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외무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 외무부는 러시아 연방의 외교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연방 행정 기관으로, 1948년부터 모스크바에 위치한 스탈린 양식의 건물에 자리 잡고 있다. 외무부는 지역별 및 기능별로 나뉜 여러 부서와 산하 기관, 그리고 유엔 주재 러시아 상설대표부로 구성되어 있다. 외무부 장관은 러시아 대통령이 임명하며, 외교 정책의 개발과 이행, 국제 조약 체결 등을 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중앙 행정 기관 - 러시아 국방부
러시아 국방부는 러시아군의 운영을 담당하는 행정기관으로, 국방부 장관이 최고 책임자이며 1992년 소련 국방부를 승계하여 설립되었고, 산하에 총참모부, 육군, 항공우주군, 해군 등을 두고 있다. - 러시아의 중앙 행정 기관 - 러시아 에너지부
러시아 에너지부는 러시아의 에너지 정책을 담당하는 정부 부처로,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우크라이나의 드론 공격으로 정유 시설이 파괴됨에 따라 생산 통계를 국가 기밀로 분류했다. - 러시아에 관한 - 러시아 국방부
러시아 국방부는 러시아군의 운영을 담당하는 행정기관으로, 국방부 장관이 최고 책임자이며 1992년 소련 국방부를 승계하여 설립되었고, 산하에 총참모부, 육군, 항공우주군, 해군 등을 두고 있다. - 러시아에 관한 - 북캅카스 산악공화국
북캅카스 산악 공화국은 러시아 혁명 후 북캅카스 여러 민족이 연합하여 수립, 7개 주로 구성되어 독립을 선포했으나 러시아 백군과 적군의 침공으로 소비에트 자치 공화국으로 편입되었으며, 현재도 북캅카스 분리주의 운동에서 상징성을 가진다. - 1991년 설립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서울특별시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실·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으로 구성되어 교육 연구, 정보 제공, 학생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교원 평가 및 학생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1991년 설립 - 대한민국 경찰청
대한민국 경찰청은 치안과 공공 안전 유지를 담당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미군정청 경무국에서 시작하여 내무부 외청으로 독립, 자치경찰제 도입 및 국가수사본부 출범을 거쳐 현재의 체계를 갖추었으며, 청장과 차장을 중심으로 여러 국, 심의관실, 과 및 담당관실로 구성되어 전국 시·도경찰청을 통해 지역 치안을 담당하고 경찰관 양성 및 특수 조직 운영 등 다양한 치안 수요에 대응한다.
러시아 외무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러시아 연방 외무부 |
로마자 표기 | Ministerstvo inostrannykh del Rossiyskoy Federatsii |
약칭 | МИД РФ (러시아어), MFA of Russia (영어) |
설립일 | 1549년 (원래 형태), 1991년 12월 25일 (현재 형태) |
전신 | 외무성 대외 관계부 (1991년) |
관할 | 러시아 대통령 |
본부 | 모스크바 스몰렌스카야-센나야 광장 32/34 |
웹사이트 | www.mid.ru |
![]() | |
![]() | |
조직 | |
외무장관 | 세르게이 라브로프 |
제1차관 | 블라디미르 티토프 |
차관 | 올레크 시로몰로토프 미하일 보그다노프 겐나디 가틸로프 알렉세이 메쉬코프 이고르 모르굴로프 세르게이 랴브코프 |
사무총장 | 세르게이 비야잘로프 |
국무장관 | 그리고리 카라신 |
산하 기관 | 독립국가연합, 재외동포, 국제인도주의 협력청 |
2. 조직
러시아 외교부 중앙 사무소는 여러 부서(department)로 구성되며, 각 부서는 과(section)로 나뉜다. 부서장은 Director, 과장은 Head라고 불린다. 2007년 9월 11일 대통령령 1163호에 따라 39개 부서로 나뉘었다.[4] 부서들은 지역별(러시아와 외국의 관계, 관례적인 지역에 따라 그룹화됨)과 기능별(할당된 기능에 따라)로 나뉘며, 각 부서는 30~60명의 외교관을 고용한다.
러시아 외교부 산하에는 러시아 외교부 외교 아카데미, 모스크바 국립 국제관계대학 등 4개의 부서가 있다.[5]
부서 체계 외에도 특별 임무 대사가 있는데, 이들은 국제 관계의 특정 문제(예: 그루지야-압하지야 분쟁 해결)를 담당하며 차관에게 직접 보고한다.[5]
2. 1. 지도부
외무부 장관은 외무부의 장이다. 장관은 양자 및 다자간 협상에서 러시아를 대표하고 국제 조약에 서명하며[6], 차관과 사무총장 간의 책임을 분담하고, 중앙 행정부의 구조 부서에 대한 규정을 승인하며, 중앙 행정부, 외국 기관 및 지역 기관의 고위 관리를 임명한다.[6]
직책 | 이름 | 재임 기간 | 담당 업무 |
