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플러-10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플러-10은 케플러 우주 망원경이 발견한 10번째 행성계로, 태양과 비슷한 G형 주계열성이다. 케플러-10은 지구로부터 약 564 광년 떨어져 있으며, 2009년부터 2010년까지의 관측을 통해 최초의 암석형 외계 행성인 케플러-10b가 발견되었다. 이후 2011년에는 케플러-10c가, 2023년에는 케플러-10d가 발견되었다. 케플러-10b는 태양계 밖에서 확인된 최초의 암석형 외계 행성이며, 케플러-10c는 초기에는 거대 암석 행성으로 추정되었으나, 이후 휘발성 물질로 구성된 행성으로 밝혀졌다. 케플러-10d는 세 번째로 발견된 행성으로, 도플러 분광법 관측을 통해 존재가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플러-10 - 케플러-10c
케플러-10c는 케플러-10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2011년 케플러 우주망원경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암석 행성으로 추정되었으나 휘발성 물질, 특히 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모항성으로부터 0.2407 AU 거리에서 45.29485일마다 공전하며, 스피처 우주 망원경으로 관측된 최초의 케플러 대상이다. - 케플러-10 - 케플러-10b
케플러-10b는 케플러-10을 공전하는 지구의 1.47배 지름과 3.58배 질량의 암석형 외계 행성으로, 짧은 공전 주기와 높은 표면 온도를 가지며, 최초로 발견된 지구형 외계 행성 중 하나로서 행성 조성 및 구조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용자리 - 스트루베 2398
스트루베 2398은 HD 173739(스트루베 2398 A, 글리제 725 A)와 HD 173740(스트루베 2398 B, 글리제 725 B)로 이루어진 이중성계입니다. - 용자리 - 엘타닌
엘타닌은 용자리에 있는 분광형 K5 III의 거성으로, 태양보다 질량과 반지름이 크며 다른 별을 분류하는 기준점으로 사용되어 왔고, 광행차 현상 발견과 자코비니 유성군 복사점 위치와 관련이 있으며, 아랍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미국 해군 함선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 행성 통과 변광성 - 게자리 55
게자리 55는 태양과 유사한 G형 주계열성 게자리 55 A와 적색 왜성 게자리 55 B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게자리 55 A는 중원소 함량이 높고 최소 5개의 외계 행성을 거느리고 있으며, 가장 안쪽 행성인 게자리 55 e는 슈퍼 지구로 분류된다. - 행성 통과 변광성 - HD 209458
HD 209458은 태양과 유사한 F형 주계열성으로, 최초로 통과 현상이 관측된 외계 행성인 오시리스(HD 209458 b)를 거느리고 있어 행성의 크기와 대기 성분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케플러-10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케플러-10 |
다른 이름 | KOI 72 KIC 11904151 GSC 03549-00354 2MASS J19024305+5014286 |
별자리 | 용자리 |
거리 | 564 광년 (173 파섹) |
특징 | |
분광형 | G2V |
겉보기 등급 | 11.157 |
질량 | 0.910 ± 0.021 태양질량 |
반지름 | 1.065 ± 0.009 태양반경 |
표면 온도 | 5708 ± 28 K |
나이 | 37 - 억년 |
시선 속도 | km/s |
적경 고유 운동 | 밀리초/년 |
적위 고유 운동 | 밀리초/년 |
연주시차 | 5.3698 밀리초 |
궤도 특성 | |
행성 수 | 3 |
2. 명명법과 관측 역사
이 별은 케플러 우주 망원경이 관측한 10번째 행성계라는 의미에서 케플러-10 명칭이 붙었다.(케플러 탐사는 외계행성이 항성 앞을 통과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지구 비슷한 행성을 찾아내려는 목적으로 NASA가 설계하였다.) 행성이 항성 앞을 지나가면서 별빛을 약간 가리며 이러한 광도감소 효과를 케플러 탐사선이 기록한다.[21] 2009년 5월~2010년 1월까지 약 8개월의 누적 기록을 통해 케플러 팀은 케플러-10b를 케플러 인공위성이 발견한 최초의 암석형 외계행성으로 등록했다. 따라서 케플러-10은 궤도상에 작은 암석행성을 거느린 최초의 케플러 연구대상 항성이 된 셈이다. 발견사상 의의 때문에 하와이 소재 W. M. 켁 천문대가 케플러의 발견 자료를 우선적으로 검증했으며 b의 존재는 성공적으로 입증되었다.[19] 케플러-10b 이전에도 암석 행성으로 '추정'되는 외계행성은 많이 발견된바 있다. 그러나 ''''확정적으로''' 암석임이 입증된 천체는 케플러-10b가 최초이다.[22]
b의 발견 사실은 2011년 시애틀에서 열린 미국 천문학회(AAS) 동계미팅에서 공표되었다.[22] 같은해 5월 23일 두 번째 행성 케플러-10c 발견 사실이 보스턴에서 열린 218차 AAS 미팅에서 발표되었다.
