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마케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마케팅은 기업이 제품의 수요를 줄이려는 마케팅 전략이다. 1971년 필립 코틀러와 시드니 레비가 처음 제시한 개념으로, 과잉 수요를 조절하거나 사회적 이익을 위해 사용된다. 디마케팅은 가격 인상, 광고 축소, 제품 가용성 제한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일반적 디마케팅, 선별적 디마케팅, 겉보기 디마케팅 등의 유형이 있다. 가격 차별화, 미끼 상품 교체, 재고 부족, 혼잡 비용, 차별화 등의 전략이 활용되며, 의료, 종이 절약, 물 절약, 탄소 발자국, 정크 푸드, 담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그러나 반(反)마약 광고와 같이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케팅 - 프레젠테이션
    프레젠테이션은 정보를 전달하고 청중을 설득하기 위한 발표 방식으로, 대한민국에서는 표준 용어로 사용되며, 시각 자료 활용과 함께 기업,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효과를 극대화하는 의사소통 방식이다.
  • 마케팅 - 감정노동
    감정노동은 조직이나 고객의 기대에 맞춰 자신의 실제 감정과 다르게 특정 감정을 표현해야 하는 노동으로, 서비스 직종에서 주로 발생하며 정서적 소진 등의 문제를 야기하므로 개인 및 조직 차원의 관리와 사회적 인식 개선이 요구된다.
디마케팅

2. 디마케팅의 정의

디마케팅은 수요를 줄이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진 여러 정의가 있다.

비즈니스사전(Businessdictionary.com)은 디마케팅을 "기업이 (1) 충분한 양으로 공급할 수 없거나, (2) 유통 또는 프로모션 비용이 너무 높아 수익 마진이 적은 특정 지역에 공급하고 싶지 않은 제품에 대한 수요를 줄이는(파괴하지 않는) 노력"으로 정의한다. 일반적인 디마케팅 전략에는 가격 인상, 광고 축소, 제품 재설계 등이 있다.[1]

웹스터 사전(Websters dictionary)은 디마케팅을 "공급 부족 상태인 제품에 대한 수요를 줄이기 위한 광고의 사용"으로 정의한다.[2]

DictionaryReference.com은 디마케팅을 "공급 부족 시에 제품 소비를 제한하도록 대중에게 촉구하는 광고"로 정의한다. 기업은 제품의 투입 비용을 줄여 소비자가 해당 제품을 구매하지 않고 품질이 저하된 다른 대체 제품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기업은 절감된 비용을 다른 제품에 할당하여 더 많은 판매를 얻을 수 있다.[3]

올 비즈니스 사전(All Business dictionary)은 디마케팅을 "마케터가 제품에 대한 수요가 제조업체의 생산 능력을 초과할 때 제품에 대한 수요를 줄이려고 시도하는 것"으로 정의한다.[4]

3. 디마케팅의 역사

디마케팅은 새로운 개념처럼 보일 수 있지만, 사실 수십 년 동안 존재해 왔다. 1971년 필립 코틀러(Phillip Kotler)와 시드니 레비(Sidney Levy)가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arvard Business Review)에 기고한 글에서 "디마케팅"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이후 1973년 마케팅 저널에 발표된 코틀러의 논문에서 디마케팅 개념이 더 구체화되었고, 2011년에는 행동 경제학과의 연관성이 제시되었다.

3. 1. 개념의 등장

디마케팅은 비교적 새로운 개념처럼 보일 수 있지만, 사실 수십 년 동안 존재해 왔다.

1971년 필립 코틀러(Phillip Kotler)와 시드니 레비(Sidney Levy)는 "디마케팅, 예, 디마케팅(Demarketing, Yes, Demarketing)"이라는 제목의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arvard Business Review) 기사에서 "디마케팅"이라는 표현을 소개했다.

