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현대 갤로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 갤로퍼는 1991년 현대정공에서 미쓰비시 파제로를 기반으로 출시된 대한민국 SUV이다. 1990년대 초반 2.5L 디젤 터보 엔진을 시작으로 다양한 엔진과 숏바디, 밴 모델 등을 선보였으며, 1997년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갤로퍼 II가 출시되었다. 2000년 현대자동차 엠블럼을 부착하고 2004년 테라칸에 통합되는 형식으로 단종되었다. 갤로퍼는 대한민국 SUV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얻으며 현대자동차의 SUV 개발에 기여했으며, 갤로퍼 대장정, 고구려 대장정 등 사회 공헌 활동에도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1년 도입된 자동차 - 미쓰비시 랜서 에볼루션
    미쓰비시 랜서 에볼루션은 미쓰비시 자동차가 1992년부터 2016년까지 생산한 고성능 스포츠 세단으로, 월드 랠리 챔피언십 참가를 위해 개발된 갤랑 VR-4의 엔진과 구동계를 랜서에 이식하여 탄생했으며, 강력한 터보 엔진과 뛰어난 사륜구동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 1991년 도입된 자동차 - 대우 프린스
    대우 프린스는 1991년부터 1999년까지 대우자동차에서 생산된 후륜구동 방식의 중형차로, 로얄 시리즈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1990년대 대한민국 자동차 시장에서 인기를 얻었다.
  • 준대형 승용차 - 지프 그랜드 체로키
    지프 그랜드 체로키는 크라이슬러에서 생산하는 중형 럭셔리 SUV로, 모노코크 바디 구조와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특징으로 하며, 오프로드 성능과 고급 편의 사양을 갖춘 다양한 트림을 제공하고 현대 팰리세이드, 기아 텔루라이드 등과 경쟁하며 연료 탱크 및 변속기 관련 문제로 리콜을 실시한 바 있다.
  • 준대형 승용차 - 현대 그랜저
    현대 그랜저는 1986년 출시된 현대자동차의 고급 승용차 브랜드이며, 7세대에 걸쳐 진화하며 대한민국 자동차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현대자동차의 차종 -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가 2021년에 출시한 전기차로, 3m에 달하는 휠베이스를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E-GMP 플랫폼을 기반으로 800V 고속 충전 시스템을 지원하며 V2L 기능을 통해 최대 3.6kW의 전력을 공급한다.
  • 현대자동차의 차종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현대 갤로퍼 - [자동차]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현대 갤로퍼
영문 표기Hyundai Galloper
제조사현대자동차
미쓰비시 자동차
기타 명칭갤로퍼 익시드
갤로퍼 사파리
아시아 갤로퍼 (브라질)
갤로퍼 TCI (아이슬란드)
미쓰비시 파제로
화태 지티안 (중국)
생산 기간1991년 – 2004년
조립 공장대한민국: 울산광역시 (현대모비스)
중국: 베이징시
관련 차종미쓰비시 파제로
차체 형태3/5도어 SUV
구동 방식전륜 엔진, 사륜구동
후속 차종현대 테라칸
디자인
디자이너알 수 없음
크기 및 무게
휠베이스2,350 mm (단축형)
2,695 mm (장축형)
전장3,945 mm (단축형)
4,545 mm (장축형, STD)
4,605 mm (장축형, XL)
4,615 mm (장축형, TCI & GSL)
전폭1,770 mm
전고1,859 mm
차량 중량알 수 없음
엔진 및 변속기
엔진3.0 L G6AT V6 (가솔린)
2.5 L D4BH I4 (디젤)
변속기4단 자동변속기
5단 수동변속기

2. 역사

정몽구 당시 현대정공 사장은 미쓰비시 파제로 1세대 모델을 기반으로 한 SUV 개발을 주도했다. 이는 세단 위주의 현대자동차와 차별화된 라인업을 구축하고, 현대 그룹 전체의 제품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이었다.[9] 현대정공은 1988년부터 자체 모델 개발을 시도했으나[3], Roush Enterprises와 협력한 X-100 ECS ROUSH 프로젝트는 성공하지 못했다.[2] 결국 미쓰비시 파제로를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기존 컨테이너 공장이었던 울산광역시 북구 염포동 2공장을 1989년까지 자동차 생산 라인으로 개조했다.[4]

