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갤로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 갤로퍼는 1991년 현대정공에서 미쓰비시 파제로를 기반으로 출시된 대한민국 SUV이다. 1990년대 초반 2.5L 디젤 터보 엔진을 시작으로 다양한 엔진과 숏바디, 밴 모델 등을 선보였으며, 1997년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갤로퍼 II가 출시되었다. 2000년 현대자동차 엠블럼을 부착하고 2004년 테라칸에 통합되는 형식으로 단종되었다. 갤로퍼는 대한민국 SUV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얻으며 현대자동차의 SUV 개발에 기여했으며, 갤로퍼 대장정, 고구려 대장정 등 사회 공헌 활동에도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1년 도입된 자동차 - 미쓰비시 랜서 에볼루션
미쓰비시 랜서 에볼루션은 미쓰비시 자동차가 1992년부터 2016년까지 생산한 고성능 스포츠 세단으로, 월드 랠리 챔피언십 참가를 위해 개발된 갤랑 VR-4의 엔진과 구동계를 랜서에 이식하여 탄생했으며, 강력한 터보 엔진과 뛰어난 사륜구동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 1991년 도입된 자동차 - 대우 프린스
대우 프린스는 1991년부터 1999년까지 대우자동차에서 생산된 후륜구동 방식의 중형차로, 로얄 시리즈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1990년대 대한민국 자동차 시장에서 인기를 얻었다. - 준대형 승용차 - 지프 그랜드 체로키
지프 그랜드 체로키는 크라이슬러에서 생산하는 중형 럭셔리 SUV로, 모노코크 바디 구조와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특징으로 하며, 오프로드 성능과 고급 편의 사양을 갖춘 다양한 트림을 제공하고 현대 팰리세이드, 기아 텔루라이드 등과 경쟁하며 연료 탱크 및 변속기 관련 문제로 리콜을 실시한 바 있다. - 준대형 승용차 - 현대 그랜저
현대 그랜저는 1986년 출시된 현대자동차의 고급 승용차 브랜드이며, 7세대에 걸쳐 진화하며 대한민국 자동차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현대자동차의 차종 -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가 2021년에 출시한 전기차로, 3m에 달하는 휠베이스를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E-GMP 플랫폼을 기반으로 800V 고속 충전 시스템을 지원하며 V2L 기능을 통해 최대 3.6kW의 전력을 공급한다. - 현대자동차의 차종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현대 갤로퍼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현대 갤로퍼 |
영문 표기 | Hyundai Galloper |
제조사 | 현대자동차 미쓰비시 자동차 |
기타 명칭 | 갤로퍼 익시드 갤로퍼 사파리 아시아 갤로퍼 (브라질) 갤로퍼 TCI (아이슬란드) 미쓰비시 파제로 화태 지티안 (중국) |
생산 기간 | 1991년 – 2004년 |
조립 공장 |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현대모비스) 중국: 베이징시 |
관련 차종 | 미쓰비시 파제로 |
차체 형태 | 3/5도어 SUV |
구동 방식 | 전륜 엔진, 사륜구동 |
후속 차종 | 현대 테라칸 |
디자인 | |
디자이너 | 알 수 없음 |
크기 및 무게 | |
휠베이스 | 2,350 mm (단축형) 2,695 mm (장축형) |
전장 | 3,945 mm (단축형) 4,545 mm (장축형, STD) 4,605 mm (장축형, XL) 4,615 mm (장축형, TCI & GSL) |
