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위버-버크 방정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인위버-버크 방정식은 미카엘리스-멘텐 방정식을 변형하여 도출되며, 효소 반응 속도론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그래프 표현 방식이다. 이중 역수 플롯을 활용하여 효소 저해 유형을 결정하는 데 유용하며, 경쟁적, 비경쟁적, 불경쟁적 저해제를 구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의 오차 구조를 왜곡하고, 낮은 기질 농도에서의 측정값에 따른 정확도 저하 등의 한계로 인해, 현재는 비선형 회귀 분석이나 다른 선형 변환 방식을 통해 효소 반응 속도론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라인위버-버크 방정식 | |
---|---|
일반 정보 | |
명칭 | 라인위버-버크 플롯 |
다른 이름 | 역수 플롯, 이중 역수 그래프 |
분야 | 효소 반응 속도론 |
목적 | 효소 반응 속도론 데이터의 그래프 분석 |
개발자 | 한스 리네위버, 딘 버크 |
그래프 정보 | |
축 | x축: 1/[S] y축: 1/V |
x절편 | -1/Km |
y절편 | 1/Vmax |
기울기 | Km/Vmax |
수학적 표현 | |
방정식 | 1/V = (Km/Vmax)(1/[S]) + 1/Vmax |
활용 | |
유용성 | 효소 반응 속도론 상수 결정 |
참고 사항 | 부정확한 데이터 시각화로 인한 한계 존재 |
2. 정의 및 도출
라인위버-버크 방정식은 효소 반응 속도론에서 중요한 미카엘리스-멘텐 방정식을 변형하여 얻을 수 있다. 미카엘리스-멘텐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라인위버-버크 플롯은 효소 반응 속도론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분석하는 데 유용한 도구이다. 특히 효소 저해의 다양한 유형을 판별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
여기서 ''V''는 반응 속도, ''K''''m''은 미카엘리스 상수, ''V''max는 최대 반응 속도, 그리고 [''S'']는 기질 농도를 나타낸다.
이 미카엘리스-멘텐 방정식의 양변에 역수를 취하면 라인위버-버크 방정식을 유도할 수 있다.
:
이 식은 를 에 대해 그래프로 나타낼 때(이를 이중 역수 플롯 또는 라인위버-버크 플롯이라고 한다), 직선 형태가 됨을 보여준다. 이 직선의 기울기는 이고, y축 절편은 , x축 절편은 이 된다. 라인위버-버크 플롯은 미카엘리스-멘텐 식을 해석하는 데 유용한 그래프적 방법으로 활용된다.
3. 응용
과거 비선형 회귀 분석이 보편화되기 전에는 이 플롯을 통해 미카엘리스 상수(''K''''m'')와 최대 반응 속도(''V''max) 같은 중요한 효소 반응 속도론 상수를 추정하는 데 널리 사용되었다. 그래프의 ''y''절편은 ''V''max의 역수와 같고, 그래프의 ''x''절편은 −1/''K''''m''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그러나 라인위버-버크 플롯은 데이터의 오차 구조를 왜곡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어, 현재는 매개변수를 정밀하게 결정하는 데는 신뢰도가 낮은 방법으로 여겨진다. 반응 속도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데는 여전히 사용되지만[8], 정확한 매개변수 계산에는 비선형 회귀 분석이나 헤인즈-울프 플롯, 이디-호프스티 그림과 같은 다른 방법들이 일반적으로 더 선호된다.[9]
3. 1. 효소 저해제 유형 판별
라인위버-버크 플롯은 효소 저해의 유형을 시각적으로 구별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경쟁적 저해, 비경쟁적 저해, 불경쟁적 저해를 구분하는 데 효과적이다. 각 저해 유형은 플롯 상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변화를 보인다.
