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반 드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 반 드림은 네덜란드계 미국인 언어학자이다.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생물학을 전공하고, 라이덴 대학교에서 슬라브어 및 일반 언어학으로 학위를 받았다. 림부어 문법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라이덴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는 베른 대학교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히말라야 지역의 언어 연구를 수행하며, 종카어 문법 체계화 및 로만 종카 설계에 기여했다. 또한 시노티베트어족 가설을 비판하고 트랜스히말라야어족이라는 새로운 어족 개념을 제시했으며, 언어의 다윈 이론인 공생론을 제창했다. 멸종 위기에 처한 언어 보존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히말라야 언어 프로젝트를 설립한 공로로 롤렉스 어워드 엔터프라이즈를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언어학자 - 파울 부르스마
파울 부르스마는 음운론과 음성학 관계 연구 학자로서, 다비트 베닝크와 함께 음성 과학 분석 소프트웨어 프라트를 개발했으며 암스테르담 대학교의 교수이다. - 네덜란드의 언어학자 - 레오나르트 판더르카윕
레오나르트 판더르카윕은 티베트 불교 철학과 역사를 연구하며 티베트 인식론, Mkhas grub rje 철학, Gsang phu ne'u thog 사원 역사 등의 학술 저술을 발표한 학자이다. - 티베트학자 - 스벤 헤딘
스벤 헤딘은 중앙아시아 탐험과 고대 도시 유적 발굴에 기여한 스웨덴의 지리학자이자 탐험가이지만, 나치 독일과의 협력 관계로 비판을 받기도 하는 인물이다. - 티베트학자 - 나카자와 신이치
나카자와 신이치는 대칭성 인류학을 제창하고 그린 액티브를 설립하여 활동하는 일본의 사상가, 인류학자, 종교학자로, 다수의 저서를 발표하고 여러 상을 수상했으나 옴진리교 옹호 발언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레이던 대학교 동문 - 르네 데카르트
르네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명제로 유명한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수학자로, 근대 철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해석기하학 창시 등 수학과 과학에도 기여했고, 방법적 회의와 이원론 철학으로 서구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레이던 대학교 동문 - 마르크 뤼터
마르크 뤼터는 네덜란드 총리를 역임하고 북대서양 조약 기구 사무총장으로 재직하며, 자유민주국민당 대표를 지냈고, 긴축 재정 정책을 추진하다 2023년 사임했다.
조지 반 드림 - [인물]에 관한 문서 |
---|
2. 생애 및 교육
조지 반 드림은 네덜란드인 부모에게서 태어났으며, 미국 버지니아주 노샘프턴군의 나사와독스에서 태어났다.[2] 1979년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생물학 학위를 취득한 후 네덜란드 라이덴 대학교로 옮겨 슬라브어·일반 언어학을 공부했다. 1987년 림부어 문법 연구로 라이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2] 1984년부터 동 대학에서 가르쳤으며, 1996년에 부교수, 1999년에 교수로 승진했다. 2010년부터는 스위스 베른 대학교의 교수를 맡고 있다.
그의 학력은 다음과 같다.[2]
연도 | 기관 | 학위 |
---|---|---|
1975–1979 | 버지니아 대학교 | 생물학 학사 |
1978–1979 | 네이메헌 가톨릭 대학교 | |
1979–1981 | 라이덴 대학교 | 슬라브어 문학 학사 |
1981–1983 | 라이덴 대학교 | 슬라브어 문학 석사, 영어 문학 학사, 일반 언어학 석사 |
1983–1987 | 라이덴 대학교 | 철학 박사 (림부어 문법) |
조지 반 드림은 히말라야 지역 언어 연구, 언어 계통 연구, 멸종 위기 언어 보존에 힘쓰고 있다. 부탄 왕립 정부의 요청으로 종카어 문법을 체계화하고 로마자 표기법을 제정했으며, 종카어 원어민 카르마 체링과 함께 종카어 교과서를 공동 집필했다.[3]
3. 연구 업적
유전학자들과의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아시아 민족언어학적 선사 시대 재구성에 기여했다. 언어 고생물학, 민족언어학적 계통지리학, 벼 유전학, 홀로세 동물 종 분포를 바탕으로 고대 먀오-야오족과 오스트로아시아어를 아시아 벼 최초 가축화 종족으로 확인하고, 먀오-야오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트랜스히말라야어족의 고향과 선사 시대 분산 이론을 발표했다. 시노티베트 가설 대신 티베토-버마 계통 모델을 제시하고, 2004년에는 트랜스히말라야라는 중립적 지리 명칭을 제안했다. 공생론이라는 언어의 다윈 이론을 개발하고, 공생론 철학의 저자이기도 하다.
