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개나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개나무(Aloidendron dichotomum)는 토착 산족이 화살통으로 사용한 관습에서 유래된 이름을 가진 식물이다. 이분 분지를 특징으로 하며, 2013년 Aloidendron 속으로 분류되었다. 남아프리카와 나미비아의 건조 지역에 서식하며, A. pillansii, A. ramosissimum과 같은 근연종이 있다. 동개나무는 기후 변화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조경용으로 재배되기도 한다. 재배 시에는 배수가 잘 되는 환경, 충분한 햇빛, 적은 물, 해충 관리가 필요하다.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촬영에 사용된 적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짜루목 - 크산토로이아과
- 관상수 - 나한송
나한송은 따뜻한 지역에서 자라는 상록 교목으로, 껍질이 벗겨지는 특징이 있고 건축재나 약재로 쓰이며 정원수로도 심는데, 종자는 독성이 있지만 붉은 종탁은 먹을 수 있다. - 관상수 -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은행나무목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으로, 현존하는 유일한 은행나무목 식물이며, 잎 모양 때문에 압각수, 열매 때문에 은행나무라 불리고,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가로수 등으로 널리 심어지나 은행은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지만 독성 성분에 주의해야 한다. - 원예 식물 - 석류나무
석류나무는 서남아시아와 중동 원산의 부처꽃과 낙엽성 소교목으로, 붉은 꽃과 식용 열매가 특징이며, 풍요와 다산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고 전통 의학 및 염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원예 식물 - 국화속
국화속(Chrysanthemum)은 관상용 여러해살이풀로 두상화 형태의 꽃을 피우며, 다양한 색상과 크기를 가지고 동아시아 문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동개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포 | |
분포 지역 | 아프리카 남부 |
![]() | |
![]() | |
기본 정보 | |
학명 | Aloidendron dichotomum |
명명자 | (Masson) Klopper & Gideon F.Sm. |
이명 | Aloe dichotoma Masson Rhipidodendrum dichotomum (Masson) Willd. Aloe ramosa Haw. Aloe montana Schinz Aloe dichotoma var. montana (Schinz) A.Berger |
상태 | 취약 (VU) |
상태 시스템 | IUCN3.1 |
분류 | |
계 | 식물계 Plantae |
문 (계급 없음) | 관다발식물 Tracheophyta 속씨식물 Angiosperms |
강 (계급 없음) | 외떡잎식물 Monocots |
목 | 비짜루목 Asparagales |
과 | 크산토로이아과 Asphodelaceae |
아과 | 아스포델루스아과 Asphodeloideae |
속 | 아로이덴드론속 Aloidendron |
종 | 아로이덴드론 디코토뭄 A. dichotomum |
기타 | |
![]() | |
영어 이름 | Quiver tree |
아프리칸스어 이름 | Kokerboom |
2. 명칭
토착 산족에게 '초제'로 알려져 있다. 영어 일반 명칭인 'quiver tree'(화살통 나무)는 산족이 이 나무의 속이 빈 가지를 파내어 화살통으로 사용한 데서 유래했다. 종명 ''dichotomum''은 식물이 자라면서 줄기가 반복적으로 두 개로 갈라지는 방식(이분 분지)을 나타낸다.[2] 이 종은 2013년에 ''Aloidendron'' 속으로 옮겨져 학명이 ''Aloidendron dichotomum''이 되었다.[3][8]
동개나무(''A. dichotomum'')는 A. pillansii 및 A. ramosissimum과 같은 두 종과 가까운 관계에 있다. 이 세 종은 남아프리카와 나미비아 국경 근처의 리히터스벨트와 나미브 사막과 같은 건조한 지역에서 함께 발견된다.
3. 근연종
IUCN 멸종 위기종 적색 목록에 따른 각 종의 보전 상태는 다음과 같다.종명 IUCN 등급 비고 A. dichotomum 취약 (Vulnerable) A. pillansii 심각한 위기 (Critically Endangered) A. ramosissimum 멸종 위기 (Endangered)
세 종은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구별할 수 있다.[4][9]
4. 분포 및 보전
동개나무의 주요 자생지로는 나미비아 키트만스후프 북쪽 약 14km 지점에 있는 동개나무 숲(Quiver Tree Forest)과 남아프리카 공화국 노던케이프의 가나보스 등이 있다.