전폭 | 1,770 mm |
전고 | 1,859 mm |
차량 중량 | 알 수 없음 |
엔진 및 변속기 | |
엔진 | 3.0 L G6AT V6 (가솔린) 2.5 L D4BH I4 (디젤) |
변속기 | 4단 자동변속기 5단 수동변속기 |
2. 역사
정몽구 당시 현대정공 사장은 미쓰비시 파제로 1세대 모델을 기반으로 한 SUV 개발을 주도했다. 이는 세단 위주의 현대자동차와 차별화된 라인업을 구축하고, 현대 그룹 전체의 제품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이었다.[9] 현대정공은 1988년부터 자체 모델 개발을 시도했으나[3], Roush Enterprises와 협력한 X-100 ECS ROUSH 프로젝트는 성공하지 못했다.[2] 결국 미쓰비시 파제로를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기존 컨테이너 공장이었던 울산광역시 북구 염포동 2공장을 1989년까지 자동차 생산 라인으로 개조했다.[4]
1991년 미쓰비시에서 2세대 파제로를 출시하면서 1세대 생산 라인이 현대정공으로 이전되었고,[7] 같은 해 9월 25일 서울 하얏트 호텔에서 출시 행사를 열고 '갤로퍼' 판매를 시작했다.[2] 생산은 현대정공 울산 염포동 공장에서 담당했고, 엔진, 변속기 등 주요 부품은 현대자동차에서 공급받았으며, 판매 및 서비스는 현대자동차 서비스망을 통해 이루어졌다.[4][2]
갤로퍼는 출시 1년 만에 국내 SUV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모델이 되었으며,[4] 1992년 한 해 동안 약 24,000대를 판매하여 시장 점유율 52%를 기록, 기존 강자였던 쌍용 코란도를 넘어섰다. 이에 쌍용은 1993년 메르세데스-벤츠 엔진을 탑재한 쌍용 무쏘를 출시하며 경쟁에 나섰다.[3] 현대정공은 1992년 2월 5,000번째 갤로퍼 생산을 기념했으며,[4] 같은 해 3월부터 1993년 1월까지 '해를 따라 서쪽으로'라는 슬로건 아래 대규모 마케팅 캠페인을 진행했다. 3대의 갤로퍼 차량이 인도 뭄바이에서 출발해 유라시아 대륙 35개국, 총 73000km를 주행하여 포르투갈의 호카곶에 도달하는 여정으로, 현대는 이를 '마르코 폴로의 여행'(동방견문록) 경로라 홍보하며 차량의 내구성을 알렸다.[4][5] 이 여정은 2000년에 책으로 출간되기도 했다.[6]
1994년부터는 중국을 시작으로 아시아 다른 국가에 갤로퍼를 수출하기 시작했으며,[4] 같은 해 12월 누적 생산 10만 대를 돌파했다.[4] 1997년부터는 좌측 운전 모델을 생산하여 유럽 시장에도 본격적으로 진출했다. 당시 연간 생산 능력은 6만 대 수준이었다.[7]
1999년까지 누적 생산량은 30만 대를 넘어섰다.[4] 같은 해 7월 31일, 현대정공의 자동차 생산 부문은 현대자동차로 이관되었고, 갤로퍼 생산 공장은 현대자동차 울산 5공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현대정공(현 현대모비스)은 자동차 부품 전문 기업으로 재편되었다.[4] 갤로퍼는 총 13년간 생산된 후, 후속 모델인 현대 테라칸의 등장과 환경 및 안전 규제 강화 등의 요인으로 2004년 1월 단종되었다.[2]
단종 이후 2010년대 초반부터 갤로퍼, 특히 초기 모델에 대한 향수와 관심이 높아지면서 중고차 가격이 상승하고 복원(리스토어) 수요가 늘어났다. 일부 마니아들은 신차 가격의 20분의 1 수준이었던 중고 갤로퍼를 구매하여 3000만원 이상을 들여 복원하기도 했다.[8] '모헤닉게라지스'와 같은 업체는 갤로퍼를 기반으로 한 레스토모드 차량 '모헤닉 G'를 제작했는데, 비용이 최대 8500만원(약 8만달러)에 달하고 제작 기간도 1년 가까이 소요되었다. 창업자 김태성은 캠핑을 위한 실용적인 차를 찾다가 갤로퍼의 매력을 재발견하고 사업을 시작했다고 밝혔다.[9][10] 그러나 갤로퍼는 오래된 배출가스 기준의 엔진을 사용하기 때문에, 2021년부터는 수도권 등 일부 지역에서 시행되는 노후 경유차 운행 제한 조치에 따라 도심 진입이 제한되고 있다.[11]