1991년 미쓰비시에서 2세대 파제로를 출시하면서 1세대 생산 라인이 현대정공으로 이전되었고,[7] 같은 해 9월 25일 서울 하얏트 호텔에서 출시 행사를 열고 '갤로퍼' 판매를 시작했다.[2] 생산은 현대정공 울산 염포동 공장에서 담당했고, 엔진, 변속기 등 주요 부품은 현대자동차에서 공급받았으며, 판매 및 서비스는 현대자동차 서비스망을 통해 이루어졌다.[4][2]

갤로퍼는 출시 1년 만에 국내 SUV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모델이 되었으며,[4] 1992년 한 해 동안 약 24,000대를 판매하여 시장 점유율 52%를 기록, 기존 강자였던 쌍용 코란도를 넘어섰다. 이에 쌍용은 1993년 메르세데스-벤츠 엔진을 탑재한 쌍용 무쏘를 출시하며 경쟁에 나섰다.[3] 현대정공은 1992년 2월 5,000번째 갤로퍼 생산을 기념했으며,[4] 같은 해 3월부터 1993년 1월까지 '해를 따라 서쪽으로'라는 슬로건 아래 대규모 마케팅 캠페인을 진행했다. 3대의 갤로퍼 차량이 인도 뭄바이에서 출발해 유라시아 대륙 35개국, 총 73000km를 주행하여 포르투갈호카곶에 도달하는 여정으로, 현대는 이를 '마르코 폴로의 여행'(동방견문록) 경로라 홍보하며 차량의 내구성을 알렸다.[4][5] 이 여정은 2000년에 책으로 출간되기도 했다.[6]

1994년부터는 중국을 시작으로 아시아 다른 국가에 갤로퍼를 수출하기 시작했으며,[4] 같은 해 12월 누적 생산 10만 대를 돌파했다.[4] 1997년부터는 좌측 운전 모델을 생산하여 유럽 시장에도 본격적으로 진출했다. 당시 연간 생산 능력은 6만 대 수준이었다.[7]

1999년까지 누적 생산량은 30만 대를 넘어섰다.[4] 같은 해 7월 31일, 현대정공의 자동차 생산 부문은 현대자동차로 이관되었고, 갤로퍼 생산 공장은 현대자동차 울산 5공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현대정공(현 현대모비스)은 자동차 부품 전문 기업으로 재편되었다.[4] 갤로퍼는 총 13년간 생산된 후, 후속 모델인 현대 테라칸의 등장과 환경 및 안전 규제 강화 등의 요인으로 2004년 1월 단종되었다.[2]

단종 이후 2010년대 초반부터 갤로퍼, 특히 초기 모델에 대한 향수와 관심이 높아지면서 중고차 가격이 상승하고 복원(리스토어) 수요가 늘어났다. 일부 마니아들은 신차 가격의 20분의 1 수준이었던 중고 갤로퍼를 구매하여 3000만 이상을 들여 복원하기도 했다.[8] '모헤닉게라지스'와 같은 업체는 갤로퍼를 기반으로 한 레스토모드 차량 '모헤닉 G'를 제작했는데, 비용이 최대 8500만(약 8만달러)에 달하고 제작 기간도 1년 가까이 소요되었다. 창업자 김태성은 캠핑을 위한 실용적인 차를 찾다가 갤로퍼의 매력을 재발견하고 사업을 시작했다고 밝혔다.[9][10] 그러나 갤로퍼는 오래된 배출가스 기준의 엔진을 사용하기 때문에, 2021년부터는 수도권 등 일부 지역에서 시행되는 노후 경유차 운행 제한 조치에 따라 도심 진입이 제한되고 있다.[11]

2. 1. 1세대 (M) (1991년 9월 ~ 1997년 3월)

현대 갤로퍼 (1991~1994)


현대 뉴 갤로퍼 (1994~1997)


현대정공(현 현대모비스)이 1988년부터 자체 개발을 추진했으나 최종적으로는 미쓰비시 파제로 1세대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하여 1991년 9월 25일에 출시한 후륜구동 기반 사륜구동 SUV이다.[2][3] 당시 현대정공 사장이었던 정몽구의 주도로, 세단 중심의 현대자동차와 차별화된 라인업을 구축하고 그룹 전체의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되었다.[9] 생산은 현대정공 울산 염포동 공장에서 이루어졌고, 판매는 현대자동차 서비스망을 통해 이루어졌다.[4][2]