이 종은 서식하는 광범위한 지역에서 개체 수가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기후 변화가 주요 위협 요인으로 지목되며,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나미비아에서는 기후 변화에 따른 서식지 변화 예측 모델링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모델링 결과는 최근의 현장 조사를 통해서도 확인되고 있으며[10], 이에 따라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보호 구역 설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IUCN의 레드 리스트에 따르면, 동개나무(''Aloidendron dichotomum'')는 취약(VU, Vulnerable) 종으로 분류된다. 동개나무는 근연종인 ''Aloidendron pillansii'' 및 ''Aloidendron ramosissimum''과 함께 남아프리카와 나미비아 국경 부근의 리흐터스벨트 및 나미브 사막과 같은 건조한 지역에 서식한다. 이 세 종은 서식지를 공유하지만, 보전 상태와 형태적 특징에서 차이를 보인다.[9]
종명 | 형태 | IUCN 레드 리스트 등급 | 비고 |
---|---|---|---|
Aloidendron dichotomum | 나무 형태 | 취약 (VU) | |
Aloidendron pillansii | 나무 형태, 꽃차례가 아래로 늘어짐 | 심각한 위기 (CR) | 개화 시기가 달라 다른 두 종과 교배되지 않음. |
Aloidendron ramosissimum | 관목 형태 (높이 2m 이하) | 위기 (EN) | A. dichotomum과 점진적 변화 존재. |
5. 재배
동개나무(Aloidendron dichotomumlat, 이전 학명 Aloe dichotomalat)는 조경용으로 전 세계의 건조 지역에서 재배된다. 성장 속도가 느리고 상대적으로 희귀하여 가격이 비싼 편이며, 원래 서식지가 아닌 곳에서는 기르기 까다로운 식물이다.
재배 시에는 물 빠짐이 매우 잘 되는 거친 모래에 약간의 양토와 골분을 섞어 사용하는 것이 좋다. 햇빛이 충분히 들고 통풍이 잘 되어야 하며, 물은 아주 적게 주어야 한다. 주로 겨울에 비가 오는 사막 지역에서 자생하므로, 물 주기도 겨울철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 물이 부족하면 잎이 안쪽으로 말리면서 끝부분부터 마르기 시작하는데, 이는 식물이 건조하다는 신호이다.
특히 잎 사이는 진딧물과 같은 해충이나 곤충 감염에 취약하다. 햇빛이 부족하거나 신선한 공기가 계속 통하지 않으면 이러한 문제가 더 심해질 수 있다. 실내에서 키울 경우 해충 방제를 자주 해주어야 하며, 때때로 살균제를 사용하여 부패를 예방할 수도 있다.
번식은 씨앗이나 삽목(꺾꽂이)으로 할 수 있는데, 삽목이 더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삽목을 할 가지는 심기 전에 그늘에서 몇 주 동안 완전히 말려야 한다.
6. 대중문화
마이클 벤슨의 저서 『우주 오디세이: 스탠리 큐브릭, 아서 C. 클라크, 그리고 걸작의 탄생』(2018)에서는 코커붐(또는 코카분, 학명: ''Dipterocarpus gracilis'')이 영화 감독 스탠리 큐브릭의 관심을 끌었던 경위를 간략하게 언급한다. 이 책은 몇 그루의 보호받는 코커붐(코카분) 나무가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촬영을 위해 훼손(벌채)되었다고 주장한다.[6]
7. 갤러리
참조
[1]
간행물
Aloidendron dichotomum
2022
[2]
웹사이트
Aloidendron dichotomum
http://pza.sanbi.org[...]
South African National Biodiversity Institute
2023-02-01
[3]
논문
A revised generic classification for Aloe (Xanthorrhoeaceae subfam. Asphodeloideae)
https://www.biotaxa.[...]
2013
[4]
서적
Succulent Flora of Southern Africa
Struik Nature
[5]
논문
A changing climate is eroding the geographical range of the Namib Desert tree ''Aloe'' through population declines and dispersal lags
http://www4.nau.edu/[...]
[6]
서적
Space Odyssey: Stanley Kubrick, Arthur C. Clarke, and the Making of a Masterpiece
https://www.simonand[...]
Simon & Schuster
2019-04-23
[7]
웹사이트
Aloidendron dichotomum
http://wcsp.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7-10-16
[8]
url
https://www.biotaxa.[...]
[9]
서적
Succulent Flora of Southern Africa
Struik Nature
[10]
논문
A changing climate is eroding the geographical range of the Namib Desert tree ''Aloe'' through population declines and dispersal lags
http://www4.nau.edu/[...]
2011-07-16
[11]
웹사이트
Aloe dichotoma
http://www.plantzafr[...]
2016-09-26
[12]
서적
Space Odyssey: Stanley Kubrick, Arthur C. Clarke, and the Making of a Masterpiece
http://www.simonands[...]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