2. 1. 1세대 (M) (1991년 9월 ~ 1997년 3월)


현대정공(현 현대모비스)이 1988년부터 자체 개발을 추진했으나 최종적으로는 미쓰비시 파제로 1세대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하여 1991년 9월 25일에 출시한 후륜구동 기반 사륜구동 SUV이다.[2][3] 당시 현대정공 사장이었던 정몽구의 주도로, 세단 중심의 현대자동차와 차별화된 라인업을 구축하고 그룹 전체의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되었다.[9] 생산은 현대정공 울산 염포동 공장에서 이루어졌고, 판매는 현대자동차 서비스망을 통해 이루어졌다.[4][2]
출시 초기에는 2.5L 자연흡기 디젤 엔진을 얹은 롱바디 모델만 있었으며, 스탠다드(5인승)와 대한민국 최초로 3열 시트를 적용한 엑시드(6인승) 트림으로 구성되었다. 갤로퍼는 출시 직후부터 높은 인기를 얻으며 쌍용 코란도, 코란도 훼미리, 아시아 록스타 등 경쟁 차종을 압도하고 국내 SUV 시장의 판도를 바꾸었다. 출시 1년 만인 1992년에는 국내 SUV 시장 점유율 52%를 달성하기도 했다.[4][3]
이후 터보 디젤 엔진, V6 3.0L 가솔린 엔진, 숏바디 모델(갤로퍼 S), 9인승 모델, 자동변속기 등이 추가되며 라인업이 지속적으로 확장되었다.[3][4] 1994년 9월 22일에는 기존의 원형 헤드 램프를 사각형으로 변경하고 상품성을 개선한 '뉴 갤로퍼'가 출시되었다. 같은 해 12월에는 누적 생산 10만 대를 돌파했다.[4]
1세대 갤로퍼는 1997년 3월 6일에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갤로퍼 Ⅱ가 출시되면서 단종되었다.
2. 1. 1. 갤로퍼 (1991년 9월 ~ 1994년 9월)

현대정공은 1988년부터 SUV 자체 개발을 추진했으나, 당시 기술 및 시장 요구 수준에 부합하지 못하여 미쓰비시 파제로 1세대 모델 도입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이는 정몽구 당시 현대정공 사장의 주도로 이루어졌으며, 세단 중심의 현대자동차와 차별화된 SUV 라인업 확보를 통해 그룹 전체의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목적이었다.[9][2][3] 이를 위해 기존 컨테이너 공장이었던 울산 염포동 2공장을 자동차 생산 라인으로 전면 개조했다.[4]
1991년 9월 25일, 서울 하얏트 호텔에서 공식 출시 행사를 갖고 갤로퍼 판매를 시작했다.[2] 미쓰비시 파제로 1세대 생산 설비를 현대정공 울산 염포동 공장으로 이전하여 조립 생산했으며,[7][4] 엔진, 변속기 등 핵심 부품은 현대자동차에서 공급받고, 판매 및 사후 관리는 현대자동차 서비스망을 통해 이루어졌다.[2]
초기 모델은 롱바디 형태만 제공되었고, 2.5L 자연흡기 디젤 엔진(D4BA, 최고 출력 73마력)과 5단 수동변속기를 기본으로 장착했다.[3][13] 트림은 기본형인 스탠다드(5인승)와 고급형인 엑시드(6인승)로 구성되었는데, 특히 6인승 엑시드 모델은 대한민국 최초로 3열 시트를 적용한 SUV였다. 갤로퍼는 출시 직후부터 높은 인기를 얻으며 쌍용 코란도, 코란도 패밀리, 아시아 록스타 등 경쟁 차종을 압도했다. 출시 1년 만인 1992년에는 약 24,000대가 판매되어 국내 SUV 시장 점유율 52%를 기록하며 베스트셀링 모델로 자리 잡았다.[4][3]
라인업은 지속적으로 확장되었다.
- 1991년 12월: 성능을 개선한 2.5L 터보 디젤 엔진(D4BF, 최고 출력 85마력)과 V형 6기통 3.0L SOHC 가솔린 엔진(G6AT, 최고 출력 161마력) 모델이 추가되었다.[3][4]
- 1992년 3월: 전장이 짧은 숏바디 모델인 '''갤로퍼 S'''가 출시되었다.[4]
- 1992년 11월: 가솔린 엔진 모델에 대한민국 SUV 최초로 4단 자동변속기가 옵션으로 추가되었다.
