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모어 페퍼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모어 페퍼트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의 수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자, 교육학자이다. 반 아파르트헤이트 운동에 참여하고, 런던에서 혁명적 사회주의 지지자로 활동했다. 비트바테르스란트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캠브리지 대학교에서 두 번째 박사 학위를 받았다. MIT 연구원, MIT 인공지능 연구소 공동 소장, 세실과 이다 그린 교육 교수직을 역임했다. 장 피아제의 구성주의 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구성주의를 개발하고, 로고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하여 아이들의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했다. 또한 레고 마인드스톰 로봇 키트 개발, 원 랩탑 퍼 차일드(OLPC) 대표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주요 저서로는 '마인드스톰: 아이들, 컴퓨터, 그리고 강력한 아이디어' 등이 있으며, 2016년 8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수학자 - 조지 엘리스
조지 엘리스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우주론 학자, 수학자, 물리학자이자 과학 철학자로, 스티븐 호킹과 함께 일반 상대성 이론 연구에 기여했으며 비등방성 우주론, 불균일 우주, 복잡성 이론, 과학과 종교의 관계를 연구했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수학자 - 이매뉴얼 더만
이매뉴얼 더만은 이론 입자 물리학 연구와 금융공학 분야에 기여했으며, 학문적 활동과 AT&T 벨 연구소, 골드만삭스에서의 경력을 거쳐 현재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금융공학을 가르치고 금융 모델링 관련 저서를 출판했으며 국제금융공학자협회 올해의 금융공학자 선정 및 리스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인물이다.
시모어 페퍼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시모어 오브리 파퍼트 |
출생일 | 1928년 2월 29일 |
출생지 | 프리토리아, 남아프리카 연방 |
사망일 | 2016년 7월 31일 |
사망 장소 | 블루힐, 메인주, 미국 |
국적 | 미국 |
분야 | 인지 과학 교육 수학 컴퓨터 과학 |
근무 기관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제네바 대학교 파리 대학교 영국 국립 물리 연구소 |
학력 | {{Plainlist| |
박사 지도교수 | 프랭크 스미시즈 |
박사 제자 | {{Plainlist| |
알려진 업적 | {{Plainlist| |
수상 | {{Plainlist| |
영향 받은 인물 | 장 피아제 |
영향을 준 인물 | 앨런 케이 |
웹사이트 | papert.org |
배우자 | {{Plainlist| |
로마자 표기 | Seimoeo Papeoteu |
학위 논문 | |
학위 논문 1 제목 | 래티스에서의 순차적 수렴 (모듈러 및 하위 그룹 래티스 관련) |
학위 논문 1 URL | https://www.worldcat.org/oclc/871267195 |
학위 논문 1 년도 | 1952 |
학위 논문 2 제목 | 논리와 위상의 래티스 |
학위 논문 2 URL | https://search.proquest.com/docview/301315242 |
학위 논문 2 년도 | 1960 |
관련 정보 | |
기타 | {{Plainlist| * Planet Papert: 파퍼트에 대한 기사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뉴스: 구성주의 학습의 개척자, 시모어 파퍼트 명예 교수, 88세로 사망 * 시모어 A. 파퍼트 개요 * 파퍼트 공식 웹사이트 * 컬리 - 컴퓨터: 역사: 개척자: 파퍼트, 시모어 * The Daily Papert |
2. 생애 및 경력
1960년대 장 피아제와 공동 연구하며 그의 Genetic epistemology|발생적 인식론영어에 영향을 받았다. 페퍼트는 피아제의 구성주의(Constructivism)를 발전시켜, 학습자가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교육 이론인 구성주의(Constructionism)를 제창했다. 그는 이 이론을 교육 현장에 적용하고 기술의 교육적 활용 방안을 연구했다.
교육 연구와 컴퓨터 과학을 접목하여 Wally Feurzeig|월리 포지그영어 등과 함께 프로그래밍 언어 LOGO를 개발했다. 이는 아이들이 프로그래밍을 통해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기 위한 것이었다. 또한 마빈 민스키와 인공지능을 연구하며 초기 퍼셉트론 모델의 한계를 지적했다.
