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람브루스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람브루스코는 이탈리아 에밀리아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는 적포도 품종과 그 품종으로 만든 와인을 통칭한다. 람브루스코는 6가지 주요 품종(람브루스코 그라스파로사, 람브루스코 마에스트리, 람브루스코 마라니, 람브루스코 몬테리코, 람브루스코 살라미노, 람브루스코 소르바라)을 포함하여 다양한 품종으로 양조되며, 다른 포도 품종과 블렌딩되기도 한다. 람브루스코는 일반적으로 낮은 당도를 가지지만, 상업적으로 당도를 높이기 위해 발효를 짧게 하거나 포도즙을 첨가하기도 하며, 발효가 완전히 이루어지면 딸기 향과 약간 쓴맛이 나는 드라이 와인을 생산한다. 람브루스코는 스파클링 와인 제조 방식인 샤르마 방식으로 양조되며, 와인 양조 지역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의 와인이 생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도주 산지 - 밀두라
    밀두라는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 북서부에 위치하며, 다양한 농산물이 생산되는 '빅토리아 푸드 볼'의 중심지로, 원주민의 역사와 관개 농업의 발달사를 거쳐 현재는 문화 행사와 관광 산업이 발달한 도시이다.
  • 포도주 산지 - 산토리니섬
    산토리니섬은 에게해 남부 키클라데스 제도에 있는 그리스 섬으로, 화산 폭발로 칼데라 지형을 이루었으며 과거에는 칼리스테 등으로 불렸고 현재는 아름다운 경관으로 유명한 유럽 관광지이다.
  • 이탈리아의 포도주 - 프로세코
    프로세코는 이탈리아 베네토주와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에서 글레라 포도를 주 품종으로 샤르마-마르티노티 방식으로 생산되는 스파클링 와인으로, 일부 지역은 DOCG 등급이며 카르티체 언덕의 프로세코는 최고 품질로 인정받고, 스푸만테와 프리잔테 두 종류와 다양한 당도 등급으로 나뉜다.
  • 이탈리아의 포도주 - 키안티
    키안티는 이탈리아 토스카나 지역에서 산지오베제 품종을 주 품종으로 생산되는 와인으로, 품질과 규정에 따라 키안티 DOCG, 키안티 클라시코 DOCG 등으로 나뉜다.
  • 포도주학 - 발효
    발효는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는 과정으로, 다양한 유기물을 이용하여 에탄올, 젖산 등 다양한 대사산물을 생성하며, 식품 보존, 발효식품 제조, 바이오에탄올 생산 등 산업 전반에 활용되는 산소의 유무와 관계없는 이화 작용이다.
  • 포도주학 - 탄닌
    탄닌은 다수의 수산기를 가진 다가 페놀 화합물로, 과일의 색과 떫은 맛을 내고 거대 분자와 결합하며, 가죽 제조나 수렴 작용에 사용되고, 가수분해성 탄닌과 축합형 탄닌으로 나뉘며, 식물에 널리 분포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람브루스코
기본 정보
종류포도 품종
원산지이탈리아
지리적 분포주로 에밀리아로마냐 주와 롬바르디아 주
와인 종류주로 스파클링 레드 와인
상세 정보
포도 껍질 색붉은색
섬세하고 아로마틱함
꽃향, 과일향
당도드라이부터 달콤한 맛까지 다양함
재배
기후 조건서늘한 기후 선호
토양 조건다양한 토양에서 재배 가능
와인 생산
주요 생산 지역에밀리아로마냐 주, 롬바르디아 주 (이탈리아)
스타일스파클링, 세미 스파클링, 드라이, 세미 스위트, 스위트
음식 매칭파스타, 피자, 프로슈토 등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Lambruseuko
관련 품종다양한 람브루스코 하위 품종 존재

2. 포도 품종

람브루스코는 에밀리아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는 포도 품종으로, 단일 품종 또는 다른 품종과 블렌딩하여 와인을 만든다. 20세기 말까지 포도 품종학자들은 피에몬테, 시칠리아, 베네토 등 이탈리아 전역에서 60개 이상의 람브루스코 품종을 확인했다.[1]

2. 1. 주요 품종

람브루스코 마에스트리 (Lambrusco Maestri)


