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디에 쿠엘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디에 쿠엘로는 스위스 출신의 천체물리학자이다. 제네바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셸 마요르와 함께 최초의 외계 행성인 51 페가수스 b를 발견하여 "외계 행성 혁명"을 이끌었다. 이 공로를 인정받아 201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외계 행성 연구 분야에서 다양한 기여를 했으며, 새로운 천문 장비 개발과 관측 방법 개선에도 힘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천문학자 -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는 스위스 태생의 독일 과학자, 수학자, 철학자, 천문학자로, 원주율의 무리수성 증명, 쌍곡선 함수 삼각법 도입, 비유클리드 기하학 추측 제시 등 수학과 과학 분야는 물론 '현상학' 용어 사용과 칸트와의 서신 교환 등 철학 분야에도 기여했다. - 스위스의 천문학자 - 프리츠 츠비키
프리츠 츠비키는 초신성, 중성자별, 암흑 물질 등을 연구하고 은하 목록을 작성했으며, 형태학적 분석 기법을 개발하여 1972년 영국 왕립 천문학회 금메달을 수상한 스위스계 미국인 천문학자이다. - 스위스의 노벨상 수상자 - 레오폴트 루지치카
크로아티아 출신 스위스 과학자 레오폴트 루지치카는 테르펜, 스테로이드 연구, 이소프렌 규칙 제창, 호르몬 합성, 거대 고리 화합물 증명 등 유기화학에 기여하여 1939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 스위스의 노벨상 수상자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독일 태생의 이론물리학자로, 상대성이론을 개발하고 광전 효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질량-에너지 등가 공식으로도 유명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물리학자 중 한 명이다. - 제네바 대학교 동문 - 김정남 (김정일의 아들)
김정남은 김정일의 장남으로, 한때 후계자로 거론되었으나 위조 여권 사건 이후 후계 경쟁에서 멀어졌으며, 김정은의 권력 승계에 반대하다가 2017년 말레이시아에서 암살되었다. - 제네바 대학교 동문 - 시모어 페퍼트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 수학자이자 MIT 교수인 시모어 페퍼트는 구성주의를 발전시키고 로고(LOGO)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및 레고 마인드스톰 개발에 기여하는 등 교육 기술 분야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디디에 쿠엘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디디에 파트리크 쿠엘로 |
로마자 표기 | Didier Patrick Queloz |
출생일 | 1966년 2월 23일 |
출생지 | 스위스 |
국적 | 스위스 |
분야 | 천문학 |
직장 | 제네바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ETH 취리히 |
학력 | 제네바 대학교 (이학 석사, 고등 연구 석사, 철학 박사)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디지털 상호 상관 분광법 관련 연구; (INTER-TACOS: 사용자 가이드) |
박사 학위 논문 URL | 디지털 상호 상관 분광법 관련 연구; (INTER-TACOS: 사용자 가이드) |
박사 학위 취득 연도 | 1995년 |
박사 지도 교수 | 미셸 마요르 |
알려진 업적 | 태양과 유사한 항성 주위를 도는 태양계 외부 행성을 처음으로 발견한 인물 |
수상 | |
수상 내역 | 울프 물리학상 (2017년) 노벨 물리학상 (2019년) |
기타 수상 | 왕립학회 회원 |
주요 업적 | |
주요 업적 | 태양계 외부 행성 연구 |
주요 작품 | 태양형 항성에 대한 목성 질량의 동반자 |
기타 정보 | |
공식 웹사이트 | 디디에 쿠엘로 |
2. 생애 및 교육
디디에 쿠엘로는 1966년 2월 23일에 스위스에서 태어났다.[6][7]
디디에 켈로즈는 제네바 대학교에서 박사 과정을 수행하던 중, 지도 교수 미셸 마요르와 함께 주계열성을 공전하는 최초의 외계 행성인 51 페가수스 b를 발견하여 천체물리학계에 큰 영향을 주었다. 1995년 마요르와 함께 발표한 이 행성은 뜨거운 목성형 행성으로 확인되었다.[10][11]
1990년 제네바 대학교(제네바 대학교)에서 물리학 석사(MSc)(MSc) 학위를, 1992년에는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DEA(심화연구 졸업장)(DEA) 학위를 받았다. 1995년에는 스위스 천체물리학자 미셸 마요르(미셸 마요르) 교수의 지도하에 박사(PhD)(PhD) 학위를 받았다.[8]
종교에 대한 견해와 관련하여, 데일리 텔레그래프(데일리 텔레그래프)는 쿠엘로가 "스스로 신앙인은 아니지만, '과학은 종교로부터 많은 것을 물려받았다'"고 말했다고 보도하고 있다.[9]
3. 주요 연구 업적
이 발견은 외계 행성 연구 분야를 촉발시켰으며, 이후 켈로즈는 외계 행성계 검출 및 측정 능력 확장, 물리적 구조 정보 획득에 집중했다. 태양계와의 비교를 통해 외계 행성의 형성과 진화를 이해하고자 했으며, 새로운 천문 장비, 관측 방법, 검출 알고리즘 개발에 힘썼다.
