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태국 제4우의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오스-태국 제4우의교는 태국 치앙라이 주와 라오스 보께오 주를 연결하는 교량으로, 아시아 고속도로 3호선의 일부이다. 이 다리는 총 길이 630m, 폭 14.7m로, 태국, 라오스, 중국 정부의 공동 자금 지원으로 건설되었으며, 2013년 12월 공식 개통되었다. 쿤밍에서 방콕까지의 육로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중국-아세안 자유 무역 협정을 지원하고 대 메콩강 유역의 무역 및 개발을 촉진하는 경제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치앙라이주 - 치앙라이 유나이티드 FC
치앙라이 유나이티드 FC는 2009년 창단된 태국의 축구 클럽으로, 2019년 태국 리그 1에서 우승했으며, 현재 유나이티드 스타디움 오브 치앙라이를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치앙라이주 - 탐루앙 동굴 조난 사고
탐루앙 동굴 조난 사고는 2018년 6월 태국에서 유소년 축구팀 선수들과 코치가 폭우로 동굴에 고립되었다가 국제적인 구조 노력으로 전원 구조되었으나, 구조 과정 중 사망자와 구조 후 사망자가 발생한 비극적인 사건이다. - 태국의 교량 - 라오스-태국 제2우의교
라오스 사반나케트 주와 태국 무크다한 주를 잇는 메콩강 다리인 라오스-태국 제2우의교는 2006년 개통되어 동남아 경제 통합을 촉진하며, 엑스트라도즈드교 방식으로 건설된 1,600미터 길이의 다리로서 양국 교류 증진 및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 - 태국의 교량 - 라오스-태국 제1우의교
라오스-태국 제1우의교는 오스트레일리아 정부의 지원으로 건설되었으며 라오스와 태국을 연결하는 메콩강 다리로, 차량, 철도, 자전거, 보행자의 통행이 가능하며 라오스의 물류 인프라 발전에 기여했다. - 라오스의 교량 - 라오스-태국 제2우의교
라오스 사반나케트 주와 태국 무크다한 주를 잇는 메콩강 다리인 라오스-태국 제2우의교는 2006년 개통되어 동남아 경제 통합을 촉진하며, 엑스트라도즈드교 방식으로 건설된 1,600미터 길이의 다리로서 양국 교류 증진 및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 - 라오스의 교량 - 라오스-태국 제1우의교
라오스-태국 제1우의교는 오스트레일리아 정부의 지원으로 건설되었으며 라오스와 태국을 연결하는 메콩강 다리로, 차량, 철도, 자전거, 보행자의 통행이 가능하며 라오스의 물류 인프라 발전에 기여했다.
라오스-태국 제4우의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교량 정보 | |
교량 이름 | 제4태국-라오스 우정의 다리 |
공식 명칭 | |
현지 이름 | (태국어) (라오어) |
위치 | 치앙라이주 치앙콩군, 태국 보깨오주 후아이사이군, 라오스 |
통과 지점 | 메콩강 |
수송 | 자동차 |
주 경간 | 알려진 바 없음 |
길이 | 480 미터 |
폭 | 14.7 미터 |
개통 | 2013년 12월 11일 |
유지보수 | 알려진 바 없음 |
디자인 | 박스 거더교 |
설계자 | 알려진 바 없음 |
건설사 | 중국 CR5-KT 그룹 및 태국 Krung Thon Engineering |
2. 위치 및 규모
메콩강을 가로질러 태국 북부 치앙라이 주의 치앙콩 군과 라오스 북서부 보께오 주의 후아이사이를 연결하는 교량이다.[3][4] 교량의 총 길이는 630m(주 경간 480m)이며 폭은 14.7m이다.[3][4]
2. 1. 위치
태국 북부 치앙라이 주 북동부에 위치한 치앙콩 군에서 약 10km 떨어져 있으며, 라오스 북서부 보께오 주의 주도인 후아이사이에서 약 12km 떨어져 있다.[3]교량 북쪽(라오스 측)에는 6km 길이의 연결 도로가 라오스 3번 국도(R3A)와 이어진다.[3] 교량 남쪽(태국 측)에는 3km 길이의 연결 도로가 태국의 치앙콩-턴 고속도로 및 1129번 국도와 연결된다.[3]
2. 2. 규모
