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아데모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아데모돈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발견된 키노돈트 목에 속하는 멸종된 테라포드이다. 1860년 오웬에 의해 Cynochampsa laniarius로 명명되었으나, 이후 Diademodon tetragonus로 이름이 변경되어 널리 사용된다. 디아데모돈 화석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나미비아, 남극, 잠비아, 아르헨티나 등에서 발견되었으며, 2005년 연구 이전까지는 두개골 이후 골격이 키노그나투스와 구별하기 어려웠다. 디아데모돈은 초식 또는 잡식 동물로 추정되며, 화석 연구를 통해 수생 환경에 적응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4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드리오사우루스
    쥐라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서식한 드리오사우루스는 긴 목과 다리, 각질 부리를 가진 최대 3m 크기의 조각류 공룡으로, 모리슨 층 등 다양한 지역에서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1894년에 'Dryosaurus altus'로 재분류되었다.
  • 1894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트리낙소돈
    트리낙소돈은 약 50cm 크기의 털로 덮인 작은 수수류로, 육식에 적합한 이빨을 가지고 곤충, 작은 초식동물 등을 먹었으며, 포유류 진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화석이다.
  • 키노그나투스류 - 만다곰포돈
  • 키노그나투스류 - 베이샤노돈
디아데모돈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베를린 자연사 박물관 소장 두개골
분류 정보
학명Diademodon
명명자Seeley, 1894
모식종Diademodon tetragonus
모식종 명명자Seeley, 1894
이명속 수준:
Cragievarus (Brink, 1965)
종 수준:
Cragievarus kitchingi (Brink, 1965)
D. grossarthi (Brink, 1979)
D. mastacus (Brink, 1979)
D. rhodesiensis (Brink, 1979)
Trirachodon browni (Broom, 1915)
고생물학적 정보
화석 범위트라이아스기 중기 (약 2억 4700만 년 전 ~ 2억 3700만 년 전)
크기2m

2. 발견 및 분류

CT 스캔을 기반으로 복원된 두개골


디아데모돈은 1860년 오웬(Owen)에 의해 ''키노참사 라니아리우스''(Cynochampsa laniarius)로 처음 명명되었다. 그러나 1982년 그리네(Grine)는 해리 실리(Harry Seeley)가 1894년에 제안한 ''디아데모돈 테트라고누스''(Diademodon tetragonus)라는 이름을 옹호했다. 실리는 오웬이 명명한 화석이 르노스터버그 산의 점토암 결절에서 발견되었다고 주장했기 때문에 오웬의 명명과 자신의 명명이 동일한 속을 가리킨다는 것을 깨닫지 못했다. 이후 한 고생물학자가 같은 지역을 탐사했지만, ''키노그나투스''(Cynognathus) 화석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5]

1988년까지 ''디아데모돈''은 가로로 확장된 볼 치아 때문에 곰포돈트(Gomphodont)로 여겨졌으나, 이후 두개골 형태의 중요한 차이점으로 인해 키노돈트(Cynodont) 목으로 분류되었다.[2][3] 1979년 고생물학자 A. S. 브링크(A. S. Brink)는 추가 종을 명명했지만, 현재는 동의어로 간주되며, 모식종은 ''디아데모돈 테트라고누스''이다. ''디아데모돈 테트라고누스'' 화석은 나미비아의 오밍곤데 지층(Omingonde Formation), 남극의 프레모 지층(Fremouw Formation), 잠비아의 엔타웨어 지층(Ntawere Formation), 아르헨티나 멘도사 주(Mendoza Province)의 리오 세코 데 라 케브라다 지층(Río Seco de la Quebrada Formation)에서 발견되었다.[4]

2. 1. 발견



해리 실리(Harry Seeley)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카루 분지(Karoo Basin)의 뷰포트 그룹(Beaufort Group)에 속하는 버거스도프 지층(Burgersdorp Formation)에서 화석을 발견했다. 1988년까지 ''디아데모돈''(Diademodon)은 가로로 확장된 볼 치아 때문에 곰포돈트(Gomphodont)로 여겨졌지만, 이후 두개골 형태의 중요한 차이점으로 인해 키노돈트(Cynodont) 목으로 분류되었다.[2][3] 고생물학자 A. S. 브링크(A. S. Brink)는 1979년에 추가 종을 명명했지만, 현재는 동의어로 간주되며, 모식종은 ''디아데모돈 테트라고누스''(Diademodon tetragonus)이다. ''디아데모돈 테트라고누스'' 화석은 최근 나미비아의 오밍곤데 지층(Omingonde Formation), 남극의 프레모 지층(Fremouw Formation), 잠비아의 엔타웨어 지층(Ntawere Formation), 아르헨티나 멘도사 주(Mendoza Province)의 리오 세코 데 라 케브라다 지층(Río Seco de la Quebrada Formation)에서 발견되었다.[4]