2. 1. 케플러-10b 발견
케플러 우주 망원경은 항성 앞을 통과하는 외계 행성을 탐색하기 위해 NASA가 설계한 망원경으로, 행성이 항성 앞을 지나갈 때 별빛이 약간 가려지는 광도 감소 효과를 기록한다.[21] 2009년 5월부터 2010년 1월까지 약 8개월 동안의 관측 기록을 통해 케플러 팀은 케플러-10b를 케플러 위성이 발견한 최초의 암석형 외계 행성으로 등록했다.[19] 케플러-10은 궤도상에 작은 암석 행성을 거느린 최초의 케플러 연구 대상 항성이 되었으며, W. M. 켁 천문대가 케플러의 발견 자료를 우선적으로 검증하여 케플러-10b의 존재를 입증했다.[19] 케플러-10b 이전에도 암석 행성으로 추정되는 외계 행성은 많이 발견되었지만, 확정적으로 암석임이 입증된 천체는 케플러-10b가 최초이다.[22]케플러-10b의 발견 사실은 2011년 시애틀에서 열린 미국 천문학회(AAS) 동계 미팅에서 공식 발표되었다.[22]
2. 2. 케플러-10c 발견
2011년 5월 23일 보스턴에서 열린 218차 미국 천문학 공동체(AAS) 미팅에서 케플러-10c의 발견 사실이 발표되었다.[22] 케플러-10c는 초기에는 지구 질량의 17배가 넘는 거대 암석 행성으로 추정되었으나, 이후 추가 연구를 통해 휘발성 물질로 구성된 행성으로 밝혀졌다.2. 3. 케플러-10d 발견
2016년, 통과 시간 변화법에 의해 공전 주기가 약 102일인 세 번째 행성 후보가 감지되어 KOI-72.X로 임시 명명되었다.[19][21][22] 2023년, 도플러 분광법 관측을 통해 세 번째 행성 케플러-10d의 존재가 확인되었다.3. 항성 특징
케플러-10은 태양과 비슷한 G형 항성이다. 질량은 태양의 89.5%(± 6%)이며 반지름은 태양보다 5.6%(± 2.1%) 크다. 항성 대기 중 철의 함유량을 나타내는 금속함량 [Fe/H]는 -0.15 (± 0.04)로, 태양 금속함량의 약 70% 수준이다. 금속 함량은 행성 형성과 조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23] 케플러-10의 나이는 약 119억 년, 표면온도는 5627 (± 44) K으로,[24] 태양(약 46억 년,[25] 5778 K[26])보다 더 늙고 차가운 항성이다.
케플러-10은 지구로부터 약 564 광년(173 ± 27 파섹) 떨어져 있다.[24] 겉보기 등급은 10.96으로 맨눈으로는 볼 수 없으며 아마추어 망원경으로 관측이 가능하다.[24]
4. 행성계
일반적인 외계 행성 명명법에 따라, 케플러-10을 공전하는 것으로 발견된 첫 번째 행성은 케플러-10b로 명명되었다. 2011년에 발표된 이 행성은 태양계 밖에서 확인된 최초의 암석 행성이었다. 케플러-10b의 질량은 지구의 3.33(±0.49)배, 반지름은 지구의 1.47()배이다. 이 행성은 모항성에서 0.01684 au 떨어져 있으며, 0.8375일마다 궤도를 한 바퀴 돈다. 이는 태양을 0.3871 AU 거리에서 87.97일마다 공전하는 행성 수성의 궤도 및 공전 주기와 비교할 수 있다.[9] 이 행성이 별에 매우 가깝게 공전하기 때문에, 궤도 이심률은 거의 0이다. 따라서 이 행성은 극히 원형에 가까운 궤도를 그린다.
케플러-10c도 NASA의 케플러 미션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케플러-10의 궤도를 도는 두 번째 외계 행성이 되었다. 초기에는 케플러-10c의 도플러 분광법 관측에서 질량은 지구의 17.2(±1.9)배, 반지름은 2.35배로 추정되었으며, 2014년 당시 가장 큰 암석 행성이었다. 케플러-10c는 45.29일마다 모항성에서 0.24 au 떨어진 궤도를 한 바퀴 돈다. 하지만 2017년 7월, HARPS-N 및 HIRES로 더 자세한 관측 데이터를 얻은 결과, 케플러-10c의 질량은 처음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작았으며, 질량은 7.37(+1.32−1.19) 지구 질량(ME)이며, 평균 밀도는 3.14 g/cm3임이 밝혀졌다. 이는 케플러-10c가 주로 암석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거의 완전히 휘발성 물질, 주로 물로 구성되었음을 시사한다.
2016년, 공전 주기가 약 102일인 세 번째 행성 후보가 통과 시간 변화법에 의해 감지되어 임시적으로 KOI-72.X로 명명되었다. 2023년에는 도플러 분광법 관측을 통해 세 번째 행성 케플러-10d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이 행성의 공전 주기는 151일이며, 최소 질량은 지구의 약 13배이다.
