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등화관제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등화관제등은 차량의 등화 관제 시 사용되는 특수 조명 장치로, 주행등, 표시등, 정지등으로 구분된다. 등화관제 전조등은 야간 투시 장비와 함께 사용되며, 등화관제 표시등은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고 안전거리를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등화관제 정지등은 일반 정지등을 대체한다. 군용 차량에는 조명 제어를 위한 특수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1984년부터 1999년까지 특정 차종에 등화관제등 설치가 의무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동차 헤드램프 - 자동차 조명
    자동차 조명은 운전자의 시야 확보와 타인에게 차량의 존재를 알리는 장치로, 연료 램프에서 LED 램프까지 발전해 왔으며, 국제 협약에 따라 색상이 표준화된 다양한 램프가 사용된다.
  • 자동차 헤드램프 - 주간주행등
    주간주행등(DRL)은 차량의 주간 주행 시 다른 차량과의 식별성을 높이기 위해 켜는 조명 장치이며, 안전성 향상을 위해 여러 국가에서 장착을 의무화하고 있다.
  • 군사 장비 - 방탄복
    방탄복은 총알이나 파편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 제작된 보호 장비이며, 케블라, 다이니마, 세라믹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충격을 분산시키고 착용 방식, 성능 기준, 법률 등 다양한 측면에서 규제 및 기준이 존재한다.
  • 군사 장비 - 비살상무기
    비살상무기는 군대와 경찰이 갈등 상황에서 치명적인 결과를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무기로, 최루탄, 테이저건, 물대포, 고무탄 등이 있으며 안전성, 인권 침해, 국제적 규제 등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등화관제등
개요
종류차량 등화 장치
목적야간 또는 시야가 제한된 상황에서 차량의 위치를 가리기 위함
(전쟁 시) 적의 항공기 또는 지상군에게 차량의 위치를 노출시키지 않기 위함
특징
색상매우 낮은 밝기의 청록색 또는 올리브색
(일반적인 등화관제등) 적색, 주황색, 녹색, 또는 흰색 (조절 가능)
밝기매우 낮음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울 정도)
용도군용 차량
민간 차량 (전쟁 또는 비상 상황)
설치 위치전조등, 후미등, 방향 지시등 등에 추가적으로 설치
기존 등화 장치를 가리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음
작동 방식
점등 방식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등화 장치 대신 점등
밝기 조절외부 밝기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 가능
역사
기원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용 차량에 처음 사용
발전냉전 시대에 민간 차량에도 확산
기술 발전으로 다양한 형태와 기능의 등화관제등 개발
기타
주의사항일반적인 도로 주행 시에는 사용을 자제해야 함 (안전 문제)
관련 법규국가별로 등화관제등의 사용에 대한 법규가 존재함

2. 종류

등화관제등은 크게 주행등, 표시등, 정지등으로 나뉜다.


  • 등화관제 전조등: 펜더나 그릴에 주로 장착된다. 일반 헤드램프를 대체하여 백색광을 방출하며, 등화관제 조건에서 운전자가 길을 찾도록 돕는다.
  • 등화관제 표시등: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고, 야간 호송 운전 시 안전거리를 유지하도록 돕는다. 전방 표시등은 헤드라이트 아래나 측면에, 후방 표시등(미등)은 미등과 같은 장치에 내장된다.
  • 등화관제 정지등: 일반적인 정지등을 대신하며, 미국 군용 차량의 경우 브레이크를 밟으면 흰색으로 나타난다.[1]

2. 1. 등화관제 전조등 (Blackout driving lights)

등화관제 주행등은 차량의 운전석 쪽 펜더나 그릴에 주로 장착된다. 일반 헤드램프를 대체하여 확산된 백색광을 방출하며, 등화관제 조건에서 운전자가 길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등화관제 주행등에는 후드가 달려 있어 위에서 내려다볼 때만 빛이 보인다. 야간 투시 장비를 사용하면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2. 2. 등화관제 표시등 (Blackout marker lights)

