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오나르트 판더르카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오나르트 판더르카윕은 티베트 불교 인식론 및 관련 인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학자이다. 그는 티베트 불교 인식론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주요 저서로는 《티베트 불교 인식론 발전에 대한 기여: 11세기부터 13세기까지》가 있다. 그의 저작들은 티베트 불교 인식론 및 관련 인물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언어학자 - 조지 반 드림
    조지 반 드림은 네덜란드계 미국인 언어학자이며, 히말라야 지역 언어 연구와 언어의 다윈 이론인 공생론 제창, 멸종 위기 언어 보존 연구 등을 수행하고 히말라야 언어 프로젝트를 설립하여 롤렉스 어워드 엔터프라이즈를 수상했다.
  • 네덜란드의 언어학자 - 파울 부르스마
    파울 부르스마는 음운론과 음성학 관계 연구 학자로서, 다비트 베닝크와 함께 음성 과학 분석 소프트웨어 프라트를 개발했으며 암스테르담 대학교의 교수이다.
  • 서스캐처원 대학교 동문 - 존 디펜베이커
    존 디펜베이커는 변호사 출신으로 캐나다 하원 의원, 진보보수당 대표를 거쳐 1957년 캐나다 총리에 취임하여 캐나다 권리장전을 제정하고 외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서스캐처원 대학교 동문 - 박종아
    박종아는 대한민국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의 핵심 선수로, 평창 동계올림픽 남북 단일팀 참가 및 IIHF 세계 선수권 최우수 선수상 수상 등 대한민국 여자 아이스하키의 간판 스타로 활약하고 있다.
레오나르트 판더르카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레오나르트 W.J. 판 데르 카윕
출생1952년
국적네덜란드
분야티베트학
직장하버드 대학교
모교함부르크 대학교
박사 지도교수람베르트 슈미트하우젠
주목할 만한 학생네이선 W. 힐
알려진 업적티베트 불교 문헌 및 역사 연구
기타
중국어 이름(판 더캉)
네덜란드어 이름Leonard W.J. van der Kuijp
학술원 회원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

2. 주요 저작

레오나르트 판더르카윕의 저작들은 티베트 불교 인식론과 관련된 주요 인물 및 사상사 연구에 있어 중요한 학술 자료로 평가받는다. 그는 특히 11세기부터 13세기에 이르는 티베트 불교 인식론의 발전 과정을 추적하고, Phya pa Chos kyi seng ge, Mkhas grub rje, 사캬 판디타, 부뙨 린첸둡 등 핵심적인 학자들의 사상과 생애를 깊이 있게 분석하는 다수의 논문과 단행본을 발표하였다. 그의 연구는 티베트 불교 철학 및 역사 연구의 기초를 다지는 데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1. 논문

레오나르트 판더르카윕은 티베트 불교 인식론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성과를 남겼다. 특히 11세기부터 13세기까지 티베트 불교 인식론의 발전에 기여한 내용을 다룬 아래와 같은 저서를 출판하였다.

  • ''티베트 불교 인식론 발전에 대한 기여: 11세기부터 13세기까지''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Tibetan Buddhist Epistemology: From the Eleventh to the Thirteenth Century영어). 비스바덴: Franz Steiner, 1983.


이 외에도 그는 Phya pa Chos kyi seng ge, Mkhas grub rje, 사캬 판디타, Gsang phu ne'u thog 사원, Śākyaśrībhadra, 부뙨 린첸둡 등 티베트 불교의 주요 인물과 사상, 역사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2. 1. 1. Phya pa Chos kyi seng ge 연구


  • "Phya pa Chos kyi seng ge의 티베트 인식론 이론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5 (1978): 355-369.

2. 1. 2. Mkhas grub rje 연구

"Mkhas grub rje의 생애와 사상 연구 I: Mkhas grub rje의 인식론적 업적과 디그나가의 《프라마나사무차야》에 대한 그의 철학적 언급". ''Berliner Indologische Studien'' 1 (1985): 75-105.

2. 1. 3. Sa skya Paṇḍita 연구

판더르카윕은 티베트 불교의 중요한 인물인 사캬 판디타(Sa skya Paṇḍita)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특히 그는 1986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삼예 논쟁(Bsam yas Debate)에 관한 사캬 판디타의 주석이 어떤 자료에 근거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 "On the Sources for Sa skya Paṇḍita's Notes on the Bsam yas Debate." ''The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9.2 (1986): 147-153. (Bsam yas 논쟁에 대한 Sa skya Paṇḍita의 주석 출처에 관하여)

2. 1. 4. Gsang phu ne'u thog 사원 연구

판더르카윕은 Gsang phu ne'u thog 사원의 역사, 특히 1073년경부터 1250년까지의 수도원장 계승 과정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1987년 학술지 《Berliner Indologische Studien》 제3권에 게재된 논문 ''The Abbatial Succession of Gsang phu ne'u thog Monastery from ca.1073 to 1250.'' (ca.1073년부터 1250년까지 Gsang phu ne'u thog 사원의 수도원장 계승)을 통해 발표되었다.

2. 1. 5. Śākyaśrībhadra 연구

레오나르트 판더르카윕은 티베트 불교 학자 Śākyaśrībhadra(?-1225)의 생애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는 1994년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에 서평 논문 "On The Lives of Śākyaśrībhadra (?-1225)eng"(한국어: Śākyaśrībhadra (?-1225)의 생애에 관하여)를 발표했다. 이 논문은 해당 저널 114권 4호, 599-616쪽에 실렸다.

2. 1. 6. Bu ston Rin chen grub 연구

판더르카윕은 2013년 《''Revue d'Études Tibétaines''》 25호에 "Some Remarks on the Textual Transmission and Text of Bu ston Rin chen grub's Chos 'byung, a Chronicle of Buddhism in India and Tibet" (인도와 티베트 불교 연대기인 Bu ston Rin chen grub|부뙨 린첸둡bod의 《Chos 'byung》의 텍스트 전승과 텍스트에 대한 몇 가지 언급)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은 페이지 111-189에 걸쳐 게재되었다.

2. 2. 단행본


  •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Tibetan Buddhist Epistemology: From the Eleventh to the Thirteenth Century''. 비스바덴: Franz Steiner, 1983. (티베트 불교 인식론 발전에 대한 기여: 11세기부터 13세기까지)

참조

[1] 뉴스 Tibetan Expert Joins Sanskrit Faculty http://www.thecrimso[...] The Harvard Crimson 1995-08-01
[2] 웹사이트 Leonard van der Kuijp https://www.knaw.nl/[...]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3] 웹사이트 Royal Academy selects 21 new members https://www.knaw.nl/[...]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8-04-19
[4] 문서 현재는 불교 디지털 자료 센터(Buddhist Digital Resource Center)로 명칭이 바뀌었다.
[5] 웹인용 Leonard van der Kuijp https://www.knaw.nl/[...]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6] 웹인용 Royal Academy selects 21 new members https://www.knaw.nl/[...]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8-04-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