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땅꾼자리 RS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땅꾼자리 RS는 백색 왜성과 수소가 풍부한 동반성으로 이루어진 공생성 변광성으로, 백색 왜성으로의 물질 강착을 통해 폭발 현상을 보인다. 짧은 폭발 간격과 Ia형 초신성으로 진화할 가능성 때문에 천문학 연구의 중요한 대상이다. 1898년 발견 이후 여러 차례 폭발이 관측되었으며, 2021년에도 폭발이 일어났다. 2006년 폭발 당시에는 전파, 가시광선, X선 등 다양한 파장에서 관측이 이루어졌으며, 폭발로 방출된 물질이 제트 형태로 좁혀져 적색 거성의 항성풍과 충돌하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폭발 시 밝기는 0.6일 안에 3등급 증가하며, 이후 빠르게 어두워지는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적색거성 - 적색거성가지의 첨단부
    적색거성가지의 첨단부는 별의 헬륨 핵융합 시작으로 발생하는 현상으로, 금속 함량이나 질량에 따른 광도 변화가 거의 없어 절대 등급 -4.0±0.1의 표준 촉광으로 사용되어 오래된 별 무리의 거리를 측정하는 데 활용된다.
  • 백색왜성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 백색왜성 - 프로키온
    프로키온은 작은개자리에 있는 밝은 쌍성계로, F형 주계열성 단계를 거의 마친 주성 프로키온 A와 백색 왜성인 프로키온 B로 이루어져 밤하늘에서 여덟 번째로 밝게 보이며 여러 문화권에서 숭배받고 과학적으로 연구되는 별이다.
  • M형 거성 - HE 1523-0901
    HE 1523-0901은 태양 질량의 약 80%이며 약 132억 년 된 것으로 추정되는 분광쌍성으로, 초기 우주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 M형 거성 - 미라 (항성)
    미라는 고래자리에 있는 변광성으로, 약 332일 주기로 밝기가 변하며, 적색 거성인 미라 A와 백색 왜성인 미라 B로 이루어진 이중성계이다.
땅꾼자리 RS
기본 정보
2006년 2월 반복신성 땅꾼자리 RS가 폭발하는 모습
2006년 2월 폭발한 회귀신성 땅꾼자리 RS
화명뱀주인자리 RS별
영명RS Ophiuchi
별자리뱀주인자리
겉보기 등급9.6 - 13.5 (안정 시), < 5 (폭발 시)
분광형M2 III / 백색 왜성
변광성반복신성
관측 정보
시선 속도-39.0 km/s
고유 운동 (적경)1.178 밀리초/
고유 운동 (적위)-5.915 밀리초/년
연주시차0.4419
연주시차 오차0.0527
거리4,600 광년 (1.4 킬로파섹)
물리적 특징
질량WD: 1.35 M☉
스펙트럼 분류WD + M0/2 III
궤도 정보
공전 주기453.6 일
기타 명칭
기타 명칭HD 162214, 뱀주인자리 제3신성, 1898년 뱀주인자리 신성, 1933년 뱀주인자리 신성, 1958년 뱀주인자리 신성, 1967년 뱀주인자리 신성, 2006년 뱀주인자리 신성, BD-06 4661
위치 정보
뱀주인자리 RS별의 위치 (원으로 표시)

2. 특징

뱀주인자리 RS는 백색 왜성과 수소가 풍부한 동반성으로 이루어진 공생성 변광성이다. 이 별은 백색 왜성으로의 물질 강착을 통해 폭발 현상을 보인다. 백색 왜성은 동반성으로부터 물질을 끌어당겨 축적하며, 이 과정에서 열핵 폭주가 발생하여 밝기가 급증하는 폭발이 일어난다. 뱀주인자리 RS의 짧은 폭발 간격은 백색 왜성의 높은 질량과 동반성으로부터의 효율적인 질량 강착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특징은 뱀주인자리 RS가 Ia형 초신성으로 진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백색 왜성이 질량을 계속 축적하여 찬드라세카르 한계에 도달하면 핵융합 반응이 시작되어 초신성 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진화 과정은 천문학계의 중요한 연구 대상이며, 뱀주인자리 RS는 Ia형 초신성 연구의 중요한 관측 대상 중 하나이다.

