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태국 제1우의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오스-태국 제1우의교는 라오스와 태국을 연결하는 메콩강 하류의 최초 다리이다. 1994년 4월 8일에 개통되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정부의 개발 원조를 받아 건설되었다. 다리 위는 좌측 통행을 하며, 철도와 도로가 함께 사용된다. 철도는 태국의 농카이역에서 라오스의 타날렝역까지 연결되어 있으며, 비엔티안역까지 연장 계획이 진행되었다. 다리 인근에는 타날렝 드라이 포트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엔티안의 교통 - 왓따이 국제공항
왓따이 국제공항은 라오스 비엔티안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1999년 개항하여 국제선 및 국내선 노선을 운항하며 시내 접근이 가능하다. - 라오스의 교량 - 라오스-태국 제2우의교
라오스 사반나케트 주와 태국 무크다한 주를 잇는 메콩강 다리인 라오스-태국 제2우의교는 2006년 개통되어 동남아 경제 통합을 촉진하며, 엑스트라도즈드교 방식으로 건설된 1,600미터 길이의 다리로서 양국 교류 증진 및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 - 라오스의 교량 - 라오스-태국 제4우의교
라오스-태국 제4우의교는 태국 치앙라이 주와 라오스 보께오 주를 연결하는 아시아 고속도로 3호선의 일부로, 2013년 12월에 개통되어 중국-아세안 자유 무역 협정을 지원하고 있다.
라오스-태국 제1우의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제1 타이-라오스 우정의 다리 |
현지 명칭 | |
위치 | 농카이주 농카이 비엔티안 수도권 비엔티안 |
횡단 | 메콩강 |
수송 | 차량, 기차 |
제원 | |
길이 | 1.17 km |
폭 | 3.5 m 및 1.5 m |
건설 정보 | |
설계 | 불명 |
건설사 | 존 홀랜드 |
개통 | 1994년 4월 4일 |
철도 정보 | |
궤간 | 1000 mm |
2. 역사
1994년 4월 8일에 개통된 이 다리는 메콩강 하류를 가로지르는 최초의 다리였으며, 메콩강 전체 노선상 두 번째 다리였다.
건설 비용은 약 4200만호주 달러가 소요되었으며, 이는 라오스에 대한 개발 원조의 일환으로 오스트레일리아 정부가 전액 지원했다.[1][2] 다리 건설은 오스트레일리아 기업들이 설계하고 건설했다.[3]
2007년 1월 사반나케트 남쪽에 제2 태국-라오스 우의교가 개통되면서, 기존 다리의 공식 명칭에 "제1"이 추가되어 현재의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2. 1. 건설 배경

1990년대 초, 메콩강 하류 지역의 경제 협력 증진과 교류 활성화를 위해 태국과 라오스를 연결하는 다리 건설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라오스에 대한 개발 원조(ODA)의 일환으로 다리 건설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1][2]
건설 비용은 약 4200만호주 달러가 소요되었으며, 전액 호주 정부의 지원으로 충당되었다.[1][2] 다리 건설은 동남아시아에서 주요 기반 시설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호주 기업들의 역량을 보여주는 기회가 되기도 했다. 캔틸레버 균형 교량 방식의 초기 개념 설계는 VSL의 브루스 램지가 제안했으며, 최종 설계는 마운셀 컨설팅 엔지니어에서, 실제 건설은 존 홀랜드 그룹(John Holland Group)에서 담당했다.[3]
1994년 4월 8일에 개통된 이 다리는 메콩강 하류를 가로지르는 최초의 다리였으며, 메콩강 전체 구간에서는 두 번째로 건설된 다리였다. 2007년 1월 사반나케트 남쪽에 제2 태국-라오스 우의교가 개통되면서 기존 다리의 공식 명칭에 "제1"이 추가되었다.
2. 2. 건설 과정
1994년 4월 8일에 개통된 이 다리는 메콩강 하류를 가로지르는 최초의 다리이자, 메콩강 전체 노선상 두 번째 다리였다.
