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쟁적 저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쟁적 저해는 효소 반응에서 저해제가 기질과 경쟁하여 효소의 활성 부위에 결합, 기질의 결합을 방해하는 현상이다. 경쟁적 저해는 기질 농도를 증가시켜 극복할 수 있으며, 미카엘리스-멘텐 상수(Km)를 증가시키지만 최대 반응 속도(Vmax)는 변하지 않는다. 경쟁적 저해는 약물 개발, 식품 산업, 신경독성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설파제와 같은 항균제 개발에도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효소 억제제 - 효소 저해제
    효소 저해제는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로, 작용 방식에 따라 가역적 및 비가역적 저해제로 나뉘며 의약품 개발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효소 억제제 - 반경쟁적 저해
    반경쟁적 저해는 효소-기질 복합체에 저해제가 결합하여 효소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효소 저해의 한 유형이며, 기질 농도가 높을 때 효과가 크고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다양한 의미를 가진다.
  • 효소반응속도론 - 효소 저해제
    효소 저해제는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로, 작용 방식에 따라 가역적 및 비가역적 저해제로 나뉘며 의약품 개발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효소반응속도론 - 반응물
    반응물은 생화학, 현미경학, 분광학, 원자층 증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물질을 지칭하며, 생화학에서는 효소의 기질, 현미경학에서는 시료 기판, 분광학에서는 시료 지지체, 원자층 증착에서는 초기 표면 역할을 한다.
  • 효소 - 활성 부위
    활성 부위는 효소 분자 내에서 기질과 결합하여 촉매 작용을 하는 특정 부위이며, 다양한 모델로 설명되고, 결합 부위, 촉매 부위, 보조인자를 포함하며, 저해제와 알로스테릭 부위와 관련되어 신약 개발에 활용된다.
  • 효소 - 제한 효소
    제한 효소는 DNA의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하여 절단하는 효소로, 유전체학과 생명공학 발전에 기여하여 노벨상을 수상했으며, 인식 서열 특이성 등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어 여러 연구 및 응용 분야에 활용된다.
경쟁적 저해
일반 정보
경쟁적 저해 다이어그램
경쟁적 저해의 다이어그램
유형효소 저해제
메커니즘기질과의 결합 부위 경쟁
Ki (저해 상수)효소에 대한 저해제의 친화도를 나타내는 척도
세부 사항
설명경쟁적 저해는 효소가 기질 대신 저해제에 결합하여 효소 활성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결합저해제는 효소의 활성 부위에 결합하여 기질이 결합하는 것을 막는다.
극복높은 기질 농도는 저해제를 활성 부위에서 밀어내어 효소 활성을 회복시킬 수 있다.
예시말론산 (succinate dehydrogenase 저해)
설폰아마이드 (p-aminobenzoic acid와 경쟁)
에탄올 (메탄올 중독 치료)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중독 치료)
포르메피졸 (에틸렌 글리콜 중독 치료)
그래프 표현
Lineweaver-Burk plot (라인위버-버크 플롯)경쟁적 저해는 Lineweaver-Burk 플롯에서 x축 절편은 동일하게 유지되지만 y축 절편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Michaelis-Menten kinetics (미카엘리스-멘텐 속도론)Vmax는 동일하게 유지되지만 Km은 증가한다.
영향Vmax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Km 값을 증가시킨다.

2. 경쟁적 저해의 메커니즘

경쟁적 저해는 효소 촉매 작용에서 저해제가 효소의 표적 분자(기질) 결합을 방해하는 현상이다.[1] 이는 기질의 결합 부위인 활성 부위를 차단하여 달성된다.