출시 초기에는 2.5L 자연흡기 디젤 엔진을 얹은 롱바디 모델만 있었으며, 스탠다드(5인승)와 대한민국 최초로 3열 시트를 적용한 엑시드(6인승) 트림으로 구성되었다. 갤로퍼는 출시 직후부터 높은 인기를 얻으며 쌍용 코란도, 코란도 훼미리, 아시아 록스타 등 경쟁 차종을 압도하고 국내 SUV 시장의 판도를 바꾸었다. 출시 1년 만인 1992년에는 국내 SUV 시장 점유율 52%를 달성하기도 했다.[4][3]

이후 터보 디젤 엔진, V6 3.0L 가솔린 엔진, 숏바디 모델(갤로퍼 S), 9인승 모델, 자동변속기 등이 추가되며 라인업이 지속적으로 확장되었다.[3][4] 1994년 9월 22일에는 기존의 원형 헤드 램프를 사각형으로 변경하고 상품성을 개선한 '뉴 갤로퍼'가 출시되었다. 같은 해 12월에는 누적 생산 10만 대를 돌파했다.[4]

1세대 갤로퍼는 1997년 3월 6일에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갤로퍼 Ⅱ가 출시되면서 단종되었다.

2. 1. 1. 갤로퍼 (1991년 9월 ~ 1994년 9월)



현대 갤로퍼 후측면


현대정공은 1988년부터 SUV 자체 개발을 추진했으나, 당시 기술 및 시장 요구 수준에 부합하지 못하여 미쓰비시 파제로 1세대 모델 도입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이는 정몽구 당시 현대정공 사장의 주도로 이루어졌으며, 세단 중심의 현대자동차와 차별화된 SUV 라인업 확보를 통해 그룹 전체의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목적이었다.[9][2][3] 이를 위해 기존 컨테이너 공장이었던 울산 염포동 2공장을 자동차 생산 라인으로 전면 개조했다.[4]

1991년 9월 25일, 서울 하얏트 호텔에서 공식 출시 행사를 갖고 갤로퍼 판매를 시작했다.[2] 미쓰비시 파제로 1세대 생산 설비를 현대정공 울산 염포동 공장으로 이전하여 조립 생산했으며,[7][4] 엔진, 변속기 등 핵심 부품은 현대자동차에서 공급받고, 판매 및 사후 관리는 현대자동차 서비스망을 통해 이루어졌다.[2]

초기 모델은 롱바디 형태만 제공되었고, 2.5L 자연흡기 디젤 엔진(D4BA, 최고 출력 73마력)과 5단 수동변속기를 기본으로 장착했다.[3][13] 트림은 기본형인 스탠다드(5인승)와 고급형인 엑시드(6인승)로 구성되었는데, 특히 6인승 엑시드 모델은 대한민국 최초로 3열 시트를 적용한 SUV였다. 갤로퍼는 출시 직후부터 높은 인기를 얻으며 쌍용 코란도, 코란도 패밀리, 아시아 록스타 등 경쟁 차종을 압도했다. 출시 1년 만인 1992년에는 약 24,000대가 판매되어 국내 SUV 시장 점유율 52%를 기록하며 베스트셀링 모델로 자리 잡았다.[4][3]

라인업은 지속적으로 확장되었다.

  • 1991년 12월: 성능을 개선한 2.5L 터보 디젤 엔진(D4BF, 최고 출력 85마력)과 V형 6기통 3.0L SOHC 가솔린 엔진(G6AT, 최고 출력 161마력) 모델이 추가되었다.[3][4]
  • 1992년 3월: 전장이 짧은 숏바디 모델인 '''갤로퍼 S'''가 출시되었다.[4]
  • 1992년 11월: 가솔린 엔진 모델에 대한민국 SUV 최초로 4단 자동변속기가 옵션으로 추가되었다.
  • 1993년 5월: 지붕 뒷부분을 높여 실내 공간을 확보한 킥업 루프 형태의 9인승 모델이 추가되었다. 3열에 마주보는 벤치 시트를 적용하여 승합차로 분류되었다.
  • 1993년 6월: 터보 디젤 엔진 모델에도 4단 자동변속기가 추가되었다.
  • 1993년 12월: 터보 디젤 엔진에 인터쿨러를 장착하여 출력을 101마력으로 높인 2.5L 인터쿨러 터보 디젤 엔진(D4BH) 모델이 출시되었다.[3]
  • 1994년 1월: 갤로퍼 S(숏바디)에 2인승 밴 모델이 추가되었다.
  • 1994년 3월: 인터쿨러 터보 디젤 엔진 모델에도 4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초기 갤로퍼는 둥근 형태의 실드 빔 헤드램프가 외관상 특징이었다. 전륜에는 더블 위시본 방식과 토션 바 스프링, 후륜에는 리프 스프링과 라이브 액슬 방식을 채택했다. 제동 장치는 전륜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후륜 드럼 브레이크 방식이었으며, 적재량에 따라 제동력을 배분하는 하중 감지 비례 밸브(LSPV)를 적용하여 제동 안정성을 확보했다.[13]