''디아데모돈''(Diademodon)이 현재까지 이 속에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름이지만, 원래 1860년 오웬(Owen)에 의해 ''키노참사 라니아리우스''(Cynochampsa laniarius)로 명명되었다. 이름 변경 제안은 1982년에 이루어졌으며, 그리네(Grine)는 해리 실리(Harry Seeley)가 제안한 이름인 ''디아데모돈 테트라고누스''(Diademodon tetragonus)를 옹호하며, 이 동물을 오웬이 고생물학 연구에서 조심스럽게 다루었던 테랍시다(Therapsida) 그룹에 속하게 했다. 해리 실리(Harry Seeley)는 1894년에 ''디아데모돈''(Diademodon)을 명명했는데, 이는 오웬이 이 속을 ''키노참사''(Cynochampsa)라고 명명한 후였으며, 실리는 오웬이 명명한 화석이 르노스터버그 산(Renosterberg Mountains)의 점토암 결절에서 발견되었다고 주장했기 때문에 이 둘이 동일하다는 것을 깨닫지 못했다. 이후 한 고생물학자가 그 화석이 발견되었다고 주장되는 같은 지역을 탐사했지만, ''키노그나투스''(Cynognathus) 화석의 증거는 없다고 발표했다.[5]

2. 2. 학명 논쟁



''디아데모돈''(Diademodon)은 현재까지 이 속에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름이지만, 원래 1860년 오웬(Owen)에 의해 ''키노참사 라니아리우스''(Cynochampsa laniarius)로 명명되었다. 1982년에 이름 변경 제안이 이루어졌으며, 그리네(Grine)는 해리 실리가 제안한 이름인 ''디아데모돈 테트라고누스''(Diademodon tetragonus)를 옹호하며, 이 동물을 오웬이 고생물학 연구에서 조심스럽게 다루었던 테랍시다(Therapsida) 그룹에 속하게 했다.[5] 해리 실리는 1894년에 ''디아데모돈''을 명명했는데, 이는 오웬이 이 속을 ''키노참사''라고 명명한 후였으며, 실리는 오웬이 명명한 화석이 르노스터버그 산(Renosterberg Mountains)의 점토암 결절에서 발견되었다고 주장했기 때문에 이 둘이 동일하다는 것을 깨닫지 못했다. 이후 한 고생물학자가 그 화석이 발견되었다고 주장되는 같은 지역을 탐사했지만, ''키노그나투스''(Cynognathus) 화석의 증거는 없다고 발표했다.[5]

2. 3. 분류학적 변천

2005년 Botha와 동료들이 수행한 연구 이전까지, ''디아데모돈''과 그 근연종인 ''키노그나투스''의 두개골 이후 골격은 구별하기가 거의 불가능했다. 이는 두 속 사이의 두개골 이후 골격의 유사성과 동일한 발굴 지점 때문이었다.[6][7] 새로운 기술을 통해 ''디아데모돈''과 ''키노그나투스''의 축골격을 분리할 수 있었다. 디아데모돈은 계절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는 원통형 성장 패턴을 보였고, 반면 ''키노그나투스''의 성장 패턴은 빠르고 지속적이었다는 것을 발견했다.[6]

2. 4. 키노그나투스와의 관계

2005년 Botha와 동료들의 연구 이전까지, 키노그나투스와 디아데모돈의 두개골 이후 골격은 구별하기가 거의 불가능했다. 이는 두 속 사이 두개골 이후 골격의 유사성과 동일한 발굴 지점 때문이었다.[6][7] 새로운 기술을 통해 디아데모돈과 키노그나투스의 축골격을 분리할 수 있었다. 디아데모돈은 계절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는 원통형 성장 패턴을 보였고, 반면 키노그나투스의 성장 패턴은 빠르고 지속적이었다는 것을 발견했다.[6]

