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돈 민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돈 민처는 1960년대와 1970년대에 활약한 미국의 프로 야구 선수이다. 메이저 리그 통산 13시즌 동안 1,400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49, 200홈런을 기록했다. 1967년과 1969년에는 올스타로 선정되었으며, 1972년 월드 시리즈에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소속으로 우승을 경험했다. 은퇴 후에는 마이너 리그 팀 헌츠빌 스타스의 회장 및 단장을 역임했고, 서던 리그 회장직을 수행했다. 2008년 앨라배마주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2012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니카라과 진출 야구 선수 - 조지 스콧 (1944년생 야구 선수)
    조지 스콧은 미국의 야구 선수로, 그의 아들 데이비드 스콧이 아버지의 선수 시절과 야구 열정을 Boston.com에 기고했으며 SABR Baseball BioProject에서 추가 정보를 찾을 수 있다.
  • 시애틀 파일럿츠 선수 - 스티브 바버
    스티브 바버는 1960년대 볼티모어 오리올스에서 올스타에 두 차례 선정된 미국의 전직 프로 야구 선수로, 은퇴 후에는 라스베이거스에서 장애 아동들을 위한 운전사로 일했다.
  • 시애틀 파일럿츠 선수 - 짐 보턴
    짐 보턴은 1962년부터 1978년까지 MLB에서 활동한 미국의 전 야구 선수이자 작가, 방송인으로, 뉴욕 양키스 시절 강속구 투수로 활약하며 올스타에 선정되고 월드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으며, 은퇴 후에는 야구계 뒷이야기를 담은 책 《볼 포》를 출간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다.
  • 앨라배마주 출신 야구 선수 - 돈 서턴
    돈 서턴은 1966년부터 1988년까지 MLB에서 활약하며 통산 324승, 3,574탈삼진, 58완봉승을 기록한 뛰어난 투수로, 1998년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은퇴 후에는 방송 해설가로도 활동했다.
  • 앨라배마주 출신 야구 선수 - 앨릭스 리오스
    앨릭스 리오스는 푸에르토리코 출신의 전직 메이저 리그 야구 외야수로, 토론토 블루제이스를 포함한 여러 팀에서 뛰었으며 뛰어난 재능으로 올스타에 선정되고 푸에르토리코 국가대표로도 활약했다.
돈 민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미네소타 트윈스 시절의 돈 민처
미네소타 트윈스 시절의 돈 민처
본명Donald Ray Mincher
원어명Don Mincher
국적미국
출생일1938년 6월 24일
출생지미국 앨라배마주 헌츠빌
사망일2012년 3월 4일
사망지미국 앨라배마주 헌츠빌
신장190 cm
체중92 kg
투구
타석
수비 위치1루수
출신 학교S. R. 버틀러 고등학교
프로 입단 연도1956년
첫 출장MLB / 1960년 4월 18일
그리피스 스타디움 WSH 대 BOS 전
마지막 경기MLB / 1972년 10월 4일
애너하임 스타디움 OAK 대 CAL 전
수상
획득 타이틀올스타 (1967, 1969)
월드 시리즈 우승 (1972)
선수 경력
경력워싱턴 세너터스/미네소타 트윈스 (1960~1966)
캘리포니아 에인절스 (1967~1968)
시애틀 파일럿츠 (1969)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1970~1971)
워싱턴 세너터스/텍사스 레인저스 (1971~197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1972)

2. 선수 경력

민처는 1956년 헌츠빌 S. R. 버틀러 고등학교를 졸업 후 시카고 화이트삭스와 계약을 맺으면서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4년간 시카고 산하 마이너 리그 팀을 거쳤으며, 1964년부터 1970년까지 7년간 다섯 차례 20홈런 이상을 기록했다.[1]

2. 1. 메이저 리그 시절

민처는 1960년 시즌 개막 직전 포수 얼 배티와 함께 로이 시버스의 맞상대로 워싱턴 세너터스로 트레이드되어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다. 이후 워싱턴 세너터스는 미네소타 트윈스로 팀명을 변경했고, 민처는 팀의 주전 선수로 자리잡았다.[1] 1964년 8월 23일에는 타이거 스타디움에서 우측 지붕을 넘기는 장외 홈런을 기록했는데, 이는 타이거 스타디움 개장 64년 역사상 21명만이 달성한 기록이었다.[1]

1965년, 민처는 128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51, 22홈런, 65타점을 기록하며 팀의 아메리칸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2] 1965년 월드 시리즈 전 경기에 출전한 민처는 비록 타율은 .130으로 낮았지만, 1차전에서 돈 드라이즈데일을 상대로 홈런을 기록하며 팀의 첫 득점을 올렸다.[3] 미네소타는 월드시리즈에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 패했다.