1992년 3월부터 1993년 1월까지는 "해를 따라 서쪽으로"라는 슬로건 아래, 3대의 갤로퍼 차량이 인도 뭄바이에서 출발하여 유라시아 대륙 35개국, 총 73000km를 주행하여 포르투갈호카곶에 도달하는 대규모 마케팅 캠페인을 진행했다. 이는 차량의 내구성과 성능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4][5][6]

'''갤로퍼 V6 3.0L 가솔린 (G6AT) 제원 (롱 바디 기준)'''
구분제원
전장 (mm)4,580
전폭 (mm)1,680
전고 (mm)1,850
축거 (mm)2,695
윤거 (전, mm)1,400
윤거 (후, mm)1,375
엔진 형식G6AT (V형 6기통 SOHC)
연료가솔린
배기량 (cc)2,972
최고 출력 (ps/rpm)161 / 5,000
최대 토크 (kg·m/rpm)24.5 / 2,500
변속기수동 5단 / 자동 4단
구동 형식4륜 구동
연비 (km/L)6.9 (수동 5단 기준)


2. 1. 2. 뉴 갤로퍼 (1994년 9월 ~ 1997년 3월)

(mm)3,905(숏 바디 스탠다드)
4,000(숏 바디 XL, 엑시드)
4,010(숏 바디 엑시드 선택 사양 적용 시)
4,525(롱 바디 스탠다드)
4,580(롱 바디 XL, 엑시드)
4,590(롱 바디 엑시드 선택 사양 적용 시)4,000(숏 바디)
4.010(숏 바디 선택 사양 적용 시)
4,580(롱 바디)
4,590(롱 바디 선택 사양 적용 시)4,010(숏 바디)
4,590(롱 바디)전폭
(mm)1,6801,680
1,700(선택 사양 적용 시)1,680
1,785(슈퍼 엑시드)1,785전고
(mm)1,850
1,930(9인승)1,850축거
(mm)2,350(숏 바디)
2,695(롱 바디)윤거
(전, mm)1,4001,400
1,435(슈퍼 엑시드)1,435윤거
(후, mm)1,3751,375
1,450(슈퍼 엑시드)1,450승차 정원5명(숏 바디)
6명(롱 바디)
9명(롱 바디)5명(숏 바디)
6명(롱 바디)변속기수동 5단/자동 4단수동 5단
자동 4단구동 형식4륜 구동4륜 구동엔진 형식D4BFD4BFD4BHG6AT연료디젤가솔린배기량
(cc)2,4762,972최고 출력
(ps/rpm)85/4,20085/4,20095/4,200161/5,000최대 토크
(kg*m/rpm)20.0/2,00020.0/2,00023.0/2,00024.5/2,500연비
(km/L)17.6(숏 바디 4WD 수동 5단)/
17.3(롱 바디 4WD 수동 5단)/
16.6(롱 바디 9인승 2WD 수동 5단)/
16.2(롱 바디 9인승 4WD 수동 5단)17.7(숏 바디 4WD 수동 5단)/
17.4(롱 바디 4WD 수동 5단)/
17.6(숏 바디 4WD 수동 5단)/
17.3(롱 바디 4WD 수동 5단)/
16.3(롱 바디 9인승 4WD 수동 5단)/
14.3(롱 바디 9인승 4WD 자동 4단)17.8(숏 바디 4WD 엑시드 수동 5단)/
17.7(숏 바디 4WD 슈퍼 엑시드 수동 5단)/
17.5(롱 바디 4WD 엑시드 수동 5단)/
17.4(롱 바디 4WD 슈퍼 엑시드 수동 5단)


