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오스는 동남아시아의 내륙 국가로, 13세기 라오족의 이주로 역사가 시작되었다. 1353년 란쌍 왕국이 건국되었으며, 17세기 중반 란쌍 왕국이 분열된 후 태국과 베트남의 세력 다툼에 휘말렸다. 19세기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지배를 받다가 1953년 독립했다. 이후 내전과 베트남 전쟁의 영향을 받았으며, 1975년 공산 정권이 수립되어 라오 인민민주주의 공화국이 되었다. 현재 라오스 인민혁명당의 일당 독재 체제이며, 농업에 크게 의존하는 혼합 경제 체제를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남아시아의 나라 - 중화민국
중화민국은 1912년 신해혁명을 통해 수립되었으며, 현재는 타이완 섬과 부속 도서를 실효 지배하고 있으며, "하나의 중국" 원칙 하에 독자적인 민주주의 체제를 유지하며, 국제적으로는 "중화 타이베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 동남아시아의 나라 - 해양 동남아시아
해양 동남아시아는 다양한 군도로 이루어진 2만 5천 개 이상의 섬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열대 기후, 활발한 화산 활동, 오스트로네시아인 다수 거주, 이슬람교 및 기독교가 주요 종교, 해상 무역을 통한 대인도 문화권 및 오스트로네시아 문화권의 영향, 해상 실크로드 교류, 월리스선 등이 특징이다. -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회원국 - 브루나이
브루나이는 보르네오 섬에 위치한 동남아시아 국가로, 이슬람 술탄국으로 독립하여 석유와 천연가스 생산을 기반으로 높은 국민 소득을 유지하며, 국왕이 강력한 권한을 행사하는 입헌 군주국이다. -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회원국 -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는 13개 주와 3개의 연방 직할구로 이루어진 연방 입헌 군주국으로, 다민족, 다문화 사회이며 말레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풍부한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민족 간 불평등과 정치적 불안정이 과제로 남아있다. - 사회주의 국가 - 조선인민공화국
조선인민공화국은 1945년 건국준비위원회가 선포한 대한민국의 임시정부로, 자주 독립과 사회주의적 경제, 진보적 사회 정책을 지향했으나 미군정의 부정과 탄압, 임시정부 인사들의 거부로 해체되어 남북 분단에 영향을 미쳤다. - 사회주의 국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사회주의 국가이며,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으로 이어지는 세습 체제를 유지하고 주체사상에 기반한 일당 독재 체제를 운영하며, 대한민국과는 분단 상태이고 군사적 긴장이 지속되고 있다.
라오스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라오 인민 민주 공화국 |
약칭 | 라오스 |
![]() | |
![]() | |
국가 표어 (로마자) | Santiphap, Ekalat, Paxathipatai, Ekaphap, Vatthanathavon |
국가 표어 (번역) | 평화, 독립, 민주주의, 통일과 번영 |
국가 (로마자) | Pheng Xat Lao |
국가 (번역) | 라오 인민의 찬가 |
수도 | 비엔티안 |
최대 도시 | 수도 |
공용어 | 라오어 |
인정 언어 | 크무어 몽어 푸타이어 타이어 영어 프랑스어 |
민족 구성 | 53.2% 라오족 11% 크무족 9.2% 몽족 3.4% 푸타이족 3.1% 타이족 2.5% 마콩족 2.2% 카탕족 2.0% 르족 1.8% 아카족 11.6% 기타 |
민족 구성 (년도) | 2015년 |
통칭 | 라오족 라오스인 |
종교 | 66.0% 불교 30.7% 타이 민속 종교 1.5% 기독교 1.8% 기타/무종교 |
정치 | |
정치 체제 | 단일 마르크스-레닌주의 사회주의 공화국 |
집권 정당 | 라오인민혁명당 |
당 서기장 겸 국가주석 | 통룬 시술릿 |
총리 | 소네사이 시판돈 |
국가 부주석 | 분통 칫마니 파니 야토투 |
국회의장 | 세이솜폰 폼위한 |
입법부 | 국민의회 |
역사 | |
형성 | 란쌍 왕국 (1353년~1707년) 루앙프라방 왕국, 비엔티안 왕국, 참파삭 왕국 (1707년~1778년) 시암의 속국 (1778년~1893년) 프랑스 보호령 (1893년~1953년) 자유 라오 운동 (1945년~1949년) 통일 왕국 (1947년 5월 11일) 독립 (1953년 10월 22일) 군주제 폐지 (1975년 12월 2일) |
독립 | 프랑스로부터 독립 (1949년 7월 19일) |
지리 | |
면적 | 236,800 km² |
면적 순위 | 82위 |
내수면 비율 | 2% |
인구 | |
추정 인구 | 7,749,595명 |
추정 인구 (년도) | 2022년 |
인구 순위 | 103위 |
인구 밀도 | 26.7명/km² |
경제 | |
구매력 평가 (PPP) GDP | $747.60억 |
구매력 평가 (PPP) GDP (년도) | 2024년 |
구매력 평가 (PPP) GDP 순위 | 106위 |
1인당 구매력 평가 (PPP) GDP | $9,727 |
1인당 구매력 평가 (PPP) GDP 순위 | 125위 |
명목 GDP | $149.49억 |
명목 GDP (년도) | 2024년 |
명목 GDP 순위 | 145위 |
1인당 명목 GDP | $1,945 |
1인당 명목 GDP 순위 | 152위 |
지니 계수 | 36.4 |
지니 계수 (년도) | 2012년 |
인간 개발 지수 (HDI) | 0.620 |
인간 개발 지수 (HDI) (년도) | 2022년 |
인간 개발 지수 (HDI) 순위 | 139위 |
통화 | 라오 킵 (₭) |
통화 코드 | LAK |
기타 정보 | |
시간대 | ICT |
UTC 시차 | +7 |
자동차 주행 방향 | 우측통행 |
국제 전화 코드 | +856 |
국가 도메인 | .la |
2. 역사
1353년 라오족 최초의 통일 국가인 란쌍 왕국이 세워졌다.[164] 그러나 18세기 초에는 3개의 왕국으로 분열되었다.[165] 1770년대 말 세 왕국은 태국(당시 시암)의 지배를 받게 되었으나,[165] 1893년 프랑스가 태국으로부터 종주권을 넘겨받아 식민지화하였고, 1899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편입되었다.[165][166] 이 과정에서 현재의 영토 윤곽이 거의 확정되었다.[164]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점령과 전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거치며 프랑스의 식민 지배는 약화되었고, 라오스는 1949년 프랑스 연합 내 라오스 왕국으로 독립한 뒤 1953년 완전한 독립을 이루었다.[166]
독립 이후 좌파 세력인 파테트 라오와 왕정을 지지하는 우파 및 중립파 간의 라오스 내전이 발발했다. 이 내전은 이웃 베트남 전쟁과 맞물려 전개되었으며, 미국의 개입과 대규모 폭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결국 1975년 파테트 라오가 승리하여 왕정이 폐지되고 사회주의 체제의 라오스 인민민주공화국이 수립되었다.[165][185][186]
2. 1. 건국 이전
2009년 라오스 북부 안남산맥(Annamite Range)의 탐 파 링 동굴(Tam Pa Ling Cave)에서 발견된 인간 두개골은 최소 4만 6천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현재까지 동남아시아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현생 인류 화석이다.[23] 라오스 북부의 플라이스토세 시대 유적지에서는 호아빈 문화(Hoabinhian) 유형을 포함한 석기 유물이 발견되었다.[24]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기원전 4천년경에는 농업 사회가 발전했으며,[25] 매장 항아리와 다른 종류의 묘들은 기원전 1500년경 청동기가 등장하고 기원전 700년경 철기가 알려진 사회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 시기 라오스 지역은 중국 및 인도 문명과 접촉하며 영향을 받았다.
언어학 및 역사적 증거에 따르면, 오늘날 라오스인의 조상 격인 타이어족(Tai languages)을 사용하는 부족들이 8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 현재의 중국 광서(Guangxi) 지역에서 라오스와 태국 영토로 남서쪽으로 이동해 왔다.[26] 이후 13세기에 중국 남부에서 이동해 온 라오족이 현재의 라오스 영토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메콩강 유역에 자리 잡았으며, 특히 비엔티안, 루앙프라방, 참빠삭 지역을 중심으로 공동체를 이루며 발전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14세기 중반 란쌍 왕국이 건국될 기반이 마련되었다.