Vmax는 반응의 최대 속도를, Km은 Vmax의 절반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기질의 양을 나타낸다. Km은 기질이 효소에 결합하려는 경향을 나타내는 데에도 중요하다.[2] 경쟁적 저해는 더 많은 기질을 첨가하여 극복할 수 있으며, 이는 효소와 기질이 결합할 기회를 늘린다. 결과적으로 경쟁적 저해는 Km만 변화시키고 Vmax는 동일하게 유지한다.[7]

대부분의 경쟁적 저해제는 효소의 활성 부위에 가역적으로 결합한다.[1] 그러나 효소가 저해제 또는 기질에 결합하지만 둘 다 동시에 결합하지 않는 다양한 메커니즘이 존재하므로, 이는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과도한 단순화이다.[1]

2. 1. 활성 부위 경쟁

경쟁적 저해는 효소 촉매 작용에서 저해제가 효소의 활성 부위에 결합하여 기질의 결합을 방해하는 현상이다.[1] 활성 부위는 특정 단백질 또는 기질이 결합할 수 있는 효소의 영역이다. 활성 부위는 기질 또는 저해제 중 하나만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반응을 조절한다.[7]

대부분의 경쟁적 저해제는 효소의 활성 부위에 가역적으로 결합한다.[1] 억제제는 기질과 유사하여 활성 부위에 결합하며, 기질 농도를 증가시키면 기질이 억제제보다 효소에 더 잘 결합하게 되어 경쟁적 저해를 극복할 수 있다.[7] 기질 농도가 경쟁적 억제제의 농도보다 높으면, 기질이 효소의 활성 부위에 접촉할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

경쟁적 저해제는 의약품 개발에 많이 사용된다.[7] 예를 들어, 메토트렉세이트엽산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화학 요법 약물로, 디히드로엽산 환원 효소에 결합하여 DNA와 RNA 합성을 억제한다.[7] 그 결과 암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멈추게 한다. 필수 지방산은 프로스타글란딘을 형성하여 염증을 일으키는데, 이 지방산 억제제가 통증 완화 약물로 사용되기도 한다.[8]

과일 및 채소의 갈변 방지에도 경쟁적 저해가 활용된다. 버섯의 티로시나아제는 모노페놀에 결합하여 갈변을 일으키는데, 4-치환 벤즈알데히드와 같은 경쟁적 기질을 첨가하면 모노페놀의 결합을 줄여 갈변을 방지하고 제품의 품질과 유통 기한을 늘릴 수 있다.[9]

경쟁적 저해는 가역적 또는 비가역적일 수 있다. 가역적 저해는 기질 농도를 증가시켜 극복할 수 있지만,[6] 비가역적 저해는 새로운 표적을 생성하거나 비가역적으로 억제된 표적을 분해 및 배설해야 한다.

경쟁적 억제제는 반드시 기질과 동일한 부위에 결합할 필요는 없다. 억제제가 자유 효소의 알로스테릭 부위에 결합하여 기질 결합을 방해할 수도 있다. 스트리크닌은 포유류 척수와 뇌간에서 글리신 수용체의 알로스테릭 억제제 역할을 한다. 스트리크닌은 글리신 수용체의 글리신에 대한 친화성을 감소시키는 다른 부위에 결합하여 경련을 일으킨다.[10]





경쟁적 저해에서 반응의 최대 속도(V_\max)는 변하지 않지만, 기질의 겉보기 친화성은 감소한다. K_m(미카엘리스-멘텐 상수)의 변화는 K_d의 변화와 평행하며, 경쟁적 억제제가 효소에 결합하면 K_m이 증가한다. 이는 효소에 대한 결합 친화성이 감소함을 의미하지만, 기질의 농도를 증가시켜 극복할 수 있다.[11]

2. 2. 가역적 저해

경쟁적 저해는 효소 촉매 작용에서 저해제가 효소의 표적 분자(기질)의 결합을 방해하는 현상이다.[1] 이는 기질의 결합 부위인 활성 부위를 어떤 방식으로든 차단하여 달성된다. 대부분의 경쟁적 저해제는 효소의 활성 부위에 가역적으로 결합하여 작용한다.[1]

경쟁적 저해는 반응에 더 많은 기질을 첨가하여 극복할 수 있으며, 이는 효소와 기질이 결합할 기회를 증가시킨다. 결과적으로 경쟁적 저해는 Km만 변화시키고 Vmax는 동일하게 유지한다.[7]