4. 1. 케플러-10b
케플러-10b는 2011년 발견되어 그 존재가 확정된, 태양계 밖 암석형 외계 행성 중 최초라는 의의가 있다. 질량은 지구의 3.26±0.30 배, 반지름은 지구의 1.470+0.030−0.020 배이다. 케플러-10b는 항성으로부터 0.01685±0.00013 AU 떨어져 0.8374907±0.0000002 일에 한 번씩 공전하며, 궤도 이심률은 거의 0에 가까운 원형 궤도이다. 수성은 태양으로부터 0.3871 AU 떨어져 87.97 일에 1회 공전함을 고려하면 케플러-10b는 항성에 매우 가까이 있는 셈이다.[9]
4. 2. 케플러-10c
케플러-10c는 NASA의 케플러 미션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케플러-10을 공전하는 것으로 발견된 두 번째 외계 행성이다. 초기 시선속도법으로 추측한 c의 질량은 지구의 17.2±1.9 배에 반지름은 지구의 2.35 배로 2014년 발견 당시 기준으로 가장 거대한 암석 행성으로 기록되었다. c는 어머니 별을 0.24 AU 떨어져 45.29일에 1회 돈다.
그러나 2017년 7월, HARPS-N 및 HIRES 데이터에 대한 보다 신중한 분석 결과, 케플러-10c는 원래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질량이 적으며, 약 7.37+1.32-1.19 지구 질량(ME)이고 평균 밀도는 3.14 g/cm3인 것으로 나타났다. 케플러-10c의 보다 정확하게 결정된 질량은 주로 물과 같은 휘발성 물질로 거의 완전히 구성된 행성임을 시사한다.
4. 3. 케플러-10d
케플러-10d는 2023년 도플러 분광법 관측으로 존재가 확인된 세 번째 행성이다. 최소 질량은 지구의 약 12.68배이다. 항성으로부터 0.5379AU 떨어져 151.04일에 한 번씩 공전하며, 궤도 이심률은 0.26 미만이다. 2016년에는 통과 시간 변화를 기반으로 세 번째 행성 후보가 확인되어 임시 명칭 KOI-72.X로 명명되기도 했다.참조
[1]
웹사이트
Kepler-10 Stellar Family Portrait
https://exoplanets.n[...]
2023-02-22
[2]
웹사이트
Astronomers Confounded By Massive Rocky World
http://www.jpl.nasa.[...]
2014-06-03
[3]
웹사이트
NASA'S Kepler Mission Discovers Its First Rocky Planet
https://web.archive.[...]
NASA
2011-03-13
[4]
웹사이트
NASA Finds Smallest Earthlike Planet Outside Solar System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1-03-13
[5]
웹사이트
Extrasolar Planets: A Matter of Metallicity
http://www.spacedail[...]
Space Daily
2011-03-13
[6]
간행물
Notes for star Kepler-10
https://web.archive.[...]
2011-03-13
[7]
웹사이트
How Old is the Sun?
http://www.universet[...]
Universe Today
2011-03-13
[8]
웹사이트
Sun Fact Sheet
http://nssdc.gsfc.na[...]
NASA
2011-03-13
[9]
웹사이트
Mercury Fact Sheet
http://nssdc.gsfc.na[...]
NASA
2011-02-27
[10]
웹사이트
Kepler-10 Stellar Family Portrait
https://exoplanets.n[...]
2023-02-22
[11]
웹사이트
Astronomers Confounded By Massive Rocky World
http://www.jpl.nasa.[...]
2014-06-03
[12]
웹사이트
NASA'S Kepler Mission Discovers Its First Rocky Planet
https://web.archive.[...]
NASA
2011-03-13
[13]
웹사이트
NASA Finds Smallest Earthlike Planet Outside Solar System
https://web.archive.[...]
ナショナル ジオグラフィック協会
2011-03-13
[14]
웹사이트
Extrasolar Planets: A Matter of Metallicity
http://www.spacedail[...]
Space Daily
2011-03-13
[15]
간행물
Notes for star Kepler-10
https://web.archive.[...]
2011-03-13
[16]
웹사이트
How Old is the Sun?
http://www.universet[...]
Universe Today
2011-03-13
[17]
웹사이트
Sun Fact Sheet
http://nssdc.gsfc.na[...]
NASA
2011-03-13
[18]
DR2
Gaia Data Release 2 catalog entry
http://webviz.u-stra[...]
[19]
웹사이트
2011-01-10
[20]
웹사이트
2014-06-02
[21]
웨이백
Kepler: About the Mission
http://kepler.nasa.g[...]
20120420015542
[22]
웹사이트
2011-01-10
[23]
웹사이트
2004-10-12
[24]
웨이백
Notes for star Kepler-10
http://www.exoplanet[...]
20110121143507
[25]
웹사이트
2008-09-16
[26]
웹사이트
[27]
웹사이트
2010-1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