3. 고생물학

생물 복원도


''디아데모돈''은 오랫동안 초식 동물로 여겨졌지만, 잡식성이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증거도 있다. ''디아데모돈''의 식단에 대한 구체적인 결론은 아직 명확하게 내려지지 않았는데,[1] 그 이유는 ''디아데모돈''의 이빨 때문일 수 있다. ''디아데모돈''의 송곳니는 매우 뚜렷했지만, 송곳니 뒤쪽의 이빨은 채식에 적응된 것으로 여겨졌다.[7] ''디아데모돈'' 화석에서 추출한 산소의 안정적인 경량 동위원소를 검사하여 이 유기체가 잎이 아닌, 시냇물, 강, 호수, 눈 녹은 물 등과 같은 다른 수원에서 물에 크게 의존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었다. ''디아데모돈''이 선호하는 서식지는 덮개가 많은 숲과 더 시원한 환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1]

3. 1. 식성

오랫동안 디아데모돈은 주로 초식동물로 알려졌지만, 잡식성이었을 수 있다는 증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디아데모돈의 식단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명확한 결론이 내려지지 않고 있다.[8] 그 이유는 디아데모돈의 치아 때문이다. 디아데모돈에게는 송곳니가 있었으나 채식에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9] 이들이 살았던 생태계는 캐노피 밀도가 높은 숲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들이 먹는 은 계곡, , 호수에서 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대한 해석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현재로서는 디아데모돈이 생애 대부분을 물속에서 보내지는 않았지만 이들이 쉽게 구할 수 있는 산소 함량이 낮은 얕은 물속의 해초를 먹었던 것으로 추정된다.[8]

3. 2. 수생 생활 가능성

오랫동안 디아데모돈은 초식동물로 알려졌지만, 잡식성이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증거도 있어 디아데모돈의 식단에 대한 명확한 결론은 아직 내려지지 않았다.[8] 그 이유는 디아데모돈의 직관적이지 않은 이빨 때문일 수 있는데, 디아데모돈의 송곳니는 매우 뚜렷했지만, 송곳니 뒤쪽의 이빨은 채식에 적응된 것으로 여겨졌다.[9] 디아데모돈 화석에서 추출한 산소의 안정적인 경량 동위원소를 검사하여 이들이 잎이 아닌, 시냇물, , 호수, 눈 녹은 물 등과 같은 다른 수원에서 물에 크게 의존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수원들은 디아데모돈의 생태에 대한 여러 추론을 가능하게 했다. 디아데모돈이 선호하는 서식지는 덮개가 많은 숲과 더 시원한 환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러한 가정은 추출된 조직에서 발견된 낮은 탄소 값에서 추론되었다. 이 데이터에 대한 또 다른 해석은 디아데모돈이 하마와 같은 행동을 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낮에는 깊은 물웅덩이에 머물고 밤에만 수생 환경을 떠나 먹이를 찾아다녔다는 것이다. 이것은 조직 샘플에서 발견된 낮은 산소 값에서 해석되었다. 그러나 디아데모돈이 형태학적으로나 동위원소적으로 장기간의 수생 생활에 대한 적응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이 가설은 잠정적으로 중단되었다. 뼈의 산소 수치가 하마와 같은 다른 반수생 생물의 수치와 일치하지 않았다. 세 번째로 제시된 가능성은 디아데모돈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수원 근처에 있었지만, 그 안에서 대부분의 생을 보내지는 않았을 수 있다는 것이다. 얕은 물의 해초를 먹었을 수 있는데, 이는 산소 함량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8]

4. 한국의 관련 연구 (추가)

(내용 없음)

참조

[1] 논문 The palaeoecology of the non-mammalian cynodonts Diademodon and Cynognathus from the Karoo Basin of South Africa, using stable light isotope analysis
[2] 서적 Vertebrate Paleontology and Evolution Freeman and Company
[3] 서적 2012. Forerunners of Mammals : Radiation Histology Biology. Indiana University Press
[4] 논문 "Diademodon tetragonus Seeley, 1894 (Therapsida: Cynodontia) in the Triassic of South America and its biostratigraphic implications"
[5] 논문 Diademodon Tetragonus Seeley, 1894 (Reptilia, Therapsida): Proposed conservation of generic and specific names Z.N.(S.) 1982-03
[6] 논문 The palaeoecology of the non-mammalian cynodonts Diademodon and Cynognathus from the Karoo Basin of South Africa, using stable light isotope analysis. 2005-04
[7] 서적 Mammal-like Reptiles and the Origin of Mammals University Museum of Zoology
[8] 저널 The palaeoecology of the non-mammalian cynodonts Diademodon and Cynognathus from the Karoo Basin of South Africa, using stable light isotope analysis https://www.scienced[...] 2005-08-01
[9] 저널 Mammal-Like Reptiles and the Origin of Mammals. http://dx.doi.org/10[...] 198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