2. 2. 2세대 (1997년 3월 ~ 2004년 1월)

1997년 3월, 기존 갤로퍼의 상품성을 개선한 갤로퍼 II가 출시되었다.[3] 갤로퍼 II는 해외로 수출되기도 했는데, 독일 등 일부 지역에서는 현대자동차 브랜드가 아닌 '갤로퍼'라는 독자 브랜드로 미쓰비시 자동차의 딜러망을 통해 판매되었다. 이 경우 을 형상화한 전용 엠블럼이 부착되었다. 갤로퍼 II는 2004년 1월에 단종되었다.[2]

2. 2. 1. 갤로퍼 II (1997년 3월 ~ 2004년 1월)

1997년 3월 6일에 기존 갤로퍼의 디자인을 개선하고 상품성을 높인 갤로퍼 II가 출시되었다.[3] 헤드램프는 복합 교체형 전구 방식으로 변경되었고, 펜더 디자인에 곡선을 가미하여 외관을 다듬었다. 이는 당시 판매되던 2세대 미쓰비시 파제로와 유사한 모습으로 보이게 했다.[3] 또한 많은 모델에 추가적인 측면 클래딩(덧댐 장식)을 적용하여 차량의 강인한 이미지를 강조했다. 기계적인 부분은 이전 세대와 큰 차이가 없었다.

갤로퍼 II


엔진 라인업에는 V형 6기통 3.0L SOHC LPG 엔진이 추가되어, 당시 흔치 않았던 사륜구동 LPG SUV 모델이 등장했다. 이 LPG 엔진을 탑재한 5도어 밴 모델도 판매되었다.

1998년 9월 14일에는 숏바디 모델인 갤로퍼 S의 디자인을 더욱 스포티하게 개선한 갤로퍼 II 이노베이션이 출시되었다. 이 모델은 당시 일본의 미쓰비시 파제로 에볼루션을 의식한 듯, 대형 리어 스포일러, 넓은 펜더, 블랙아웃 헤드라이트 등을 적용하여 차별화를 시도했다. 하지만 외관 변화와 달리 엔진 성능 등 기계적인 부분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갤로퍼 II 이노베이션은 5인승 왜건과 2인승 밴 모델로 나왔으며, 인터쿨러 터보 디젤 엔진 외에 일반 터보 디젤 엔진도 선택할 수 있었다.

2000년, 현대정공의 자동차 사업 부문이 현대자동차로 이관되면서 갤로퍼 II는 현대자동차 브랜드로 판매되기 시작했다.[4] 같은 해 5월 22일에 출시된 2001년형 모델부터는 현대자동차의 엠블럼이 부착되었고, 판매량이 저조했던 V형 6기통 3.0L SOHC 가솔린 엔진 모델은 단종되었다.

2001년 2월, 당초 갤로퍼 II의 후속 모델로 개발되었던 테라칸이 출시되었다. 하지만 시장 전략 변경으로 테라칸은 갤로퍼 II보다 상위 차종으로 포지셔닝되었고, 이에 따라 갤로퍼 II는 단종되지 않고 테라칸과 함께 병행 생산되었다.

2004년 1월, 강화된 안전성 기준과 자동차 배출 가스 규제를 충족하기 어려워지면서 결국 단종되었다. 사실상 후속 모델인 테라칸으로 통합되는 형태로 생산 라인이 정리되었다.[2]

3. 디자인

갤로퍼 II(왼쪽)와 1세대 미쓰비시 파제로(오른쪽); 두 차량은 기계적으로 거의 동일하다.