2. 2. 란쌍 왕국 (1353년~18세기 초)
라오스의 역사는 13세기에 중국 남부(윈난성 중심의 난차오 왕국 지역)에서 살던 라오족이 현재의 라오스 영토인 메콩강 유역으로 이주해 오면서 시작되었다. 이들은 주로 비엔티안, 루앙프라방, 참빠삭 지역을 중심으로 정착했다.[183]1353년, 크메르 제국에서 망명 생활을 하던 라오 왕족 출신 파응음 왕은 크메르 제국이 약화된 틈을 타 1만 명의 크메르인 군대를 이끌고 메콩강 유역의 여러 라오 공국들을 정복하고 비엔티안을 함락시킨 뒤 란쌍 왕국을 건국했다.[27][28][183] '란쌍'은 "백만 마리의 코끼리"라는 뜻으로, 당시 전투 코끼리가 중요한 군사력이었음을 감안할 때 왕국의 강대함을 과시하는 이름이었다.[184] 파응음 왕은 자신을 전설적인 쿤 불롬(Khoun Boulom)의 후계자로 칭하며 정통성을 내세웠고, 상좌부 불교를 국교로 삼았다.[28] 그러나 그의 통치가 점차 잔혹해지자 신하들은 1373년 그를 현재 태국 난주 지역으로 추방했고, 그는 그곳에서 사망했다.[29]
파응음의 장남 운후언(Oun Heuan)이 삼센타이라는 이름으로 왕위를 이어 43년간 통치했다. 그의 치세 동안 란쌍은 무역 중심지로 발전했으나, 1421년 그가 사망한 후 약 1세기 동안 왕위 계승을 둘러싼 분쟁과 내전으로 혼란을 겪었다.[30]
1520년 포티사랏 왕이 즉위하여 버마(미얀마)의 침략 위협을 피해 수도를 루앙프라방에서 비엔티안으로 옮겼다. 1548년 아버지가 살해된 후 왕위에 오른 셋타티랏 왕은 비엔티안에 탓 루앙 사원을 건설하는 등 왕국의 위상을 높였다.[183] 그의 치세에 란쌍의 세력은 현재의 태국 북동부와 캄보디아 북부에까지 미쳤다.[183] 그러나 셋타티랏 왕이 캄보디아 원정에서 돌아오는 길에 실종된 후, 란쌍은 다시 버마의 침략과 내부 권력 다툼으로 70년 이상 불안정한 시기를 보냈다.[31]
1637년 수리냐 봉사 왕이 즉위하면서 란쌍은 다시 안정을 찾고 국경을 확장하며 번영기를 맞았다. 17세기에는 서구와의 교역도 시작되어 수도 비엔티안은 동남아시아의 주요 도시 중 하나로 번성했다.[183] 하지만 수리냐 봉사 왕이 후계자를 남기지 못하고 사망하자 왕국은 급격히 쇠퇴하여, 18세기 초에는 비엔티안 왕국, 루앙프라방 왕국, 참파삭 왕국의 세 나라로 분열되었다.[32][183]
분열된 세 왕국은 점차 주변 강대국인 태국(시암)과 베트남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고, 두 나라 사이의 경쟁과 갈등에 휘말리며 끊임없는 전란에 시달렸다.[183] 1763년부터 1769년 사이에는 버마 군대가 라오스 북부를 침공하여 루앙프라방을 병합했으며, 남부의 참파삭 왕국은 시암의 종주권을 인정하게 되었다.[32]
시암은 차오 아누봉을 비엔티안의 봉신 왕으로 임명했다. 아누봉은 라오스 예술과 문학 부흥을 장려하고 루앙프라방과의 관계 개선에 힘썼다. 그러나 베트남의 지원 약속과 시암의 압제에 반발하여 1826년 시암에 대한 독립 전쟁을 일으켰다. 영국이 태국을 공격할 것이라는 소문도 그의 결심에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반란은 시암 군대에 의해 잔인하게 진압되었고, 수도 비엔티안은 철저히 파괴되었다.[33] 차오 아누봉은 방콕으로 끌려가 감옥에 갇혔고, 1829년 그곳에서 사망했다.[34] 이 사건으로 비엔티안 왕국은 멸망(1828년)했고, 라오스 지역 대부분은 태국의 직접적인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당시 동남아시아에서는 영토 확장보다 인력 확보가 중요시되었는데, 1876년 시암 군대의 라오스 원정은 영국의 한 관찰자에 의해 "대규모 노예 사냥 원정"으로 묘사될 정도로 인적 자원 약탈의 성격을 띠었다.[35]
2. 3. 분열과 외세 지배 (18세기 초~1953년)
18세기 초, 한때 번영했던 란쌍 왕국은 후계자 문제 등으로 급격히 쇠퇴하여 비엔티안 왕국, 루앙프라방 왕국, 참빠삭 왕국의 세 왕국으로 분열되었다.[165] 이후 라오스는 친태국 세력과 친베트남 세력 간의 대립으로 혼란을 겪었다. 1828년, 비엔티안 왕국의 차오아누 왕이 태국에 맞서 독립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태국은 비엔티안 왕국을 멸망시켰다. 차오아누 왕은 태국으로 끌려가 1829년 감옥에서 사망했으며, 분열된 라오스는 결국 태국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165]19세기 중반부터 프랑스는 인도차이나 반도로 세력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당시 라오스의 세 왕국은 태국의 영향력 아래 있었으나, 일부 라오스 왕족은 프랑스의 힘을 빌려 태국에 대항하고자 했다. 1893년, 프랑스-태국 전쟁(파크남 사건) 결과, 프랑스는 태국으로부터 메콩강 동쪽 영토에 대한 지배권을 인정받았고, 이 지역이 현재 라오스 영토의 기반이 되었다.[166] 프랑스는 라오스 지역을 자국의 보호령으로 선포했으며, 1899년에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편입시켰다. 이때 루앙프라방 왕국은 보호국 형태로 유지되었으나, 나머지 지역은 프랑스의 직접적인 식민 통치를 받게 되었다.[165][166] 한편, 19세기 말 중국의 흑기군이 루앙프라방을 약탈하자 프랑스는 웅캄 왕을 구출하고 루앙프라방을 프랑스 인도차이나 보호령에 완전히 편입시켰으며, 이후 참빠삭과 비엔티안 지역도 보호령에 추가되었다. 프랑스는 루앙프라방의 시사왕봉 왕을 통일 라오스의 명목상 통치자로 인정하고, 비엔티안을 다시 수도로 삼았다.[36][37]

프랑스 식민 통치 하에서 라오스는 경제적으로 크게 발전하지 못했다. 주석, 고무, 커피 등이 생산되었지만,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전체 수출액에서 라오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1%에도 미치지 못했다.[38] 프랑스는 식민지 내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한다는 명목으로 베트남인들의 라오스 이주를 장려했다.[39] 그 결과 1943년에는 라오스 내 베트남인 인구가 약 4만 명에 달했으며, 비엔티안(53%), 타케크(85%), 빡세(62%) 등 주요 도시에서는 베트남인이 다수를 차지하기도 했다.[40] 프랑스는 더 많은 베트남인을 이주시키려는 계획을 세웠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침략으로 무산되었다.[40]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라오스는 비시 프랑스, 태국, 일본 제국, 자유 프랑스 등 여러 세력의 각축장이 되었다.[41] 전쟁 말기인 1945년 3월, 일본군은 프랑스 세력을 몰아내고 라오스를 군사적으로 점령했다. 일부 라오스 민족주의자들은 이를 기회로 독립을 선포하기도 했다.[42] 일본은 1945년 4월 8일, 시사왕봉 왕에게 압력을 가해 라오스가 프랑스 보호령에서 벗어났음을 선언하게 했다.[42][166] 일본이 패망하자 펫사랏 왕자를 비롯한 민족주의 세력은 라오스의 완전한 독립을 선포했으나, 곧이어 프랑스군이 다시 라오스를 점령했다.[43]
프랑스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연방을 재건하려 했고, 이는 1946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발발의 원인이 되었다. 전쟁 중 인도차이나 공산당은 베트남 독립 조직인 베트민의 지원을 받아 파텟라오라는 독립 조직을 결성하고 프랑스에 맞서 무장 투쟁을 전개했다. 국제적인 압력과 계속되는 저항 속에서 프랑스는 1949년 라오스를 프랑스 연합 내의 라오스 왕국으로 명목상 독립시키는 데 동의했으나,[166] 실질적인 통제권은 유지했다. 1950년에는 라오스에 "준회원국" 지위를 부여하며 제한적인 자치권을 인정했다.[62][43] 결국 라오스는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막바지에 이르던 1953년 10월 22일에야 입헌군주제 국가로서 완전한 독립을 쟁취하게 되었다.[62][43][166]
2. 4. 독립과 내전 (1953년~1975년)

1953년 10월 22일, 프랑스-라오스 조약에 따라 라오스 왕국은 프랑스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이루었다.[166][185] 그러나 독립 이후 라오스 내부는 왕정을 지지하는 우파, 수파누봉이 이끄는 좌파 세력인 파테트 라오, 그리고 중립파로 나뉘어 정치적 혼란과 대립이 심화되었다. 이는 곧 라오스 내전으로 이어졌다.[165]
1954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네바 회담에서는 라오스 왕실 유지와 파테트 라오가 참여하는 연립 정부 구성을 골자로 한 평화 협정이 체결되었으나,[166] 합의는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고 내전은 다시 격화되었다. 1960년대에 들어서자 라오 왕국군(RLA)과 북베트남 및 소련의 지원을 받는 파테트 라오 게릴라 간의 전투가 본격화되었다.[62][43] 1962년 수바나 푸마 총리가 구성한 제2차 임시 연립 정부도 실패로 돌아가면서 내전은 더욱 장기화되었다.
이웃 베트남에서 벌어진 베트남 전쟁은 라오스에 큰 영향을 미쳤다. 북베트남군은 라오스 영토를 통과하는 보급로, 이른바 '호치민 트레일'을 이용해 남베트남 전선으로 물자를 수송했다.[185] 이에 대응하여 미국은 1964년부터 1973년까지 라오스 정부의 붕괴를 막고 호치민 트레일을 차단한다는 명분 아래 라오스 전역에 대규모 비밀 폭격을 감행했다.[62][43][242] 미국은 CIA를 통해 라오스 내 소수 민족을 용병으로 고용하여[241] 호치민 트레일 차단을 시도하기도 했다.

미국은 9년간 총 58만 회[242] 이상 출격하여 200만ton이 넘는 폭탄을 투하했다.[242]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럽과 아시아 전역에 투하된 폭탄 양과 맞먹는 규모로,[44] 라오스는 인구 대비 역사상 가장 많은 폭격을 당한 국가가 되었다.[44] ''뉴욕 타임스''는 이를 "라오스 인구 1인당 거의 1톤"이라고 표현했다.[44] 당시 미국 정부는 베트남 전쟁 종결 시까지 라오스 폭격과 내전 개입 사실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아 '비밀 전쟁'으로 불리기도 했다.[242] 이 무차별적인 폭격으로 수많은 민간인이 희생되고 국토가 황폐화되었으며, 특히 투하된 폭탄 중 약 8천만 발의 불발탄(UXO), 그중에서도 집속탄이 전국에 흩어져 남아 현재까지도 매년 약 50명의 라오스인이 사망하거나 장애를 입는 등 심각한 인명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44][45][243] 이러한 비극적인 경험으로 인해 라오스는 집속탄 금지 협약을 강력히 지지하며 2010년 제1차 당사국 회의를 개최하기도 했다.[46]
1973년 미국이 베트남에서 군대를 철수하고, 1975년 남베트남의 수도 사이공이 함락되면서 라오스 정세도 급변했다. 1974년 잠시 세 파 연립 정부인 라오스 민족 연합 정부가 수립되었으나,[185] 오래가지 못했다. 결국 1975년 12월 2일, 카이손 폼비한이 이끄는 파테트 라오는 비엔티안을 장악하고 왕정 폐지를 선언했으며, 국왕 시사왕 와타나는 퇴위했다.[62][47] 그는 나중에 재교육 수용소에서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62] 이로써 30년에 걸친 라오스 내전은 파테트 라오의 승리로 종결되었고, 라오스 인민민주공화국이 수립되어 라오스는 사회주의 국가가 되었다.[165][186] 내전 기간 동안 약 2만 명에서 6만 2천 명의 라오스인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62][47]
2. 5. 라오스 인민민주공화국 (1975년~현재)

1975년 라오스 내전에서 파테트 라오가 승리하면서 왕정이 폐지되고, 라오인민혁명당이 이끄는 사회주의 국가인 라오스 인민민주공화국이 성립되었다.[165] 이후 라오스는 라오인민혁명당에 의한 일당제 독재 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며, 1991년에 제정된 헌법에서도 당의 영도적 역할을 명시했다. 국제사회에서는 라오스의 민주주의 지수와 언론 자유 지수가 매우 낮은 수준으로 평가받으며,[167][168] 휴먼 라이츠 워치 등은 국민의 기본적 자유 제한, 노동권 부재, 활동가 강제 실종 등 심각한 인권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169]
공화국 수립 초기에는 국내외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이 이어졌다. 1977년에는 라오스 주재 일본 대사관의 스기에 세이이치 서기관 부부가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했으며, 라오스 정부는 반정부 세력의 소행 가능성을 언급했다.[187] 1979년에는 중국 공산당과의 관계를 단절했고, 1980년과 1987년에는 태국과 국경 분쟁을 겪었다. 특히 1987년 분쟁에서는 태국 공군기를 격추하기도 했다. 이러한 국경 분쟁과 더불어 태국 및 미국의 경제 봉쇄 조치는 라오스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다.
경제난을 극복하고 체제를 안정시키기 위해 1986년, 라오인민혁명당은 소련의 페레스트로이카와 베트남의 도이모이 정책의 영향을 받아 '신사고'(ຈິນຕະນາການໃໝ່|친타나칸 마이lo)라는 경제 개혁 정책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국영 기업의 독립 채산제를 도입하고 민영 기업 활동을 일부 허용하는 등 시장 경제 요소를 받아들이기 시작했다.[165][166] 외교적으로는 1988년 태국과의 관계를 정상화하고, 1989년 당시 수상이었던 까이썬 폼위한이 중국을 공식 방문하고 이듬해 중국의 리펑 수상이 라오스를 방문하면서 중국과의 관계도 개선되었다.
1990년대에 들어 소련 해체와 동구권 사회주의 체제의 붕괴는 라오스가 혼합 경제 체제를 더욱 확대하는 배경이 되었다. 1992년에는 태국과 우호 협력 조약을 체결하고, 같은 해 7월 베트남과 함께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에 옵서버 자격으로 참여했다. 1992년 11월 21일, 라오스 인민민주공화국의 초대 최고 지도자였던 까이썬 폼위한 주석이 사망했다. 1997년 7월 23일에는 미얀마와 함께 ASEAN의 정식 회원국으로 가입했다.[166][188]
2000년대 이후에도 라오인민혁명당의 일당 지배 체제는 공고히 유지되었다. 2006년 4월 30일 치러진 제6기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총 115석 중 114석을 라오인민혁명당이 차지했으며, 비당선자는 단 1명이었다. 같은 해 6월, 군부 출신의 쭘마리 싸이냐손이 국가주석으로, 부아손 부파반이 수상으로 선출되었다. 2007년 6월, 미국으로 망명한 몽족 출신의 전 왕실군 장군 방 파오와 미군 퇴역 소령 등이 연루된 쿠데타 계획이 미국 사법 당국에 의해 발각되어 관련자들이 체포되는 사건도 있었다.