람브루스코 포도


"람브루스코 그라스파로사 디 카스텔베트로" 한 잔의 발포성


람브루스코의 대표적인 6대 포도 품종은 그라스파로사, 람브루스코 마에스트리, 람브루스코 마라니, 람브루스코 몬테리코, 람브루스코 살라미노, 람브루스코 소르바라이다. 이 품종들은 모두 에밀리아(Emilia) 지역에서 재배된다. 대부분의 람브루스코는 한 종류 이상의 람브루스코 포도 품종을 블렌딩하여 양조되며, 때로는 안첼로타(색상), 마르제미노, 말보 젠틸레, 카베르네 소비뇽(바디감과 구조)과 같이 다른 포도 품종과 블렌딩하기도 한다. 이때 기타 품종의 함량은 15%를 초과할 수 없다.[4]

일반적으로 포도 나무는 흰가루병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지표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서 재배된다. 역사적으로 포도나무는 미루나무를 타고 올라가면서 자라도록 재배되었다.[4]

이 다양한 람브루스코 포도는 모두 에밀리아 원산이며, 클론이나 하위 클론이 아니다. 포도 자체는 특별히 달콤하지 않지만, 많은 상업용 람브루스코는 부분적인 발효 또는 정제 농축 포도즙을 첨가하여 단맛을 낸다. 달콤하게 발효되지 않으면 람브루스코 포도는 딸기 향과 약간 쓴맛이 나는 훌륭한 드라이 와인을 생산할 수 있다.[4]

20세기 말까지, 포도 품종학자들은 피에몬테, 시칠리아, 베네토를 포함하여 이탈리아 전역에 흩어져 있는 60개 이상의 람브루스코 품종을 확인했다.[1] 가장 널리 재배되는 품종은 람브루스코 살라미노이다.[2]

2. 2. 기타 품종 및 블렌딩

가장 대표적인 6대 람브루스코 포도 품종에는 그라스파로사, 람브루스코 마에스트리, 람브루스코 마라니, 람브루스코 몬테리코, 람브루스코 살라미노, 람브루스코 소르바라가 있으며, 모두 에밀리아 지역에서 재배된다. 대부분의 람브루스코는 한 종류 이상의 람브루스코 포도 품종을 블렌딩하여 양조되며, 때로는 안첼로타, 마르제미노, 말보 젠틸레, 카베르네 소비뇽과 같이 아예 다른 포도 품종과 블렌딩하기도 하는데 이때 기타 품종의 함량은 15%를 초과할 수 없다.[4]

일반적으로 포도 나무들은 지표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서 재배되는데, 이는 흰가루병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역사적으로 포도나무는 미루나무를 타고 올라가면서 자라도록 재배되었다.[4]

20세기 말까지, 포도 품종학자들은 피에몬테, 시칠리아, 베네토를 포함하여 이탈리아 전역에 흩어져 있는 60개 이상의 람브루스코 품종을 확인했다.[1] 가장 널리 재배되는 품종은 람브루스코 살라미노이다.[2]

2. 3. 재배 방식

람브루스코 포도나무는 종종 땅 위 높이 재배하여 흰가루병 발생을 막는다. 역사적으로 포도나무는 미루나무에 올라가도록 훈련되었다. 포도 자체는 특별히 달콤하지 않지만, 많은 상업용 람브루스코는 부분적인 발효 또는 정제 농축 포도즙을 첨가하여 단맛을 낸다. 달콤하게 발효되지 않으면 람브루스코 포도는 딸기 향과 약간 쓴맛이 나는 훌륭한 드라이 와인을 생산할 수 있다.[4] 20세기 말까지, 포도 품종학자들은 피에몬테, 시칠리아, 베네토를 포함하여 이탈리아 전역에 흩어져 있는 60개 이상의 람브루스코 품종을 확인했다.[1] 가장 널리 재배되는 품종은 람브루스코 살라미노이다.[2]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6가지 람브루스코 품종은 람브루스코 그라스파로사, 람브루스코 마에스트리, 람브루스코 마라니, 람브루스코 몬테리코, 람브루스코 살라미노, 람브루스코 소르바라이다. 이 다양한 람브루스코 포도는 모두 에밀리아 원산이며, 클론이나 하위 클론이 아니다. 대부분의 람브루스코는 하나 이상의 람브루스코 품종으로 만들어지며, 안첼로타(색상), 마르제미노, 말보 젠틸레, 카베르네 소비뇽(바디감과 구조) 등 특정 블렌딩 포도(최대 15%)와 혼합되기도 한다.