건설 비용은 약 4200만호주 달러 (당시 약 3000만달러)였으며, 이는 라오스에 대한 개발 원조로서 오스트레일리아 정부가 지원했다.[1][2]
이 다리는 동남아시아에서 주요 기반 시설 프로젝트를 완수할 수 있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능력을 보여주기 위해 호주 회사들이 설계하고 건설했다. 캔틸레버 균형 교량의 개념 설계는 VSL의 브루스 램지가 제안했으며, 최종 설계는 마운셀 컨설팅 엔지니어에서 수행했다. 존 홀랜드 그룹(John Holland Group)에서 건설했다.[3]
2. 3. 명칭 변경
2007년 1월 사반나케트 남쪽에 제2 태국-라오스 우의교가 개통된 후, 다리의 공식 명칭에 "제1"이 추가되어 변경되었다.3. 도로 교통
다리 위에서의 차량 통행은 태국과 같이 좌측 통행을 따른다. 하지만 라오스는 우측 통행 국가이므로, 라오스 쪽 국경 검문소 직전에 설치된 교통 신호등을 통해 통행 방향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바뀐다. 이 지점에서 상하행 차선이 서로 교차하게 된다.
라오스와 태국 국경 검문소 사이에는 셔틀 버스가 운행되어 국경을 넘는 사람들의 이동을 돕는다.
자전거와 세발자전거는 다리의 차도 또는 보도를 이용하여 통행할 수 있으며, 보행자는 양쪽에 마련된 보도를 통해 다닐 수 있다. 다만, 보도를 통해 걸어서 국경을 통과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이 다리는 아시아 고속도로망의 AH12 노선의 일부를 구성한다.
4. 철도 교통
라오스-태국 제1우의교는 도로와 철도가 함께 있는 철도도로 병용교로 건설되었다. 다리 중앙 분리대를 따라 태국의 농카이역에서 이어지는 1000mm 미터 궤 철도가 놓여 있으며, 열차가 다리를 통과할 때는 안전을 위해 도로 교통이 일시적으로 통제된다.
실제 철도 운행은 다리가 개통된 지 15년 후인 2009년 3월 5일부터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태국 농카이역과 라오스 타날렝 기차역 사이를 연결했으며, 이후 비엔티안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현재는 방콕 및 우돈타니와 비엔티안을 잇는 국제 여객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늘어나는 교통량과 향후 표준궤 철도망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기존 다리와 병행하는 철도 전용 교량 건설이 검토되고 있다.
4. 1. 초기 철도 건설
원래 이 다리는 철도도로 병용교로 건설되었으나, 실제 철도 운행은 개통 15년 후인 2009년 3월 5일부터 시작되었다.
2004년 3월, 태국과 라오스 정부는 철도를 교량 너머 라오스의 타날렝 기차역까지 약 3.5km 연장하는 협약을 체결했다. 이는 과거 짧은 포테이지 노선을 제외하면 라오스로 연결되는 최초의 현대식 철도 노선이었다. 태국 정부는 보조금과 대출을 통해 이 노선 건설 자금을 지원하기로 합의했다.[5] 건설은 2007년 1월에 시작되었고,[4] 시험 열차 운행은 2008년 7월에 이루어졌다.[5]
2009년 3월 5일, 농카이역에서 타날렝 기차역까지 6.15km 구간의 철도가 공식 개통되었다.[6] 태국 국유 철도(SRT)가 하루 2회 왕복하는 정기 여객 열차 운행을 시작했다. 궤간은 농카이역에서 연결되는 태국 국유 철도 동북선과 같은 1000mm 미터 궤도이며, 철로는 교량의 중앙 분리대를 따라 설치되었다. 현재 라오스는 자체 철도 차량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 운행되는 모든 열차는 태국 국유 철도 소유이다.
개통 초기에는 운행 횟수가 하루 2회 왕복으로 적고, 라오스 측 타날렝역에서 다른 교통수단과의 연계도 부족하여 도로 이용객에 비해 철도 이용객은 매우 적었다. 열차가 다리 위를 통행할 때는 안전을 위해 도로 교통이 통제되어 자동차는 일시적으로 통행할 수 없다.
2010년 2월부터는 동방 특급 열차(Eastern and Oriental Express)도 이 교량을 통해 메콩강을 건너 라오스로 운행하기 시작했다.[9]
4. 2. 이용 현황 및 문제점
철도도로 병용교로 건설된 이 다리에는 농카이역에서 출발하는 미터 궤 철도가 교량 중앙을 따라 놓여 있다. 개통 15년 후인 2009년 3월 5일, 태국의 농카이역과 라오스의 타날렝역을 잇는 6.15km 구간의 철도 운행이 시작되었다.[6] 태국 국유 철도가 1일 2왕복 일정으로 여객 열차를 운행했으며, 라오스는 자체 철도 차량이 없어 모든 운행 차량은 태국 소유였다.