어떤 주어진 시점에서, 효소는 억제제, 기질 또는 둘 다에 결합할 수 있지만, 동시에 둘 다 결합할 수는 없다. 경쟁적 저해 동안, 억제제와 기질은 활성 부위를 놓고 경쟁한다. 기질 농도를 증가시키면 기질이 활성 부위에 제대로 결합하여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는 "경쟁"이 감소한다.[7]

경쟁적 저해는 가역적 또는 비가역적일 수 있다. 가역적 저해의 경우, 기질 농도를 증가시켜 억제제의 영향을 극복할 수 있다.[6]

사실상 모든 경우에서, 경쟁적 억제제는 기질과 동일한 결합 부위 (활성 부위)에 결합하지만, 동일 부위 결합은 필수 조건이 아니다. 경쟁적 억제제는 자유 효소의 알로스테릭 부위에 결합하여 기질 결합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질이 결합될 때는 알로스테릭 부위에 결합하지 않는 한 가능하다.

2. 3. 알로스테릭 경쟁적 저해

효소 촉매 작용에서 저해제가 효소의 표적 분자(기질) 결합을 방해하는 것을 경쟁적 저해라고 한다.[1] 이는 기질의 결합 부위인 활성 부위를 차단하여 이루어진다. 경쟁적 저해는 반응에 더 많은 기질을 첨가하여 극복할 수 있으며, 이는 효소와 기질이 결합할 기회를 증가시킨다. 결과적으로 경쟁적 저해는 Km만 변화시키고 Vmax는 동일하게 유지한다.[7]

대부분의 경쟁적 저해제는 효소의 활성 부위에 가역적으로 결합하여 작용하지만, 효소가 저해제 또는 기질에 결합하지만 둘 다 동시에 결합하지 않는 다양한 메커니즘도 존재한다.[1] 예를 들어, 알로스테릭 저해는 경쟁적 저해일 수 있다.[1]

경쟁적 저해에서 효소는 억제제에 결합한 상태, 기질에 결합한 상태, 또는 둘 다 결합하지 않은 상태 중 하나일 수 있지만, 억제제와 기질 둘 다 동시에 결합할 수는 없다. 경쟁적 저해제는 기질이 결합되어 있을 때 알로스테릭 부위에 결합하지 않는 한, 유리 효소의 알로스테릭 부위에 결합하여 기질의 결합을 방해할 수도 있다.

경쟁적 저해에서는 반응의 최대 속도(V_\max)는 변하지 않지만, 결합 부위에 대한 기질의 겉보기 친화성이 감소한다. 어떠한 경쟁적 저해제 농도에서도 기질이 효소에 결합하는 데 있어 억제제를 능가하는 경우, 기질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

3. 경쟁적 저해의 특징



경쟁적 저해는 효소의 활성 부위에 기질과 경쟁적으로 결합하는 억제제가 존재하여 기질의 결합을 방해하는 현상이다.[6] 효소는 억제제나 기질 중 하나에만 결합할 수 있으며, 동시에 둘 다 결합할 수는 없다.

기질 농도가 경쟁적 억제제의 농도보다 높으면, 기질이 억제제보다 효소의 활성 부위에 결합할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 이러한 경쟁적 저해는 기질 농도를 증가시켜 억제제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7]

경쟁적 저해제는 의약품 개발에 많이 활용된다.[7] 예를 들어, 항암제인 메토트렉세이트엽산과 구조적으로 유사하여 디히드로엽산 환원 효소에 경쟁적으로 결합하여 DNA 합성을 억제한다.[7] 또한,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을 억제하는 필수 지방산은 통증 완화 약물로 사용된다.[8]

식품 분야에서는 과일 및 채소의 갈변을 방지하기 위해 경쟁적 저해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버섯의 티로시나아제에 의한 갈변 현상은 4-치환 벤즈알데히드와 같은 경쟁적 기질을 첨가하여 억제할 수 있다.[9]

경쟁적 저해는 가역적 또는 비가역적일 수 있다. 가역적 저해는 기질 농도를 증가시켜 억제 효과를 극복할 수 있지만,[6] 비가역적 저해는 새로운 효소가 생성될 때까지 지속된다.