이후 1973년 필립 코틀러의 또 다른 논문이 마케팅 저널에 게재되었다. 여기서 코틀러 박사는 마케팅의 맥락에서 "현재 수요 수준"과 "원하는 수요 수준"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수요 부족, 적정 수요, 과잉 수요"가 있으며, 각 수요 상황은 서로 다른 마케팅 접근 방식과 해당 과제를 필요로 한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과잉 수요가 있는 경우 마케팅 과제는 "디마케팅"을 통해 수요를 줄이는 것이다. 디마케팅은 제품을 폄하하지 않고 수요를 줄이는 반면, "반마케팅(countermarketing)"은 "불건전한" 제품, 즉 "유해한" 제품에 대한 수요를 파괴하려고 한다. 코틀러는 또한 "언셀(unsell)"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다른 것을 판매하려는 노력으로 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시대를 앞서간 코틀러는 "언셀링(또는 디마케팅)은 민주주의에서 판매만큼이나 사회적 정당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코틀러는 또한 1973년에 "수요를 억제하려는 노력은 심리학의 특정 개념과 이론, 특히 조건 해제, 습관 소멸 이론, 학습 및 강화 이론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행동 경제학"의 부상을 예상했던 것으로 보인다.

2011년, 코틀러 박사는 R. 크레이그 르페브르(R. Craig Lefebvre)와 함께 《디자인 사고, 디마케팅 및 행동 경제학: 사회 마케팅의 학제 간 성장 촉진》을 저술했다. 여기서 "점점 더 많은 정부, 기업 및 민간 자금 지원 출처가 소비자 과잉의 조건에 집중함에 따라, 우리는 사회 마케팅 패러다임이 디마케팅 시대에 이러한 문화적 변화를 수용하도록 확장되는 것을 보고 있습니다."라고 언급했다.

3. 2. 발전 과정

필립 코틀러와 시드니 레비는 1971년 "디마케팅, 예, 디마케팅(Demarketing, Yes, Demarketing)"이라는 제목의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기사에서 "디마케팅"이라는 표현을 처음 소개했다.

1973년 마케팅 저널에 게재된 필립 코틀러의 논문에서는 마케팅의 맥락에서 "현재 수요 수준"과 "원하는 수요 수준"을 "수요 부족, 적정 수요, 과잉 수요"로 구분하여 설명했다. 각 수요 상황에 따라 다른 마케팅 접근 방식이 필요하며, 특히 과잉 수요의 경우 "디마케팅"을 통해 수요를 줄이는 것이 마케팅 과제라고 밝혔다. 디마케팅은 제품을 폄하하지 않고 수요를 줄이는 반면, "반마케팅(countermarketing)"은 "불건전한" 제품, 즉 "유해한" 제품에 대한 수요를 파괴하려는 것이다. 코틀러는 "다른 것을 판매하려는 노력으로 볼 수도 있다"며 "언셀(unsell)"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했다. 그는 "언셀링(또는 디마케팅)은 민주주의에서 판매만큼이나 사회적 정당성이 있다"고 언급하며 시대를 앞서갔다.

코틀러는 1973년에 "수요를 억제하려는 노력은 심리학의 특정 개념과 이론, 특히 조건 해제, 습관 소멸 이론, 학습 및 강화 이론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행동 경제학의 부상을 예상했던 것으로 보인다.

2011년, 코틀러는 R. 크레이그 르페브르와 함께 《디자인 사고, 디마케팅 및 행동 경제학: 사회 마케팅의 학제 간 성장 촉진》을 저술했다. 이들은 "점점 더 많은 정부, 기업 및 민간 자금 지원 출처가 소비자 과잉의 조건에 집중함에 따라, 우리는 사회 마케팅 패러다임이 디마케팅 시대에 이러한 문화적 변화를 수용하도록 확장되는 것을 보고 있다"고 밝혔다.