교량의 총 길이는 630m(주 경간 480m)이며 폭은 14.7m이다.[3][4] 이 다리는 태국 북부 치앙라이 주 치앙콩 군에서 약 10km 떨어져 있으며, 라오스 북서부 보께오 주의 주도인 후아이사이에서는 약 12km 거리에 위치한다.교량 북쪽으로는 6km 길이의 연결 도로가 라오스의 3번 국도(R3A)와 이어지고,[3] 남쪽으로는 3km 길이의 연결 도로가 태국의 치앙콩-턴 고속도로 및 1129번 국도와 연결된다.[3]
3. 역사
태국, 라오스, 중국 세 나라 정부가 공동으로 자금을 지원하여 건설한 다리로, 대 메콩강 유역의 무역 및 개발을 촉진하고 아시아 고속도로 3호선을 완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었다.[3][10] 건설은 중국과 태국의 건설 회사가 공동으로 담당했으며, 건설 비용 역시 양국이 분담했다.[3][8]
2012년 12월 12일 라오스 후아이사이에서 다리의 양쪽 구간 연결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렸고,[5] 이듬해인 2013년 12월에 공식적으로 개통되었다.[3][9] 이 다리의 완공으로 중국 윈난성 쿤밍에서 라오스를 거쳐 태국 방콕까지 육로를 통한 이동 및 물류 수송이 가능해졌으며, 이는 중국-아세안 자유 무역 협정(CAFTA)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다.[10] 한편, 다리 개통 이후 2015년에는 태국 쪽 연결 지점인 치앙콩이 경제 특별 구역으로 지정되기도 하였다.[6]
3. 1. 건설 배경 및 과정
이 다리는 태국, 라오스, 중국 정부가 공동으로 자금을 지원했으며, 대 메콩강 유역의 무역 및 개발 촉진을 목표로 추진되었다.[3] 특히 아시아 고속도로 3호선의 일부로서, 완공 시 중국 윈난성 쿤밍에서 라오스를 거쳐 방콕까지 육로 이동 및 수송을 가능하게 하여 2010년부터 시작된 중국-아세안 자유 무역 협정(CAFTA)을 뒷받침할 것으로 기대되었다.[10]프로젝트 예산으로는 약 19억태국 밧가 책정되었으며,[3] 실제 건설 비용은 16.240000000000002억태국 밧로, 태국과 중국이 절반씩 부담했다. 건설은 중국의 중철오국(中鉄五局)과 태국의 쿠룽톤 엔지니어링(Krungthon Engineering)의 공동 사업체가 담당했다.[8]
건설 과정에서 2012년 12월 12일에는 라오스 후아이사이에서 다리의 양쪽 구간 연결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렸다.[5] 당초 2012년 개통 예정이었으나 공사가 지연되어, 2013년 12월 11일에 분냥 보라찟 라오스 국가 부주석, 솜사왓 렝사왓 라오스 부총리, 잉락 태국 총리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통식이 열렸다.[9] 다음 날인 2013년 12월 12일, 마하 짜끄리 시린톤 태국 공주가 주재하는 공식 개통 행사가 개최되었다.[3]
한편, 다리의 태국 측 연결 지점인 치앙콩은 2015년에 경제 특별 구역으로 지정되었다.[6]
3. 2. 개통
2013년 12월 11일, 라오스와 태국 양국의 주요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개통식이 열렸다.[9] 이 행사에는 분냥 보라찟 당시 라오스 국가 부주석, 솜사왓 렝사왓 라오스 부총리, 마하 짜끄리 시린톤 태국 공주, 잉락 당시 태국 총리 등이 참석했다.[9] 다리는 다음 날인 12월 12일 공식적으로 개통되었다.[3] 당초 2012년 개통 예정이었으나 공사가 지연되었다.[9]3. 3. 경제특구 지정
치앙콩은 2015년에 경제 특별 구역으로 지정되었다.[6]4. 경제적 효과 및 기대
이 다리는 아시아 고속도로 3호선의 일부로서, 완공을 통해 중국 윈난성 쿤밍에서 라오스를 거쳐 태국 방콕까지 육상 운송로가 연결되었다.[10] 이를 통해 물류 이동이 원활해지고 교역이 활성화되어, 2010년부터 시작된 중국-아세안 자유 무역 협정 (CAFTA)의 실질적인 이행을 촉진하고 역내 경제 협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4. 1. 중국-아세안 자유 무역 협정(CAFTA) 지원