3. 양조



람브루스코는 피에몬테, 시칠리아, 베네토 등 이탈리아 전역에서 60가지가 넘는 품종이 발견될 정도로 다양하다.[1] 가장 널리 재배되는 품종은 람브루스코 살라미노이다.[2]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6가지 람브루스코 품종은 람브루스코 그라스파로사, 람브루스코 마에스트리, 람브루스코 마라니, 람브루스코 몬테리코, 람브루스코 살라미노, 람브루스코 소르바라이다. 이 다양한 람브루스코 포도는 모두 에밀리아 원산이며, 클론이나 하위 클론은 아니다. 대부분의 람브루스코는 하나 이상의 람브루스코 품종으로 만들어지며, 안첼로타(색상), 마르제미노, 말보 젠틸레, 카베르네 소비뇽(바디감과 구조) 등 특정 블렌딩 포도(최대 15%)와 혼합되기도 한다. 포도 덩굴은 종종 땅 위 높게 재배하여 흰가루병 발생을 막는다. 역사적으로 포도 덩굴은 미루나무에 올라가도록 훈련되었다.

3. 1. 양조 방식

일반적으로 람브루스코 포도 자체의 당도는 낮은 편이지만, 상업적으로 당도를 높이기 위해 발효를 짧게 하거나 포도즙을 추가하기도 한다. 발효가 완전히 이루어질 경우 딸기 향과 약간 쓴 여운을 가진 드라이 와인을 만들 수 있다.[11]

오늘날에는 "세코"(secco, 매우 드라이/드라이), "아마빌레"(amabile, 중간 드라이/스위트), "돌체"(dolce, 매우 스위트) 등 다양한 당도의 람브루스코가 생산된다.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까지 스위트 람브루스코가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어 1985년에는 1,300만 상자 이상이 수출되기도 했다. 높은 산도와 베리 풍미가 특징이며, 현재 미국으로 수출되는 많은 와인은 여러 DOC의 람브루스코를 블렌딩한 IGT ''에밀리아''로 판매된다.[3]

람브루스코 한 잔


이 와인은 샴페인 방식(메토도 클라시코)으로 만들어지는 경우는 드물며, 2차 발효가 가압 탱크에서 이루어지는 스파클링 와인 생산의 샤르마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5]

3. 2. 당도

일반적으로 람브루스코 포도 자체의 당도는 낮은 편이지만, 상업적으로 당도를 높이기 위해 발효를 짧게 하거나 추가적으로 포도즙을 첨가하기도 한다. 발효가 완전히 이루어질 경우에는 람브루스코 포도로 훌륭한 드라이 와인을 만들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딸기 향과 약간 쓴 여운과 같은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4]

오늘날 당도를 나타내는 기준은 세코(Seco, 드라이), 아마빌레(amabile, 오프 드라이/스위트), 돌체(dolce, 매우 스위트)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람브루스코는 높은 산도와 베리 향이 특징이다. 스위트 람브루스코는 1970년대 후반에서 80년대 사이에 매우 큰 인기를 끌었으며, 1985년의 경우 미국에 1,300만 병이 수출되었다. 오늘날 미국에 수출되는 많은 와인들은 람브루스코와 다른 DOCs(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 원산지 통제 명칭)를 블렌딩하여 에밀리아(Emilia IGT(Indicazione Geografica Tipica), 지리적 표시제)로 판매된다.[11]

4. 와인 양조 지역

람브루스코 와인은 이탈리아에밀리아로마냐주롬바르디아주에서 주로 생산된다. 에밀리아로마냐는 람브루스코 최대 생산지이며, 롬바르디아는 에밀리아로마냐 외부에 있는 유일한 주요 람브루스코 지역이다.