4. 디마케팅의 이유

디마케팅은 여러 정의에서 공통적으로 수요를 줄이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여러 사전에서는 디마케팅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비즈니스사전(Businessdictionary.com): "기업이 (1) 충분한 양으로 공급할 수 없거나, (2) 유통 또는 프로모션 비용이 너무 높아 수익 마진이 적은 특정 지역에 공급하고 싶지 않은 제품에 대한 수요를 줄이는(파괴하지 않는) 노력". 일반적인 디마케팅 전략에는 가격 인상, 광고 축소, 제품 재설계 등이 포함된다.
  • 웹스터 사전(Websters dictionary): "공급 부족 상태인 제품에 대한 수요를 줄이기 위한 광고의 사용".
  • [http://dictionaryreference.com DictionaryReference.com]: "공급 부족 시에 제품 소비를 제한하도록 대중에게 촉구하는 광고. 기업은 제품의 투입 비용을 줄여 소비자가 해당 제품을 구매하지 않고 품질이 저하된 다른 대체 제품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기업은 절감된 비용을 다른 제품에 할당하여 더 많은 판매를 얻을 수 있다."
  • 올 비즈니스 사전(All Business dictionary): "마케터는 제품에 대한 수요가 제조업체의 생산 능력을 초과할 때 제품에 대한 수요를 줄이려고 시도한다."


레페브르와 코틀러(2011)는 "디마케팅은 마케팅 믹스의 4P를 모두 융합하고 더 건강하고 사회적으로 책임감 있는 행동 선택을 유도하고 유지하기 위한 정책 변화를 목표로 하며... (그리고) 우리가 봉사하고자 하는 사람들, 그들이 선택하는 환경, 우리가 수행하는 시장 조사 및 우리가 구현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포함한다."라고 설명한다.

미클로스-탈과 후안후안(2011)은 판매자가 구매자의 품질 인식을 전략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디마케팅을 사용한다고 제안했다. 치알디니(1985)는 인간이 덜 이용 가능한 것을 원한다는 심리적 경향을 제시했는데, 이는 겉으로 보이는 디마케팅과 일치한다. 아말도스와 자인(2005)은 제한된 가용성이 소비자의 독특성 요구를 충족시킨다는 것을 보여주고, 스톡과 발라찬더(2005)는 희소성이 고품질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6]

1970년대 디마케팅이 등장한 이후, 디마케팅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이 발전해왔다. 전통적인 마케팅에서는 4P제품, 가격, 유통/배치 및 프로모션이다. 디마케팅은 소비자 기반을 줄이고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억제하는 반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러한 구조를 적용한다. 제품 또는 서비스의 가용성을 늘리는 대신, 디마케팅 전략은 실제로 가용성을 제한한다. 또한, 디마케팅은 대안의 가용성을 높이고 제품 또는 서비스의 단점을 강조하여 소비자의 매력을 떨어뜨리려고 한다. 가격 책정 분야에서 디마케팅을 하기 위해 세금이나 가격을 인상하여 수요를 줄일 수 있다. 광고는 최소화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소비 공간의 배치나 크기를 전략적으로 변경하여 소비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 다른 전략은 디마케팅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 행동을 장려하는 것이다.[7]

디마케팅 전략은 사기업과 정부 기관에서 사용할 때 다를 수 있다. 사회에 해롭거나 비용이 많이 든다고 인식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디마케팅하기 위해 사회 마케팅 전략이 광범위하게 구현되었다. 전통적인 마케팅 원칙은 사회적 아이디어, 대의 또는 행동을 발전시키거나 억제하는 데 사용되는 사회 마케팅에도 적용된다. 사회 마케팅은 제품에 대해 이야기하는 대신 제안을 한다. 서비스 또는 제품의 배치에 대해 논의하는 대신, 해당 서비스 또는 제품에 대한 접근성을 다룬다. 프로모션 대신 사회 마케팅은 아이디어를 전파하기 위해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을 사용한다. 가격 대신 사회 마케팅은 마케팅 또는 디마케팅 메시지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참여 비용을 강조한다.[8]

디마케팅 활동은 수요를 억제한다. 이는 유용성을 창출하고 교환을 강화하는 마케팅의 목표와는 매우 대조적이다. 코틀러와 레비(1971)는 "디마케팅, 그렇다, 디마케팅"이라는 기사에서 세 가지 유형의 디마케팅 상황을 구분한다.

5. 디마케팅의 유형

디마케팅에는 일반적 디마케팅, 선별적 디마케팅, 겉보기 디마케팅이 있다. 일반적 디마케팅은 판매자가 총수요 수준을 줄이기 위해 사용한다. 선별적 디마케팅은 기업이 특정 소비자 계층의 수요를 억제할 때 발생한다. 겉보기 디마케팅은 판매자가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기 위해 인위적이거나 인식된 부족 현상을 만들어낼 때 발생한다.