과거에는 컴퓨터나 비선형 회귀 분석 소프트웨어가 널리 보급되기 전에 라인위버-버크 플롯이 ''K''''m''이나 ''V''max와 같은 효소 반응 속도론의 중요 상수를 결정하는 데 널리 사용되었다. 그래프의 ''y''절편은 ''V''max의 역수, ''x''절편은 −1/''K''''m''을 나타내므로 이를 통해 각 값을 추정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중 역수 플롯은 데이터의 오차 구조를 왜곡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어, 현재 효소 반응 속도론 매개변수를 정밀하게 결정하는 데는 신뢰도가 낮은 방법으로 여겨진다. 반응 속도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데는 여전히 사용되지만[8], 매개변수 계산에는 비선형 회귀 분석이나 헤인즈-울프 플롯, 이디-호프스티 그림과 같은 다른 방법들이 일반적으로 더 선호된다.[9]
3. 1. 1. 경쟁적 저해 (Competitive inhibition)
경쟁적 저해제는 효소의 활성 부위에 기질과 경쟁적으로 결합하는 효소 저해제이다. 라인위버-버크 플롯에서 경쟁적 저해의 영향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경쟁적 저해가 있을 때, 최대 반응 속도(''V''max)의 겉보기 값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라인위버-버크 플롯에서 경쟁적 저해제 존재 시 데이터는 저해제가 없을 때와 동일한 ''y''절편(1/''V''max)을 갖는다.
그러나 경쟁적 저해는 미카엘리스 상수(''K''''m'')의 겉보기 값을 증가시킨다. 이는 효소의 기질에 대한 친화도가 낮아짐을 의미한다. 그래프 상에서는 저해제가 있을 때 ''x''절편(−1/''K''''m'')이 0에 더 가까워지는, 즉 더 큰 값(절댓값은 작아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플롯의 기울기(''K''''m''/''V''max)는 증가하게 된다.
라인위버-버크 플롯은 이처럼 경쟁적 저해, 비경쟁적 저해, 불경쟁적 저해와 같은 다양한 효소 저해의 형태를 시각적으로 구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경쟁적 저해제는 ''x''절편은 동일하지만 ''y''절편과 기울기가 다르고, 불경쟁적 저해제는 ''x''절편과 ''y''절편 모두 달라지는 특징을 보인다.
3. 1. 2. 순수 비경쟁적 저해 (Pure non-competitive inhibition)
순수 비경쟁적 저해는 효소의 최대 반응 속도(Vmax)의 겉보기 값을 감소시킨다. 이는 라인위버-버크 플롯에서 세로축 절편(1/Vmax)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반면, 가로축 절편(-1/Km)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 이는 순수 비경쟁적 저해제가 효소의 기질 친화도를 나타내는 미카엘리스 상수(Km)에는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라인위버-버크 플롯 상에서 순수 비경쟁적 저해가 존재할 경우, 저해가 없을 때와 비교하여 x절편은 동일하지만 기울기와 y절편은 증가하는 직선을 나타낸다.
3. 1. 3. 혼합형 저해 (Mixed inhibition)
순수 비경쟁적 저해는 드물게 나타나며, 혼합형 저해가 훨씬 더 흔하게 관찰된다. 혼합형 저해가 일어나면 겉보기 ''V''max 값은 감소하고, ''K''m 값은 변한다. 일반적으로 ''K''m 값은 증가하는데, 이는 혼합형 저해 시 효소와 기질 사이의 친화력이 보통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클리랜드(Cleland)는 순수 비경쟁적 저해가 실제로는 매우 드물고, 주로 양성자나 일부 금속 이온의 영향으로 발생한다는 점을 지적하며, '비경쟁적(non-competitive)'이라는 용어를 사실상 '혼합적(mixed)'을 의미하는 것으로 재정의했다.[3] 많은 학자들이 이러한 정의를 따르고 있지만, 모든 학자가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3. 1. 4. 불경쟁적 저해 (Uncompetitive inhibition)
불경쟁적 저해제는 라인위버-버크 플롯에서 ''y''축 절편과 ''x''축 절편 모두를 변화시킨다. 이는 겉보기 ''V''max 값과 겉보기 ''K''''m'' 값이 모두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프 상에서 불경쟁적 저해는 저해제의 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평행선으로 나타나며, 이는 기울기가 변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4. 한계점
라인위버-버크 플롯은 실험 오차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데 몇 가지 중요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4] 특히, 반응 속도 ''v'' 값의 측정 오차가 일정하더라도, 역수인 1/''v'' 값의 오차 범위는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v'' 값이 작을 때 (가령, ) 1/''v''의 상대적 오차 범위(약 20%)는 ''v'' 값이 클 때 (가령, )의 상대적 오차 범위(약 1%)보다 훨씬 커진다. 이는 낮은 농도의 기질에서 얻은 데이터 포인트(그래프 오른쪽 끝의 점들)가 전체 직선의 기울기와 y절편, 특히 ''K''m 값 결정에 불균형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게 만든다.