에밀리아로마냐에서는 람브루스코 레지아노, 람브루스코 살라미노 디 산타 크로체, 람브루스코 디 소르바라, 람브루스코 그라스파로사 디 카스텔베트로 등 다양한 DOC(원산지 통제 명칭) 와인이 생산된다.


  • 람브루스코 레지아노(Lambrusco Reggiano): 람브루스코 생산량이 가장 많은 지역으로, 수출되는 대부분의 DOC 와인이 이곳에서 생산된다. 마에스트리, 마라니, 몬테리코, 살라미노 품종을 사용하며, 최대 15%의 안첼로타 품종을 섞어(블렌딩) 만들 수 있다. 단맛이 나는 버전은 보통 가벼운 바디의 프리잔테 스타일이며, 드라이한 와인은 풀바디에 색상이 더 진하다.[3]
  • 람브루스코 살라미노 디 산타 크로체(Lambrusco Salamino di Santa Croce): 소르바라 마을에서 서쪽으로 약 11.27km 떨어진 지역에서 생산되며, 최소 90%의 살라미노 품종으로 만들어야 한다. 색상과 바디가 가볍고, 프리잔테 스타일은 세미 스위트와 드라이 스타일로 양조된다.[3]
  • 람브루스코 디 소르바라(Lambrusco di Sorbara): 모데나 북쪽의 소르바라 마을 근처에서 생산되며, 가장 향기로운 와인을 생산하는 최고 품질의 품종으로 여겨진다. 소르바라와 살라미노 품종만 사용 가능하며, 소르바라가 최소 60%를 차지해야 한다.[3]
  • 람브루스코 그라스파로사 디 카스텔베트로(Lambrusco Grasparossa di Castelvetro): 모데나 남쪽에 위치한 가장 작은 와인 생산 지역이다. 그라스파로사 품종이 주를 이루며, 최소 85% 이상일 경우 DOC 등급을 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드라이하고 풀바디하며 짙은 자줏빛을 띤다.[3]


전형적인 에밀리아 음식: ''뇨코 프리토'', 살라미, 그리고 람브루스코

4. 1. 이탈리아



람브루스코는 이탈리아에서 주로 생산되며, 특히 에밀리아로마냐주롬바르디아주가 주요 생산지이다.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6가지 람브루스코 품종은 람브루스코 그라스파로사, 람브루스코 마에스트리, 람브루스코 마라니, 람브루스코 몬테리코, 람브루스코 살라미노, 람브루스코 소르바라이다.[1] 이 품종들은 모두 에밀리아 원산이며, 대부분의 람브루스코 와인은 하나 이상의 람브루스코 품종과 안첼로타, 마르제미노, 말보 젠틸레, 카베르네 소비뇽 등 특정 품종을 최대 15%까지 섞어(블렌딩) 만든다.[4]

포도는 흰가루병 발생을 막기 위해 땅 위 높게 재배하며, 역사적으로 미루나무에 올라가도록 훈련되었다. 람브루스코 포도는 특별히 달콤하지 않지만, 많은 상업용 람브루스코는 부분 발효 또는 정제 농축 포도즙을 첨가하여 단맛을 낸다. 달콤하게 발효되지 않으면 딸기 향과 약간 쓴맛이 나는 드라이 와인을 생산할 수 있다.[4]

람브루스코 와인은 "세코"(secco, 매우 드라이/드라이), "아마빌레"(amabile, 중간 드라이/스위트), "돌체"(dolce, 매우 스위트) 등 다양한 드라이/스위트함이 존재한다. 스위트 람브루스코는 1970년대 후반~1980년대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어, 1985년에는 1,300만 상자 이상이 미국으로 수출되기도 했다. 높은 산도와 베리 풍미로 유명하다. 현재 미국으로 수출되는 많은 와인은 여러 DOC의 람브루스코를 블렌딩한 ''지리적 표시제''(IGT) ''에밀리아''로 판매된다.[3]

샴페인(''메토도 클라시코'') 스타일로 만들어지는 경우는 드물며, 2차 발효가 가압 탱크에서 이루어지는 스파클링 와인 생산의 샤르마 공정을 사용한다.[5]

이탈리아 내 람브루스코 주요 생산 지역은 다음과 같다:

4. 1. 1. 에밀리아로마냐주

람브루스코의 최대 생산지이자 가장 많은 DOC 수출 와인을 양조하는 곳이기도 하다. 대표적으로 마에스트리(Maestri), 마라니(Marani), 몬테리코(Montericco), 살라미노(Salamino)라는 4종류의 포도로 와인을 만들며, 최대 15%의 안첼로타 포도 품종을 섞는 것(블렌딩)까지 DOC에 허용된다.[3]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스위트한 람브루스코는 가벼운 바디의 프리찬테(Frizzante) 스타일이며, 드라이한 스타일의 경우 풀바디에 색이 더 진하다.