5. 1. 일반적 디마케팅 (General demarketing)

총 수요 수준을 줄이기 위해 판매자가 사용하는 것을 일반적 디마케팅이라고 한다. 전력 및 수도 공급업체는 수요 과다 기간 동안 광고 및 홍보 캠페인을 활용한다.

5. 2. 선별적 디마케팅 (Selective demarketing)

선별적 디마케팅은 기업이 특정 소비자 계층의 수요를 억제할 때 발생한다. 예를 들어 성인 커뮤니티는 자녀가 있는 가족에게 부동산 판매를 자제하고, 스노브 가치를 가진 상품의 생산자는 저품질 이미지를 가진 소매업체를 피한다.

5. 3. 겉보기 디마케팅 (Ostensible demarketing)

겉보기 디마케팅은 판매자가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기 위해 인위적이거나 인식된 부족 현상을 만들어낼 때 발생한다. 상품을 제한적으로 유통하여 소비자들이 이러한 "구하기 어려운" 품목을 비축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필립 코틀러와 시드니 레비는 1971년에 이러한 현상에 대한 신중한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했지만, 마케터들이 디마케팅을 공식적으로 연구하는 데에는 거의 노력이 기울여지지 않았다. 이는 마케터들이 수요를 파괴하기보다는 구축하도록 훈련받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놀라운 일이 아니다.

6. 디마케팅 전략

디마케팅은 일반적으로 수요를 줄이기 위한 전략이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오히려 수요를 늘리거나 이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

몇몇 학자들은 기업이 의도적으로 거래 비용을 발생시켜 소비자가 최저 가격을 찾는 것을 방해하는 현상을 연구했다.[1],[2],[3],[4] 예를 들어, 특정 시간대에만 할인을 제공하는 "3시간 세일"이 있다.

또한, '미끼 상품 교체', 의도적인 '재고 부족', '혼잡 비용'을 발생시키는 디마케팅 전략도 연구되었다.

한편, 에이탄 게르스트너(Eitan Gerstner), 제임스 헤스(James Hess), 우진 추(Wujin Chu)는 1993년 논문에서 기업이 경쟁에서 벗어나기 위해 "불쾌 요소"를 이용하는 차별화 전략을 제시하기도 했다.

6. 1. 가격 차별화 디마케팅 (Price discriminating demarketing)

샐럽(Salop, 1977),[1] 치앙과 스팻(Chiang and Spatt, 1982),[2] 내러시먼(Narasimhan, 1984),[3] 거스트너와 홀타우젠(Gerstner and Holthausen, 1986)은[4] 가격 차별화 기업이 소비자가 최저 가격을 찾는 것을 막기 위해 고의적으로 거래 비용을 발생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바쁜 소비자는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하고, 거래 비용이 적은 소비자는 더 낮은 가격을 지불한다. 예를 들어, 일부 소매업체는 토요일 오전 8시부터 11시까지 "3시간 세일"을 실시한다. 오전 11시 이전에 매장에 도착하는 소비자는 더 낮은 가격을 지불하지만, 이른 아침 쇼핑의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시간적 편의성을 원하는 바쁜 소비자는 해당 제품에 대해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할 수 있으므로, 기업은 더 편리한 제품을 더 비싸게 만들 수 있다.

6. 2. 미끼 상품 교체 디마케팅 (Bait and switch demarketing)

미끼 상품 교체 디마케팅 전략은 기업이 특정 제품을 광고하지만, 실제로 소비자가 해당 제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더 수익성이 높은 다른 제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전략이다. Gerstner와 Hess (1990) 및 Chu, Gerstner, Hess (1992)는 판매 프레젠테이션이나 구매 시점 디스플레이에서 제품을 비하하여 소비자가 광고된 브랜드를 구매하지 않도록 유도하는 행태를 연구했다.[1] 이러한 행위는 불법일 수 있다.[1]