2010년 12월, 부아손 부파반 수상이 임기 중 사임하고 국회의장이던 통싱 탐마봉이 신임 수상으로 취임했다. 2016년 3월 총선 이후 4월 20일에는 라오인민혁명당 총비서인 분냥 보라치트가 국가주석으로, 통룬 시술릿이 수상으로 선출되었다.
외교적으로는 전통적인 우방인 베트남과의 관계를 중시해왔으나,[165] 2009년 이후부터는 중국과의 관계를 급속도로 강화하는 추세이다.[175] 중국 주도의 일대일로 구상에 참여하여 중국-라오스 철도 건설과 같은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유치하고 있으나,[171][172]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부채로 인해 중국에 대한 경제적 종속 심화와 '빚 함정'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173][174] 경제 개혁에도 불구하고 라오스는 여전히 유엔이 지정한 최빈국 중 하나로 남아 있다.[170]
3. 정치
라오스는 공식적으로 사회주의 국가이자 공산주의 국가를 표방하며,[189]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따르는 라오인민혁명당(LPRP)이 유일한 합법 정당으로서 일당제를 유지하고 있다.[62] 1991년에 채택된 현행 헌법은 전문에서 “인민민주주의”를 천명하고, 제3조에서 “라오 인민혁명당을 중심으로 하는 정치 제도”를 규정하여 LPRP의 "주도적 역할"을 명문화하고 있다.[62][189]
일당제 체제 하에서 당 서기장은 국가와 정부에 대한 최고 권력과 권한을 가지며 최고 지도자 역할을 한다.[62] 정부의 주요 정책은 당 서기장을 중심으로 하는 9명의 당 정치국 위원과 49명의 당 중앙위원회 위원들에 의해 결정되며, 특히 중요한 사안은 장관 회의에서 추가로 심의된다.
국가원수는 대통령이며, 5년 임기로 국민의회에서 선출된다. 직무 보좌 및 대행을 위해 국가부주석이 있다. 2021년 3월 22일 기준, 대통령은 통룬 시술릿이며, 그는 2021년 1월부터 라오스의 실질적인 최고 지도자 지위인 라오 인민혁명당 서기장을 겸임하고 있다.[63][64]
행정부의 수장인 총리는 국가주석이 지명하고 국민의회의 승인을 받아 임명되며 임기는 5년이다. 2022년부터 손엑사이 시판돈이 총리직을 맡고 있다. 총리는 3명의 부총리와 각 부처 장관, 부처와 동등한 기관의 장으로 구성된 내각을 이끈다. 총리는 차관, 도 부지사, 중앙 직할시 부시장, 군수를 임명 및 해임할 권한을 가진다. 2006년 7월에는 총리와 정부를 보좌하고 각료회의 준비 및 자료 제공을 담당하는 정부사무국이 설치되었다.
입법부는 일원제의 국민의회이다. 의원들은 비밀 선거를 통해 선출되며 임기는 5년이다. 국민의회 의석 수는 1991년 헌법 개정 당시 85석이었으나, 점차 늘어나 1997년 99석, 2002년 109석, 2006년 115석이 되었고, 2011년 4월 선거에서는 132석으로 확대되었다. 국민의회 휴회 기간에는 상무위원회가 국정 감시 등의 권한을 대행한다.
사법권은 최고인민법원장에게 위임되어 있으며, 라오스는 과거 종주국이었던 프랑스의 영향을 받아 민사법 체계를 따르고 있다. 최고인민법원장은 상무위원회의 추천을 받아 국민의회에서 선출된다. 2018년 12월에는 일본 국제협력기구(JICA)의 법률 제정 지원을 받아 작성된 민법이 성립되어 2020년부터 시행되었다.[190]
국제 사회에서는 라오스의 정치 체제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이 존재한다.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의 2019년 민주주의 지수에서 라오스는 세계 167개국 중 155위를 기록하며 "독재 정치 체제"로 분류되었다.[167] 또한, 국경 없는 기자회가 발표한 2020년 세계 언론 자유 지수에서도 180개국 중 172위로 최하위권에 머물렀다.[168] 국제 인권 단체인 휴먼 라이츠 워치는 라오스에서 국민의 기본적 자유가 심각하게 제한되고 있으며, 노동권 부재, 마약 사용 혐의자에 대한 인권 침해, 활동가 강제 실종 등의 문제가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있다.[169]
라오스의 첫 헌법은 1947년 5월 11일에 공포되었으며, 당시 라오스를 프랑스 연방 내의 독립국으로 규정했다. 1957년 개정 헌법에서는 프랑스 연방에 대한 언급이 삭제되었으나, 교육, 보건, 기술 분야에서는 구 식민 지배국과의 관계가 유지되었다. 이 헌법은 1975년 12월 공산주의 인민 공화국이 선포되면서 폐지되었고, 현재의 헌법은 1991년에 채택된 것이다.[62]
4. 행정 구역
라오스는 17개의 주(퀭, ແຂວງ|kʰwɛ̌ːŋlo)와 수도 비엔티안(위양짠)을 포함하는 1개의 도(나컨루앙, ນະຄອນຫລວງ|na kʰɔ́ːn lǔaŋlo)로 구성되어 있다.[60] 주는 다시 군(므앙, ເມືອງ|mɯ́aŋlo)으로 나뉘며, 군은 마을(반, ບ້ານ|bâːnlo)로 세분화된다. 이 중 '도시'로 분류되는 마을은 실질적인 도시 지역에 해당한다.[54]
지방에는 별도의 의회를 두지 않으며, 주지사는 국가주석이, 군수는 총리가 각각 임명하는 중앙집권적인 지방 행정 제도를 운영한다. 과거 치안 유지를 위해 총리 직속으로 운영되던 싸이솜분 특별구(켓피세트 싸이솜분)는 2006년에 폐지되었으나, 2013년 12월 13일 싸이솜분주로 승격되어 다시 설치되었다.[61]
번호 | 행정 구역 | 주도 | 면적 (km²) | 인구 (명) |
---|---|---|---|---|
1 | 앗타푸 (Attapeu) | 앗타푸 (사막히사이 군) | 10320km2 | 114,300 |
2 | 보케오 (Bokeo) | 후아이사이 (후아이사이 군) | 6196km2 | 149,700 |
3 | 볼리캄사이 (Bolikhamsai) | 팍산 (팍산 군) | 14863km2 | 214,900 |
4 | 참빠삭 (Champasak) | 팍세 (팍세 군) | 15415km2 | 575,600 |
5 | 후아판 (Houaphanh) | 삼느아 (삼느아 군) | 16500km2 | 322,200 |
6 | 캄무안 (Khammouane) | 타케크 (타케크 군) | 16315km2 | 358,800 |
7 | 루앙남타 (Luang Namtha) | 루앙남타 (남타 군) | 9325km2 | 150,100 |
8 | 루앙프라방 (Luang Prabang) | 루앙프라방 (루앙프라방 군) | 16875km2 | 408,800 |
9 | 우돔싸이 (Oudomxay) | 무앙사이 (사이 군) | 15370km2 | 275,300 |
10 | 퐁살리 (Phongsaly) | 퐁살리 (퐁살리 군) | 16270km2 | 199,900 |
11 | 사이냐불리 (Sainyabuli) | 사이냐불리 (사이냐불리 군) | 16389km2 | 382,200 |
12 | 살라완 (Salavan) | 살라완 (살라완 군) | 10691km2 | 336,600 |
13 | 사반나켓 (Savannakhet) | 사반나켓 (까이손폼위한 군) | 21774km2 | 721,500 |
14 | 세콩 (Sekong) | 세콩 (람맘 군) | 7665km2 | 83,600 |
15 | 비엔티안 특별시 (Vientiane Prefecture) | 비엔티안 (찬타불리 군) | 3920km2 | 1,001,477 |
16 | 비엔티안 주 (Vientiane Province) | 폰홍 (폰홍 군) | 15927km2 | 373,700 |
17 | 씨앙쿠앙 (Xiangkhouang) | 폰사반 (펙 군) | 15880km2 | 229,521 |
18 | 싸이솜분 (Xaisomboun) | 아누봉 (아누봉 군) | 8300km2 | 82,000 |
주청 소재지가 되는 군의 명칭은 "퐁살리 군"이나 "루앙남타 군"처럼 주의 이름과 일치하는 경우도 있지만, "사이 군"(우돔싸이 주)이나 "사막히사이 군"(앗타푸 주)처럼 주의 이름과 다른 경우도 있다.
라오스의 수도는 비엔티안이며, 그 외 주요 도시로는 루앙프라방(루앙프라방 군), 사반나켓(까이손폼위한 군), 팍세(팍세 군) 등이 있다.
5. 지리
라오스는 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반도 내륙부에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으며, 동남아시아 국가 중 유일하게 바다에 접하지 않은 내륙국이다.[244][54] 국토 대부분은 북위 14°와 23°N 사이, 동경 100°와 108°E 사이에 위치한다.[54]
국토의 약 70%는 고원이나 산악 지대이며[179], 특히 안남산맥이 국토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244] 가장 높은 산은 해발 2818m의 푸비아 산이다.[54] 평야는 메콩강 및 그 지류를 따라 약간 펼쳐져 있을 뿐이다.[244] 북부에는 시엥쿠앙 고원, 남부에는 볼라벤 고원이라는 두 개의 주요 고원이 있다.[54] 지리적으로 라오스는 북부, 중부, 남부의 세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54]
메콩강은 태국과의 서쪽 국경 일부를 이루며, 안남산맥은 베트남과의 동쪽 국경 대부분을 형성한다. 루앙프라방 산맥은 태국 고원 지대와의 북서쪽 국경을 이룬다.[54] 북쪽으로는 중국, 남쪽으로는 캄보디아, 북서쪽으로는 미얀마와도 국경을 접한다.[179]
기후는 대부분 열대 몬순 기후 또는 사바나 기후에 속하며[197], 내륙 지방이므로 여름과 겨울의 기온차가 크다.[244] 몬순(계절풍)의 영향으로 우기와 건기가 뚜렷하게 구분된다.[196]
- 우기 (5월~10월): 남서몬순이 불며, 연간 강우량 약 2000mm의 대부분이 이 시기에 집중된다. 짧은 시간에 폭우가 내리는 경우가 많다.[244][196]
- 건기 (11월~4월): 북동몬순이 불며 비가 거의 오지 않는다. 12월부터 1월경에는 기온이 내려가 겨울 날씨를 보인다.[244][196]
- 더운 계절 (2월 하순~5월): 4월과 5월의 평균 기온은 30°C에 가까우며, 최고 기온이 40°C를 넘는 날도 있다.[196]
지역별로 기후 차이가 나타나는데, 사반나케트 등 남부 지역은 평균 25°C의 전형적인 열대 몬순 기후를 보이며, 북부의 루앙프라방 지역은 온대 동계 건조 기후의 특징을 보인다. 중국과 인접한 북부 산악 도시 무옹싱 지역은 겨울(1월 평균기온 10°C)에 서리가 내리기도 한다.[244]

메콩강은 라오스 국토를 관통하며 흐르고, 태국과의 국경선의 약 3분의 2를 형성한다.[193] 단순한 국경 역할을 넘어 사람과 물건이 오가는 중요한 하천 수운 경로로 이용된다.[193] 비엔티안과 중국 윈난성 징홍시 사이에서도 물류 운송이 활발하다.[193] 다만, 캄보디아 국경 근처의 꼰빠펭 폭포와 같은 지형적 장애물도 존재한다.[193] 메콩강은 건기와 우기의 수위 차이가 커서, 비엔티안에서는 10m 이상 차이가 나기도 한다. 건기 막바지인 4월에는 수위가 매우 낮아지지만, 우기인 8~9월에는 강물이 제방을 넘어 주변 저지대를 범람시키기도 한다.[194] 강 자체의 영양염류는 적지만, 우기 범람 시 주변 토양에서 영양분을 공급받아 플랑크톤 등이 풍부해지고, 이는 다양한 어류의 서식지가 되어 주변 주민들에게 중요한 어장을 제공한다.[195]
라오스는 과거 풍부한 산림 자원을 보유했으나[192], 최근 급격한 산림 훼손이 심각한 환경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2019년 산림 경관 무결성 지수 평균 점수는 5.59/10로, 172개국 중 98위를 기록했다.[55] 1993년 라오스 정부는 국토 면적의 21%를 서식지 보존을 위해 할당했다.[56]
한편, 라오스는 미얀마, 태국 등과 함께 골든 트라이앵글로 알려진 아편 양귀비 재배 지역의 일부이다.[57] 유엔 마약 범죄 사무소(UNODC)의 2007년 자료에 따르면, 양귀비 재배 면적은 15km2로, 2006년의 18km2에 비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58]
6. 경제
라오스는 국민 생활 대부분을 농업에 의존하며 공업은 미발달 상태에 있다. 주요 작물은 쌀이지만 생산성이 낮아 주식인 쌀 공급이 부족한 해도 있다. 티크와 같은 임업 자원이 있으나 충분히 개발되지 못했다.[245] 다만, 베트남처럼 쌀을 수출하기도 한다.