등화관제 표시등은 등화관제 운전 시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야간 호송 운전 시 적절한 안전거리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미국 군용 표시등은 해당 조명이 장착된 차량과의 거리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일련의 "고양이 눈"으로 설계되었다.[2]

적색 등화관제 표지등(아래) 및 백색 정지등(위)

  • 전방 표시등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일반 헤드라이트 아래 또는 측면에 장착된다. 이는 차량이 마주 오는 운전자에게 보이도록 하거나, 운전자가 자신을 따라오는 차량이 있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 후방 표시등 또는 등화관제 미등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미등과 동일한 장치에 내장되어 있으며, 야간 호송 운전 시 적절한 안전거리를 유지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도구이다.


후방 표시등은 안전거리가 너무 멀면 단일 적색등으로 보이고, 너무 가까우면 4개의 개별 적색등으로 보인다. 약 18.29m~약 54.86m의 적절한 안전거리가 유지되면 미등은 2개의 적색등으로 보인다.[2]

2. 3. 등화관제 정지등 (Blackout stop lights)

등화관제 정지등은 등화관제 상태에서 작동할 때 일반적인 정지등을 대신한다. 미국 군용 차량의 경우 등화관제 모드에서 브레이크를 밟으면 브레이크 등이 흰색으로 나타난다.[1] 등화관제 정지등은 일반적으로 후방 등화관제 위치등과 동일한 미등 어셈블리에 위치한다.[1]

3. 조작

군용 차량에는 조명을 제어하는 특수 스위치가 있는데, 이 스위치는 잠금장치를 통해 차량의 등화나 기타 등화류가 실수로 켜지는 것을 방지한다. 조명을 켜려면 이 잠금장치를 눌러야 한다.[1]

일반, 등화관제, 호송 모드용 현대식 스위치

4. 대한민국 국내의 민수용 자동차

1984년 9월부터 1999년 7월까지 대한민국의 특정 민수용 자동차(주로 SUV)에는 등화관제등 설치가 의무화되었다.[3][4][5][6]

4. 1. 등화관제등 의무 설치 조항

1984년 9월부터 생산된 자동차 중 교통부가 지정한 자동차는 도로운송차량 보안규칙 제39조의 2[3](1987년 9월 28일 이후 자동차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41조, 1994년 이후 제46조[4][5])에 의해 등화관제등을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했다. 이들 자동차는 당시 한국에서 지프형 승용차로 불리던 SUV, 총중량 4톤 이상의 자동차였다.

이 등화관제등 의무 설치 조항은 1995년에 차폭등과 후미등 역할을 하는 등화관제표시등이 삭제(당시 조항명이 핀틀후크 의무 설치 조항이 생기면서 군용화 장치로 바뀜)된 후, 1999년 7월부터 등화관제등 의무 설치 조항이 폐지되었다.[6]

4. 2. 등화관제등이 설치된 SUV (예시)

등화관제등이 설치된 SUV(현대 갤로퍼)


등화관제등 의무 설치 조항에 의해 등화관제등이 설치된 자동차 가운데 대한민국의 자동차 기업에서 제작한 SUV는 다음과 같다.

4. 3. 기타

대한민국에 등화관제등 의무 설치가 있던 시기에 지프, 랜드로버, 메르세데스-벤츠 등 타 국가의 자동차 업체에서 제작한 SUV 차종을 대한민국에 수입 및 판매하는 경우에도 등화관제등을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중에서는 등화관제등을 설치하지 않고 대한민국 국내에 판매된 차종도 존재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Blackout Lights http://www.tpub.com/[...] 2011-11-15
[2] 서적 Field Manual 21-305 - Manual for the Wheeled Vehicle Driver http://www.enlisted.[...] U.S. Dept. of Defense, Depts. of the Army and the Air Force 2011-10-11
[3] 법령 https://www.law.go.k[...]
[4] 법령 https://www.law.go.k[...]
[5] 법령 https://www.law.go.k[...]
[6] 법령 https://www.law.g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