켈로즈는 항성 활동이 행성 검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항성 시선 속도 측정을 최적화했다. 스위스 1.2미터 레오나르드 오일러 망원경에 CORALIE 분광기를 설치하여 남반구에서 외계 행성 검출을 시작했고, ESO 3.6m 망원경용 HARPS 분광기 개발에 참여하여 정밀 도플러 분광 분야 발전에 기여했다.
최초의 천이 행성 검출 이후, 켈로즈는 천이 현상을 이용한 연구에 집중하여 로시터-맥러플린 효과를 이용한 최초의 외계 행성 분광 천이 검출에 성공했다. 광시야 행성 탐색(WASP) 컨소시엄과의 협력을 통해 행성 궤도 정렬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했으며, 천이 행성의 기하학적 구조와 정밀 도플러 분광 관측을 결합하여 행성의 물리적 구조를 파악했다.
2003년 OGLE 천이 행성의 부피 밀도를 최초로 측정하고, 글리제 436 b를 발견했으며, 천이 모델링 잡음 해결을 위한 통계적 척도를 확립했다. 2007년 준교수가 된 후 WASP 컨소시엄과 코로(CoRoT) 우주 임무의 분광 후속 연구를 주도하여 코로트-7b 등 암석 행성과 유사한 부피 밀도를 가진 행성을 발견했다.
케플러 우주 망원경 시대에 HARPS-N 컨소시엄과 함께 케플러-10의 지구와 유사한 부피 밀도를 확인했으며, NGTS 천문대 설계 및 설치에 참여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로 이동 후 케임브리지 외계 행성 연구 센터를 설립하고, 케옵스(CHEOPS) 우주 임무 개발을 주도했다.
최근에는 저질량 별에서 천이하는 지구와 같은 행성과 보편적인 생명체를 찾는 연구를 진행하며, 트라피스트-1 행성계 발견, 55 Cancri e 연구, RNA 전구체 기원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다.
3. 1. 외계 행성 발견
1995년, 제네바 대학교에서 박사 과정을 밟고 있던 디디에 쿠엘로는 지도 교수 미셸 마요르와 함께 주계열성을 공전하는 최초의 외계 행성인 51 페가수스 b를 발견했다.[10][11] 이 행성은 뜨거운 목성형 행성으로 확인되었다.[10][11]
이 행성은 항성의 작은 주기적 시선 속도 변화를 측정하여 발견되었다. 오트프로방스 천문대에 설치된 엘로디(ELODIE)[12] 분광기와 정밀한 항성 시선 속도 측정에 대한 창의적인 접근 방식 덕분에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이러한 미세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업적을 인정받아 쿠엘로와 마요르는 "태양형 항성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 발견"에 대한 공로로 2019년 노벨 물리학상의 절반을 수상했다.[13] 이는 "우주의 진화와 지구의 우주에서의 위치에 대한 이해에 대한 공헌"으로 이어졌다.[14]
이후 쿠엘로는 외계 행성 탐지 및 측정 능력 향상에 주력하여 태양계와 비교하여 외계 행성계의 형성과 진화를 더 잘 이해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새로운 천문 장비 개발, 관측 방법 개선, 검출 알고리즘 개발 등에 참여하여 수백 개의 행성을 발견하는 데 기여했다.