경쟁적 억제제는 반드시 기질과 동일한 결합 부위에 결합할 필요는 없다. 알로스테릭 부위에 결합하여 기질 결합을 방해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리크닌은 글리신 수용체의 알로스테릭 부위에 결합하여 글리신의 억제 효과를 감소시킨다.[10]

경쟁적 저해에서 반응의 최대 속도(V_\max)는 변하지 않지만, 기질의 겉보기 친화성은 감소한다(K_d 해리 상수는 겉보기로 증가한다).[11]

3. 1. 미카엘리스-멘텐 상수(Km) 변화

효소 촉매 작용에서 경쟁적 저해는 저해제가 효소의 활성 부위에 결합하여 기질의 결합을 방해하는 현상이다. 이로 인해 반응의 최대 속도(Vmax)는 변하지 않지만, 미카엘리스-멘텐 상수(Km)는 증가한다.[1][7]

Km은 Vmax의 절반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기질의 양을 나타내며, 기질이 효소에 결합하려는 경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2] 경쟁적 저해제가 효소에 결합하면 Km 값이 증가하는데, 이는 효소에 대한 기질의 겉보기 친화성이 감소했음을 의미한다.[11] 하지만 기질 농도를 충분히 높이면 경쟁적 저해를 극복할 수 있다.[7][11] 이는 기질이 억제제와의 경쟁에서 이겨 효소의 활성 부위에 결합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경쟁적 저해에서 반응 초기 속도(V0)는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 V_0 = \frac{V_\max\,[S]}{K^\text{app}_m + [S]}

여기서 Kappm = Km(1 + [I]/Ki)이며, Ki는 저해제의 해리 상수, [I]는 저해제의 농도이다. 이 식에서 볼 수 있듯이, 경쟁적 저해제의 존재는 Km 값을 증가시켜 겉보기 Km 값(Kappm)을 증가시킨다.

3. 2. 최대 반응 속도(Vmax) 불변

경쟁적 저해에서 반응의 최대 속도(Vmax)는 변하지 않는다. 경쟁적 저해가 일어나면 결합 부위에 대한 기질의 겉보기 친화성은 감소한다. 즉, 해리 상수(K_d)는 겉보기에 증가하는 것처럼 보인다. 미카엘리스-멘텐 상수(K_m)의 변화는 K_d의 변화와 평행하며, 하나가 증가하면 다른 하나는 감소해야 한다. 경쟁적 억제제가 효소에 결합하면 K_m이 증가한다. 이것은 효소에 대한 결합 친화성이 감소하지만, 기질의 농도를 증가시켜 극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11]

어떠한 주어진 경쟁적 억제제의 농도에서도 기질의 농도를 증가시켜 극복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질은 억제제가 결합할 수 있는 가용성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효소에 결합하는 데 있어 억제제를 능가하게 된다.[11]

3. 3. 라이너위버-버크 도표

경쟁적 저해는 반응에 더 많은 기질을 첨가하여 극복할 수 있으며, 이는 효소와 기질이 결합할 기회를 증가시킨다. 결과적으로 경쟁적 저해는 Km 값만 변화시키고 Vmax는 동일하게 유지한다.[7] 이는 미카엘리스-멘텐 반응식 또는 라이너위버-버크 도표와 같은 효소 반응 속도론 그래프를 사용하여 입증할 수 있다. 저해제가 효소에 결합하면 Km 값이 반응의 원래 Km 값에서 증가하거나 감소하므로 기울기가 영향을 받는다.[16][3][4]

4. 경쟁적 저해의 수학적 모델

미카엘리스-멘텐 모델은 효소 역학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한 도구이다. 이 모델을 통해 기질 농도([S])에 따른 반응 속도(V0)의 그래프를 그려 Vmax(최대 반응 속도), 초기 속도, Km(미카엘리스-멘텐 상수 또는 효소-기질 복합체의 친화도)과 같은 값을 결정할 수 있다.[16]

경쟁적 저해는 겉보기 Km 값을 증가시키지만, Vmax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는 저해제의 존재가 더 높은 기질 농도로 극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경쟁적 저해제가 있을 때 Vmax/2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기질 농도는 저해제가 없을 때보다 더 높다.