6. 3. 재고 부족 디마케팅 (Stock outage demarketing)

잘 알려진 디마케팅 전략 중 하나는 재고 부족 디마케팅으로, 기업이 실제로 재고 부족을 계획하는 경우이다. 재고 부족은 소비자를 좌절시키지만, 매장은 종종 미래의 배송을 보장하는 레인 체크를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헤스와 게르스트너(1987)는 매장이 고객이 두 번 방문하여 각 방문 시 보완 제품을 구매할 수 있으므로 레인 체크가 있는 계획된 재고 부족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발라찬더와 파쿠하(1991)는 의도적인 재고 부족이 매장이 더 높은 가격을 청구하고 더 높은 이익을 얻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한 매장의 재고 부족 가능성은 다른 매장에 제품 재고가 있을 때 고객이 더 구매하려는 의지를 갖게 한다.

6. 4. 혼잡 비용 디마케팅 (Crowding costs demarketing)

혼잡 비용 디마케팅은 블랙 프라이데이에 구현되는 전략으로, 많은 소비자들이 낮은 가격에도 제품 구매를 꺼리게 만드는 혼잡함을 발생시킨다. 소매점, 호텔, 항공사는 제한된 수용 능력을 가지고 있다. 낮은 가격은 일반적으로 많은 수의 쇼핑객을 유치하므로, 고객은 혼잡한 주차 공간에서 공간을 찾아야 하고 긴 계산대 줄에 서 있어야 한다. 기업은 일부 고객이 혼잡 감소를 위해 더 높은 가격을 기꺼이 지불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의도적으로 수용 능력 제약을 받아들일 수 있다. Gerstner (1986)는 이러한 시장에서 대칭적인 균형 가격과 혼잡 비용을 도출했다.

6. 5. 차별화 디마케팅 (Differentiation Demarketing)

에이탄 게르스트너(Eitan Gerstner), 제임스 헤스(James Hess), 우진 추(Wujin Chu)는 1993년 논문 "차별화 전략으로서의 디마케팅"에서 디마케팅의 몇 가지 전략을 논의했다. 차별화 전략은 기업이 가격을 높게 유지하기 위해 소비자를 경쟁업체로 몰아넣는 "불쾌 요소"를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또한 경쟁업체와의 가격 경쟁을 피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7. 디마케팅의 사례

디마케팅은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의 수요를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전략이다. 다음은 디마케팅의 몇 가지 사례이다.


  • 의료: 1990년대 캐나다의 의료 소비 디마케팅 사례
  • 종이 절약: 종이 없는 제품 사용 장려
  • 물 절약: 캘리포니아 주의 물 사용 제한 및 인조 잔디 설치 지원
  • 탄소 발자국: 석탄 사용 규제 및 천연가스 사용 장려
  • 정크 푸드: 건강에 해로운 식품 및 음료 소비 억제
  • 담배: 카운터마케팅을 통한 수요 파괴

7. 1. 의료

1990년대 캐나다에서 발생한 의료 소비의 디마케팅은 실제 디마케팅의 한 예시이다. 캐나다의 사회적 의료 시스템은 과도한 사용이나 비효율적인 사용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오타와 대학교의 구르프리트 킨드라 박사는 1995년에 기고한 논문에서 전략적인 제안을 했다. 킨드라 박사는 소비를 억제하기 위해 일부 공동 부담금과 사용자 요금을 적용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또한 환자가 다른 전문 분야를 방문하기 전에 1차 연락처로부터 진료 의뢰를 받도록 요구하면, 더 관리되는 진료를 위한 시스템이 서비스 접근 횟수를 줄일 것이라고 제안했다. 그의 다른 제안으로는 공공 의료 서비스 이용을 줄이도록 장려하는 일반 대중을 위한 건강 증진과 교육, 그리고 캐나다의 공공 지원 응급 진료 시설과 같은 무료 또는 매우 할인된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여 환자의 편의성을 줄이고, 대신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할 의향이 있는 소비자들을 위해 사유화된 빠른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있었다.