주요 활동으로는 MIT 미디어랩의 전신인 인식학습 연구반 창설, 앨런 케이의 다이나북 구상에 영향, 레고 그룹과의 협력을 통한 레고 마인드스톰 개발 기여, 개발도상국 아동을 위한 저가 노트북 보급 프로젝트 OLPC(One Laptop Per Child) 참여 등이 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10] 1949년 비트바테르스란트 대학교에서 철학 학사 학위를 받았고, 1952년에는 같은 대학에서 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1] 이후 캠브리지 대학교로 옮겨 프랭크 스미시스의 지도를 받았으며, 1959년에 수학으로 두 번째 박사 학위를 받았다.[12][13][5]2. 2. 학문적 경력
MIT 연구원이 되기 전인 1963년까지 케임브리지 세인트 존스 칼리지, 파리 대학교의 앙리 푸앵카레 연구소, 제네바 대학교, 런던의 영국 국립물리연구소 등 여러 기관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다.[13] 1963년 MIT 연구원으로 합류했으며, 1967년에는 응용 수학 교수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설립자인 마빈 민스키 교수에 의해 MIT 인공지능 연구소의 공동 소장으로 임명되어 1981년까지 그 직책을 맡았다. 또한 1974년부터 1981년까지 MIT의 세실과 이다 그린 교육 교수직(Cecil and Ida Green Professor of Education)을 역임했다.[13]
페퍼트의 주요 학문적 기여는 다음과 같다.
- 1960년대에 발달심리학자 장 피아제와 공동 연구를 수행하며 그의 Genetic epistemology|발생적 인식론영어에 큰 영향을 받았다. 그는 피아제의 가장 중요한 제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피아제 자신도 "페퍼트만큼 나의 생각을 깊이 이해하는 사람은 없다"고 언급한 바 있다.
- 피아제의 구성주의(Constructivism) 이론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직접 무언가를 만들면서 배운다는 교육 철학인 구성주의(Constructionism)를 제창했다. 그는 이 이론을 교육 현장에 적용하는 방안과 새로운 기술이 학습 및 교육 기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깊이 연구했다.
- 교육 연구와 컴퓨터 과학을 접목하여, Wally Feurzeig|월리 포지그영어 등과 함께 프로그래밍 언어 LOGO를 개발했다. LOGO는 아이들이 시행착오를 통해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설계된 창의적 도구였다. 페퍼트는 LOGO처럼 배우기 쉬운 프로그래밍 언어도 전문가 수준의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녔다고 주장했다. 또한 아이들의 프로그래밍 교육을 주저하는 교사들에게 "버그를 경험하는 것 자체가 컴퓨터 활용 능력(리터러시)을 키우는 데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 컴퓨터 과학자 마빈 민스키와 함께 인공지능 분야를 연구했으며, 특히 초기 인공 신경망 모델인 단순 퍼셉트론이 선형 분리가 불가능한 패턴은 인식할 수 없다는 한계를 수학적으로 증명했다. 민스키는 페퍼트를 "살아있는 가장 위대한 수학 교육자"라고 칭송했다.
- MIT 미디어랩의 전신이 된 MIT 건축기계 그룹(Architecture Machine Group) 내 인식학습 연구반(Epistemology and Learning Group)을 창설했다.
- 개인용 컴퓨터의 선구자인 앨런 케이와 그의 다이나북 구상에 영향을 주었으며, 여러 프로젝트에서 협력했다.
- 레고 그룹과 협력하여 LOGO 프로그래밍으로 제어되는 로봇 장난감인 레고 마인드스톰 개발에 기여했다.
- 저렴한 노트북 컴퓨터를 개발하여 개발도상국 어린이들에게 보급하는 비영리 단체 OLPC(One Laptop Per Child)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으로 활동했다.
