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림표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딸림표현은 리 군의 자기 동형 사상으로부터 유도되는 리 대수의 표현이다. 리 군 G의 원소 g에 대한 내부 자기 동형 사상의 미분을 통해 리 대수의 자기 동형 사상 Adg를 얻으며, Ad: G → Aut(g)는 G의 딸림표현이 된다. 딸림표현은 리 군의 켤레 작용과 관련된 등방 표현으로, 리 군의 표현에서 리 대수의 표현으로 가는 것은 항등원에서 미분을 취함으로써 가능하다. 리 대수의 딸림표현은 리 대수의 원소 x에 대한 x의 수반 작용 adx: g → g, adx(y) = [x, y]로 정의되며, 리 대수의 수반 표현으로 불린다. 딸림표현의 미분은 리 대수의 딸림표현과 같으며, 지수 사상을 통해 리 군과 리 대수 준동형을 관련시킨다. 딸림표현은 리 군의 중심과 관련된 중요한 성질을 가지며, 구조 상수 및 다양한 예시를 통해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 대수 - 베유 대수
베유 대수는 체 K 위의 리 대수 g에 대하여 정의되는 미분 등급 대수이며, g의 쌍대 공간과 그 등급 이동으로 생성되는 외대수와 대칭 대수의 텐서곱으로 표현되고, 리 군의 분류 공간의 주다발의 무한소 형태를 나타내는 완전열과 관련이 있다. - 리 대수 - 아핀 리 대수
아핀 리 대수는 카츠-무디 대수의 특수한 경우로, 유한 차원 단순 리 대수에 대응하는 루프 대수의 중심 확장으로 구성되며, 딘킨 도표를 통해 분류되고, 끈 이론과 2차원 등각장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리 군 - 리 대수
리 대수는 가환환 위의 가군과 리 괄호 연산으로 구성되며 쌍선형성, 교대성, 야코비 항등식을 만족하고, 리 군 연구와 분류, 표현 이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리 군 - 보렐-베유-보트 정리
보렐-베유-보트 정리는 복소수 반단순 리 군의 표현론에서 층 코호몰로지를 사용하여 리 군의 기약 표현을 설명하며, 보렐-베유 정리와 보트의 일반화를 포함한다.
딸림표현 | |
---|---|
개요 | |
분야 | 수학, 물리학 |
하위 분야 | 선형대수학, 군론, 표현론, 미분기하학, 리 군, 리 대수 |
선형대수학적 정의 | |
정의 | 벡터 공간 V에서 정의된 리 대수 g에서 일반선형리대수 gl(V)로 가는 리 대수 준동형 사상 |
다른 표현 | g에서 V로의 리 대수 작용 |
역할 | g의 원소를 V의 선형 변환으로 표현 |
리 군의 딸림표현 | |
정의 | 리 군 G의 자기 동형 사상 Ad : G → Aut(G), Ad(g)(h) = ghg⁻¹ |
역할 | G의 원소를 G의 자기 동형 사상으로 표현 |
리 대수의 딸림표현 | |
정의 | 리 대수 g의 선형 사상 ad : g → gl(g), ad(x)(y) = [x, y] (리 괄호) |
역할 | g의 원소를 g의 선형 변환으로 표현 |
성질 | |
불변성 | 딸림표현은 리 괄호(Lie bracket)를 보존함: ad([x, y]) = [ad(x), ad(y)] |
자코비 항등식 | 리 대수의 딸림표현은 자코비 항등식(Jacobi identity)을 만족시킴 |
활용 | |
리 군 및 리 대수 연구 | 딸림표현은 리 군 및 리 대수의 구조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도구로 사용됨 |
표현론 | 다른 표현들을 구성하거나 분석하는 데 사용됨 |
물리학 | 물리학에서 대칭성을 다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
2. 정의
리 군 가 주어졌을 때, 그 리 대수 를 정의할 수 있다. 는 의 항등원에서의 접공간이다.
의 원소 에 대하여, 와 같이 내부 자기 동형 사상을 정의한다. 이 사상의 항등원에서의 밂을 취하면, 리 대수 의 자기 사상 를 얻을 수 있다. 이는 의 유한 차원 실수 표현을 이루며, 리 군 의 '''딸림표현'''이라고 한다.
2. 1. 리 군의 딸림표현
리 군 의 원소 에 대하여, 내부 자기 동형 사상 을 정의할 수 있다. 이 사상의 원점(항등원)에서의 미분(밂)을 통해 리 대수 의 자기 동형 사상 를 얻는다.는 리 군 의 딸림표현이다. 즉, 이는 사상
:
를 정의한다.
의 각 에 대해, 를 원점에서 의 도함수로 정의한다.
:
여기서 는 미분이고 는 원점 에서의 접 공간이다 (는 군 의 항등원). 가 리 군 자기 동형 사상이므로, 는 리 대수 자기 동형 사상이다. 즉, 를 자체적으로 보존하는 가역 선형 변환이다. 더 나아가, 가 군 준동형 사상이므로, 도 군 준동형 사상이다.[1] 따라서, 다음 사상
:
은 '''G'''의 '''수반 표현'''이라고 불리는 군 표현이다.
에 대해 에 대해 를 의 내부 자기 동형 사상이라 하고, 더 나아가 미분 에 의해 부수하는 리 대수의 동형 사상을 얻을 수 있다.
는 의 선형 사상이 되며, 준동형 사상
:
를 리 군의 딸림 표현이라고 한다.