갤로퍼는 미쓰비시 파제로(Mitsubishi Pajero) 1세대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디자인이 거의 동일하다. 한국 시장의 특성을 반영하여 일부 사양이 변경되었는데, 상위 등급인 엑시드 트림에는 강철 브러시 가드 및 범퍼 가드, 사이드 스텝, 그리고 당시 한국 소비자들에게 선호도가 높았던 "서구식" 도어 장착형 사이드 미러가 적용되었다.[13]

기본적으로 5인승으로 설계되었으나, 3열 시트를 추가하여 최대 7인까지 탑승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했다.[13] 차체 형태는 짧은 휠베이스의 3도어 모델(갤로퍼 4WD, 갤로퍼 이노베이션 4WD)과 긴 휠베이스의 5도어 모델(갤로퍼 I/II 엑시드) 두 가지로 출시되었다.[12]

4. 성능 및 기술

갤로퍼는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제공하여 소비자의 선택 폭을 넓혔다. 초기 모델에는 2.5L 자연흡기 디젤 엔진(D4BA, 최고 출력 73hp, 최대 토크 14.9kgm)이 탑재되었고, 이후 성능을 개선한 2.5L 터보 디젤 엔진(D4BF, 81hp)과 인터쿨러를 추가한 2.5L 터보 인터쿨러 디젤 엔진(D4BH, 101hp)이 추가되었다.[3][13] 또한, V형 6기통 3.0L 가솔린 엔진(G6AT, 161hp)과 V형 6기통 3.0L LPG 엔진(L6AT, 135hp) 모델도 출시되어 다양한 수요에 대응했다.[4]

변속기는 5단 수동변속기가 기본으로 적용되었으며, 1992년 11월 2.5L 터보 디젤 엔진 모델부터 대한민국산 SUV 최초로 4단 자동변속기를 선택 사양으로 제공하기 시작했다.[3] 이후 V6 3.0L 가솔린 엔진 모델에도 4단 자동변속기가 추가되었다.

구동 방식은 기본적으로 4륜 구동 시스템을 채택하여 비포장도로나 험로에서의 주행 성능을 확보했다.

서스펜션은 앞바퀴에 더블 위시본 방식과 토션 바 스프링을 사용했고, 뒷바퀴에는 라이브 액슬 방식과 비대칭 리프 스프링을 적용하여 비교적 단순하면서도 튼튼한 구조를 갖췄다. 이는 당시 SUV의 특성인 내구성과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하기 위한 설계였다.[13]

브레이크 시스템은 앞바퀴에 통풍식 디스크 브레이크를, 뒷바퀴에는 드럼 브레이크를 적용했다. 특히, 차량에 실린 짐의 무게에 따라 뒷바퀴의 제동력을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하중 감지 비례 밸브(Load Sensing Proportioning Valve, LSPV)를 장착하여, 가벼운 하중 상태에서도 뒷바퀴가 잠기는 현상을 방지하고 제동 안정성을 높였다.[13]

5. 갤로퍼 대장정 및 사회 공헌

갤로퍼의 성능과 내구성을 알리기 위한 마케팅 활동의 일환으로 "해를 따라 서쪽으로"라는 슬로건을 내건 광고 캠페인이 진행되었다.[4][5] 이 캠페인에서는 3대의 갤로퍼가 1992년 3월 28일부터 1993년 1월 9일까지 총 73000km를 주행했다. 여정은 인도 뭄바이에서 시작하여 35개국을 거쳐 포르투갈의 호카곶까지 이어졌다. 현대자동차는 이 경로를 "마르코 폴로의 여행"(동방견문록) 경로라고 불렀다.[4][5] 이 여정을 상세히 기록한 책이 2000년에 출판되기도 했다.[6]

6. 평가 및 영향

갤로퍼는 출시 이후 대한민국 SUV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며 현대자동차가 'SUV 명가'로 자리매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91년 9월 출시된 갤로퍼는 1년 안에 한국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SUV가 되었다.[4] 1992년 한 해 동안 24,000대가 판매되어 국내 SUV 시장의 52%를 점유했으며, 기존의 강자였던 쌍용 코란도를 제쳤다.[3] 이러한 성공에 대응하여 경쟁사인 쌍용은 1993년 메르세데스-벤츠의 엔진을 탑재한 쌍용 무쏘를 출시하며 대응했다.[3]

갤로퍼의 성공은 미쓰비시 파제로 1세대 모델의 생산 라인을 도입하여 한국 시장에 맞게 성공적으로 현지화한 결과였다.[7][2][3] 이를 통해 현대자동차는 4륜 구동 SUV 개발 및 생산 기술과 경험을 축적할 수 있었으며, 이는 이후 현대 테라칸, 싼타페, 투싼 등 후속 SUV 모델들의 성공적인 개발로 이어지는 밑거름이 되었다.

