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닌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닌 산은 안데스 산맥의 대서양-태평양 분수령에 위치하며, 1881년 아르헨티나-칠레 조약에 따라 아르헨티나와 칠레의 국경에 걸쳐 있는 성층 화산이다. 북쪽에는 트롬렌 호수, 남쪽에는 파이문 호수가 위치한다. 라닌 산은 비야리카, 케트루필란과 함께 북서-남동 방향으로 뻗은 화산맥을 형성하며, 화산 아래 단층의 존재가 이러한 배열의 원인으로 추정된다. 현무암이 가장 흔한 암석이며, 비야리카보다 알칼리 대 실리카 비율이 높아 맨틀 내 뚜렷한 근원 지역을 갖는다는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우켄주의 지형 - 코파우에산
    아르헨티나와 칠레 국경에 있는 코파우에 산은 3,000m가 넘는 활화산으로, 칼데라, 분화구, 빙하, 숲, 호수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산 활동과 관광지 및 지열 에너지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 안데스산맥의 3000미터 봉우리 - 야이마 화산
    칠레에 있는 활화산인 야이마 화산은 두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고 여러 강으로 배수되는 지역에 위치하며, 17세기 이후 여러 차례 분화했고 서쪽 사면에는 스키 센터가 있다.
  • 안데스산맥의 3000미터 봉우리 - 피츠로이산
    피츠로이산은 아르헨티나 산타크루스주와 칠레 국경 지대에 위치하며, 아르헨티나의 상징으로 주기와 주 문장에 등장하고, 다양한 등반 기록이 있는 산이다.
  • 아르헨티나의 성층 화산 - 오호스델살라도산
    오호스델살라도산은 칠레와 아르헨티나 국경에 위치한 세계에서 가장 높은 활화산으로, 정상에 세계에서 가장 높은 호수가 있으며, 등산, 연구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된다.
  • 아르헨티나의 성층 화산 - 몬테피시스
    몬테피시스는 안데스 산맥에 위치한 6,792m 높이의 "물고기 산"을 의미하는 이탈리아어 이름으로, 약 660만 년에서 620만 년 전에 형성된 안산암-데이사이트질 화산 중심지이며 등반 난이도가 높아 환경 보호 노력이 필요한 곳이다.
라닌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마무일 말랄 고개에서 바라본 라닌 산
마무일 말랄 고개에서 바라본 라닌 산
기본 정보
이름라닌
위치아르헨티나 / 칠레
산맥안데스 산맥
높이3,747 m
돌출 높이2,631 m
지역 최고점아라우카니아 주
울트라 저명 봉우리
산 종류성층 화산
화산대남부 화산대
마지막 분화560 CE ± 150년

2. 지리 및 지질

라닌 산은 안데스 산맥의 대서양-태평양 분수령에 위치하며, 1881년 국경 조약에 따라 아르헨티나칠레의 국경에 걸쳐 있다. 산의 북쪽에는 트롬렌 호수가, 남쪽에는 파이문 호수가 자리한다.

이 산은 북서-남동 방향으로 뻗어있는 세 개의 큰 성층 화산으로 이루어진 산맥의 일부로, 가장 동쪽에 위치한다. 라닌 산은 편마암, 장석질 심성암, 화산 쇄설물 등으로 구성된 기반암 위에 형성되었으며, 화산 활동의 결과로 다양한 암석이 분포하는데 현무암이 가장 흔하게 발견된다. 또한, 인근 화산과 비교했을 때 독특한 암석학적 특징을 보인다.[3]

2. 1. 지리적 특징

라닌 산은 안데스 산맥의 대서양-태평양 분수령에 자리 잡고 있으며, 1881년 국경 조약에 따라 아르헨티나칠레의 국경에 걸쳐 있다. 산의 북쪽에는 트롬렌 호수가, 남쪽에는 파이문 호수가 위치한다.

라닌 산은 북서-남동 방향으로 이어지는 세 개의 주요 성층 화산으로 이루어진 산맥에서 가장 동쪽에 있는 화산이다. 이 산맥에는 서쪽 끝의 비야리카와 중간의 케트루필란이 포함된다. 이러한 배열은 화산 아래에 단층이 존재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역사적으로 라닌 산은 이 세 화산 중에서 활동이 가장 적었다. 비야리카와 케트루필란 외에도 이 배열에는 오래되고 침식된 여러 성층 화산의 잔해들이 남아 있다.

화산 자체는 편마암, 장석심성암, 화산 쇄설물 시퀀스로 이루어진 기반암 위에 놓여 있다. 이 기반암은 서쪽으로 북-남 방향의 레이골릴-피리우에이코 단층에 의해 경계가 지어지는 구조적으로 융기된 블록을 형성한다. 화산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부분은 다사이트 용암류로, 주상 절리의 특징을 보이며, 후기 플라이오세에서 초기 플라이스토세 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3]

현무암은 라닌 산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암석이다. 전반적으로 라닌 산은 비야리카 화산보다 알칼리(Na2O와 K2O의 합) 대 실리카 비율이 더 높다. 이는 화산 아래에서 마그마의 용융 정도가 낮았음을 시사하며, 이 산맥의 화산들이 지구 맨틀 내에서 서로 다른 근원 지역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라닌 산의 또 다른 암석학적 특징으로는 쌍봉 화산 활동이 있다.

2. 2. 지질학적 특징

라닌 산은 편마암, 장석질 심성암, 화산 쇄설물 시퀀스로 이루어진 기반암 위에 자리 잡고 있다. 이 기반암은 서쪽으로 북-남 방향의 레이골릴-피리우에이코 단층에 의해 제한된 구조적으로 융기된 블록을 구성한다. 화산의 가장 오래된 부분으로 알려진 것은 다사이트 용암류이며, 주상 절리를 보인다. 이 용암류는 후기 플라이오세에서 초기 플라이스토세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3]

현무암은 이 화산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암석이다. 라닌 산은 인근의 비야리카보다 전반적으로 알칼리(Na2O와 K2O의 합) 대 실리카 비율이 더 높다. 이는 화산 아래 마그마의 용융 정도가 낮다는 것을 반영하며, 이 지역 화산들이 지구 맨틀 내에서 서로 다른 근원 지역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라닌 산의 또 다른 암석학적 특징으로는 쌍봉 화산 활동이 있다.

2. 3. 암석학적 특징

화산 자체는 편마암, 장석질 심성암, 화산 쇄설물 시퀀스로 이루어진 기반암 위에 자리 잡고 있다. 화산의 가장 오래된 부분으로 알려진 것은 다사이트 용암류로, 주상 절리를 보이며, 후기 플라이오세에서 초기 플라이스토세에 이르는 연대가 제시되었다.[3]

현무암은 이 화산의 가장 흔한 암석이다. 라닌 산은 전반적으로 비야리카보다 알칼리(Na2O와 K2O의 합) 대 실리카 비율이 더 높다. 이는 화산 아래 맨틀 내에서 용융의 정도가 낮음을 반영하며, 이 산맥의 화산들이 뚜렷한 근원 지역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라닌 산의 또 다른 암석학적 특징은 쌍봉 화산 활동이다.

참조

[1] 웹사이트 Volcán Lanín, Argentina/Chile http://www.peakbagge[...] 2023-12-06
[2] 간행물 2020-03-26
[3] 논문 Lanín volcano (39.5°S), Southern Andes: geology and morphostructural evolution http://www.scielo.cl[...]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