2. 1. 개요

2. 2. 공생성 및 폭발 메커니즘

뱀주인자리 RS는 백색 왜성과 수소가 풍부한 동반성으로 이루어진 공생성 변광성이다. 이 별은 백색 왜성으로의 물질 강착을 통해 폭발 현상을 보인다. 백색 왜성은 동반성으로부터 물질을 끌어당겨 축적하며, 이 과정에서 열핵 폭주가 발생하여 밝기가 급증하는 폭발이 일어난다. 뱀주인자리 RS의 짧은 폭발 간격은 백색 왜성의 높은 질량과 동반성으로부터의 효율적인 질량 강착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특징은 뱀주인자리 RS가 Ia형 초신성으로 진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백색 왜성이 질량을 계속 축적하여 찬드라세카르 한계에 도달하면 핵융합 반응이 시작되어 초신성 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진화 과정은 천문학계의 중요한 연구 대상이며, 뱀주인자리 RS는 Ia형 초신성 연구의 중요한 관측 대상 중 하나이다.

3. 폭발 기록

1898년, 윌리애미나 플레밍은 사진 건판을 조사하던 중 땅꾼자리 RS가 변광성임을 발견했다. 이어서, 애니 점프 캐넌은 1898년에 이 별의 급격한 증광 현상을 확인했다. 1907년에는 땅꾼자리 RS의 증광 현상은 관측되지 않았지만, 감광 후 약 5개월 동안 광도 곡선에서 1등급 어두운 상태가 지속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33년, 뱀주인자리 RS별은 혜성 관측으로 유명했던 에페 로레타가 뱀주인자리 Y별을 관측하던 중 우연히 발견했다. 독립적으로는 레슬리 펠티어가 발견했다. 이 폭발로 뱀주인자리 RS별은 신성으로서의 위상을 갖게 되었다.

1945년, 땅꾼자리 RS는 태양과의 근접 때문에 극대 시기에 관측이 불가능했다. 하지만, 미국 변광성 관측자 협회(AAVSO)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 시기에 폭발이 일어났음이 밝혀졌다.

1958년, 사이러스 페르날드(Cyrus Fernald)가 땅꾼자리 RS의 극대 현상을 발견했다. 당시 관측 기록에 따르면, 이 별은 흰색에서 감광 현상을 보이며 점차 붉은색으로 변해갔다. 이러한 색 변화는 폭발 이후 수소-알파 방출이 강해졌음을 의미하며, 땅꾼자리 RS가 속하는 왜소 신성(dwarf nova)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1967년, 막스 바이어가 이 변광성을 발견했다. 파르날도도 독립적으로 발견했으나, 시차 계산 결과 바이어가 먼저 검출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1985년 4월 21일, 워렌 C. 모리슨은 땅꾼자리 RS의 폭발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웨인 M. 로더와 조지 올코크도 독립적으로 이 현상을 관측했다. 이 폭발은 X선,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전파 등 다양한 파장의 전자기파로 관측되었으며, 이는 천문학 연구에 있어 획기적인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이를 통해 과학자들은 다양한 파장에서의 관측을 통해 폭발 현상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었다.

2006년, 일본의 나루미 히로아키 등이 땅꾼자리 RS의 폭발을 관측했다. 이 폭발 당시 겉보기 등급은 4.5등급에 이르렀다. 관측 결과, 폭발에 의해 방출된 고속 물질과 적색 거성의 항성풍이 충돌하면서 강한 충격파가 빠르게 형성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2021년 8월 8일, 브라질의 아마추어 천문학자 알렉상드르 아모림이 새로운 폭발 현상을 감지하고 이를 미국 변광성 관측자 협회(AAVSO)에 보고했다. 이후, 페르미 감마선 우주 망원경 또한 이 폭발을 확인했다.

3. 1. 연도별 폭발 기록

1898년 5월 13일, 땅꾼자리 RS가 처음 폭발했다. 1907년 3월 25일, 두 번째 폭발이 관측되었다. 1933년 7월 9일에 세 번째 폭발이 일어났고, 1945년 7월 8일에는 네 번째 폭발이 있었다. 다섯 번째 폭발은 1958년 5월 24일에, 여섯 번째 폭발은 1967년 5월 25일에 관측되었다. 일곱 번째 폭발은 1985년 2월 11일에 일어났으며, 2006년 2월 12일에는 여덟 번째 폭발이 있었다. 아홉 번째이자 가장 최근의 폭발은 2021년 8월 8일에 발생했다.