3. 2. 외계 행성 연구 방법론 개발
1995년, 미셸 마요르와 함께 페가수스자리 51 별을 공전하는 거대 행성을 발표했다. 이 행성은 페가수스자리 51 b로 명명되었고, 뜨거운 목성형 행성으로 확인되었다.[10][11] 이 행성은 공전하는 행성에 의해 발생하는 항성의 작은 주기적 시선 속도 변화를 측정하여 발견되었다. 오트프로방스 천문대에 설치된 새로운 유형의 분광기인 엘로디(ELODIE)[12]와 정밀한 항성 시선 속도 측정에 대한 창의적인 접근 방식 덕분에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이러한 미세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었다.
디디에 켈로즈는 경력 동안 새로운 천문 장비, 새로운 관측 방법 및 검출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그는 수백 개의 행성을 발견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수행했으며, 그중에는 획기적인 결과도 포함되어 있다.
초기 경력에서 그는 항성 활동이 행성 검출에 대한 잠재적인 제한 요소임을 확인했다. 그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프록시를 사용하여 항성 활동과 행성 신호를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고 논문을 발표했으며, 이 알고리즘은 정밀 도플러 분광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모든 행성 발표에서 표준 관행이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그는 오늘날까지도 사용되고 있는 항성 시선 속도 측정을 최적화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최초의 천이 행성(transiting planet) (1999년) 검출 발표 후, 디디에 켈로즈의 연구 관심사는 천이 행성이 제공하는 기능과 후속 도플러 분광 측정을 결합하는 목표를 가지고 더욱 넓어졌다. 2000년 그는 소위 로시터-맥러플린 효과를 사용하여 외계 행성의 최초 분광 천이 검출에 성공했다. 이 유형의 측정은 본질적으로 항성 각운동량 벡터와 행성 궤도 각운동량 벡터 사이의 투영 각도에 대해 알려준다.
천이 행성의 특수한 기하학적 구조와 정밀한 도플러 분광 관측을 결합하면 행성의 질량과 반지름을 측정하고 부피 밀도를 계산하여 그들의 물리적 구조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3. 3. 추가적인 외계 행성 발견 및 특성 연구
디디에 켈로즈는 1995년 미셸 마요르와 함께 51 페가수스 b를 발견했는데, 이는 51 페가수스 별을 공전하는 거대 행성이었다. 이 행성은 뜨거운 목성형 행성으로 확인되었으며, 항성의 작은 주기적 시선 속도 변화를 측정하여 발견되었다. 오트프로방스 천문대(Haute-Provence Observatory)에 설치된 엘로디(ELODIE) 분광기[12]와 정밀한 항성 시선 속도 측정에 대한 창의적인 접근 방식 덕분에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이러한 미세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었다.
이 획기적인 발견 이후, 켈로즈는 외계 행성 시스템의 검출 및 측정 능력을 확장하여 그들의 물리적 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는 데 집중했다. 그는 태양계와 비교하여 외계 행성의 형성과 진화를 더 잘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그는 새로운 천문 장비, 관측 방법 및 검출 알고리즘을 개발했으며, 수백 개의 행성을 발견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켈로즈는 항성 활동이 행성 검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항성 활동과 행성 신호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이 연구는 항성 시선 속도 측정을 최적화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켈로즈는 스위스 1.2미터 레오나르드 오일러 망원경(Swiss 1.2-metre Leonhard Euler Telescope)에 CORALIE 분광기를 설치하여 남반구에서 외계 행성 검출을 시작했다. 2000년에는 ESO 3.6m 망원경을 위한 HARPS 분광기 개발에 참여했으며, 이 장비는 정밀 도플러 분광 분야의 기준이 되었다. HARPS의 성능과 새로운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은 도플러 기술의 정밀도를 향상시켜 더 작은 외계 행성과 초지구 시스템을 발견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최초의 천이 행성 검출 이후, 켈로즈는 천이 현상을 이용한 연구에 집중했다. 2000년에는 로시터-맥러플린 효과(Rossiter-McLaughlin effect)를 사용하여 외계 행성의 최초 분광 천이 검출에 성공했다. 이 측정은 항성과 행성 궤도의 각운동량 벡터 사이의 각도를 알려준다. 이후 CORALIE의 업그레이드와
천이 행성의 기하학적 구조와 정밀 도플러 분광 관측을 결합하여 행성의 질량과 반지름을 측정하고 부피 밀도를 계산하여 물리적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2003년 켈로즈는 OGLE 천이 행성의 부피 밀도를 최초로 측정하고, 글리제 436 b(Gliese 436 b)를 발견했다. 또한, 천이 모델링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해결하기 위한 통계적 척도를 확립했다.