경쟁적 저해 하에서 반응 초기 속도 V_0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V_0 = \frac{V_\max\,[S]}{K^\text{app}_m + [S]}

여기서 K^\text{app}_m=K_m(1+[I]/K_i)이며, K_i는 저해제의 해리 상수이고 [I]는 저해제 농도이다.

경쟁적 저해 모델의 유도 과정은 다음과 같다.

단일 기질 효소가 미카엘리스-멘텐 반응 속도론을 따르는 가장 단순한 경우, 일반적인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

E + S <=>[k_1][k_{-1}] ES ->[k_2] E + P



여기서 E는 효소, S는 기질, ES는 효소-기질 복합체, P는 생성물을 나타낸다.

경쟁적 저해는 저해제(I)가 자유 효소(E)에 결합하는 것을 포함하여 반응식을 수정한다.

:

EI + S <=>[k_{-3}][k_3] E + S + I <=>[k_1][k_{-1}] ES + I ->[k_2] E + P + I



이때, 저해제는 ES 복합체에 결합하지 않고, 기질은 EI 복합체에 결합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정상 상태 근사를 적용하여 위 반응식을 분석하고, 초기 반응 속도 V0를 구하면,

: V_0 = \frac{V_{\max}[S]}{K_m(1 + \frac{[I]}{K_i}) + [S]}

가 유도된다.

4. 1. 미카엘리스-멘텐 식

경쟁적 저해는 효소활성 부위에 저해제가 결합하여 기질의 결합을 방해하는 현상이다.[1] 이 때, 반응의 최대 속도(V_\max)는 변하지 않지만, 기질의 겉보기 친화성은 감소하여 미카엘리스-멘텐 상수(K_m) 값이 증가한다.[7]

미카엘리스-멘텐 모델은 효소 반응 속도론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도구이다. 경쟁적 저해 하에서, 반응 초기 속도(V_0)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16]

: V_0 = \frac{V_\max\,[S]}{K^\text{app}_m + [S]}

여기서 K^\text{app}_m=K_m(1+[I]/K_i)이며, K_i는 저해제의 해리 상수, [I]는 저해제 농도, [S]는 기질 농도이다.

경쟁적 저해제는 기질과 효소의 활성 부위를 두고 경쟁하며, 기질 농도를 증가시키면 저해 효과를 극복할 수 있다.[7]

경쟁적 저해가 일어날 때, 효소(E), 기질(S), 저해제(I) 간의 반응은 다음과 같은 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EI + S <=>[k_{-3}][k_3] E + S + I <=>[k_1][k_{-1}] ES + I ->[k_2] E + P + I

위 반응식에서 저해제(I)는 효소-기질 복합체(ES)에는 결합하지 않고, 기질(S)는 효소-저해제 복합체(EI)에 결합하지 않는다.

정상 상태에서 각 효소 종의 농도가 변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미카엘리스-멘텐 식을 유도하면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 V_0 = \frac{V_{\max}[S]}{K_m(1 + \frac{[I]}{K_i}) + [S]}

4. 2. 경쟁적 저해를 고려한 미카엘리스-멘텐 식

경쟁적 저해는 효소활성 부위에 저해제가 결합하여 기질의 결합을 방해하는 현상이다.[1] 이 때, 반응의 최대 속도(V_\max)는 변하지 않지만, 기질의 겉보기 친화성은 감소하여 K_m(미카엘리스-멘텐 상수) 값은 증가한다.[7]

미카엘리스-멘텐 모델에서 경쟁적 저해를 고려하면, 초기 반응 속도 V_0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16]