2. 3. 구성주의와 로고 프로그래밍 언어
MIT에서 페퍼트는 나중에 MIT 미디어랩이 된 MIT 건축 기계 그룹 내에 인식론 및 학습 연구 그룹을 설립했다.[14] 그는 1958년부터 1963년까지 제네바 대학교에서 장 피아제와 함께 연구했으며[15], 피아제의 제자 중 가장 활동적이고 성공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피아제는 "나의 생각을 페퍼트만큼 잘 이해하는 사람은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16] 페퍼트는 피아제의 구성주의(Constructivism) 학습 이론에 큰 영향을 받았고, 이를 발전시켜 '만들면서 배우는' 교육 이론인 구성주의(Constructionism)를 제창했다. 그는 이 이론을 바탕으로 학교 교육 방식의 혁신을 모색하고 새로운 기술이 학습과 교육 기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페퍼트는 자신의 교육 이론을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MIT 재직 시절 월리 포지그 등과 함께 로고(Logo)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했다. 로고는 아이들이 프로그래밍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구체화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설계된 교육용 언어이다. 특히, 아이들이 직접 프로그래밍하여 움직이는 작은 로봇인 '로고 거북이'는 아이들이 놀이처럼 즐겁게 프로그래밍 원리를 배우고 문제 해결 과정을 경험하도록 돕는 효과적인 도구가 되었다. 로고 재단 연구 그룹의 주요 목표는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 및 지식 습득 능력을 강화하는 것이었다.[17] 페퍼트는 로고처럼 아이들이 쉽게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라도 전문가 수준의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강력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5] 또한 그는 프로그래밍 교육을 주저하는 교사들에게 "오류(버그)를 경험하는 것 자체가 컴퓨터 리터러시 함양에 필수적"이라고 강조하며, 실패를 통한 학습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2. 4. 기타 활동 및 업적
MIT 연구원이 되기 전인 1963년까지 케임브리지 세인트 존스 칼리지, 파리대학교의 앙리 푸앵카레 연구소, 제네바 대학교, 런던의 영국표준과학연구소 등 여러 기관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다.[13] 1963년 MIT 연구원이 되었고, 1967년에는 응용 수학 교수로 임명되었다. 이후 설립자인 마빈 민스키 교수에 의해 MIT 인공지능 연구소의 공동 소장으로 임명되어 1981년까지 그 직책을 맡았다. 또한 1974년부터 1981년까지 MIT의 세실과 이다 그린 교육 교수직을 역임했다.[13]1960년대에는 발달심리학자 장 피아제와 공동 연구를 수행하며 그의 발생적 인식론 이론에 큰 영향을 받았다. 페퍼트는 피아제의 가장 중요한 제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피아제 자신도 "페퍼트만큼 나의 생각을 이해해주는 사람은 없다"고 말할 정도였다. 페퍼트는 피아제의 구성주의(Constructivism) 이론을 발전시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교육 이론인 '구성주의(Constructionism)'를 제창했다. 그는 이 이론을 바탕으로 교육 기관이 어떻게 운영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새로운 기술이 학습과 교육 기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했다.
교육 연구 성과를 컴퓨터 과학에 접목하여, 월리 포지그 등과 함께 아이들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 로고(LOGO)를 개발했다. 로고는 아이들이 시행착오를 통해 문제를 탐구하고 해결책을 찾도록 돕는 창의적인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페퍼트는 로고처럼 배우기 쉬운 언어도 전문적인 작업에 충분히 활용될 수 있는 고도의 기능을 갖출 수 있다고 주장했으며, 아이들의 프로그래밍 교육을 주저하는 교사들에게 "버그를 경험하는 것 자체가 컴퓨터 활용 능력(리터러시)에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페퍼트는 마빈 민스키와 함께 인공지능 연구에도 기여했으며, 특히 단순 퍼셉트론이 특정 유형의 패턴(선형 분리가 불가능한 패턴)을 인식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 민스키는 페퍼트를 "현존하는 가장 위대한 수학 교육자"라고 평가했다.[31]
기술과 교육의 결합에 대한 신념으로 지식 기계의 개념을 지지했으며, 개발도상국 어린이들에게 저렴한 컴퓨터를 보급하기 위한 1인 1랩탑(OLPC) 프로젝트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으로 활동했다. 또한, 장난감 회사 레고와 협력하여 로고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로봇 키트인 레고 마인드스톰 개발에 참여했다.[18] 이 키트의 이름은 그의 1980년 저서 『마인드스톰(Mindstorms)』에서 따온 것이다.[3]
페퍼트는 MIT 미디어랩의 전신인 MIT 건축기계 그룹 인식학습 연구반을 창설했으며, 1981년에는 MIT 로고 그룹의 동료들과 함께 로고 컴퓨터 시스템(Logo Computer Systems Inc., LCSI)을 설립하고 20년 이상 이사회 의장을 역임했다. LCSI를 통해 로고라이터(LogoWriter)[28]와 레고/로고(Lego/Logo, 이후 레고 마인드스톰으로 상품화) 등 다수의 수상 경력에 빛나는 교육용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그의 연구와 아이디어는 여러 다른 연구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앨런 케이의 개인용 컴퓨터 및 다이나북 구상에 영향을 주었으며, 케이와 다양한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했다. 우리 윌렌스키의 넷로고 설계에 영향을 주었고 지식 재구성 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했으며, 안드레아 디세사의 연구와 "다이나터틀(dynaturtles)" 개발에도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딧 하렐 케이퍼턴과 함께 논문 및 『구성주의(Constructionism)』라는 책을 공동 저술했으며, 그녀가 설립한 회사 마마미디어의 자문위원회 의장을 맡기도 했다.