2007년 준교수가 된 켈로즈는 WASP 컨소시엄과 코로(CoRoT) 우주 임무의 분광 후속 연구 노력을 주도했다.[16] 오일러캠(EulerCam), CORALIE, HARPS 분광기 등을 사용한 후속 관측과 WASP 및 코로 데이터의 결합은 뜨거운 목성형 행성의 형성과 본질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했다. 또한, 코로트-7b(COROT-7b)의 검출과 집중적인 후속 캠페인을 통해 암석 행성과 유사한 부피 밀도를 가진 최초의 행성이 발견되었다.
케플러 우주 망원경(Kepler space telescope) 시대에 켈로즈는 HARPS-N 컨소시엄과 함께 케플러-10(Kepler-10)의 지구와 유사한 부피 밀도를 확인했다. 지상 기반 천이 프로그램에서 차세대 탐사 망원경인 NGTS 천문대의 설계 및 설치에 참여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University of Cambridge)로 이동한 켈로즈는 지구와 같은 행성과 우주에서의 생명체를 탐지하고 영국의 외계 행성 공동체를 발전시키는 연구 활동을 설립했다. 케임브리지 외계 행성 연구 센터(Cambridge Exoplanet Research Centre)[18]를 설립하고, 제네바에서 케옵스(CHEOPS)[19] 우주 임무 개발을 주도하며 과학팀 의장을 맡고 있다.[20]
최근에는 저질량 별에서 천이하는 지구와 같은 행성과 보편적인 생명체를 찾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트라피스트-1(TRAPPIST-1) 행성계를 발견하고, 55 Cancri e 연구를 통해 뜨겁고 작은 행성의 표면이나 대기를 특징짓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외계 행성에서 RNA 전구체의 기원에 대한 최소 조건을 정의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19년 10월, 켈로즈는 30년 안에 외계 생명체를 발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22] 2019년 12월에는 기후 변화(climate change) 문제 해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지구를 벗어나는 것은 현실적인 대안이 아니라고 주장했다.[23]
3. 4. 지구형 외계 행성 탐색
1995년 미셸 마요르와 함께 51 페가수스 별을 공전하는 거대 행성인 51 페가수스 b를 발표했으며, 이 행성은 뜨거운 목성형 행성으로 확인되었다.[10][11] 이 행성은 공전하는 행성에 의해 발생하는 항성의 작은 주기적 시선 속도 변화를 측정하여 발견되었다. 오트프로방스 천문대에 설치된 새로운 유형의 분광기인 엘로디(ELODIE)[12]와 정밀한 항성 시선 속도 측정에 대한 창의적인 접근 방식 덕분에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이러한 미세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었다.
이 업적으로 그들은 "태양형 항성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 발견"에 대한 공로로 2019년 노벨 물리학상의 절반을 수상했다.[13] 이는 "우주의 진화와 지구의 우주에서의 위치에 대한 이해에 대한 공헌"으로 이어졌다.[14]
이 획기적인 발견은 천문학에 혁명을 일으켰고 외계 행성 연구 분야를 촉발했다. 이후 디디에 켈로즈는 자신의 경력 동안 새로운 천문 장비, 새로운 관측 방법 및 검출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그는 수백 개의 행성을 발견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수행했으며, 그중에는 획기적인 결과도 포함되어 있다.