1975년 공산주의 정권 수립 이후 계획경제 체제를 유지하다가, 1986년 소련의 페레스트로이카와 베트남의 도이모이 정책의 영향을 받아 '신사고'(ຈິນຕະນາການໃໝ່|친타나칸 마이lo) 정책을 도입하며 시장 경제 원리를 받아들이기 시작했다.[165][166] 1990년에는 외국인 투자법을 제정하여 혼합 경제 체제로 전환했다. 초기에는 1975년과 1976년의 가뭄, 태국과의 국경 봉쇄 등으로 심각한 인플레이션과 생필품 부족을 겪었으며, 1989년부터 1991년 사이 동구권 공산 정권 붕괴로 원조가 끊기면서 다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이후 국제 통화 기금(IMF)의 지원과 서방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을 통해 1992년 경제 안정을 이루었다. 그러나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로 인해 통화인 키프 가치가 급락하는 등 다시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들어 광물 수출과 수력 발전을 통한 전기 수출이 급증하면서 경제가 빠르게 성장했다. 2003년부터 연평균 8%에 가까운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였고, 2013년에는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는 국가 중 하나로 부상했다. 2014년 경제 성장률은 약 7.6%로 예상되었다. 2021년 라오스의 국내총생산(GDP)은 약 190억달러이며, 1인당 GDP는 2595USD이다. 국제 연합(UN) 기준에 따라 후발개도국으로 분류되며,[199] 2018년 기준 국민의 18.3%가 하루 2USD 미만으로 생활하는 빈곤층이다.[200] 2018년 인간개발지수(HDI)는 139위로 중간 개발 수준 국가로 평가받았으며,[116] 세계기아지수(2018)에서는 52개국 중 36위를 기록하여 심각한 기아 상황에 처한 국가 중 하나로 분류되었다.[117] 2019년 유엔 특별 보고관은 라오스의 경제 성장 및 빈곤 완화 접근 방식이 빈곤층과 소외 계층의 권리를 위태롭게 할 수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118]
라오스 경제는 이웃 국가인 태국, 베트남, 그리고 특히 북쪽의 중국과의 투자 및 무역에 크게 의존한다. 남부 도시 빡세는 태국 및 베트남과의 국경 무역을 통해 성장했다. 2009년, 미국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라오스가 더 이상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가 아니라고 선언하고, 미국 수출입은행의 자금 지원 금지 조치를 해제했다.[103][104]
중국은 일대일로 구상 참여를 통해 중국-라오스 철도 건설 등 인프라 투자에 적극적이지만,[171][172] 과도한 부채로 인한 '빚 함정 외교'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173][174] 국내에서는 태국 바트와 미국 달러가 자국 통화인 키프와 함께 널리 통용되며, 중국 국경 지역에서는 위안화도 사용된다.
주요 산업
- '''농업''':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2021년 기준 GDP의 34%를 차지한다.[162] 특히 자급농업은 GDP의 절반 가량을 차지하며 고용의 80%를 제공한다. 경작 가능한 토지는 전체 국토의 4%에 불과하며,[106] 이는 메콩강 유역 국가 중 가장 낮은 비율이다.[107] 쌀이 주요 작물로, 경작지의 약 80%에서 재배되며[109] 농가의 약 77%가 쌀을 자급자족한다.[110] 라오스는 메콩강 유역에서 가장 다양한 쌀 품종을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정부는 필리핀의 국제미작연구소와 협력하여 종자 샘플을 수집하고 있다.[111] 빡세 인근의 볼라벤 고원은 양질의 커피, 양배추, 감자 산지로 유명하며, 커피는 주요 농산물 수출품이다. 과거 농약이나 비료 사용이 적었던 점을 활용해 무농약 농산물 수출도 시도되고 있다.
- '''광업 및 에너지''': 라오스는 석탄, 금, 보크사이트, 주석, 구리, 칼륨염 등 다양한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나,[112] 개발은 아직 초기 단계이다. 험준한 지형과 미비한 교통 인프라가 개발의 제약 요인이다. 보석(특히 사파이어) 채굴은 비교적 활발하다. 풍부한 수자원과 산악 지형을 이용한 수력 발전 잠재력(약 18,000MW)이 크며, 생산된 전기의 상당 부분(약 8,000MW)을 태국과 베트남에 수출하여[113][114] '동남아시아의 배터리'로 불리기도 한다. 그러나 국내 송전망 부족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오히려 태국에서 전력을 수입하는 상황도 발생한다.[207] 2021년 기준, 국내 전력 생산은 여전히 석탄 등 화석 연료에 의존하는 측면이 있다.[115]
- '''관광''': 1990년 8만 명이었던 외국인 방문객 수가 2010년 187만 6천 명으로 급증하는 등 관광 산업이 빠르게 성장했다.[120] 2010년 기준 관광 수입은 총 수출의 16%를 차지했으며,[121] 주요 외화 수입원 중 하나이다. 루앙프라방과 왓푸 등 유네스코 세계유산과 비엔티안의 불교 사원 등이 주요 관광 자원이다. 정부는 국가 생태관광 전략을 수립하고 환경 및 문화적 영향을 줄이면서 소수 민족과 생물 다양성 보존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관광 산업을 육성하려 노력하고 있다.[123]
- '''제조업''': 제조업 기반은 아직 취약하다. 대표적인 제조업체로는 라오 맥주 회사에서 생산하는 비어라오가 있으며, 2017년 기준 20개국 이상에 수출되었다.[119] 전통적인 직물 생산 등은 대부분 농가 여성들의 부업이나 가내수공업 수준에 머물러 있다. 시중에 유통되는 공산품 대부분은 태국이나 중국산이다.
과제라오스는 내륙국으로 항구가 없어 물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메콩강은 강폭이 넓지만 남부의 콩파펜 폭포 때문에 외해 선박의 접근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주변국과의 도로 및 철도 연결을 추진하고 있다. 저렴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태국+1' 투자 대상국으로 주목받고 있지만,[208] 제조업 발전은 더딘 편이다. 외국 자본, 특히 중국 자본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경제적 종속 및 부채 문제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
7. 사회
2021년 기준 라오스의 인구는 733만 명이며, 2000년 이후 매년 약 10만 명씩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210] 인구밀도는 24/km²로[211] 주변 국가인 베트남(256/km²), 태국(132/km²) 등에 비해 매우 낮은 편이다. 수도 비엔티안의 인구도 71만 명 수준이다.[211]
주민의 과반수는 라오족이며, 그 외 공식적으로 48개로 발표된 소수민족이 거주한다(실제로는 더 많다고 추정됨). 라오스는 다양한 소수민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문화적, 정치적 통합에 어려움을 주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라오스 정부는 라오스 국적을 가진 모든 이를 라오스인으로 정의하며, 공식적으로는 소수민족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라오스인은 거주하는 지역의 고도에 따라 크게 세 집단으로 분류하기도 한다.[128][213]
- 라오룸 (저지 라오족): 전체 인구의 약 60~70%를 차지하며, 주로 메콩강 유역 평야 지대에 거주하는 타이계 민족이다. 논 농사를 짓고 상좌부 불교를 믿는다.[128][215]
- 라오텅 (구릉 라오족): 인구의 약 20~30%를 차지하며, 산 중턱 구릉지에 거주하는 몬-크메르어족 계통의 원주민 집단이다. 화전 농업과 사냥을 주로 한다.[128][132][215] '카(Kha)'라는 명칭은 경멸적인 표현으로 여겨진다.