페퍼트의 다양한 글, 연설, 인터뷰 자료는 그를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웹사이트 'The Daily Papert'에서 찾아볼 수 있다.
연도 | 수상 내역 | 수여 기관 |
---|---|---|
1980 | 구겐하임 펠로우십[29] | 존 사이먼 구겐하임 기념재단 |
1981 | 마코니 인터내셔널 펠로우십[29] | 마코니 협회 |
1994 | 평생 공로상[30] | 소프트웨어 퍼블리셔 협회 |
1997 | 스미소니언 상[30] | 컴퓨터월드 |
MIT 총장 엘 라파엘 라입은 페퍼트의 업적을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비범한 범위와 창의성을 지닌 마음으로 세이무어 페퍼트는 아동이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부터 인공 지능 개발, 그리고 기술과 학습의 풍부한 교차점에 이르기까지 적어도 세 가지 분야에 혁명을 일으키는 데 기여했습니다. 그가 MIT에 남긴 흔적은 매우 깊습니다..."[3][32][33][34]
2016년, 그의 모교인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위트워터스랜드 대학교는 그의 공로를 기려 명예 공학 박사 학위(honoris causa)를 수여했다.[35][36]
2. 5. 개인적인 삶과 죽음
페퍼트는 어린 시절부터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정치 활동가이자 반아파르트헤이트 운동가로 활동했으며, 이후 자의적인 망명을 선택했다.[10][39] 런던에 거주하던 1950년대에는 ''Socialist Review''를 중심으로 한 혁명적 사회주의 그룹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이었다.[19][38] 대학 시절에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에 맞서 활동한 저명한 운동가였다.[3]페퍼트는 총 네 번 결혼했다.
순서 | 이름 | 비고 |
---|---|---|
첫 번째 | 도나 스트라우스 | |
두 번째 | 안드룰라 크리스토피데스 엔리케스 | [3] |
세 번째 | 셰리 터클 | MIT 교수. "인식론적 다원주의와 구체적인 것의 재평가" 공동 저술[20] |
네 번째 | 수잔 마시 | 러시아 학자. 파블롭스크: 러시아 궁전의 삶, 불새의 땅 저자. 사망 시까지 24년간 결혼 생활 유지[3][21] |
페퍼트는 교육 학습 이론과 새로운 기술이 학습, 특히 학교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1960년대에 발달심리학자 장 피아제와 공동 연구를 수행하며 그의 발생적 인식론에 큰 영향을 받았다. 피아제는 "페퍼트만큼 나의 생각을 이해해주는 사람은 없다"고 평가할 정도로 페퍼트는 그의 핵심적인 제자로 인정받았다.[16]
2006년 12월 5일, 당시 78세였던 페퍼트는 동료 우리 윌렌스키와 함께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제17차 국제수학교육위원회(ICMI) 연구 컨퍼런스에 참석하던 중 길을 건너다 오토바이에 치여 심각한 뇌 손상을 입었다.[3][39] 하노이 프랑스 병원(L'Hôpital Français De Hanoï)에서 혈전 제거 수술을 받았고, 스위스 에어 앰뷸런스(REGA)의 봄바디어 챌린저 제트기[23]를 통해 복잡한 수술 과정을 거쳐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으로 후송되었다.[22] 약 4주간 중환자실에 입원했다.[24][25] 2007년 1월에는 집 근처 병원으로 옮겼으나, 패혈증이 발생하여 손상된 심장 판막을 교체하는 수술을 받았다.