7. 2. 종이 절약

가정과 사무실에서 종이 없는 제품 사용을 장려하여 나무를 보호하는 것은 종이 제품의 디마케팅의 한 예이다. 펜실베이니아, 텍사스, 위스콘신 등 여러 주에서 현재 전자 차량 등록증을 발급하고 있다.[11]

7. 3. 물 절약

캘리포니아 주는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물 사용을 제한하는 동시에 인조 잔디 설치에 대한 세금 환급을 제공하고 있다. 인조 잔디로 바꾸는 일반 가정은 연간 약 22000gal의 물을 절약한다.[12]

7. 4. 탄소 발자국

미국 환경보호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이 석탄에 대한 강력한 규제를 부과하고 발전소에서 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해 천연가스 사용을 장려하면 전력 생산에서 석탄의 감소를 가속화할 것이다.[13]

7. 5. 정크 푸드

포화 지방, 고과당 옥수수 시럽, 인공 재료가 함유된 식품 및 음료에 대항하여 섬유질이 풍부하고 유기농이며 건강한 제품을 홍보하는 것은 비만, 당뇨병 및 기타 질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7. 6. 담배

카운터마케팅은 수요를 파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카운터마케팅의 전략에는 금연/건강 캠페인, 담배 제품에 대한 세금 부과, 의무적인 경고 라벨 부착, 광고 공간 축소, 가격 인상, 그리고 니코틴 패치, 니코레트 껌, 니코레트 로젠지 등을 선호하도록 소비 공간을 제한하는 것이 포함된다.[1]

8. 의도하지 않은 결과

연구에 따르면, 반(反)마약 광고에 대한 행동 반응이 의도와 정반대로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반마약 캠페인에 대한 노출이 증가할수록 마약 사용이 증가하는 부메랑 효과가 발생한다. 이는 반마약 홍보가 "모두가 하고 있다"는 생각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14]

광고가 마약 사용과 관련된 "이점"을 묘사함으로써 마약에 대한 인식을 의도치 않게 긍정적으로 만들었을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연관성은 마약을 하는 동안 사람들이 겪는 "좋은 시간"을 암시하는 메시지와 이미지에 반복적으로 노출됨으로써 강화될 수 있다. 청소년의 신념과 행동은 나이가 많은 또래에 대한 인식의 영향을 받았다.[14]

2008년 ABC 뉴스는 연방 정부가 청소년의 마약 사용을 막기 위한 노력이 "청소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를 보도했다. 주 정부의 노력 또한 비판받았다. 2008년 12월 사이언스 데일리의 한 기사는 몬태나 주의 노력에 대해 "공공 자금으로 지원되는 그래픽 반(反)메스암페타민 광고 캠페인의 효과를 조사한 독립적인 검토 결과, 해당 캠페인이 많은 부정적인 결과와 관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라고 언급했다.[14]

참조

[1] 논문 Demarketing strategy in shortage marketing environment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989-02
[2] 웹사이트 What is demarketing? Definition and meaning - BusinessDictionary.com https://web.archive.[...] 2015-11-07
[3] 웹사이트 Demarketing Definition & Meaning - Merriam-Webster http://www.merriam-w[...]
[4] 웹사이트 Demarketing Definition & Meaning http://dictionary.re[...]
[5] 웹사이트 demarketing - Barrons Dictionary - AllBusiness.com http://www.allbusine[...]
[6] 간행물 Strategic Demarketing 2011
[7] 논문 Demarketing tobacco through governmental policies – The 4Ps revisited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009
[8] 논문 Social marketing: A pathway to consumption reduction?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009
[9] 간행물 Demarketing Inappropriate Healthcare Consumption: Canada's prized health care system suffers from chronic overuse Journal of Healthcare Marketing 1995-Summer
[10] 간행물 Demarketing of Health Services Journal of Healthcare Marketing 1994-Winter
[11] 웹사이트 TxDMV launches first paperless vehicle title system https://www.chron.co[...] 2013-11-12
[12] 뉴스 The Orange County Register 2014-04-12
[13] 뉴스 The Hill 2014-06-11
[14] 간행물 Who is Winning the War on Drugs? A Case in Marketing and Demarketing Atlantic Marketing Journal 2014-Win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