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즈 마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렌즈 마운트는 렌즈를 카메라 바디에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로, 나사식, 베이요넷식, 브리치 잠금(스피곳) 방식 등이 있다. 렌즈 마운트의 종류는 다양하며, 각 제조사마다 고유한 규격을 사용하기 때문에 호환성에 제약이 있다. 렌즈 마운트 어댑터를 사용하면 다른 마운트의 렌즈를 카메라 바디에 장착할 수 있지만, 자동 기능 사용에 제약이 있을 수 있으며, 화질 저하나 초점 문제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렌즈 마운트 - 포서즈 시스템
포서즈 시스템은 올림푸스와 코닥이 공동 발표한 4/3인치 이미지 센서와 4:3 화면비를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SLR 카메라 시스템 규격으로, 여러 제조사가 참여했으나 미러리스 방식의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 발표 후 단종되었다. - 렌즈 마운트 - 캐논 RF 마운트
캐논 RF 마운트는 풀프레임 미러리스 카메라용으로 개발되어 54mm 내경과 20mm 플랜지백 거리를 가지며, 어댑터를 통해 EF 렌즈와 호환되고, 캐논 EOS R 시스템 및 RED 시네마 카메라에 채용되었으며, 서드파티 렌즈 제조사들의 참여로 렌즈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있다.
렌즈 마운트 |
---|
2. 렌즈 마운트의 종류
렌즈 마운트는 카메라 본체와 렌즈를 결합하는 기구로, 양쪽 모두 일정한 조건을 만족해야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기계적으로는 맞물림 부분의 구조나 치수, 광학적으로는 바디의 플랜지 백 등이 문제가 된다. 최근에는 바디와 렌즈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는 전기적 호환성도 필요하다.
렌즈 마운트의 기구는 장착 형태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종류 | 설명 | 특징 | 주요 마운트(예시) |
---|---|---|---|
나사식 | 마운트와 렌즈 접합부에 나사가 있어 렌즈를 회전시켜 장착 | 렌즈 탈착에 시간 소요, 전자화/다기능화에 제약 | 라이카 스크류 마운트, M42 마운트 |
베이요넷식 | 물림쇠(갈고리)를 이용해 렌즈를 끼우고 돌려서 장착 | 렌즈 탈착 간편, 바디와 렌즈 연동 용이 | 캐논 EF 마운트, 니콘 F 마운트, 펜탁스 K 마운트 |
스피곳식 | 별도의 링(스피곳)을 이용해 렌즈 고정 | 렌즈 회전 없이 장착, 높은 연동성 기대, 대형 렌즈 장착 어려움 | 캐논 FD 마운트 |
- 스피곳식은 바요넷 방식의 일종으로 해석되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구분하여 다룬다.
나사식과 바요넷 방식은 장착 시 렌즈가 바디에 대해 회전하고, 스피곳 방식은 회전하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이 외에도 기계적으로 마운트 개구부의 크기나 플랜지 백의 길이도 초기 설계상의 중요한 점이다.
