서 1935년부터 다음 해에 걸쳐 18척, 1940년에 2척, 총 20척이 건조되었다. 대부분의 함선이 실전을 경험했으며, 일부는 제30U보트 전대에 편입되어 분해 후 흑해로 운반, 콘스탄차를 기지로 삼아 작전을 수행하며 전과를 올렸다.
- 총 20척: U-7 ~ U-24, U-120 ~ U-121
; IIC형
IIC형은 IIB형의 선체를 다시 1.2m 연장하여 연료 탑재량을 23ton으로 한 형식이다. 선체 연장으로 확보된 공간에는 무선 설비를 보강하고 잠망경 1기를 추가했다. 모든 함선은 도이치 베르케 조선소에서 건조되었으며, 1938년 말부터 1940년까지 총 8척이 취역했다.
- 총 8척: U-56 ~ U-63
; IID형
IID형은 IIC형 선체에 새롭게 saddle tank|새들 탱크영어를 장착하고 그 일부를 연료 탱크로 사용하여 연료 탑재량을 38ton까지 늘린 형식이다. 선체 폭 증가로 인한 속도 저하를 보완하기 위해, 추진 효율이 향상된 shroud ring|슈라우드 링영어 부착형 스크류를 사용했다. 모든 함선은 도이치 베르케 조선소에서 건조되었으며, 1940년부터 다음 해에 걸쳐 16척이 취역했다.
- 총 16척: U-137 ~ U-152
7. 평가
II형 잠수함은 크기가 작아 '통나무배'(de)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이 잠수함은 작은 크기 덕분에 얕은 수심에서의 작전이 용이했고, 잠수 속도가 빨랐으며, 낮은 함교 구조로 은밀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최대 잠항 심도가 얕고 항속거리가 짧았으며, 내부 공간이 비좁아 승조원들의 생활 환경이 열악했다. 탑재 가능한 어뢰 수도 제한적이었다.
원래 연안 작전을 상정하고 설계되었기 때문에, 대양에서의 장거리 임무 수행에는 여러 제약이 따랐다. 실제로 제2차 세계 대전 초기 이후에는 대부분 실전에서 물러나 훈련 용도로 활용되었다. 하지만 다루기 쉬운 특성 덕분에 훈련함으로서는 매우 적합했으며, 수많은 잠수함 승조원을 양성하여 이후 VII형, IX형과 같은 대형 잠수함 운용에 필요한 인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결론적으로 II형 잠수함은 베르사유 조약 이후 독일 해군 재건의 초기 단계에서 잠수함 건조 기술과 운용 경험을 축적하고, 후속 잠수함 개발의 토대를 마련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비록 성능상의 한계는 명확했지만, 크릭스마리네 잠수함 부대 발전의 중요한 디딤돌이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Adolf Hitler's 'lost fleet' found in Black Sea
http://webarchive.lo[...]
2008-02-03
[2]
서적
[3]
서적
[4]
서적
Steel and Ice: The U-boat Battle in the Arctic and Black Sea 1941-4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