: V_0 = \frac{V_\max\,[S]}{K^\text{app}_m + [S]}

여기서 K^\text{app}_m=K_m(1+[I]/K_i)이며, K_i는 저해제의 해리 상수, [I]는 저해제 농도이다.[16]

이는 경쟁적 저해제가 효소의 활성 부위에 결합하여 기질 결합을 방해하기 때문에, 겉보기 K_m 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11] 하지만, 충분히 높은 농도의 기질을 넣어주면 저해제의 영향을 극복하고 V_\max에 도달할 수 있다.[11]

단일 기질 효소가 미카엘리스-멘텐 반응 속도론을 따르는 경우, 일반적인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E + S <=>[k_1][k_{-1}] ES ->[k_2] E + P

여기에 경쟁적 저해제(I)가 자유 효소(E)에 결합하는 과정을 추가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EI + S <=>[k_{-3}][k_3] E + S + I <=>[k_1][k_{-1}] ES + I ->[k_2] E + P + I

이때, 저해제는 효소-기질 복합체(ES)에는 결합하지 않고, 기질은 효소-저해제 복합체(EI)에는 결합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정상 상태 근사법을 적용하여 위 반응식을 분석하면, 초기 반응 속도 V_0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V_0 = \frac{V_{\max}[S]}{K_m(1 + \frac{[I]}{K_i}) + [S]}

5. 경쟁적 저해의 생물학적, 의학적 응용

경쟁적 저해는 의학과 생물학 분야에서 다양하게 응용된다.

설파제는 세균 내에서 파라-아미노벤조산(PABA)과 경쟁적으로 디히드로프테로산 합성 효소(DHPS)에 결합하여 엽산 합성을 억제하는 항균제이다.[14] 엽산은 세균의 성장과 분열에 필수적이므로, 엽산 합성이 억제되면 세균은 생존할 수 없다.

크렙스 회로에서 숙신산을 푸마르산으로 전환하는 숙신산 탈수소 효소에 대한 말로네이트의 경쟁적 저해도 중요한 예시이다.[15] 말로네이트는 숙신산과 구조가 유사하여 효소 활성 부위에 경쟁적으로 결합하여 반응을 억제한다.

5. 1. 신경독성 연구

오염된 데스메틸프로딘이라는 오피오이드 약물을 우발적으로 섭취한 후, 신경독성을 유발하는 1-메틸-4-페닐-1,2,3,6-테트라히드로피리딘(MPTP)의 효과가 발견되었다. MPTP는 혈액-뇌 장벽을 통과하여 산성 리소좀으로 들어갈 수 있다.[12] MPTP는 주로 신경 질환에 농축되어 있는 모노아민 산화 효소(MAO)의 동위 효소인 MAO-B에 의해 생물학적으로 활성화된다.[13] 이후 MPTP가 파킨슨병과 유사한 증상을 유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중추 신경계의 세포(별아교 세포)는 독성이 있는 1-메틸-4-페닐피리디니움(MPP+)으로 MPTP를 산화시키는 MAO-B를 포함한다.[12] MPP+는 결국 도파민 수송체에 의해 세포 외 액체로 이동하여 파킨슨병 증상을 유발한다. 그러나 MAO-B 효소 또는 도파민 수송체의 경쟁적 저해는 MPTP의 MPP+로의 산화를 방지한다. 메틸렌 블루, 5-니트로인다졸, 노르하르만, 9-메틸노르하르만, 메나디온을 포함하여 MPTP의 MPP+로의 산화를 억제하는 능력을 가진 몇몇 화합물이 테스트되었다.[13] 이들은 MPTP에 의해 생성된 신경독성의 감소를 보여주었다.