2008년에는 집으로 돌아와 명확하게 생각하고 의사소통할 수 있게 되었으며 "거의 도움 없이" 걸을 수 있었지만, 여전히 "복잡한 언어 문제"를 겪어 광범위한 재활 치료를 받았다.[26][40] 그의 재활팀은 페퍼트 자신이 개척했던 경험적이고 직접적인 학습 원리를 일부 활용하기도 했다.[27]
페퍼트는 2016년 7월 31일, 메인주 블루힐 자택에서 88세를 일기로 사망했다.[3][41]
3. 주요 연구 및 이론
그는 피아제의 구성주의(Constructivism) 이론을 발전시켜, 학습자가 직접 무언가를 만들어보는 과정을 통해 가장 효과적으로 배울 수 있다는 구성주의(Constructionism) 이론을 제창했다. 이는 '만들면서 배우기'라는 교육 방식으로 요약될 수 있으며, 페퍼트는 이를 교육기관 운영 방식에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교육 현장에 컴퓨터 과학을 접목하여, Wally Feurzeig|월리 포지그영어 등과 함께 아이들이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 프로그래밍 언어인 로고(LOGO)를 개발했다.[17] 그는 로고처럼 쉬운 언어도 고도의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프로그래밍 과정에서의 오류 경험이 컴퓨터 리터러시 함양에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인공지능 분야에서는 마빈 민스키와 함께 연구하며 초기 퍼셉트론 모델의 한계를 수학적으로 증명하기도 했다.[1] 민스키는 페퍼트를 “살아있는 동안 가장 위대한 수학 교육자”라고 칭송했다.[1]
이 외에도 페퍼트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3. 1. 구성주의 (Constructionism)
페퍼트는 학습 이론을 연구했으며, 새로운 기술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 특히 학교를 학습 조직으로서 볼 때의 영향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알려져 있다.
MIT에서 페퍼트는 나중에 MIT 미디어랩이 된 MIT 건축 기계 그룹 내에 인식론 및 학습 연구 그룹을 설립했다.[14] 이곳에서 그는 장 피아제의 구성주의 학습 이론(Constructivism)에 기반한 자신만의 학습 이론인 구성주의(Constructionism)를 개발했다. 페퍼트는 1958년부터 1963년까지 제네바 대학교에서 피아제와 함께 연구했으며[15], 피아제의 가장 뛰어난 제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피아제 자신도 "나의 생각을 페퍼트만큼 잘 이해하는 사람은 없다"고 말했을 정도였다.[16]
페퍼트가 제창한 구성주의(Constructionism)는 피아제의 구성주의(Constructivism)를 발전시킨 것으로, 학습자가 구체적인 결과물을 직접 만들어보는 과정을 통해 가장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는, 이른바 '만들면서 배우는' 교육 방식을 강조한다. 페퍼트는 이러한 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기존의 학교 운영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새로운 기술이 학습 전반과 교육 기관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연구하며,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학습 환경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3. 2. 로고 (LOGO) 프로그래밍 언어
페퍼트는 MIT 재직 당시 장 피아제의 연구[17]와 구성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Wally Feurzeig|월리 포지그영어 등과 함께 로고(LOGO)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했다.[17] 로고는 아이들의 사고방식과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고, 시행착오를 통해 스스로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창의적인 도구로 설계되었다.[17] 페퍼트는 로고처럼 아이들이 쉽게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라도 전문가 사용자에게 고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5]
로고 학습을 위해 "로고 거북이"라는 작은 이동식 로봇이 개발되었고, 아이들은 이 로봇을 조종하며 놀이처럼 즐겁게 간단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배웠다.[17] 로고 재단 연구 그룹의 주요 목적은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학습 지식 능력을 강화하는 것이었다.[17] 페퍼트는 아이들의 프로그래밍 교육을 망설이는 교사들에게 "버그를 경험하는 것이야말로 컴퓨터 리터러시에 필요하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러한 로고 개발 경험은 이후 레고사와의 협력을 통해 로고 프로그래밍으로 작동하는 로봇 장난감인 “레고 마인드스톰” 개발로 이어졌다.
3. 3. 인공지능 연구
컴퓨터 과학자 마빈 민스키와 함께 인공지능을 공동 연구하여, 단순 퍼셉트론은 선형 분리할 수 없는 패턴을 식별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1] 민스키는 페퍼트를 “살아있는 동안 가장 위대한 수학 교육자”라고 불렀다.[1]
4. 주요 저서
- ''Perceptrons'' (1969, 마빈 민스키 공저, 1988년 확대판). ISBN 0-262-63111-3
- ''Counter-free automata'' (1971, 로버트 맥노턴 공저). ISBN 0-262-13076-9
- ''Mindstorms: Children, Computers, and Powerful Ideas'' (1980). ISBN 0-465-04674-6
- ''Constructionism: research reports and essays 1985–1990'' (1991, I. Harel 공편).
- ''The Children's Machine: Rethinking School in the Age of the Computer'' (1993). ISBN 0-465-01063-6
- ''The Connected Family: Bridging the Digital Generation Gap'' (1996). ISBN 1-56352-335-3
- ''Trauen wir uns, die Bruchrechnung abzuschaffen? Ein Lackmustest für die Anhänger der Bildungstechnologie'' (2007, 독일어 출판). ISBN 978-3-8340-0142-9
참조
[1]
MathGenealogy
[2]
웹사이트
Planet Papert: articles by and about Papert
http://www.stager.or[...]