그러나 하루 2회 왕복이라는 적은 운행 횟수와 라오스 쪽 타날렝역에서의 대중교통 연계 부족 문제로 인해 철도 이용객 수는 도로 이용객에 비해 현저히 적었다. 또한, 열차가 교량을 통과할 때는 안전을 위해 도로 교통이 일시적으로 통제되어 자동차 통행이 금지되는 불편함도 있었다.
2024년 7월, 라오스 비엔티안(캄사왓)역이 운영을 시작하면서 기존 운행 노선이 변경 및 확대되었다. 현재는 방콕-비엔티안, 우돈타니-비엔티안 구간을 각각 하루 2왕복 운행하고 있다.
한편, 늘어나는 교통량과 표준궤 철도( 중국-라오스 철도, 태국 고속 철도 계획)와의 연계를 위해 기존 다리와 병행하는 철도 전용 교량 건설이 검토되고 있다.
4. 3. 비엔티안 연장 및 향후 계획
2006년 2월, 프랑스 개발청은 타날렝 기차역에서 비엔티안까지 철도 노선을 연장하는 계획에 대한 자금 지원을 승인했다.[7] 이후 태국 정부도 연장 공사를 위해 5000만달러 상당의 대출을 제공했다.[8] 이 연장 공사는 타날렝역에서 새로운 캄사바트 역(비엔티안역)까지 9km 구간을 건설하는 것으로, 당초 2010년 12월 착공하여 3년 후 완공될 예정이었다.[8] 캄사바트 역은 2022년 6월까지 완공되어 2023년 개통을 목표로 했으나,[8] 최종적으로 2024년 7월 비엔티안역 운영이 시작되었다. 이와 함께 방콕-비엔티안, 우돈타니-비엔티안 간 각각 1일 2왕복 여객 열차 운행이 개시되었다.한편, 늘어나는 철도 교통량과 장래의 표준궤 노선 연결을 대비하여 현재의 우의교에 병행하는 철도 전용 교량 건설이 검토되고 있다. 이 새로운 교량은 기존의 미터 궤(라오스-태국 철도)뿐만 아니라, 중국-라오스 철도 및 태국 고속 철도 계획에서 사용될 표준궤도 함께 지원하도록 계획되었다. 표준궤 노선은 비엔티안 북동쪽을 경유하여 우의교에서 약 2km 떨어진 차고까지 연결되며, 신규 교량을 통해 메콩강 남쪽 농카이역에서 태국 고속철도 노선과 이어질 예정이다.[10]
참고로, 동방 특급 열차는 2010년 2월부터 우의교를 통해 라오스로 운행하고 있지만, 현재 보텐-비엔티안 철도(중국-라오스 철도)와는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9]
5. 타날렝 드라이 포트
라오스 측에는 타나랭 역 북쪽에 타나랭 드라이 포트(Thanaleng Dry Port)가 개설되었다. 화물 자동차 전용 국경 검문소가 설치되어 출입국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First Thai - Laos Friendship Bridge
https://thailand.emb[...]
2020-06-29
[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ausaid.go[...]
2009-01-21
[3]
서적
Up for the Challenge: The John Holland Story 1986 - 2016
John Holland
2018
[4]
뉴스
Laos link launched
http://www.railwayga[...]
2007-03-01
[5]
뉴스
Testing takes train into Laos
http://www.railwayga[...]
2008-07-07
[6]
뉴스
Thai-Lao train service launched
http://www.bangkokpo[...]
2009-05-03
[7]
뉴스
France okays Thai-Laos railway link
http://www.nationmul[...]
The Nation
2006-02-23
[8]
뉴스
Laos and Thailand set to begin building railway extension into Vientiane
https://www.phnompen[...]
[9]
뉴스
Eastern & Oriental Express Makes its First Journey Over Friendship Bridge
https://www.luxurytr[...]
2010-01-05
[10]
웹사이트
Laos and Thailand to Build New Friendship Bridge for Both Road and Rail
https://laotiantimes[...]
2022-02-09
[11]
뉴스
PM Srettha proposes new railway bridge to Laos
https://www.bangkokp[...]
Bangkok Post
2023-10-30
[12]
뉴스
Rail plan sped up to meet deadline
https://www.bangkokp[...]
Bangkok Post
2023-1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