- 라오숭 (고지 라오족): 인구의 약 10%를 차지하며, 산악 고지대에 거주한다. 흐몽-미엔계(흐몽족, 야오족 등)나 티베트-버마어족 계통 민족으로, 18~19세기경 중국 남부 등지에서 이주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화전 농업으로 찹쌀이나 옥수수를 재배한다.[43][216]
공용어는 라오어이며, 인구의 절반 이상이 모어로 사용한다.[43] 13~14세기에 크메르 문자에서 파생된 라오 문자를 사용한다.[133] 농촌 지역에서는 크머어, 몽어 등 다양한 소수 민족 언어가 사용된다.[43] 과거 식민 지배의 영향으로 프랑스어가 정부와 상업 분야에서 일부 사용되며, 라오스는 프랑스어 사용국 기구인 프랑코포니의 정회원국이다.[134] 최근에는 ASEAN의 공용어인 영어 학습이 증가하는 추세이다.[135] 태국어는 라오어와 매우 유사하여 일상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하다.[218]

2010년 기준으로 국민의 66%가 상좌부 불교 신자이며, 그 외 삿싸나 피와 같은 전통 신앙(32.3%) 등이 있다.[136][137] 실제로는 불교와 토착 애니미즘 신앙이 혼합된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과거 란쌍 왕조 시절 불교는 국교였으나, 현 정부 수립 이후 특별한 보호를 받지는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농촌 공동체와 불교 사원은 여전히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222]

2017년 기준 출생 시 기대 수명은 남성 62.6세, 여성 66.7세이다.[137] 2007년 건강 기대 수명은 54세였다.[138] 정부의 보건 지출은 GDP의 약 4% 수준이며, 1인당 지출액은 18USD (2006년 구매력 평가 기준) 정도이다.[138] 농촌 지역의 위생 시설 접근성은 여전히 낮은 편으로, 2018년 기준으로 약 190만 명이 개선된 상수도를, 240만 명이 개선된 위생 시설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225]

2017년 기준 성인 문해율은 여성 62.9%, 남성 78.1%이다.[139] 2004년 초등학교 순수 등록률은 84%였다.[138] 라오스는 2024년 글로벌 혁신 지수에서 111위를 기록했다.[140]
법적으로 일부일처제가 원칙이며 일부다처제는 범죄로 규정되어 있다.[156][220] 그러나 일부 흐몽족 사회에서는 관습적으로 일부다처제가 행해지기도 하며[157][221], 처벌은 가벼운 편이다. 2017년 조사에 따르면 15~49세 인구 중 여성의 3.5%, 남성의 2.1%가 일부다처 관계에 있었다.[139]
라오스의 모든 신문은 정부 기관에서 발행하며, 대표적으로 영어 신문 『비엔티안 타임즈』(Vientiane Times), 프랑스어 신문 『르 르노바퇴르』(Le Rénovateur), 라오어 신문 『파삭손』(Pasaxon), 『비엔티안 마이 신문』(Vientiane Mai Newspaper) 등이 있다. 공식 통신사로는 카오산 파테트 라오(Khaosan Pathet Lao, Lao News Agency)가 있다. 라오스 국영 라디오(LNR)와 라오스 국영 텔레비전(LNTV)이 운영되고 있으며, 많은 주민이 태국 방송을 시청하기도 한다. 언론에 대한 정부의 통제가 강하며, 국경 없는 기자회가 발표하는 세계 언론 자유 지수에서 지속적으로 하위권을 기록하고 있다. 다만, SNS에서는 정부에 대한 비판적인 의견이 나타나기도 한다.[236]
7. 1. 인권 문제
라오스 내전 당시 일부 라오스인 집단은 CIA의 지원을 받아 왕당파 편에서 싸웠다. 1975년 파텟라오가 라오스를 장악한 후에도, 고립된 지역에서는 갈등이 계속되었다. 1977년, 공산당 신문은 당이 "미국 협력자"와 그 가족들을 "뿌리까지" 색출할 것이라고 약속했다.[71] 최대 20만 명의 라오스인이 태국으로 망명했고, 일부는 미국으로 향했다. 다른 라오스인 전투원들은 샹쿠앙 주의 산악 지대에 수년 동안 숨어 지냈고, 2003년 잔류 세력이 정글에서 나타났다.[71]1989년, 유엔난민기구(UNHCR)는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라오스, 베트남, 캄보디아 출신 인도차이나 난민의 유입을 막기 위한 포괄적 행동 계획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 계획에 따라 난민 지위는 심사 과정을 통해 평가되었다. 인정된 망명 신청자에게는 재정착 기회가 주어졌고, 나머지 난민은 안전 보장 하에 본국으로 송환되었다. UNHCR과 태국 정부와의 협의 후, 라오스는 태국에 거주하는 6만 명의 라오스 난민, 수천 명의 라오스인을 포함하여 본국으로 송환하는 데 동의했다. 일부 라오스 난민들은 자발적으로 귀환하려 했다.[72] 태국 정부가 남은 난민 수용소를 폐쇄하기 위해 노력함에 따라 난민 재정착에 대한 압력이 커졌다. UNHCR의 개발 지원을 받아 일부 라오스인이 자발적으로 라오스로 돌아갔지만, 강제 송환 주장이 제기되었다.[73][74] 라오스로 돌아간 라오스인 중 일부는 라오스 당국의 차별과 잔혹한 대우를 설명하며 다시 태국으로 탈출했다.[75]

1993년, 태국에서 가장 큰 라오스 난민 수용소의 지도자이자 전 라오스 군인인 부에 마이는 방콕의 미국 대사관에 의해 본국 송환 프로그램의 성공을 증명하기 위해 라오스로 돌아가도록 모집되었지만, 비엔티안에서 사라졌다. 미국 난민 위원회에 따르면 그는 라오스 보안군에 체포되어 다시는 나타나지 않았다.[76] 부에 마이 사건 이후, 미국을 포함하여 라오스인의 라오스 송환 계획에 대한 논쟁이 심화되었고, 미국의 보수파와 일부 인권 옹호가들의 반대를 불러일으켰다. 1995년 10월 23일 ''내셔널 리뷰'' 기사에서 마이클 존스는 라오스인의 송환을 클린턴 행정부의 "배신"이라고 규정하고, 라오스인을 "미국의 지정학적 이익을 위해 피를 흘린 사람들"이라고 묘사했다.[77]
송환 계획에 대한 반대에서 민주당과 공화당 의원들은 클린턴 행정부의 라오스 정부가 라오스인의 인권을 체계적으로 침해하지 않았다는 입장에 도전했다. 예를 들어, 미국 하원의원 스티브 귄더슨은 라오스인 모임에서 "저는 제 정부에 당신이 진실을 말하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지만, 진실과 정의를 옹호하는 데 필요하다면 그렇게 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77]
일부 강제 송환 주장은 부인되었지만,[78] 수천 명의 라오스인은 라오스로 돌아가기를 거부했다. 1996년 태국 난민 수용소 폐쇄 기한이 다가오고 정치적 압력이 커짐에 따라 미국은 심사 과정을 통과한 라오스 난민을 재정착시키는 데 동의했다.[79] 수용소 폐쇄 당시 재정착되지 않은 약 5,000명의 라오스인이 태국 중부의 불교 사찰인 왓탐크라복에 망명을 신청했고, 이미 1만 명 이상의 라오스 난민이 거주하고 있었다. 태국 정부는 이들 난민을 본국으로 송환하려고 했고, 왓탐크라복의 라오스인들은 떠나기를 거부했고, 라오스 정부는 그들이 마약 밀매에 연루되어 있고 라오스인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그들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했다.[80] 태국 정부의 강제 추방 위협에 따라, 미국은 라오스인의 승리로 2003년 1만 5천 명의 난민을 받아들이는 데 동의했다.[81] 미국 재정착을 허가받지 못하면 라오스로 강제 송환될까 두려워한 수천 명의 라오스인이 수용소를 떠나 19세기부터 상당수의 라오스인이 거주해 온 태국 내 다른 지역으로 도망쳤다.[82] 2004년과 2005년에 수천 명의 라오스인이 라오스 정글에서 태국 펫차분 주의 임시 난민 수용소로 도망쳤다.[83]
라오스 정부가 라오스인을 박해했다는 이전 주장에 더욱 힘을 실어주는 영화 제작자 레베카 조머는 그녀의 다큐멘터리 ''사냥개처럼 사냥당하다''[84]와 2006년 5월 유엔에 제출된 난민 청구 요약을 포함한 종합 보고서에서 직접적인 증언을 기록했다.[85]
유럽 연합,[86] UNHCR, 그리고 국제 단체들은 그 이후로 강제 송환에 대해 비판했다.[86][87][88][89] 태국 외무부는 농카이의 구금 센터에 수용된 라오스 난민의 추방을 중단할 것이라고 말했으며, 호주, 캐나다, 네덜란드, 미국에서 그들을 재정착시키기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90] 미국에서 추가 라오스 난민을 재정착시키려는 계획은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애국자법과 실명확인법 조항으로 인해 중단되었는데, 이 법에 따라 미국의 편에서 싸운 비밀 전쟁의 라오스 참전 용사들은 역사적 무력 충돌 참여로 인해 테러리스트로 분류된다.[91]
이코노미스트의 2016년 ''민주주의 지수''에서 라오스는 "권위주의 정권"으로 분류되어 연구 대상에 포함된 9개의 아세안 국가 중 가장 낮은 순위를 기록했다.[92][93] 시민 사회 옹호자, 인권 운동가, 정치 및 종교 반체제 인사, 그리고 몽족 난민들이 라오스 군 및 보안군에 의해 사라졌다.[94]
겉으로는 1991년에 공포되고 2003년에 개정된 라오스 헌법에 인권 보호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8조는 라오스가 다민족 국가이며 모든 민족 집단 간의 평등을 추구한다는 점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다. 헌법에는 성평등, 종교의 자유, 언론의 자유, 그리고 언론과 집회의 자유에 대한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95] 2009년 9월 25일, 라오스는 조약 서명 9년 만에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을 비준했다. 라오스 정부와 국제 원조 기관의 명시된 정책 목표는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과 빈곤 감소에 여전히 초점을 맞추고 있다.[96][97]
어떤 단체는 표현의 자유, 수감 환경, 종교의 자유 제한, 난민과 망명 신청자 보호, 사형제도와 관련하여 우려를 제기했다.[98] 라오스는 인신 매매의 발생 국가로 지목되어 왔다.[99] 주로 소수 민족 출신 여성과 소녀, 그리고 외국인 시민들이 라오스의 성매매 피해자가 되어 왔다.[100][101][102] 라오스 정부는 자국 행위에 대한 비판을 막기 위해 언론 매체를 통제한다.[153] 정부를 비판한 라오스 시민들은 강제 실종, 체포 및 고문을 당했다.[154][155]
황금 삼각지대의 한 곳이라는 점에서, 약물 관련 범죄와 관련된 문제가 뿌리 깊은 측면을 남기고 있다.[226]
2023년 4월 17일 기준으로 외무성은 “최근 수도 비엔티안을 중심으로 한 도시 지역에서 강탈, 강도, 소매치기, 절도 등 일반 범죄가 빈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본인이 피해자가 되는 주택 침입 절도, 마취 강도, 야간 강탈 사건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2년 5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대책에 따른 라오스 입국 제한이 대폭 완화된 이후로 일본인 관광객이 피해자가 되는 강탈 및 수면제 강도 사건도 발생하고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라고 밝히고 있습니다.[227] 또한 라오스에서는 부패가 문제가 되고 있으며, 정부는 부패 억제에 힘쓰고 있지만[228], 2012년 국제투명성기구(Transparency International, TI)의 부패인식지수에 따르면, 총 176개국 중 160위를 기록했습니다.[229]
라오스 정부는 자국 소수민족인 몽족에 대한 대량학살을 자행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230]
NGO와 인권 운동가들의 보고에 따르면, 현지에서는 개별적인 인권 침해 사건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고 한다.
예
8. 문화
라오스 문화는 남방상좌부 불교의 영향을 깊게 받았다. 인구의 약 60%가 남방상좌부 불교를 믿으며, 나머지 40%는 애니미즘이나 다른 종교를 믿는다. 하지만 실제로는 불교와 애니미즘이 혼합된 형태로 신앙하는 경우가 많다. 몽족은 다른 민족과 달리 유교를 따른다. 라오스 남부에는 소수의 기독교 신자도 있다. 19세기까지 이어진 란쌍 왕조에서는 불교가 국교였으나, 라오스 인민민주공화국 수립 이후 특별한 보호를 받지 못하게 되었다. 공산주의 정권 초기에는 종교의 자유를 탄압했지만, 1991년 헌법에서 종교의 자유를 인정한 이후 남방상좌부 불교를 중심으로 종교 활동이 다시 활발해졌다. 농촌 지역 공동체와 불교 사찰은 여전히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라오스 인민혁명당도 불교와의 관계를 의식하여 "당의 이념·사상과 일치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222] 기독교에 대한 탄압 역시 2003년 미국과의 협정 이후 현지 교회의 예배가 자유로워지는 등 점차 완화되고 있다.
라오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어 사용된다. 라오어와 태국어는 같은 어족에 속하며 서로 방언 관계에 가깝지만, 라오스에서는 태국의 영향력을 줄이기 위해 라오어의 독립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호텔이나 관광객 대상 식당 등에서는 영어가 통용되며, 프랑스 식민 지배의 영향으로 프랑스식 교육을 받은 사람이나 정부 고위 관계자, 엘리트층 사이에서는 프랑스어도 사용된다.[218]
찹쌀은 라오스 사람들의 주식이다. 지역 환경과 민족 집단에 따라 쌀 생산과 관련된 다양한 전통과 의례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루앙프라방의 카무족 농부들은 돌아가신 부모를 기리기 위해 집 근처에 특정 품종('카오캄')의 쌀을 심거나, 부모가 살아계심을 나타내기 위해 논둑에 쌀을 심는 풍습이 있다.[141] 어느 도시에서나 포장마차 문화가 발달해 있다.
라오스의 일반적인 전통 의상으로는 Xout lao|수옷 라오lo가 있으며, 이는 라오어로 "라오스 의상"이라는 뜻이다. 여성들은 치마 형태의 '싱'을 입기도 한다. 또한, 한복과 유사한 형태의 긴 소매 상의인 Suea pat|수어팟lo도 있다.
라오스를 대표하는 역사적 건축물로는 불교 사찰인 왓 시엥통이 유명하다. 루앙프라방에는 왓 시엥통 외에도 왓 농 시쿰무앙 등 오래된 불교 사찰들이 다수 남아 있다.