소르바라 마을에서 서쪽으로 약 11km 떨어진 지역에서는 와인을 반드시 90% 이상의 살라미노(Salamino) 포도 품종으로 양조해야 한다. 이 지역의 와인은 색이 밝고 바디감이 적으며 프리찬테(Frizzante) 스타일로 세미-스위트 혹은 드라이한 스타일로 양조될 수 있다. 이 포도의 이름은 살라미 소시지 덩어리와 포도송이의 형태가 유사하다고 하여 붙여졌다.[8]

모데나 지역 북쪽에 있는 소르바라(Sorbara) 마을은 가장 우수한 품질의 향이 좋은 와인을 생산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지역의 와인은 람브루스코 살라미노(Lambrusco Salamino)와 유사하지만 상대적으로 색이 더 짙고 좀 더 풀바디의 와인을 만든다. 와인의 색은 매우 짙은 루비부터 보라색까지 다양하다. 이 지역에서는 소르바라(Sorbara), 살라미노(Salamino) 포도 품종만 양조에 사용 가능하며, 소르바라(Sorbara)의 함량이 60% 이상이어야 한다. 살라미노(Salamino)와 소르바라(Sorbara) 포도 품종은 산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 소르바라(Sorbara)가 고품질의 와인을 만드는 것은 과일향보다 꽃 향기가 지배적인 품종이기 때문이다.

모데나(Modena) 마을 남쪽에 있는 가장 작은 양조 지역이다. 이 지역은 그라스파로사(Graparossa) 포도 품종이 주를 이루며, 최소 85% 비율이 이 포도일 경우에 DOC 등급을 받을 수 있다. 이 지역의 와인은 일반적으로 드라이하고 풀바디이며 짙은 보라색을 띤다. 그라스파로사(Graparossa)는 가장 타닌감이 강한 람브루스코를 만든다.

4. 1. 2. 롬바르디아주

에밀리아로마냐주 외부에 있는 유일한 람브루스코 생산 지역은 롬바르디아주이다. 롬바르디아주에서는 일반적으로 드라이한 람브루스코를 생산하지만, 세미 드라이한 스타일도 양조된다.[6]

4. 2. 기타 국가

오스트레일리아(호주)에서는 여러 종류의 저렴한 병이나 박스 와인을 ‘람브루스코’라는 이름으로 판매하고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중간 정도의 단맛을 가지며, 약 10%의 ABV로 마시기 편한 스타일이다.[9][2] 아르헨티나에서도 람브루스코 마에스트리가 몇 백 헥타르의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2]

참조

[1] 서적 Vines, Grapes & Wines Mitchell Beazley 1986
[2]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W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3] 서적 Italian Wines for Dummies Hungry Minds 2001
[4] 서적 Encyclopedia of Grapes Harcourt Books 2001
[5] 서적 The Wine Bible Workman Publishing 2001
[6] 서적 Italian Wines for Dummies Hungry Minds 2001
[7] 웹사이트 Casteller DOC https://www.quattroc[...] 2023-07-29
[8] 서적 J. Robinson Vines, Grapes & Wines pg 212 Mitchell Beazley 1986 {{ISBN|1-85732-999-6}}
[9] 서적 J. Robinson (ed) "The Oxford Companion to Wine" Third Edition pg 388-389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ISBN|0-19-860990-6}}
[10] 서적 M. Ewing-Mulligan & E. McCarthy Italian Wines for Dummies pg 101-103 Hungry Minds 2001 {{ISBN|0-7645-5355-0}}
[11] 서적 Oz Clarke Encyclopedia of Grapes pg 116 Harcourt Books 2001 {{ISBN|0-15-100714-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