3. 1. 히말라야 지역 언어 연구
1983년부터 히말라야 각지(부탄, 네팔, 인도 북동부·북서부)에서 현장 연구를 수행했다.[6] 부탄 왕립 정부의 위촉을 받아 국어인 종카어의 문법을 체계화하고, 로마자 표기법(로만 종카)을 설계했으며, 부탄 왕국의 언어 공동체에 대한 조사를 완료했다. 종카어 원어민인 카르마 체링과 함께 종카어 교과서를 공동 집필했다.[3]
동부 네팔에서 사용되는 키란티어인 림부어, 두미어와 부탄 중부의 붐탕어 문법을 저술했다. 히말라야 지역의 민족언어학적 핸드북인 ''히말라야의 언어들''을 2권으로 저술했다.[3] 1995년에 히말라야 제어 심포지엄[7]을 창시했다. "Languages of the Greater Himalayan Region" 시리즈의 주편이다.[8]
네팔 정부 및 부탄 왕립 정부와 협력하여 '대 히말라야 지역의 언어와 유전자'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히말라야 원주민들로부터 DNA를 수집했다.[6]
3. 2. 언어 계통 연구 및 새로운 이론 제시
조지 반 드림은 기존의 시노티베트어족 가설을 비판하고, 트랜스히말라야어족이라는 새로운 어족 개념을 제안했다.[3] 그는 중국어를 티베트-미얀마어족의 한 분파로 보는 새로운 분류 체계를 제시했다.[9] 반 드림은 중국어와 티베트-미얀마어족이 시노-티베트어족을 구성한다는 통설에 반대하여, 중국어를 티베트어와 함께 티베트-미얀마어족의 하나의 분지로 위치시키는 설을 제창했다. 이후에는 나무 구조의 계통도를 버리고, 낙엽 모델(각 어파를 따로따로 분리하여 그 거리로 친연 관계의 가까움을 나타냄)을 채택했다.[10]
반 드림은 언어의 다윈 이론인 '공생론'을 창시하여 언어를 인간 뇌에 공생하는 유기체로 간주하고, 인간과 언어의 상호작용을 강조했다. '공생론' 철학을 통해 언어, 종교, 문화를 아우르는 통합적인 관점을 제시했다.
3. 3. 멸종 위기 언어 보존 노력
조지 반 드림은 현재 베른에서 전략적 목표를 위한 연구 프로그램(Strategische Zielsetzungen im Subkontinent)을 운영하고 있으며,[4] 이 프로그램은 남아시아의 멸종 위기에 처해 있고 문서화가 부족한 언어를 분석하고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 프로그램은 라이덴 대학교에서 그가 지휘했던 히말라야 언어 프로젝트가 다양화된 것이다. 그와 그의 연구팀은 12개 이상의 멸종 위기에 처한 대 히말라야 지역의 언어를 문서화하여 분석 문법, 어휘집을 제작하고 형태론적으로 분석된 원어 텍스트를 기록했다.
4. 수상 및 영예
1996년 히말라야 언어 프로젝트 설립 공로로 롤렉스 어워드 엔터프라이즈를 수상했다.[5] 1998년 카트만두에서 키라트 얙퉁 쭘룽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5. 주요 저서
참조
[1]
웹사이트
Prof. em. Dr. George van Driem
https://www.isw.unib[...]
2024-06-23
[2]
웹사이트
George van Driem
http://www.semiotico[...]
2018-03-15
[3]
웹사이트
Languages of the Himalayas
http://www.brill.nl/
Brill.nl
2014-03-04
[4]
웹사이트
Strategische Zielsetzungen im Subkontinent
http://www.himalayan[...]
Himalayanlanguages.org
2014-03-04
[5]
웹사이트
George van Driem : Overview
http://www.rolexawar[...]
Rolex Awards for Enterprise
2018-03-15
[6]
웹사이트
Languages and Genes of the Greater Himalayan Region
http://www.himalayan[...]
Himalayan Languages Project
2015-05-19
[7]
웹사이트
Himalayan Languages Symposium (HLS)
http://www.himalayan[...]
2015-05-19
[8]
웹사이트
Languages of the Greater Himalayan Region
http://www.brill.com[...]
Brill
2015-05-19
[9]
간행물
Sino-Bodic
[10]
간행물
Tibeto-Burman subgroups and historical grammar
http://www.himalay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