왕정이 폐지된 후 제작된 첫 장편 영화는 1983년 솜치트 폴세나(Somchith Pholsena) 감독의 「항아리 평원에서 들리는 총성(Gun Voice from the Plain of Jars)」이지만, 검열로 인해 상영되지 못했다.[142] 상업적으로 성공한 첫 장편 영화는 2008년에 제작된 「사바이디 루앙프라방(Sabaidee Luang Prabang)」이다.[143] 2017년 다큐멘터리 영화 「블러드 로드(Blood Road)」는 라오스 정부의 지원을 받아 현지에서 촬영 및 제작되었으며, 2018년 뉴스&다큐멘터리 에미상(News and Documentary Emmy Award)을 수상했다.[144]
호주 영화 감독 킴 모던트(Kim Mordount)의 첫 장편 영화 「더 로켓(The Rocket)」(2013)은 라오스에서 라오스 배우들이 모국어로 연기했으며,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3개의 상을 수상하는 등 국제적으로 주목받았다.[145] 이 외에도 아니사이 케올라(Anysay Keola) 감독의 「지평선에서(At the Horizon)」[146], 마티 도(Mattie Do) 감독의 「찬탈리(ຈັນທະລີ|Chanthalylo)」[147][148] 등이 국제 영화제에 소개되었다. 2017년에는 마티 도 감독의 「디어리스트 시스터(ນ້ອງຮັກ|Dearest Sisterlo)」가 제90회 아카데미 시상식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부문에 출품되어, 라오스 영화 역사상 최초로 아카데미상 후보에 도전했다.[149] 2018년 기준으로 라오스에는 영화 상영 전용 극장이 3개 있다.[150]
라오스의 음악 문화는 캄보디아 음악, 베트남 음악 등 인접 국가의 음악 문화와 많은 유사점을 가지며, 특히 태국 음악과의 유사성이 두드러진다.
라오스에는 다양한 공휴일, 축제, 의식이 있다.[151][152]
- 몽족 신년 (노페자오, Nopejao)
- 분 파 웻 (Bun Pha Wet)
- 마카부차 (Magha Puja)
- 중국 설날 (Chinese New Year)
- 분 쿤 카오 (Boun Khoun Khao)
- 분 삐마이라오 (Boun Pimai, 라오스 설날)
- 분 방 파이 (로켓 축제, Boun Bang Fai)
- 위삭 부차 (Visakha Puja)
- 카오 판사 (Khao Phansaa)
- 하오 카오 파답 딘 (Haw Khao Padap Din)
- 아옥 판사 (Awk Phansaa)
- 분 남 (Bun Nam)
- 라오스 국경일 (12월 2일)
1986년 소련의 페레스트로이카 영향을 받아 라오스에서도 '친타나칸 마이'(新思考)라는 시장 경제 도입 정책이 시작되었다. 이는 중국의 개혁개방, 베트남의 도이모이와 유사한 시도로, 사회주의 체제 내에 자본주의 시스템을 도입하려는 것이었다. 이 정책 이후 라오스는 점차 개방되었고, 정부는 관광 산업 육성에 힘썼다. 그 결과, 루앙프라방, 왓푸 등 세계유산과 비엔티안의 탓 루앙 사원 등 불교 유적지를 중심으로 관광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여 중요한 외화 수입원이 되었다. 일본에서는 라오스 관광 홍보를 위해 2007년 도쿄 요요기 공원에서 제1회 라오스 페스티벌을 개최하기도 했다.[209]
라오스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된 문화유산이 3곳 있다.
- 루앙프라방 (1995년)
- 참파삭 주의 문화경관 및 관련 고대 유적군 (2001년)
- 시엥쿠앙 주 저어 평원의 거석 항아리 유적 (2019년)
날짜 | 한국어 표기 | 현지어 표기 | 비고 |
---|---|---|---|
1월 1일 | 신년 | ||
1월 20일 | 국군 기념일 | 라오인민혁명군 창설 기념일 | |
2월 9일 | 마카부차 | 부처가 사후의 모습을 예언한 날 | |
3월 8일 | 여성의 날 | 국제 여성의 날 | |
4월 14일 - 16일 | 분 삐마이라오 (라오스 설날) | ||
5월 1일 | 노동절 | 메이데이 | |
5월 8일 | 위삭 부차 | 석가모니 탄생일 | |
6월 1일 | 어린이날 | 국제 어린이날, 식목일 | |
7월 7일 | 카오 판사 | 안거 시작 의식 | |
8월 15일 | 헌법 기념일 | ||
8월 20일 | 우란분절 | ||
9월 4일 | 분카오살락 | 조상 숭배 | |
10월 4일 | 아옥 판사 | 안거 종료 의식 | |
10월 5일 | 보트 축제 | ||
10월 7일 | 교사의 날 | 국제 교사의 날은 10월 5일 | |
10월 12일 | 독립 선언 기념일 | ||
11월 2일 | 탓 루앙 축제 | 수도 비엔티안에 있는 황금 탑 축제 | |
12월 2일 | 건국 기념일 | 국경일 | |
12월 13일 | 카이손 폼비한 생일 | 라오인민민주공화국 성립 공로자 |
9. 스포츠
축구는 라오스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 1990년에 창설된 라오 리그는 2013년에 프로화되었으며, 펩시콜라의 후원을 받아 "펩시 라오 리그 1"이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라오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아직 FIFA 월드컵이나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한 기록이 없다.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에는 12번 출전했지만, 모든 대회에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성과를 거두고 있는데, 성인 대표팀은 2016년 AFC 솔리대리티컵에서 3위를 차지하여 라오스 A대표팀 역사상 국제 대회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또한 U-23 대표팀은 2022년 AFF U-23 챔피언십에서 4강에 오르며, 홈에서 열린 2009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이후 13년 만에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AFF) 주관 대회 토너먼트 진출이라는 성과를 거두었다.
라오스의 국기인 격투기 라오 무에[158]는 태국의 무에타이, 미얀마의 레트웨이, 캄보디아의 프라달 세레이와 유사한 킥복싱의 한 형태이다.[159] 일부에서는 라오 무에를 태국의 무에타이와 캄보디아의 쿤 크메르의 원형으로 보기도 한다.
10. 대외 관계
1975년 12월 파텟 라오가 집권한 이후 라오스는 소련 블록에 편입되어 소련 및 베트남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외교 정책을 펼쳤으며, 서방 국가들에 대해서는 적대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 시기에는 대부분의 외국 원조를 소련에 의존했다.[65] [66][165]
이후 국제적 고립에서 벗어나기 위해 러시아, 중국, 태국, 오스트레일리아, 독일, 이탈리아, 일본, 스위스 등 여러 국가와 관계를 넓혀 나갔다.[67] 특히 2009년 이후에는 중국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경향을 보였다.[175] 미국과의 무역 관계는 2004년 11월 미국 의회의 승인을 통해 정상화되었다.[68]
라오스는 1997년 7월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에 가입했으며[69][166], 2016년에는 세계무역기구(WTO) 회원국이 되었다.[69] 또한 2005년에는 제1회 동아시아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등 국제 사회 참여를 확대하고 있다.[70]
10. 1. 대한민국 관계
1974년 대한민국과 수교하였으나, 다음 해 1975년 라오스가 공산화되어 단교되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수교하게 되었다. 대한민국과는 1985년 10월 25일에 다시 수교하여, 1988년 서울올림픽 때 선수 및 임원단을 파견하였다. 현재 비엔티안에 대한민국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으며, 서울에는 주한 라오스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총 천여 명의 한국인들이 라오스에 거주[246]하고 있다.2013년에는 대한민국으로 오려고 했던 탈북 청소년 9명을 라오스 정부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강제 추방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2013년 라오스 탈북청소년 북송 사건)이 일었으며, 이로 인해 라오스 정부와 대한민국 외교부 간에 진실 공방[247]이 벌어진 적도 있었다.
2019년 9월 문재인 대통령이 라오스를 방문하여 메콩강 개발 자금 지원을 약속했으나, 이후 이행되지 않고 있다.
10. 2. 중국 관계
중국과의 관계는 매우 우호적이다.10. 3. 베트남 관계
라오스는 통일전쟁과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미국에 맞서 함께 싸운 베트남을 혈맹으로 여긴다. 양국 공산당 서기장은 매년 서로 방문하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아세안 내에서의 입지 강화를 위해서도 협력하고 있다.10. 4. 캄보디아 관계
1353년에 크메르 왕국의 지원을 받아 라오스의 메콩강 유역에 란쌍 왕국이 등장하였다. 란쌍 왕국의 지도자였던 파움 왕은 라오스의 란쌍 왕국(백만 마리의 코끼리 영토라는 뜻)을 수립했다.10. 5. 태국 관계
태국의 딱신 대왕은 1768년 방콕 건너편의 대방콕 일부에 속하는 톤부리를 도읍지로 정하고 스스로 왕위에 올라 라오스·캄보디아까지 세력을 넓혔다. 현대 라오스는 경제 분야에서 태국과 가장 많은 경제 관계를 맺고 있다.10. 6. 미국 관계
미국은 라오스 내전 당시 수바나 푸마 총리가 이끌던 라오 이싸라 등 우파 정권을 지지했다. 이로 인해 라오스에 공산주의 정부가 들어선 이후 양국 관계는 소원해졌다.참조
[1]
웹사이트
The Languages spoken in Laos
http://www.studycoun[...]
2018-09-16
[2]
웹사이트
Results of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5
https://lao.unfpa.or[...]
Lao Statistics Bureau
2020-05-01
[3]
CIA World Factbook
2022-09-24
[4]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4 Edition. (Laos)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4-10-20
[5]
웹사이트
Gini Index
http://data.worldban[...]
World Bank
2011-03-02
[6]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4
https://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4-03-13
[7]
웹사이트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s Constitution of 1991 with Amendments through 2003
https://constitutepr[...]
2017-10-29
[8]
웹사이트
Laos
http://encyclopedia2[...]
2016-09-08
[9]
웹사이트
Laos - definition of Laos in English from the Oxford dictionary
https://web.archive.[...]
2015-11-09
[10]
웹사이트
Oxford Dictionaries (American English)
https://web.archive.[...]
[11]
웹사이트
About Laos: Geography
http://www.na.gov.la[...]
Government of Laos
2016-04-16
[12]
서적
The Lao Kingdom of Lan Xang: Rise and Decline
White Lotus Press
[13]
뉴스
China train project runs roughshod over Laos
https://asiatimes.co[...]
2019-01-19
[14]
뉴스
Laos approves Xayaburi 'mega' dam on Mekong
https://www.bbc.co.u[...]
2012-11-05
[15]
웹사이트
Lao PDR [Overview]
http://www.worldbank[...]
2018-03
[16]
뉴스
Laos Securities Exchange to start trading
https://ftalphaville[...]
2011-01-10
[17]
웹사이트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and the WTO
http://www.wto.org/e[...]
World Trade Organization
[18]
웹사이트
How to Say "Laos"
https://www.tripsavv[...]
[19]
웹사이트
10 Things You Need to Know Before Visiting Laos
https://www.fodors.c[...]
2019-04-04
[20]
웹사이트
Meaning of Laos in English
https://dictionary.c[...]
[21]
웹사이트
Laos – definition and synonyms
https://www.macmilla[...]
2019-10-07
[22]
웹사이트
Definition of Laos by Merriam-Webster
https://www.merriam-[...]
2020-03-27
[23]
논문
Anatomically modern human in Southeast Asia (Laos) by 46 ka
[24]
논문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in northern Laos: New contributions to Southeast Asian prehistory
http://antiquity.ac.[...]
2016-09-18
[25]
서적
Handbook of East and Southeast Asian Archaeology
Springer
2017
[26]
간행물
Layers of Chinese Loanwords in Proto-Southwestern Tai as Evidence for the Dating of the Spread of Southwestern Tai
http://www.manusya.j[...]
2014
[27]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28]
웹사이트
Fa Ngum
https://www.britanni[...]
2019-12-23
[29]
웹사이트
Fa Ngum
http://www.history.c[...]
History.com
2011-01-23
[30]
서적
The Kingdoms of Laos
Taylor & Francis
[31]
서적
Seventy Years of Anarchy
Taylor & Francis
[32]
서적
Vientiane: transformations of a Lao landscape
Routledge
[33]
웹사이트
Let's hope Laos hangs on to its identity
http://www.asianewsn[...]