---|---|---|---|
외무부 장관 | 세르게이 라브로프 | ||
제1차관 | 블라디미르 티토프 | 2013년 4월 22일 – 2024년 8월 2일 | 유럽 국가들과의 관계 |
국무차관 | 예브게니 이바노프 | 2017년 10월 5일 – 현재 | CIS 국가와의 관계, 기타 국가 기관과의 관계 |
차관 | 세르게이 랴브코프 | 2008년 8월 15일 – 현재 | 미주 국가와의 관계, 안보 및 군축 문제 |
차관 | 미하일 보그다노프 | 2011년 6월 12일 – 현재 | 아프리카 국가 및 중동과의 관계 |
차관 | 이고르 모르굴로프 | 2011년 12월 22일 – 현재 | 아시아 국가와의 관계 |
차관 | 올레그 시로몰로토프 | 2015년 3월 19일 – 현재 | 테러 대응 |
차관 | 알렉산드르 판킨 | 2017년 10월 23일 – 현재 | 유럽 기구, 서유럽 및 남유럽 국가와의 관계 |
차관 | 알렉산드르 그루슈코 | 2018년 1월 22일 – 현재 | |
차관 | 세르게이 베르시닌 | 2018년 3월 27일 – 현재 | |
차관 | 안드레이 루덴코 | 2019년 9월 19일 – 현재 | |
외무비서관 | 세르게이 비야잘로프 | 2015년 8월 22일 ~ 현재 |
- 외무장관
- 외무장관 관방부
- 제1차관
- 외무비서관
- 차관 × 6명
2. 2. 부서
러시아 외교부 중앙 사무소는 여러 부서(department)로 구성되며, 각 부서는 과(section)로 나뉜다. 부서장은 Director, 과장은 Head라고 불린다. 2007년 9월 11일 대통령령 1163호에 따라 39개 부서로 나뉘었다.[4] 부서들은 지역별(러시아와 외국의 관계, 관례적인 지역에 따라 그룹화됨)과 기능별(할당된 기능에 따라)로 나뉘며, 각 부서는 30~60명의 외교관을 고용한다.
러시아 외교부 산하에는 외교 직원을 위한 주요 생산 및 상업 부서, 러시아 외교부 외교 아카데미, 모스크바 국립 국제관계대학, 외교부 대학 및 러시아 국제 과학 문화 협력 센터 등 4개의 부서가 있다.[5]
부서 체계 외에도 특별 임무 대사가 있는데, 이들은 국제 관계의 특정 문제(예: 그루지야-압하지야 분쟁 해결)를 담당하며 차관에게 직접 보고한다.[5]
2. 3. 산하 기관
러시아 외교관 자녀들을 위한 해외 학교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다.[8]- 러시아 국제과학문화협력센터
2. 4. 유엔 주재 러시아 상설대표부
유엔 주재 러시아 상설대표부는 러시아 외무부의 가장 중요한 외교 기관 중 하나이다. 상설대표부는 국제 관계의 가장 중요한 문제에 대해 러시아 연방을 대표하여 협상을 진행한다. 대표부는 외교부 장관의 제안에 따라 대통령이 임명하는 상임대표가 이끈다. 상임대표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를 포함한 모든 유엔 기구에서 러시아를 대표한다. 특별한 경우에는 외교부 장관 자신이 그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직원 수 측면에서 러시아 대표부는 유엔에서 가장 큰 대표부 중 하나이다. 심지어 영어 심화 교육을 실시하는 중등학교까지 있다.
3. 기능
러시아 연방의 국제 관계 분야에서 국가 정책 및 규범적 법적 규제의 개발 및 이행을 담당하는 연방 행정 기관이다.[6]
러시아 외무부의 주요 기능은 전반적인 대외 정책 전략을 개발하고, 대통령에게 관련 제안을 제출하며, 대외 정책 방향을 이행하는 것이다.
외교부는 러시아 연방의 외교 대표부와 영사관, 국제기구에 대한 러시아 연방 대표부, 러시아 영토 내 러시아 외무부 지역 사무소를 통해 직접 운영된다. 외교부 시스템은 중앙 사무소, 해외 기관, 지역 사무소, 러시아 외교부에 종속된 기관으로 구성되며, 이는 러시아 영토에서의 업무를 보장한다. 외교부는 헌법, 연방 헌법 법률, 연방 법률, 대통령 및 정부의 법령, 국제 조약에 따라 운영된다.
외교부는 외교부 장관이 이끌며, 장관은 총리의 제안에 따라 대통령이 임명한다. 장관은 외교부에 위임된 권한의 이행과 관련 업무 분야에서의 국가 정책 이행에 대해 개인적으로 책임을 진다. 장관은 대통령이 임명하는 차관도 두고 있다.
4. 청사
러시아 연방 외교부 청사는 스탈린 고딕 양식의 건축물이다. 구소련 시절인 1948년부터 1953년까지 소련 외교부 본관으로 건설되었다. 27층 건물로 모스크바의 스몰렌스카야 광장에 있다.
외무부 건물은 모스크바의 세븐 시스터즈 중 하나이다. 좌우로 호텔 베르그라드와 황금의 고리 호텔(골든 링 호텔)이 나란히 서 있어 고층 건축물의 앙상블을 형성하고 있다.
외무부의 마스터플랜에는 애초에 첨탑이 없었으나, 스탈린의 지적에 따라 추가되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5. 역대 외교부 장관
예고르 가이다르 내각(가이다르는 총리 대행),
빅토르 체르노미르딘 내각

세르게이 키리옌코 내각

세르게이 스테파신 내각,
제1차 블라디미르 푸틴 내각,
미하일 카시아노프 내각

제2차 미하일 프라트코프 내각,
빅토르 주브코프 내각,
제2차 블라디미르 푸틴 내각,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내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