3. 2. 주요 폭발 상세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위키텍스트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2. 1. 1898년

1898년, 천문학자 윌리애미나 플레밍은 사진 건판을 조사하던 중 땅꾼자리 RS가 변광성임을 발견했다. 이어서, 애니 점프 캐넌은 1898년에 이 별의 급격한 증광 현상을 확인했다.

3. 2. 2. 1907년

1907년에는 땅꾼자리 RS의 증광 현상은 관측되지 않았지만, 감광 후 약 5개월 동안 광도 곡선에서 1등급 어두운 상태가 지속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3. 2. 3. 1933년

1933년, 뱀주인자리 RS별은 혜성 관측으로 유명했던 에페 로레타가 뱀주인자리 Y별을 관측하던 중 우연히 발견했다. 독립적으로는 레슬리 펠티어가 발견했다. 이 폭발로 뱀주인자리 RS별은 신성으로서의 위상을 갖게 되었다.

3. 2. 4. 1945년

1945년, 땅꾼자리 RS는 태양과의 근접 때문에 극대 시기에 관측이 불가능했다. 하지만, 미국 변광성 관측자 협회(AAVSO)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 시기에 폭발이 일어났음이 밝혀졌다.

3. 2. 5. 1958년

1958년, 사이러스 페르날드(Cyrus Fernald)가 땅꾼자리 RS의 극대 현상을 발견했다. 당시 관측 기록에 따르면, 이 별은 흰색에서 감광 현상을 보이며 점차 붉은색으로 변해갔다. 이러한 색 변화는 폭발 이후 수소-알파 방출이 강해졌음을 의미하며, 땅꾼자리 RS가 속하는 왜소 신성(dwarf nova)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3. 2. 6. 1967년

1967년, 막스 바이어가 이 변광성을 발견했다. 파르날도도 독립적으로 발견했으나, 시차 계산 결과 바이어가 먼저 검출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3. 2. 7. 1985년

1985년 4월 21일, 워렌 C. 모리슨은 땅꾼자리 RS의 폭발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웨인 M. 로더와 조지 올코크도 독립적으로 이 현상을 관측했다. 이 폭발은 X선,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전파 등 다양한 파장의 전자기파로 관측되었으며, 이는 천문학 연구에 있어 획기적인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이를 통해 과학자들은 다양한 파장에서의 관측을 통해 폭발 현상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었다.

3. 2. 8. 2006년

2006년, 일본의 나루미 히로아키 등이 땅꾼자리 RS의 폭발을 관측했다. 이 폭발 당시 겉보기 등급은 4.5등급에 이르렀다. 관측 결과, 폭발에 의해 방출된 고속 물질과 적색 거성의 항성풍이 충돌하면서 강한 충격파가 빠르게 형성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3. 2. 9. 2021년

2021년 8월 8일, 브라질의 아마추어 천문학자 알렉상드르 아모림이 새로운 폭발 현상을 감지하고 이를 미국 변광성 관측자 협회(AAVSO)에 보고했다. 이후, 페르미 감마선 우주 망원경 또한 이 폭발을 확인했다.

4. 관측적 특징

2006년 폭발 당시, 초장기선 간섭계(VLBI) 관측을 통해 땅꾼자리 RS에서 비열적 전파 방사, 즉 싱크로트론 방사가 쌍극 구조를 이루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폭발로 방출된 물질이 제트 형태로 좁혀져 적색 거성의 항성풍과 충돌하면서 발생한 충격파의 결과로 분석된다. 허블 우주 망원경과 멕시코 국립 천문대의 관측 결과, 가시광선에서도 땅꾼자리 RS의 신성 잔해가 쌍극 구조를 보였다. 이 구조는 바깥쪽의 고속 영역과 안쪽의 저속 고밀도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경X선 관측에서는 폭발 직후 급격한 감광 현상이 나타났다. 반면, 연X선 관측에서는 폭발 후 26일째에 새로운 광원이 나타났으며, 이는 백색 왜성 표면에서 핵 연소가 진행되었음을 시사한다. X선 스펙트럼 분석 결과, 고온 및 저온 성분이 모두 존재함이 밝혀졌다. 폭발의 방출물과 상호 작용하는 별 주위 물질은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Ia형 초신성에서도 관측되는 특징이다. 이러한 별 주위 물질의 존재는 땅꾼자리 RS가 Ia형 초신성이 될 수 있다는 시나리오를 뒷받침한다. Ia형 초신성은 질량이 큰 백색 왜성이 동반성으로부터 물질을 흡수하여 임계 질량에 도달,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면서 폭발하는 현상이다. 땅꾼자리 RS의 폭발 이후 관측된 특징들은 Ia형 초신성에서 보이는 현상과 유사하며, 이는 땅꾼자리 RS가 미래에 Ia형 초신성으로 진화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4. 1. 광도 변화