Asianewsnet.net
2011-01-23
[34]
서적
Imperial Wars 1815–1914
Amber Books
2013
[35]
웹사이트
Slavery in Nineteenth-Century Northern Thailand: Archival Anecdotes and Village Voices
https://web.archive.[...]
[36]
웹사이트
Laos: Laos under the French
http://www.culturalp[...]
Culturalprofiles.net
2006-08-11
[37]
서적
Le Laos
Karthala
[38]
웹사이트
History of Laos
https://web.archive.[...]
1960-08-09
[39]
서적
Creating Laos: The Making of a Lao Space Between Indochina and Siam, 1860–1945
https://books.google[...]
NIAS Press
[40]
서적
A History of Lao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서적
Histoire du Laos
PUF
1974
[42]
웹사이트
Events in 1945
http://lcweb2.loc.go[...]
Federal Research Division, Library of Congress
1994
[43]
백과사전
Laos – Overview
https://www.britanni[...]
2011-01-23
[44]
웹사이트
Making More Enemies than We Kill? Calculating U.S. Bomb Tonnages Dropped on Laos and Cambodia, and Weighing Their Implications
http://apjjf.org/201[...]
2015-04-26
[45]
웹사이트
'My friends were afraid of me': What 80 million unexploded US bombs did to Laos
http://www.cnn.com/2[...]
2016-09-06
[46]
웹사이트
Disarmament
http://www.unog.ch/8[...]
United Nations
2011-11
[47]
논문
Fifty years of violent war deaths from Vietnam to Bosnia: analysis of data from the world health survey programme
2008
[48]
간행물
LAOS: The Vietnamese Connection
https://www.jstor.or[...]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ides
1980
[49]
서적
Politics in Contemporary Southeast Asia: Authority, Democracy and Political Chang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6
[50]
서적
Laos: a country study
http://www.public-li[...]
Federal Research Division, Library of Congress
1995
[51]
논문
Renovation in Vietnam since 1988 a study in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hange
http://shodhganga.in[...]
Sri Venkateswara University
[52]
웹사이트
Laos (04/09)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53]
웹사이트
The Completed China-Laos Railway
https://www.aseanbri[...]
2021-12-21
[54]
웹사이트
Nsc Lao Pdr
http://www.nsc.gov.l[...]
Nsc.gov.la
[55]
학술지
Anthropogenic modification of forests means only 40% of remaining forests have high ecosystem integrity
[56]
웹사이트
Laos travel guides
http://indochinatrek[...]
Indochinatrek.com
[57]
뉴스
Mekong Divides Different Worlds In 'Golden Triangle'
https://www.npr.org/[...]
[58]
웹사이트
Opium Poppy Cultivation in South East Asia
https://www.unodc.or[...]
2007-10
[59]
웹사이트
Laos – Climate
http://countrystudie[...]
Countrystudies.us
[60]
웹사이트
East Asia/Southeast Asia ::
https://www.cia.gov/[...]
[61]
웹사이트
ABOUT XAYSOMBOUN
https://web.archive.[...]
2019-05-23
[62]
뉴스
Laos profile
https://www.bbc.com/[...]
2018-01-09
[63]
뉴스
Laos parliament elects new president
https://www.aa.com.t[...]
2021-03-22
[64]
뉴스
Laos promotes PM Thongloun as leader of communist party
https://asia.nikkei.[...]
2021-01-15
[65]
웹사이트
Laos economy set for impressive recovery
https://ge63.com/lao[...]
2023-04-11
[66]
웹사이트
Laos – Foreign Aid
http://www.country-d[...]
[67]
웹사이트
OEC – Laos (LAO) Exports, Imports, and Trade Partners
https://oec.world/en[...]
[68]
논문
Laos: Background and U.S. Relations
https://fas.org/sgp/[...]
2007-02-05
[69]
웹사이트
Laos – Trade Agreements
https://www.export.g[...]
[70]
뉴스
Q+A – What is the East Asia Summit all about?
https://www.reuters.[...]
2009-10-24
[71]
뉴스
No way out
https://www.thetimes[...]
2006-07-30
[72]
뉴스
Laos agrees to voluntary repatriation of refugees in Thailand
U.P.I.
1991-06-05
[73]
뉴스
Lao Refugees Return Home Under European Union Repatriation Program
1994-11-22
[74]
뉴스
House Panel Hears Concerns About Hmong
1994-04-26
[75]
서적
Tragic Mountains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76]
웹사이트
Hmong Leader's Vanishing In Laos Reverberates in U.S.
http://articles.phil[...]
[77]
웹사이트
Acts of Betrayal: Persecution of Hmong
http://findarticles.[...]
1995-10-23
[78]
웹사이트
Reports on results of investigations of allegations concerning the welfare of Hmong refugees and asylum seekers in Thailand and Laos
http://content.cdlib[...]
United States Embassy (Thailand)
1992
[79]
뉴스
State Department Outlines Resettlement Guidelines for Hmong Refugees
1996-05-18
[80]
뉴스
Laos refuses to take back Thai-based Hmong refugees
1998-08-20
[81]
웹사이트
Refugee Admissions Program for East Asia
https://2001-2009.st[...]
Bureau of Population, Refugees, and Migration
2004-01-16
[8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Hmong Resettlement Task Force
http://www.centralca[...]
Hmong Resettlement Task Force
2012-03-07
[83]
뉴스
Hmong refugees pleading to stay
http://news.bbc.co.u[...]
2005-07-28
[84]
웹사이트
Hunted like animals
http://www.sommerfil[...]
Rebecca Sommer Film Clips
[85]
웹사이트
Report on the situation in the Xaysomboun Special Zone and 1100 Hmong-Lao refugees who escaped to Petchabun, Thailand during 2004–2005
http://www.earthpeop[...]
2006-05
[86]
웹사이트
Thailand: EU Presidency Declaration on the situation of Hmong refugees
http://www.europa-eu[...]
2007-02-01
[87]
웹사이트
Hmong refugees facing removal from Thailand
http://web.amnesty.o[...]
2007-03
[88]
웹사이트
Deportation of Hmong Lao refugees stopped in last minute
http://www.gfbv.de/p[...]
2007-01-30
[89]
웹사이트
Hmong: UNHCR Protests Refugee Deportation
http://www.unpo.org/[...]
Unrepresented Nations and Peoples Organization
2007-02-05
[90]
뉴스
Thailand halts Hmong repatriation
http://news.bbc.co.u[...]
2007-01-30
[91]
뉴스
Bush Signs Law Excluding Hmong From Patriot Act.
Asianweek
2008
[92]
뉴스
In charts: How the Philippines fares in Southeast Asia
http://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017-11-12
[93]
뉴스
Democracy Index 2016
https://www.eiu.com/[...]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2017-11-12
[94]
웹사이트
CPPA – Center for Public Policy Analysis
http://www.centerfor[...]
CPPA – Center for Public Policy Analysis
2014-12-12
[95]
웹사이트
2003 Laos Constitution
https://www.constitu[...]
2020-11-25
[96]
웹사이트
Lao PDR
http://www.worldbank[...]
World Bank
2011-07-14
[97]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Lao PDR
https://www.constitu[...]
2020-11-25
[98]
웹사이트
Submission to the UN Universal Periodic Review: Eighth session of the UPR Working Group of the Human Rights Council
https://www.amnesty.[...]
2010-05
[99]
웹사이트
LAO PDR UN ACT
https://web.archive.[...]
[100]
뉴스
Two teenagers rescued from forced prostitution in Laos
https://web.archive.[...]
2014-11-04
[101]
웹사이트
Trafficking Racket Smashed
https://www.rfa.org/[...]
2010-10-14
[102]
웹사이트
Chinese marriage proposals become prostitution nightmares for some Lao girls
https://www.refworld[...]
2017-02-13
[103]
뉴스
Communism and Capitalism Are Mixing in Laos
https://www.nytimes.[...]
2009-09-17
[104]
뉴스
USA: Obama promotes Laos e Cambogia
https://www.lagazzet[...]
[105]
뉴스
Out of obscurity
https://asiatimes.co[...]
2016-12-10
[106]
웹사이트
Field Listing – Land use
https://web.archive.[...]
2014-03-26
[107]
웹사이트
About Greater Mekong Subregion
https://web.archive.[...]
2011-11-17
[108]
논문
Effects of AFTA on poverty: Evidence from Laos
2016
[109]
웹사이트
Rice: The Fabric of Life in Laos
https://web.archive.[...]
2007-06-28
[110]
간행물
Genuinely Lao
https://web.archive.[...]
2006-06-30
[111]
웹사이트
A Race Against Time
http://www.irri.org/[...]
2010-06-27
[112]
웹사이트
Mining Sector in Laos
https://web.archive.[...]
Institute of Developing Economies
2015-11-29
[113]
논문
Lao PDR: How to Attract More Investment in Small-Scale Renewable Energy?
https://www.research[...]
2020
[114]
웹사이트
Preparing the Cumulative Impact Assessment for the Nam Ngum 3 Hydropower Project: Financed by the Japan Special Fund
http://www.adb.org/D[...]
2010-06-27
[115]
저널
The ASEAN climate and energy paradox
2021-12
[116]
웹사이트
Briefing note for countries on the 2015 Human Development Report – Laos
http://hdr.undp.org/[...]
HDRO (Human Development Report Office)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15-12-26
[117]
웹사이트
2015 Global Hunger Index
http://ghi.ifpri.org[...]
International Food Policy Research Institute (IFPRI)
[118]
웹사이트
UN expert: Lao PDR's economic strategy entrenches poverty
https://www.ohchr.or[...]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2019-03-28
[119]
웹사이트
The Heart of ASEAN sets pulses racing
https://panoramagrou[...]
2020-08-02
[120]
웹사이트
International visitor data
http://www.wttc.org/[...]
World Travel & Tourism Council
2011-01-20
[121]
웹사이트
Laos – Key Facts
https://web.archive.[...]
World Travel & Tourism Council
2011-01-20
[122]
웹사이트
European Council On Tourism And Trade Delegation Visit To Laos-World Best Tourist Destination
https://ectt.webs.co[...]
2015-07-05
[123]
웹사이트
The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s Vision for Ecotourism
http://www.ecotouris[...]
2014-01-20
[124]
웹사이트
China's BRI and its High-Speed Railways to Nowhere
https://thediplomat.[...]
2021-01-21
[125]
웹사이트
Water Supply and Sanitation in Lao PDR
http://documents.wor[...]
2018-12-10
[126]
간행물
Lao PDR's progress in rural sanitation
http://www.developme[...]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2010
[127]
웹사이트
Focales n° 8. Energy Efficiency Retrofitting of Buildings – Challenges and Methods
http://www.afd.fr/la[...]
afd.fr
2011-02-17
[128]
웹사이트
UN Demographic Yearbooks
http://unstats.un.or[...]
2018-11-30
[129]
서적
The Tai-Kadai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
[130]
간행물
Layers of Chinese Loanwords in Proto-Southwestern Tai as Evidence for the Dating of the Spread of Southwestern Tai
http://www.manusya.j[...]
2014
[131]
웹사이트
:: Overseas Compatriot Affairs Commission, R.o.c. ::
http://www.ocac.gov.[...]
2016-09-23
[132]
웹사이트
Khmu people of Laos. OMF International
http://www.omf.org/o[...]
Omf.org
2011-01-23
[133]
논문
Languages and Literatures of Indochina
[134]
웹사이트
Laos
https://www.francoph[...]
La Francophonie
2021-02-07
[135]
웹사이트
Languages of Laos
http://www.tlfq.ulav[...]
Laval University
2012-07-09
[136]
웹사이트
Global Religious Landscape; Table: Religious Composition by Country
https://assets.pewre[...]
2020-04-16
[137]
웹사이트
Laos
https://www.cia.gov/[...]