1966년 6월 9일, 캔자스시티 어슬레틱스와의 경기에서 민처를 포함한 5명의 미네소타 트윈스 선수(하먼 킬러브루, 토니 올리바, 리치 롤린스, 조일로 베르사예스)가 7회에 홈런을 기록했다. 이는 메이저 리그 한 이닝 최다 홈런 기록이다.[4]

1967년과 1969년, 민처는 아메리칸 리그 올스타에 선정되었다.[2] 특히 1969년에는 시애틀 파일럿츠 소속으로 올스타전에 출전했는데, 이는 시애틀 파일럿츠 역사상 유일한 올스타전 출전 기록이었다. 이후 시애틀 파일럿츠는 밀워키 브루어스로 팀명을 변경했다.[5] 1970년, 민처는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소속으로 140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46, 27홈런, 74타점을 기록하며 개인 통산 한 시즌 최다 홈런을 기록했다.[2]

1972년 시즌 중반, 민처는 텍사스 레인저스에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로 트레이드되었다. 주로 대타로 출전하며 타율 .148로 부진했지만, 1972년 월드 시리즈 4차전에서 9회말 동점 적시타를 치며 팀 승리에 기여했다.[6] 오클랜드는 신시내티 레즈를 꺾고 월드시리즈 우승을 차지했고, 민처는 우승 반지를 획득했다.[7]

민처는 메이저 리그 통산 13시즌 동안 1,400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49, 1,003안타, 200홈런, 643타점을 기록했다.[2]

3. 마이너 리그 운영

은퇴 후, 민처는 1985년부터 2001년까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 밀워키 브루어스 산하 더블 A 팀 헌츠빌 스타스의 초대 회장 겸 단장을 역임했다. 1994년에는 지역 투자자들과 함께 헌츠빌 스타스를 인수하여 팀이 헌츠빌에 남도록 했다.

2000년, 서던 리그 회장이 공석이 되자 임시 회장을 맡았다. 2001년 초, 헌츠빌 스타스가 매각되면서 민처는 단장 및 회장직에서 물러났고, 이후 리그 정식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2011년 10월 은퇴할 때까지 리그 회장직을 수행했으며, 리그는 그에게 명예회장 직함을 부여했다.

2008년, 민처는 앨라배마주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헌츠빌 스타스는 그가 선수로 뛴 적이 없음에도 2008년 6월 6일 그의 번호 5번을 영구 결번했다. 2010년에는 마이너 리그가 선정하는 킹 오브 베이스볼을 수상했다.

4. 수상 및 영예

원문 소스(source)가 비어 있었기 때문에 주어진 요약(summary)만을 바탕으로 내용을 생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이전 응답과 동일하게, 빈 소스에 기반해서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인용 This Week in Tiger Stadium History, August 17-23 https://web.archive.[...] 2014-10-23
[2] 웹인용 Don Mincher Stats, Height, Weight, Position, Rookie Status & More https://www.baseball[...] 2023-03-03
[3] 웹인용 The 1965 MIN A World Series Batting Log for Don Mincher https://www.retroshe[...] 2024-08-11
[4] 웹인용 Retrosheet Boxscore: Minnesota Twins 9, Kansas City Athletics 4 https://www.retroshe[...] 2024-08-11
[5] 웹인용 1969 All-Star Game Box Score, July 23 https://www.baseball[...] 2023-03-03
[6] 웹인용 Retrosheet Boxscore: Oakland Athletics 3, Cincinnati Reds 2 https://www.retroshe[...] 2024-08-11
[7] 웹인용 1972 Oakland Athletics Statistics https://www.baseball[...] 2023-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