폭발 시 밝기 변화는 매번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폭발이 일어나면 0.6일 안에 3등급의 밝기 증가를 보이며 극대에 도달한다. 극대 이후 빠르게 어두워지며, 폭발 후 100일에서 500일 사이에 "계곡"이 나타나 밝기가 통상적인 정온기보다 더 어두워진다.

4. 2. 다파장 관측

2006년 폭발 당시, 초장기선 간섭계(VLBI) 관측을 통해 땅꾼자리 RS에서 비열적 전파 방사, 즉 싱크로트론 방사가 쌍극 구조를 이루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폭발로 방출된 물질이 제트 형태로 좁혀져 적색 거성의 항성풍과 충돌하면서 발생한 충격파의 결과로 분석된다.

허블 우주 망원경과 멕시코 국립 천문대의 관측 결과, 가시광선에서도 땅꾼자리 RS의 신성 잔해가 쌍극 구조를 보였다. 이 구조는 바깥쪽의 고속 영역과 안쪽의 저속 고밀도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경X선 관측에서는 폭발 직후 급격한 감광 현상이 나타났다. 반면, 연X선 관측에서는 폭발 후 26일째에 새로운 광원이 나타났으며, 이는 백색 왜성 표면에서 핵 연소가 진행되었음을 시사한다. X선 스펙트럼 분석 결과, 고온 및 저온 성분이 모두 존재함이 밝혀졌다.

4. 3. Ia형 초신성과의 연관성

폭발의 방출물과 상호 작용하는 별 주위 물질은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Ia형 초신성에서도 관측되는 특징이다. 이러한 별 주위 물질의 존재는 땅꾼자리 RS가 Ia형 초신성이 될 수 있다는 시나리오를 뒷받침한다. Ia형 초신성은 질량이 큰 백색 왜성이 동반성으로부터 물질을 흡수하여 임계 질량에 도달,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면서 폭발하는 현상이다. 땅꾼자리 RS의 폭발 이후 관측된 특징들은 Ia형 초신성에서 보이는 현상과 유사하며, 이는 땅꾼자리 RS가 미래에 Ia형 초신성으로 진화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참조