- 1993년 5월: 지붕 뒷부분을 높여 실내 공간을 확보한 킥업 루프 형태의 9인승 모델이 추가되었다. 3열에 마주보는 벤치 시트를 적용하여 승합차로 분류되었다.
- 1993년 6월: 터보 디젤 엔진 모델에도 4단 자동변속기가 추가되었다.
- 1993년 12월: 터보 디젤 엔진에 인터쿨러를 장착하여 출력을 101마력으로 높인 2.5L 인터쿨러 터보 디젤 엔진(D4BH) 모델이 출시되었다.[3]
- 1994년 1월: 갤로퍼 S(숏바디)에 2인승 밴 모델이 추가되었다.
- 1994년 3월: 인터쿨러 터보 디젤 엔진 모델에도 4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초기 갤로퍼는 둥근 형태의 실드 빔 헤드램프가 외관상 특징이었다. 전륜에는 더블 위시본 방식과 토션 바 스프링, 후륜에는 리프 스프링과 라이브 액슬 방식을 채택했다. 제동 장치는 전륜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후륜 드럼 브레이크 방식이었으며, 적재량에 따라 제동력을 배분하는 하중 감지 비례 밸브(LSPV)를 적용하여 제동 안정성을 확보했다.[13]
1992년 3월부터 1993년 1월까지는 "해를 따라 서쪽으로"라는 슬로건 아래, 3대의 갤로퍼 차량이 인도 뭄바이에서 출발하여 유라시아 대륙 35개국, 총 73000km를 주행하여 포르투갈의 호카곶에 도달하는 대규모 마케팅 캠페인을 진행했다. 이는 차량의 내구성과 성능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4][5][6]
구분 | 제원 |
---|---|
전장 (mm) | 4,580 |
전폭 (mm) | 1,680 |
전고 (mm) | 1,850 |
축거 (mm) | 2,695 |
윤거 (전, mm) | 1,400 |
윤거 (후, mm) | 1,375 |
엔진 형식 | G6AT (V형 6기통 SOHC) |
연료 | 가솔린 |
배기량 (cc) | 2,972 |
최고 출력 (ps/rpm) | 161 / 5,000 |
최대 토크 (kg·m/rpm) | 24.5 / 2,500 |
변속기 | 수동 5단 / 자동 4단 |
구동 형식 | 4륜 구동 |
연비 (km/L) | 6.9 (수동 5단 기준) |
2. 1. 2. 뉴 갤로퍼 (1994년 9월 ~ 1997년 3월)
(mm)4,000(숏 바디 XL, 엑시드)
4,010(숏 바디 엑시드 선택 사양 적용 시)
4,525(롱 바디 스탠다드)
4,580(롱 바디 XL, 엑시드)
4,590(롱 바디 엑시드 선택 사양 적용 시)
4.010(숏 바디 선택 사양 적용 시)
4,580(롱 바디)
4,590(롱 바디 선택 사양 적용 시)
4,590(롱 바디)
(mm)
1,700(선택 사양 적용 시)
1,785(슈퍼 엑시드)
(mm)
1,930(9인승)
(mm)
2,695(롱 바디)
(전, mm)
1,435(슈퍼 엑시드)
(후, mm)
1,450(슈퍼 엑시드)
6명(롱 바디)
9명(롱 바디)
6명(롱 바디)
자동 4단
(cc)
(ps/rpm)
(kg*m/rpm)
(km/L)
17.3(롱 바디 4WD 수동 5단)/
16.6(롱 바디 9인승 2WD 수동 5단)/
16.2(롱 바디 9인승 4WD 수동 5단)
17.4(롱 바디 4WD 수동 5단)/
17.6(숏 바디 4WD 수동 5단)/
17.3(롱 바디 4WD 수동 5단)/
16.3(롱 바디 9인승 4WD 수동 5단)/
14.3(롱 바디 9인승 4WD 자동 4단)
17.7(숏 바디 4WD 슈퍼 엑시드 수동 5단)/
17.5(롱 바디 4WD 엑시드 수동 5단)/
17.4(롱 바디 4WD 슈퍼 엑시드 수동 5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