[3]
뉴스
Professor Emeritus Seymour Papert, pioneer of constructionist learning, dies at 88
https://news.mit.edu[...]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16-08-01
[4]
논문
Interviews with Seymour Papert
[5]
논문
Seymour Papert (1928–2016) Father of educational computing
Springer Nature
[6]
웹사이트
Person Overview ‹ Seymour A. Papert
https://www.media.mi[...]
2023-09-05
[7]
웹사이트
Professor Seymour Papert
http://www.papert.or[...]
2023-09-05
[8]
웹사이트
Curlie – Computers: History: Pioneers: Papert, Seymour
https://curlie.org/C[...]
2023-09-05
[9]
웹사이트
The Daily Papert
https://dailypapert.[...]
2023-09-05
[10]
웹사이트
Remembering Seymour Papert: Revolutionary Socialist and Father of A.I.
https://forward.com/[...]
2016-08-03
[11]
논문
Sequential Convergence in Lattices With Special Reference To Modular And Subgroup Lattices
University of the Witwatersrand
[12]
논문
The lattices of logic and topology
University of the Cambridge
[13]
서적
American Men and Women of Science
R.R. Bowker
[14]
웹사이트
Group Overview ‹ Lifelong Kindergarten
https://www.media.mi[...]
2023-09-05
[15]
웹사이트
Seymour Papert
https://web.archive.[...]
MIT
[16]
서적
From the campfire to the holodeck : creating engaging and powerful 21st century learning environments
Jossey-Bass
[17]
웹사이트
Logo Foundation
https://el.media.mit[...]
2023-09-05
[18]
웹사이트
LEGO Mindstorms
https://web.archive.[...]
[19]
웹사이트
Jim Higgins: More Years for the Locust (1997)
https://www.marxists[...]
2023-09-05
[20]
논문
Epistemological Pluralism and Revaluation of the Concrete
[21]
웹사이트
Author Suzanne Massie biography
http://www.suzannema[...]
2023-09-05
[22]
뉴스
Artificial Intelligence Pioneer Seymour Papert in Coma in Hanoi
http://www.informati[...]
2006-12-08
[23]
웹사이트
Seymour Papert – Informatika – 3065 – p2k.unkris.ac.id
http://p2k.unkris.ac[...]
2023-09-05
[24]
뉴스
Seymour Papert
https://www.thetimes[...]
2023-09-05
[25]
웹사이트
1969 – The Logo Turtle – Seymour Papert et al (Sth African/American)
http://cyberneticzoo[...]
2010-01-10
[26]
웹사이트
Welcome to The Learning Barn ~ The Official Seymour Papert Website!
https://web.archive.[...]
2008-03-10
[27]
뉴스
In search of a beautiful mind
http://www.boston.co[...]
2008-07-12
[28]
웹사이트
LogoWriter or the Elementary Curriculum
https://www.siue.edu[...]
2023-09-05
[29]
웹사이트
MARCONIFOUNDATION.ORG
http://www.marconifo[...]
2023-09-05
[30]
서적
A to Z of Computer Scientists
Facts on File
[31]
서적
Mindstorms
[32]
간행물
25 years EIAH
https://web.archive.[...]
[33]
인터뷰
Interview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04-07-11
[34]
웹사이트
Canalc2 : Seymour Papert – EIAH 2003 : Environnements Informatiques pour l'Apprentissage Humain (15/04/2003)
https://archive.toda[...]
[35]
웹사이트
https://www.wits.ac.[...]
[36]
웹사이트
https://view.officea[...]
[37]
웹사이트
Seymour Papert - The Mathematics Genealogy Project
https://www.genealog[...]
[38]
서적
More Years for the Locust: The Origins of the SWP
http://www.marxists.[...]
IS Group
1997
[39]
뉴스
Professor Emeritus Seymour Papert, pioneer of constructionist learning, dies at 88
https://news.mit.edu[...]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16-08-01
[40]
웹사이트
thelearningbarn.org (aka. the Seymour Papert Institute)
http://www.thelearni[...]
[41]
뉴스
MITのシーモア・パパート氏が死去--LOGO言語、100ドルPCなどで偉大な足跡
https://japan.cnet.c[...]
CNET Japan
2016-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