개발자인 라인위버와 버크 역시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었다. 그들은 실험을 통해 반응 속도 ''v'' 값의 표준 편차가 균일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통계학자 W. 에드워즈 데밍과 상의했다.[5][6] 데밍은 1/''v'' 값을 회귀 분석할 때 ''v''4 값을 가중치로 사용할 것을 조언했다. 그러나 이 제안은 이후 라인위버-버크 방법을 사용하는 연구자들에게 거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러한 데이터 오차 구조의 왜곡 때문에, 라인위버-버크 플롯은 효소 반응 속도론의 중요 매개변수인 ''K''m과 ''V''max를 정확하게 결정하는 데 신뢰성이 낮은 방법으로 평가받는다. 과거에는 강력한 계산기나 비선형 회귀 소프트웨어가 널리 보급되지 않아 ''K''m이나 ''V''max를 결정하는 데 널리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비선형 회귀 분석이나 헤인즈-울프 플롯, 이디-호프스티 그림과 같은 다른 선형 변환 방법들이 더 선호된다.[9] 비록 반응 속도 데이터를 묘사하기 위해 지금도 사용되고 있지만[8], 매개변수 계산에는 잘 쓰이지 않는다.
또한, y축 값이 반응 속도의 역수이기 때문에 측정 과정에서의 작은 오차가 증폭되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더불어, 실험적으로 높은 기질 농도([S])를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용해도 문제 등), 그래프 상의 데이터 포인트들이 주로 1/[S] 값이 큰 영역(그래프 오른쪽)에 몰리게 된다. 이로 인해 ''V''max(y절편의 역수)와 ''K''m(-1/x절편) 값을 얻기 위해 데이터가 없는 영역까지 멀리 외삽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부정확성을 야기할 수 있다.[10]
참조
[1]
논문
The Determination of Enzyme Dissociation Constants
https://pubs.acs.org[...]
1934-03
[2]
논문
Evaluation of methods for estimating the dissociation constant of tight binding enzyme inhibitors
1979-12-10
[3]
논문
The kinetics of enzyme-catalyzed reactions with two or more substrates or products: II. Inhibition: Nomenclature and theory
[4]
논문
A Comparison of Estimates of Michaelis-Menten Kinetic Constants from Various Linear Transformations
1965-02
[5]
논문
Nitrogenase
[6]
논문
The dissociation constant of nitrogen-nitrogenase in ''Azobacter''
[7]
논문
The Determination of Enzyme Dissociation Constants
[8]
논문
Determination of specific activities and kinetic constants of biotinidase and lipoamidase in LEW rat and Lactobacillus casei (Shirota)
[9]
논문
Evaluation of methods for estimating the dissociation constant of tight binding enzyme inhibitors
http://www.jbc.org/c[...]
[10]
논문
A comparison of estimates of Michaelis-Menten kinetic constants from various linear transformations
[11]
논문
The determination of enzyme dissociation constan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