[1] 논문 On the Distance of RS Ophiuchi
[2] 논문 Spectroscopic orbits and variations of RS Ophiuchi
[3] 논문 RS Ophiuchi http://www.cbat.eps.[...] 2004-08
[4] harvnb
[5] harvnb
[6] 논문 Swift Observations of the 2006 Outburst of the Recurrent Nova RS Ophiuchi. I. Early X-Ray Emission from the Shocked Ejecta and Red Giant Wind http://www.iop.org/E[...] 2006
[7] 논문 No Expanding Fireball: Resolving the Recurrent Nova RS Ophiuchi with Infrared Interferometry http://www.iop.org/E[...] 2006
[8] 논문 AMBER/VLTI interferometric observations of the recurrent Nova RS Ophiuchii 5.5 days after outburst https://hal.archives[...] 2007
[9] 논문 Rise and fall of silicate dust in RS Ophiuchi following the 2006 eruption
[10] 웹사이트 RS Ophiuchi {{!}} aavso https://www.aavso.or[...] 2021-09-28
[11] 웹사이트 '[vsnet-alert 26131] Outburst of RS Ophiuchi' http://ooruri.kusast[...] 2021-08-09
[12] 웹사이트 'ATel #14834: Fermi-LAT Gamma-ray Detection of the Recurrent Nova RS Oph' https://astronomerst[...] 2021-08-09
[13] 웹사이트 再帰新星へびつかい座RSが15年ぶりに爆発、4等台に https://www.astroart[...]
[14] 문서 距離([[光年]])は、距離([[パーセク]])× 3.26 により計算。有効数字2桁。
[15] 웹사이트 Contact http://www.vcastro.c[...] 2019-11-14
[16] 웹사이트 RS Oph -- Nova https://simbad.u-str[...] "[[ストラスブール天文データセンター|CDS]]" 2019-11-13
[17] 간행물 "[[変光星総合カタログ|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2009-01
[18] 웹사이트 RS Ophiuchi https://www.aavso.or[...] "[[アメリカ変光星観測者協会|AAVSO]]" 2000-05
[19] 웹사이트 RS Ophiuchi in outburst https://www.eso.org/[...] "[[ヨーロッパ南天天文台|ESO]]" 2019-11-14
[20] 간행물 A Catalog and Atlas of Cataclysmic Variables: The Living Edition 2001-06
[21] 간행물 RS Ophiuchi (2006) and the Recurrent Nova Phenomenon 2008-12
[22] 간행물 Supersoft X-Ray Light Curve of RS Ophiuchi (2006) 2007-04
[23] 간행물 Recurrent novae at quiescence: systems with giant secondaries 1999-04
[24] 간행물 Spectroscopic orbits and variations of RS Ophiuchi 2009-04
[25] 간행물 新星總覽(三) https://www.asj.or.j[...] 1920-12
[26] 간행물 Comprehensive Photometric Histories of All Known Galactic Recurrent Novae 2010-04
[27] 간행물 An Extended Grid of Nova Models. II. The Parameter Space of Nova Outbursts 2005-04
[28] 간행물 Sixty-four new variable stars 1901-04
[29] 간행물 Stars having peculiar spectra 1904-05
[30] 간행물 A probable new star, RS Ophuichi 1905-07
[31] 간행물 RS Ophiuchi 2004-08
[32] 간행물 RS Ophiuchi 1933-08
[33] 간행물 Analysis of Long-Term AAVSO Observations of RS Ophiuchi 1993
[34] 간행물 A pre-outburst signal in the long-term optical light curve of the recurrent nova RS Ophiuchi 2011-07
[35] 간행물 RS Ophiuchi 1985-01
[36] 간행물 RS Ophiuchi 1985-01
[37] 간행물 RS Ophiuchi 2006-02
[38] 웹사이트 No.186: 21年ぶりの反復新星、肉眼で見える明るさまで増光中! https://www.nao.ac.j[...] 国立天文台 2006-02-14
[39] 논문 Swift Observations of the 2006 Outburst of the Recurrent Nova RS Ophiuchi. I. Early X-Ray Emission from the Shocked Ejecta and Red Giant Wind 2006-11
[40] 논문 Exquisite Nova Light Curves from the Solar Mass Ejection Imager (SMEI) 2010-11
[41] 논문 An asymmetric shock wave in the 2006 outburst of the recurrent nova RS Ophiuchi 2006-07
[42] 논문 Uncovering the Nature of Nova Jets: A Radio Image of Highly Collimated Outflows from RS Ophiuchi 2008-10
[43] 논문 The Expanding Nebular Remnant of the Recurrent Nova RS Ophiuchi (2006). II. Modeling of Combined Hubble Space Telescope Imaging and Ground-based Spectroscopy 2009-10
[44] 논문 Hubble Space Telescope Imaging of the Expanding Nebular Remnant of the 2006 Outburst of the Recurrent Nova RS Ophiuchi 2007-08
[45] 논문 Connecting RS Ophiuchi to [some] type Ia supernovae 2011-06
[46] 논문 An X-ray-emitting blast wave from the recurrent nova RS Ophiuchi 2006-07
[47] 논문 The Supersoft X-ray Phase of Nova RS Ophiuchi 2006 2011-02
[48] 논문 X-Ray Spectroscopic Diagnosis of a Wind-Collimated Blast Wave and Metal-Rich Ejecta from the 2006 Explosion of RS Ophiuchi 2009-01
[49] 논문 High-Resolution X-Ray Spectroscopy of the Evolving Shock in the 2006 Outburst of RS Ophiuchi 2009-02
[50] 논문 A Theoretical Light-Curve Model for the 1985 Outburst of RS Ophiuchi http://www.journals.[...]
[51] 저널 Theoretical light curve for the recurrent nova RS Ophiuchi - Determination of the white dwarf mass, composition, and distance 1991
[52] 저널 Swift Observations of the 2006 Outburst of the Recurrent Nova RS Ophiuchi. I. Early X-Ray Emission from the Shocked Ejecta and Red Giant Wind http://www.iop.org/E[...] 2006
[53] 저널 No Expanding Fireball: Resolving the Recurrent Nova RS Ophiuchi with Infrared Interferometry http://www.iop.org/E[...]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