이 다리는 아시아 고속도로 3호선의 일부이며, 완공을 통해 중국 윈난성 쿤밍에서 라오스를 거쳐 방콕까지 육로 이동 및 수송이 가능해졌다.[10] 이러한 연결성 강화는 2010년부터 발효된 중국-아세안 자유 무역 협정 (CAFTA)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4. 2. 쿤밍-방콕 육로 연결
이 다리는 아시아 고속도로 3호선의 일부이며, 완공을 통해 중국 윈난성 쿤밍에서 라오스를 경유하여 태국 방콕까지 육로 이동 및 수송이 가능하게 되었다.[10] 이 우호교의 완공으로 육로를 통해 쿤밍에서 라오스를 거쳐 태국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됨에 따라, 2010년부터 시작된 중국-아세안 자유 무역 협정 (CAFTA)을 뒷받침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4. 3. 대 메콩강 유역 개발 촉진
이 다리 건설 프로젝트는 대 메콩강 유역의 무역 및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추진되었다.[3] 태국, 라오스, 중국 정부가 공동으로 자금을 지원했으며, 건설은 중국의 중철오국(中鉄五局)과 태국의 쿠룽톤 엔지니어링(Krungthon Engineering)의 공동 사업체가 담당했다.[8] 건설 비용은 16.24억태국 밧였으며, 태국과 중국이 절반씩 부담했다.[8] 당초 약 19억태국 밧가 이 프로젝트에 예산으로 책정되었다.[3]2012년 12월 12일, 다리의 양쪽 연결을 기념하는 행사가 라오스 후아이사이에서 열렸으며,[5] 1년 후인 2013년 12월 11일 공식 개통되었다. 개통식에는 분냥 보라찟 당시 라오스 국가 부주석, 솜사왓 렝사왓 라오스 부총리, 마하 차크리 시린톤 공주와 잉락 당시 태국 총리 등이 참석했다.[9]
이 다리는 아시아 고속도로 3호선의 일부로,[10] 완공됨에 따라 중국 윈난성 쿤밍에서 라오스를 거쳐 방콕까지 육로를 통한 이동 및 물류 수송이 가능해졌다.[10] 이는 2010년부터 시작된 중국-아세안 자유 무역 협정 (CAFTA)을 더욱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다리와 연결되는 태국 쪽 국경 도시인 치앙콩은 2015년에 경제 특별 구역으로 지정되었다.[6]
참조
[1]
뉴스
Joint cabinet retreat scheduled for the weekend
http://www.nationmul[...]
The Nation
2013-05-31
[2]
웹사이트
New Thai-Lao Friendship Bridge across the Mekong
http://asiapacific.a[...]
2013-08-21
[3]
웹사이트
4th Friendship bridge opens
http://www.ttrweekly[...]
TTR Weekly
2013-12-12
[4]
뉴스
Thai-Lao Friendship Bridges no.3 and 4
http://www.bangkokpo[...]
Bangkok Post
2012-01-12
[5]
뉴스
The closure ceremony of Houayxay Bridge has been held Dec 12 2012
http://en.kunming.cn[...]
InKunming
2012-12-12
[6]
뉴스
Languishing by a bridge over a troubled border
http://www.bangkokpo[...]
Bangkok Post
2016-05-22
[7]
웹사이트
Plan Thai-Lao Friendship Bridge
http://loeitime.blog[...]
[8]
뉴스
第4タイ・ラオス友好橋 開通は半年遅れ、6月か
http://www.newsclip.[...]
日本語総合情報サイト@タイランド newsclip.be
2013-08-11
[9]
웹사이트
第4タイ・ラオス友好橋が開通
http://www.newsclip.[...]
2013-12-12
[10]
뉴스
第4友好橋の建設覚書を締結 (ラオス、タイ)
https://www.jetro.go[...]
jetro.go.jp
2013-08-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