반응 속도(v) 대 정상 효소 활성(1)의 기질 농도[S]에 대한 미카엘리스-멘텐 그래프와 경쟁적 저해제(2)가 있는 효소 활성. 효소 반응에 경쟁적 저해제를 추가하면 반응의 Km이 증가하지만 Vmax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리네위버-버크 그래프는 속도의 역수(1/V) 대 정상 효소 활성(파란색)과 경쟁적 저해제(빨간색)가 있는 효소 활성의 기질 농도의 역수(1/[S])에 대한 미카엘리스-멘텐 그래프의 역수이다. 효소 반응에 경쟁적 저해제를 추가하면 반응의 Km이 증가하지만 Vmax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또한 설파제는 경쟁적 저해제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설파닐아미드는 기질인 파라-아미노벤조산(PABA)을 모방하여 디히드로프테로산 합성 효소(DHPS) 활성 부위에 있는 효소에 경쟁적으로 결합한다.[14] 이는 기질 자체가 결합하는 것을 방지하여 필수 영양소인 엽산의 생성을 중단시킨다. 박테리아는 엽산 수송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엽산을 합성해야 한다. 엽산이 없으면 박테리아는 성장하고 분열할 수 없다. 따라서 설파제의 경쟁적 저해로 인해 설파제는 우수한 항균제이다.

경쟁적 저해의 예는 크렙스 회로에서 숙신산의 산화를 푸마르산으로 촉매하는 효소인 숙신산 탈수소 효소에 대해 실험적으로 입증되었다. 말로네이트는 숙신산 탈수소 효소의 경쟁적 저해제이다. 숙신산 탈수소 효소의 기질인 숙신산과의 결합은 경쟁적으로 억제된다. 이는 말로네이트의 화학 구조가 숙신산과 유사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효소와 기질의 결합을 억제하는 말로네이트의 능력은 말로네이트 대 숙신산의 비율에 달려 있다. 말로네이트는 숙신산 탈수소 효소의 활성 부위에 결합하여 숙신산이 결합할 수 없도록 한다. 따라서 반응을 억제한다.[15]

6. 한국 사회에 미치는 영향

(요약과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경쟁적 저해' 문서의 '한국 사회에 미치는 영향' 섹션 내용을 빈칸으로 둡니다.)

참조

[1] 웹사이트 Types of Inhibition http://assay.nih.gov[...] NIH Center for Translational Therapeutics 2012-04-02
[2] 서적 Molecular Cell Biology
[3] 논문 The Inhibition of Cholinesterase by Physostigmine and Prostigmine
[4] 서적 Biochemistry
[5] 웹사이트 Virtual Chembook http://chemistry.elm[...] Elmhurst College 2015-09-01
[6] 뉴스 Map: Biochemistry Free & Easy (Ahern and Rajagopal) https://bio.libretex[...] 2017-11-02
[7] 논문 Enzymes Can Be Inhibited by Specific Molecules https://www.ncbi.nlm[...]
[8] 논문 Drugs which inhibit prostaglandin biosynthesis http://pharmrev.aspe[...] 1974-03
[9] 논문 Competitive inhibition of mushroom tyrosinase by 4-substituted benzaldehydes 2001-08
[10] 서적 Pharmacology for Nurse Anesthesiology https://archive.org/[...] Jones & Bartlett Learning
[11] 서적 Fundamentals of biochemistry : life at the molecular level 2016-02-29
[12] 서적 Basic Neurochemistry: Molecular, Cellular and Medical Aspects. 6th Edition
[13] 논문 Inhibition of the bioactivation of the neurotoxin MPTP by antioxidants, redox agents and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2011-08
[14] 뉴스 How Sulfa Drugs Work https://www.nih.gov/[...] 2017-11-02
[15] 논문 Studies on the Mechanism of Hydrogen Transport in Animal Tissues 1943-03
[16] 서적 Biochemistry
[17] 웹사이트 Types of Inhibition http://assay.nih.gov[...] NIH Center for Translational Therapeutics 2012-04-02
[18] 웹사이트 Competitive Inhibition http://cti.itc.virgi[...] 2012-04-02
[19] 웹사이트 Enzyme Inhibitors http://www.elmhurst.[...] 2014-09-04
[20] 웹사이트 Enzyme Inhibition http://dl.clackamas.[...] 2012-04-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