2. 2. 리 대수의 딸림표현
가환환 위의 리 대수 가 주어졌을 때, 의 원소 에 대한 사상 를 정의한다. 는 에서 스스로 위의 리 대수 미분의 리 대수로 가는 리 대수 준동형이며, 의 표현으로 볼 수 있다. 이를 의 '''딸림표현'''이라고 한다.리 군 ''G''의 표현에서 리 대수의 표현으로 가는 것은 항등원에서 미분을 취하여 가능하다. ad는 G의 항등원에 대한 Ad의 미분이다.
수반 사상
:
의 항등원에서의 미분을 취하면 ''G''의 리 대수 의 '''수반 표현'''을 얻는다.
:
여기서 는 의 리 대수이며, 이는 의 미분 대수와 동일시될 수 있다.
이다. [2]
Ad와 ad는 지수 사상을 통해 관련되어 있다. Lie 대수의 모든 ''x''에 대해 Adexp(''x'') = exp(ad''x'')이다.[4]
가 유한 차원이고, 이에 대한 기저가 선택되면, 는 정사각 행렬의 리 대수이고, 합성은 행렬 곱셈에 해당한다.
의 각 원소 에 대해, 선형 사상 는 라이프니츠 법칙을 따른다.
:
즉, ad''z''는 미분이며 ad 아래의 의 이미지는 Der, 즉 의 모든 미분들의 공간의 부분 대수이다.
라이프니츠 공식과 유사한 다음 공식이 있다: 스칼라 와 리 대수 원소 에 대해,
:
3. 성질
리 군의 딸림표현의 미분은 리 대수의 딸림표현과 같다().[2] 아벨 리 군의 딸림표현은 자명하다(항등 함수로 가는 상수 함수). 연결된 리 군 의 딸림표현의 핵(kernel)은 의 중심과 일치한다. 딸림표현은 지수 사상을 통해 관련된다: Adexp(''x'') = exp(ad''x'').[4]
정의에서 언급된 다양한 맵의 속성은 아래 표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리 군 준동형사상: | 리 군 자기 동형사상: |
리 군 준동형사상: | 리 대수 자기 동형사상: |
리 대수 준동형사상: | 리 대수 미분: |
4. 구조 상수
리 대수에서 기저 벡터를 라고 할 때, 구조 상수 는 로 정의된다. 딸림표현의 행렬 성분은 구조 상수를 통해 와 같이 표현된다. 예를 들어, '''su(2)'''의 아다조인트 표현은 '''so(3)'''의 정의 표현이다.
5. 예
- ''G''가 가환군이면, ''G''의 딸림표현은 자명한 ''n''차원 표현이다.
- ''G''가 행렬 리 군이면, Ad''g''(''x'') = ''gxg''−1이다.
- ''G''가 SL(2, '''R''')이면, 이변수 이차 형식 공간에서 ''G''의 작용으로 주어지는 표현과 동치이다.
- ''G''가 반단순 리 군이면, 딸림표현의 영이 아닌 무게는 근계를 형성한다.[6]
5. 1. SL(2, R)의 예
반단순군 ''G'' = SL(''n'', '''R''')의 경우, 대각 행렬 diag(''t''1, ..., ''t''''n'')을 최대 토러스 ''T''로 사용할 수 있다. ''T''의 원소에 의한 켤레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6]:
따라서, ''T''는 ''G''의 리 대수의 대각 부분에 자명하게 작용하고, 다양한 비대각 항목에 대해서는 고유 벡터 ''t''''i''''t''''j''−1로 작용한다. ''G''의 근은 diag(''t''1, ..., ''t''''n'') → ''t''''i''''t''''j''−1인 무게이다. 이는 ''G'' = SL''n''('''R''')의 근계를 ''ei''−''ej'' 형태의 벡터 집합으로 표준적으로 설명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SL(2, '''R''')은 행렬식이 1인 2차원 행렬의 집합으로 구성된 군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의 행렬로 구성된다.
:
여기서 ''a'', ''b'', ''c'', ''d''는 실수이고 ''ad'' − ''bc'' = 1이다.
최대 토러스 ''T''는 다음과 같은 형태의 모든 행렬의 부분 집합이다.
:
여기서 이다.
최대 토러스의 리 대수는 다음과 같은 행렬로 구성된 카르탕 부분대수이다.
:
SL(2, ''R'')의 원소를 최대 토러스의 원소로 켤레하면 다음과 같다.
:
다음 행렬들은 켤레 연산의 '고유 벡터'이며, 고유값은 이다.
:
를 제공하는 함수 Λ는 군의 토러스에서 기본 필드 R로의 곱셈 문자 또는 준동형 사상이다. θ를 제공하는 함수 λ는 행렬의 span으로 주어진 무게 공간을 가진 리 대수의 무게이다.
6. 추가 정보
'''쌍대 수반 표현'''은 수반 표현의 반대 표현이다. 알렉산드르 키릴로프는 쌍대 수반 표현에서 임의의 벡터의 궤도가 심플렉틱 다양체임을 보였다. '''궤도 방법'''으로 알려진 표현론의 철학(키릴로프 문자 공식 참조)에 따르면, 리 군 ''G''의 기약 표현은 쌍대 수반 궤도에 의해 어떤 방식으로 색인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계는 멱영 리 군의 경우에 가장 가깝다.
참조
[1]
문서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