2018-07-28
[138]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09.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http://hdrstats.undp[...]
HDRstats.undp.org
2010-06-27
[139]
서적
Lao Social Indicator Survey II 2017, Survey Findings Report
https://laopdr.un.or[...]
Lao Statistics Bureau and UNICEF
2018
[140]
서적
Global Innovation Index 2024. Unlocking the Promise of Social Entrepreneurship
https://www.wipo.int[...]
2024-10-22
[141]
웹사이트
Evaluation Synthesis of Rice in Lao PDR
http://www.adb.org/E[...]
2010-06-27
[142]
학술지
Starting an Asian Cinema: Laos Past and Present
https://books.google[...]
Yamagata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999
[143]
뉴스
Good Good Morning, Luang Prabang – and hello to Laos's film industry
https://www.independ[...]
2010-06-10
[144]
웹사이트
Blood Road
http://www.imdb.com/[...]
[145]
웹사이트
Q&A with director Kim Mordaunt (The Rocket)
https://web.archive.[...]
MIFF
2013-08
[146]
웹사이트
A tale of revenge in Laos challenges censors
https://www.bbc.com/[...]
2012-08-22
[147]
웹사이트
Chanthaly
http://fantasticfest[...]
Fantastic Fest
2013
[148]
웹사이트
Fantastic Fest 2013 Review: Chanthaly is A Haunting Portrait of Modern Day Laos
https://screenanarch[...]
2013-09-26
[149]
뉴스
Laos Selects 'Dearest Sister' as First Foreign-Language Oscar Submission
https://variety.com/[...]
2017-09-19
[150]
뉴스
Cannes: Southeast Asia Is Ready for Its Big-Screen Close-up
https://www.hollywoo[...]
Valence Media
2018-05-09
[151]
뉴스
Laos'un Festivalleri
https://gezimanya.co[...]
2016-11-11
[152]
뉴스
Laos Festivals & Events
http://www.visit-lao[...]
2018-03-06
[153]
웹사이트
Laos: Crony scheme in control of press and civil society
http://www.indexonce[...]
2014-05-12
[154]
웹사이트
2012 Human Rights Reports: Laos
https://2009-2017.st[...]
State.gov
2014-08-09
[155]
뉴스
Off the air in Laos
http://www.atimes.co[...]
2014-08-09
[156]
웹사이트
Social Discrimination in the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https://www.genderin[...]
2019-08-01
[157]
웹사이트
Lao PDR: Family Code
https://web.archive.[...]
Genderindex.org
[158]
웹사이트
Muay Lao, the forgotten art of kickboxing
https://web.archive.[...]
[159]
서적
Thailand – Sports and recreation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0-01-26
[160]
웹사이트
ラオス人民民主共和国(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2022-07-17
[161]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https://www.imf.org/[...]
IMF
2021-10-13
[162]
웹사이트
ラオス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外務省
2023-06-18
[163]
웹사이트
ラオスについて
http://www.lao.jp/ab[...]
[164]
Kotobank
2021-01-28
[165]
Kotobank
2021-01-28
[166]
Kotobank
2021-01-28
[167]
웹사이트
EIU Democracy Index - World Democracy Report
https://www.eiu.com/[...]
[168]
웹사이트
国境なき記者団公式ホームページ
https://rsf.org/en/r[...]
[169]
웹사이트
ラオス:人権状況 改善なし 強制失踪や基本的自由の組織的抑圧を 速やかに停止すべき
https://www.hrw.org/[...]
2021-01-23
[170]
뉴스
米スターバックス、ラオス進出 2021年夏にも1号店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2-07-17
[171]
웹사이트
中国ラオス鉄道12月に開通へ、最終調整が順調_中国国際放送局
http://japanese.cri.[...]
2021-11-25
[172]
웹사이트
ラオス・中国鉄道は何をもたらすのか?――両国にとっての意義
https://www.ide.go.j[...]
アジア経済研究所
2021-11-25
[173]
뉴스
ラオスに迫る「債務のワナ」、初の高速鉄道も中国頼み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2-07-17
[174]
웹사이트
米民間調査機関、ラオスの中国への隠れ債務をGDPの35%相当と指摘(中国、ラオス) ビジネス短信
https://www.jetro.go[...]
日本貿易振興機構
2021-11-25
[175]
웹사이트
外交・国防
https://www.mofa.go.[...]
外務省
2023-06-18
[176]
웹사이트
外務省 ラオス人民民主共和国(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177]
웹사이트
外務省 ラオス人民民主共和国(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178]
백과사전
ラオス
2021-01-28
[179]
웹사이트
ラオスについて
http://www.lao.jp/ab[...]
[180]
서적
広辞苑
岩波書店
1991
[181]
서적
広辞苑 第6版
岩波書店
2008
[182]
서적
外國地名譯名
商務印書館
1997
[183]
웹사이트
ラオス(概要)歴史
https://www.asean.or[...]
国際機関日本アセアンセンター
2020-08-09
[184]
서적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ス世界の国 ラオス
ほるぷ出版
2010-06-25
[185]
간행물
ラオス人民民主共和国の樹立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日本共産党中央委員会
1975-12-25
[186]
간행물
樹立されたラオス人民民主共和国(世界と日本) / 三浦 一夫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日本共産党中央委員会
1976-02-01
[187]
의회록
衆議院会議録情報 第085回国会 内閣委員会 第1号
https://kokkai.ndl.g[...]
[188]
웹사이트
アセアンとしての地域協定
https://www.jetro.go[...]
JETRO
2020-02-02
[189]
간행물
ラオス人民民主共和国憲法(日本語訳)
https://www.moj.go.j[...]
法務省
[190]
뉴스
【金言】ラオスで民法成立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8-12-14
[191]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08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IISS)
[192]
서적
森の国ラオス
明石書店
2010
[193]
서적
母なる川、メコン
明石書店
2010
[194]
서적
母なる河、メコン
明石書店
2010
[195]
서적
母なる河、メコン
明石書店
2010
[196]
웹사이트
旅の準備-旅のシーズン、服装
http://www.dtac.jp/a[...]
2020-02-02
[197]
웹사이트
Laos – Climate
http://countrystudie[...]
Countrystudies.us
2023-06-09
[198]
웹사이트
トラベルjp 東南アジア最後の秘境!ラオスのおすすめ観光スポット10選
https://www.travel.c[...]
2022-01-29
[199]
웹사이트
後発開発途上国
https://www.mofa.go.[...]
外務省
[200]
웹사이트
Population below poverty line
https://www.cia.gov/[...]
CIA
2023-06-18
[201]
웹사이트
パクセー・ジャパン日系中小企業専用経済特区
https://pjsez.com/
2018-03-14
[202]
뉴스
レンタル工場に日系2社/ラオス工業団地 西松建設、中小進出を促す
日刊工業新聞
2018-02-06
[203]
서적
ラオスを知るための60章
明石書店
2010
[204]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s://web.archive.[...]
2010-12-10
[205]
서적
ラオスを知るための60章
明石書店
2010
[206]
서적
メコン・黄金水道をゆく
[207]
뉴스
発電大国ラオス、国内電力は「輸入頼み」外資主導で「二重構造」送電網整備がカギに
http://globe.asahi.c[...]
朝日新聞GLOBE
2017-04-23
[208]
뉴스
ASEAN共同体 300兆円市場、統合進む…31日発足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5-12-28
[209]
웹사이트
ラオスフェスティバル 公式サイト
http://laos-festival[...]
[210]
웹사이트
ラオスの人口・雇用・失業率の推移 世界の経済ネタ帳
http://ecodb.net/cou[...]
[211]
간행물
ラオス国家統計センター
2006
[212]
서적
人はどこに住む?
明石書店
2010
[213]
서적
森の国ラオス
明石書店
2010
[214]
서적
人はどこに住む?
明石書店
2010
[215]
서적
居住地の高度による民族分類
明石書店
2010
[216]
서적
居住地の高度による民族分類
明石書店
2010
[217]
서적
村の成り立ち
明石書店
2010
[218]
웹사이트
ラオス 現地情報
http://www.arukikata[...]
2022-02-24
[219]
웹사이트
Lao Culture
https://culturalatla[...]
[220]
웹사이트
Social Discrimination in the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https://www.genderin[...]
2023-06-09
[221]
웹사이트
Lao PDR: Family Code
https://web.archive.[...]
Genderindex.org
2023-06-09
[222]
간행물
ラオスの行政
https://www.soumu.go[...]
総務省大臣官房企画課
2006-09
[223]
간행물
Department of Statistics,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9
[224]
웹사이트
Lao PDR's progress in rural sanitation
http://www.developme[...]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2010-01-17
[225]
웹사이트
Water Supply and Sanitation in Lao PDR
http://documents.wor[...]
2023-06-09
[226]
뉴스
Le Laos communiste, plaque tournante du trafic de drogue en Asie du Sud-Est
https://www.lepoint.[...]
2017-05-09
[227]
웹사이트
ラオス 危険・スポット・広域情報
https://www.anzen.mo[...]
外務省
2023-06-09
[228]
웹사이트
Anti-corruption experts visited Laos for UNCAC implementation review
http://www.unodc.org[...]
United Nations Office on Drugs and Crime
2023-06-09
[229]
웹사이트
Transparency International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2012
http://www.ey.com/Pu[...]
Ernst & Young
2023-06-09
[230]
웹사이트
WGIP: Side event on the Hmong Lao, at the United Nations
http://www.unpo.org/[...]
2023-06-09
[231]
웹사이트
UNESCO - UNESCO appeals for release of Laotian policial prisoner Latsami Khamphoui
http://portal.unesco[...]
2023-06-09
[232]
웹사이트
Committee on Human Rights: Former Laotian Officials Latsami Khamphoui and Feng Sakchittahong Released after 14 Years in Prison
https://web.archive.[...]
2023-06-09
[233]
웹사이트
Submission to the UN Universal Periodic Review: Eighth session of the UPR Working Group of the Human Rights Council
https://www.amnesty.[...]
2010-05-01
[234]
웹사이트
ラオス少女の人身売買が急増ー裕福な中国人との結婚と騙され
https://globalnewsas[...]
グローバルニュースアジア
2017-02-20
[235]
간행물
ラオス初の国産対話アプリ 公共料金支払い機能も追加へ 政府主導で開発、監視に懸念も
日経MJ
2022-06-03
[236]
뉴스
デフォルト迫る社会主義ラオス SNSで政府批判強ま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NIKKEI Asia
2022-07-17
[237]
웹인용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4 Edition. (Laos)
https://www.imf.org/[...]
국제 통화 기금
2024-10-20
[238]
웹인용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4
https://hdr.undp.org[...]
유엔 개발 계획
2024-03-13
[239]
웹사이트
https://www.mofa.go.[...]
[240]
웹인용
Laos Population (2024) - Worldometer
https://www.worldome[...]
2024-09-14
[241]
웹사이트
스티븐의 전쟁영화보고評 :: 미 CIA , 비밀 전쟁(Secret War)의 희생자들 '몽족(Hmong People)'
http://www.stevenh.c[...]
[242]
웹사이트
끝나지 않은 전장 라오스의 ‘집속탄’
http://h21.hani.co.k[...]
[243]
웹사이트
라오스, 베트남 전 불발탄으로 매년 수 백명 사망
http://www.voanews.c[...]
[244]
간행물
라오스의 자연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245]
간행물
라오스의 산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246]
기타
[247]
뉴스
외교부·라오스 당국 ‘진실 공방’…양국 관계 파탄 오나
https://news.naver.c[...]
문화일보
2013-05-31
[248]
기타
[249]
기타
[250]
기타
[251]
일반
[252]
일반
[253]
일반
[254]
일반
[255]
일반
[256]
일반
[257]
일반
[258]
법률
2007-08-07
[259]
일반
[260]
일반
[261]
설명
[262]
설명
[263]
설명
[264]
설명
[265]
설명
[266]
법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