초기 경력에서 그는 항성 활동이 행성 검출에 대한 잠재적인 제한 요소임을 확인했다. 그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프록시를 사용하여 항성 활동과 행성 신호를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고 논문을 발표했으며, 이 알고리즘은 정밀 도플러 분광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모든 행성 발표에서 표준 관행이 되었다.
켈로즈는 태양계 외부 행성을 최초로 관측하는 데 기여한 새로운 천문 기기 및 실험 기술 개발로 2011년 BBVA 재단 지식의 경계상 기초 과학상을 미셸 마요르와 공동 수상했다.[15]
엘로디 행성 탐사가 시작된 직후, 그는 스위스 1.2미터 레오나르드 오일러 망원경에 개선된 버전(CORALIE)을 설치했다. 2000년 그는 ESO 3.6m 망원경을 위한 새로운 유형의 분광기인 HARPS의 개발에서 프로젝트 과학자로서 책임을 맡았다. HARPS의 성능과 엘로디와 CORALIE를 통해 얻은 과거의 모든 경험에서 이어받은 새로운 분석 소프트웨어의 개발은 도플러 기술의 정밀도를 상당히 향상시켰다.
최초의 천이 행성 검출 발표 후, 디디에 켈로즈의 연구 관심사는 천이 행성이 제공하는 기능과 후속 도플러 분광 측정을 결합하는 목표를 가지고 더욱 넓어졌다. 2000년 그는 소위 로시터-맥러플린 효과를 사용하여 외계 행성의 최초 분광 천이 검출에 성공했다. 2017년 그는 이 연구와 그가 수행한 모든 행성 발견으로 2017년 울프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천이 행성의 특수한 기하학적 구조와 정밀한 도플러 분광 관측을 결합하면 행성의 질량과 반지름을 측정하고 부피 밀도를 계산하여 그들의 물리적 구조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2003년 디디에 켈로즈는 그의 연구팀과 함께 이러한 기술의 결합을 개척하고 OGLE 천이 행성의 부피 밀도를 최초로 측정했다. 또한 알려진 시선 속도 행성에서 천이 기회를 찾았고 최초의 천이 해왕성 크기 행성인 글리제 436 b를 발견했다.
2007년 디디에 켈로즈는 준교수가 되었다. 그는 WASP 컨소시엄과 코로(CoRoT) 우주 임무의 분광 후속 연구 노력을 주도했다.[16] 같은 기간에 코로트-7b의 검출과 집중적인 후속 캠페인을 통해 암석 행성과 유사한 부피 밀도를 가진 최초의 행성이 발견되었다.
그가 개발한 모든 후속 전문 지식은 케플러 우주 망원경 시대에 HARPS-N 컨소시엄과 함께 케플러-10의 지구와 유사한 부피 밀도를 확인하면서 자연스럽게 확장되었다. 지상 기반 천이 프로그램에서 디디에 켈로즈는 차세대 탐사 망원경인 NGTS 천문대의 설계 및 설치에 깊이 관여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로 이동했을 때, 그는 본질적으로 지구와 같은 행성과 우주에서의 생명체를 탐지하고 영국의 외계 행성 공동체를 더욱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포괄적인 연구 활동을 설립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그의 가장 최근 연구 결과는 저질량 별에서 천이하는 지구와 같은 행성과 보편적인 생명체를 찾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 프로그램은 대기와 생명체의 흔적을 더 찾는 데 잠재적으로 흥미로운 행성계인 트라피스트-1의 발견으로 이어졌다. 또 다른 성공적인 연구 분야는 55 Cancri e에 대한 연구를 통해 뜨겁고 작은 행성의 암석 표면이나 대기를 특징짓는 것이다.