시간이 흘러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단종된 갤로퍼, 특히 각진 디자인의 초기 모델에 대한 향수가 커지면서 중고차 시장에서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다.[8] 일부 소비자들은 과거 구매 가격의 20분의 1 수준이었던 차량을 복원(리스토어)하는 데 3000만 이상을 투자하기도 한다.[8] 이러한 흐름 속에서 모헤닉게라지스와 같은 업체는 오래된 갤로퍼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복원 및 개조하는 레스트모드 사업을 진행하기도 했다. '모헤닉 G'라는 이름으로 재탄생한 갤로퍼는 제작에 최대 12개월이 소요되며, 비용은 최대 8500만 (8만달러)에 달했다.[9][10] 이 회사 창업자 김태성은 캠핑을 즐기던 중 최신 차량에 만족하지 못하고 "나를 자유롭게 해줄 수 있는 차"를 찾다가 대학 시절 좋아했던 갤로퍼를 떠올리고 사업을 시작했다고 밝혔다.[9][10] 그러나 갤로퍼는 오래된 엔진으로 인해 강화된 배출가스 규제를 충족하지 못하여, 2021년부터는 서울특별시 도심 등 일부 지역에서의 운행이 제한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11]

출시 초기인 1991년 10월 자동차 전문지 ''카테크''는 갤로퍼에 대해 당시 국내 다른 SUV 모델들과 비교하여 여러 개선점을 지적하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다만, 기어 변속 레버의 길이가 짧은 점, 운전석과 문 사이의 공간이 좁은 점, 3열 좌석으로의 접근이 불편한 점 등은 단점으로 지적되었다.[13]

7. 미디어

대한민국 그룹 술탄 오브 더 디스코는 2018년에 발매된 정규 2집 앨범 ''Aliens''에 "Galloper"라는 곡을 수록했다.[15] 이 곡의 뮤직 비디오에는 갤로퍼의 과거 광고 영상과 "마르코 폴로" 탐험 영상 클립이 사용되었다.[16]

참조

[1] 웹사이트 Pajero http://members.chell[...] 2011-08-07
[2] 웹사이트 The Hyundai Galloper ''Shinhwa'', Myth and Legend https://bridgingcult[...] 2014
[3] 웹사이트 "[특별했던차]현대자동차 갤로퍼" https://www.motoya.c[...] 2021-12-23
[4] 웹사이트 e-History Museum Hall of Chronicles https://en.mobis.co.[...] Hyundai Mobis 2021-12-23
[5] 웹사이트 92年 현대 "가자! 해를 따라 서쪽으로 ㅡ " 갤로퍼 대장정 - 블로그 https://blog.naver.c[...] 2021-12-23
[6] 서적 해 를 따라 서쪽 으로 대희 2000
[7] 뉴스 Pajero reappears as Galloper https://europe.auton[...] 2021-12-22
[8] 뉴스 "[Herald Interview] Rebuilt Galloper SUVs create demand for 'dream' cars" http://www.koreahera[...] 2021-12-23
[9] 뉴스 300만원 중고차 8500만원 들여 싹 바꿔 '나만의 갤로퍼' 부활 https://www.joongang[...] 2021-12-23
[10] 뉴스 Hyundai: How to turn a used car into an $80,000 luxury ride https://www.cnn.com/[...] 2021-12-23
[11] 뉴스 "[하이빔]아버지의 갤로퍼, 무조건 폐차라니" http://autotimes.han[...] 2021-12-23
[12] 문서 Hyundai Galloper service manual
[13] 간행물 디자인과 승차감이 뛰어난 4WD의 탄생, 현대 갤로퍼 http://www.cartech.c[...] 2021-12-23
[14] 웹사이트 현대 '갤로퍼' 이런 모습으로 부활하나? http://www.thedrive.[...] 2021-12-23
[15] 웹사이트 갤로퍼 https://www.genie.co[...] 2021-12-23
[16] Youtube "[M/V] Sultan of The Disco - Galloper"
[17] 웹사이트 Pajero http://members.chell[...]
[18] 웹사이트 두산백과 : 갤럽 https://terms.naver.[...]
[19] 뉴스 예민한 포유동물 `말' http://www.kwnews.co[...] 강원일보 2014-12-13
[20] 웹사이트 두산백과 : 갤럽 https://terms.naver.[...]
[21] 뉴스 예민한 포유동물 `말' http://www.kwnews.co[...] 강원일보 2014-1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