4. 수상 경력
연도 | 수상 내역 |
---|---|
2011년 | BBVA재단 지식의 미래상 기초과학 분야 (미셸 마요르와 공동 수상) |
2013년 | 클래리베이트 분석 인용 수상자 |
2017년 | 볼프 물리학상 (미셸 마요르와 공동 수상) |
2019년 | 노벨 물리학상 (미셸 마요르, 제임스 피블스와 공동 수상) |
2020년 | 영국 왕립 학회 회원[25] |
그의 이름을 딴 것 | |
소행성 177415 켈로 |
5. 기타
- 2020년 왕립학회 회원
참조
[1]
웹사이트
Cavendish Astrophysics: Professor Didier Queloz
https://www.astro.ph[...]
2020-02-03
[2]
웹사이트
Cambridge Press Release: Professor Didier Queloz wins 2019 Nobel Prize in Physics for first discovery of an exoplanet
https://www.cam.ac.u[...]
2020-02-03
[3]
논문
A Jupiter-mass companion to a solar-type star
1995-11-00
[4]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19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AB
2019-10-08
[5]
웹사이트
Nobel winner Queloz to head new research centre in Zurich
https://www.swissinf[...]
2021-05-21
[6]
웹사이트
Didier Queloz
http://nccr-planets.[...]
National Centre of Competence in Research
2019-10-09
[7]
웹사이트
James Peebles, Michel Mayor and Didier Queloz share Nobel Prize for Physics
https://physicsworld[...]
2019-10-09
[8]
웹사이트
Curriculum Vitae Didier Queloz
http://obswww.unige.[...]
[9]
뉴스
Cambridge University planet hunter says mankind could find alien life in 30 years as he wins Nobel prize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9-10-29
[10]
논문
A Jupiter-mass companion to a solar-type star
[11]
뉴스
Finder of New Worlds
https://www.nytimes.[...]
2014-05-13
[12]
논문
ELODIE: A spectrograph for accurate radial velocity measurements
https://aas.aanda.or[...]
2019-10-09
[13]
뉴스
Nobel Prize in Physics Awarded for Studies of Earth's Place in the Universe
https://www.nytimes.[...]
2019-10-08
[14]
논문
Lessons from scorching hot weirdo-planets
https://knowablemaga[...]
Annual Reviews
2022-04-04
[15]
웹사이트
The BBVA Foundation presents its Frontiers of Knowledge Awards at a ceremony enthroning science and culture as motors of development
https://www.frontier[...]
BBVA Foundation
2019-10-09
[16]
웹사이트
COROT CNES webpage
https://corot.cnes.f[...]
[17]
웹사이트
PlanetS webpage
http://nccr-planets.[...]
[18]
웹사이트
Cambridge Exoplanet Center
http://exoplanets.ph[...]
[19]
웹사이트
CHEOPS webpage
https://cheops.unibe[...]
[20]
웹사이트
Who is Who in CHEOPS - CHEOPS - Cosmos
https://www.cosmos.e[...]
2019-11-15
[21]
웹사이트
Congratulations To MKI Visiting Scientist Didier Queloz For Being Awarded The 2019 Nobel Prize In Physics!
https://space.mit.ed[...]
MIT
2019-10-31
[22]
뉴스
Cambridge University planet hunter says mankind could find alien life in 30 years as he wins Nobel prize
https://www.telegrap[...]
2019-10-10
[23]
뉴스
Nobel laureate: Face up to climate change, no escaping Earth
https://apnews.com/2[...]
2019-12-08
[24]
웹사이트
Didier Queloz
https://scholar.goog[...]
[25]
웹사이트
Didier Queloz
https://royalsociety[...]
Royal Society
2020-09-20
[26]
웹사이트
系外惑星追う「変わり者」の学生、ノーベル物理学賞科学者に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9-12-08
[27]
웹사이트
2019年のノーベル物理学賞、欧米の研究者ら3氏に 宇宙論の業績で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20-07-30
[28]
뉴스
2019年ノーベル物理学賞を宇宙物理学の3氏が受賞
https://www.nao.ac.j[...]
国立天文台(NAOJ)
2020-02-27
[29]
일반
[30]
웹인용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19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AB
2019-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