현대의 스틸 카메라 렌즈 마운트는 대부분 베이요넷 방식인데, 이는 베이요넷 메커니즘이 렌즈와 바디 사이의 기계적 및 전기적 기능을 정확하게 정렬하기 때문이다.[2] 나사식 마운트는 취약하고 렌즈를 안정적으로 회전 위치에 정렬하지 않지만, C 마운트와 같은 유형은 비디오 카메라 및 광학 기기와 같은 다른 응용 분야에서 여전히 널리 사용된다.[2]
소니, 니콘, 캐논, 콘탁스/야시카, 펜탁스 등 경쟁 제조업체의 렌즈 마운트는 거의 항상 호환되지 않는다.[3] 기계적 및 전기적 인터페이스 변형 외에도, 렌즈 마운트에서 필름 또는 센서까지의 플랜지 초점 거리도 다를 수 있다.[3]
2. 1. 나사식 마운트
나사식 마운트는 마운트와 렌즈 접합부에 나사가 새겨져 있어 렌즈를 회전시켜 바디에 나사로 조여 장착하는 방식이다. 스크류 마운트라고도 한다. 라이카 스크류 마운트나 M42 마운트(프락티카 스크류 마운트)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렌즈 교환식 필름 카메라의 여명기에는 "렌즈 탈착으로 나사의 마모는 있어도 마운트 플랜지부의 긁힘이 없어 플랜지백이 틀어지지 않는다"는 이유로 나사식 마운트의 견고성을 지지하는 견해도 있었지만[24], 렌즈 탈착에 시간이 걸리고, 카메라의 전자화·다기능화에 대응하는 데 제약이 있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제조사는 신규격·신기능을 채용할 때 바요네트 방식으로 이행하여, 현행 기종으로는, 다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는 특정 기재에 옛 규격의 마운트가 존속하고 있을 뿐이다. 현재는 많은 제조사가 철수했기 때문에, 편의상 당시의 공식 명칭보다 나사 지름으로 M○○ 마운트라는 호칭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2. 2. 베이요넷 마운트
물림쇠 역할을 하는 갈고리가 마운트와 렌즈 접합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바디 측의 빈 공간에 렌즈 측의 갈고리를 끼우고 그대로 돌려서 장착할 수 있다. 어원은 소켓식 총검 (''Bayonet'')을 총에 장착하는 동작과 렌즈를 장착하는 동작이 매우 유사하다는 데서 유래했다. 렌즈 탈착이 간단하고, 바디와 렌즈의 각종 연동 기능에 대응하기 쉬워 많은 제조사의 마운트 규격에 채용되고 있다.바디 측 마운트 내주에 물림쇠 역할을 하는 갈고리가 있는 내갈고리형과 바디 측 마운트 외주에 물림쇠 역할을 하는 갈고리가 있는 외갈고리형이 있으며, 베이요넷 규격으로 주류를 이루는 것은 내갈고리형이지만, 내부에 나사산이 있고 외갈고리 베이요넷을 병설하거나, 안팎 양쪽에 갈고리를 가진 더블 베이요네트 방식을 채용한 마운트도 있다.[1] 외갈고리형은 스피곳식과 외관이 매우 유사하여 혼동하기 쉬운데, 렌즈 측 마운트부가 회전하지 않고 조임 링을 회전시켜 장착하는 것이 스피곳식이며, 렌즈 측 마운트부를 회전시켜 장착하는 것이 베이요네트식이다.[1]
대부분의 마운트는 렌즈를 장착할 때, 초점을 무한대에서 맞출 때, 조리개를 개방 측으로 맞출 때는 시계 방향으로 렌즈를 조작하지만, 콘탁스 마운트와 그 준호환 마운트인 니콘 S 마운트, 니콘 F 마운트, 올림푸스 펜 F 마운트 등은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한다.[1]
필름 카메라 마운트에는 조리개 제어 및 자동 초점 대응 등으로 스프링이나 레버, 샤프트 등에 의한 기계적인 연동 기능을 가진 것도 있지만, 카메라의 전자화가 진전된 캐논 EF 마운트나 디지털 카메라의 새로운 규격으로 개발된 미러리스 렌즈 교환식 카메라에서는 바디와 렌즈의 연동 기능을 모두 전자 접점을 통한 전기적 통신으로 실현하고 있다.[1]
베이요넷 마운트는 렌즈 베이스 주변에 여러 개의 탭(종종 3개)이 있으며, 이 탭은 카메라 전면의 렌즈 장착 플레이트에 있는 적절한 크기의 홈에 맞는다.[2] 탭은 렌즈가 단일 방향으로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하나의 탭을 다른 크기로 만드는 등의 방식으로 "키잉"되기도 한다.[2] 삽입된 렌즈는 약간 돌려 고정한다.[2] 그런 다음 스프링 장착 핀으로 제자리에 고정되며, 이 핀을 조작하여 렌즈를 제거할 수 있다.[2]
소니, 니콘, 캐논, 콘탁스/야시카, 펜탁스 등 경쟁 제조업체의 렌즈 마운트는 거의 항상 호환되지 않는다.[3] 기계적 및 전기적 인터페이스 변형 외에도, 렌즈 마운트에서 필름 또는 센서까지의 플랜지 초점 거리도 다를 수 있다.[3]
2. 3. 브리치 잠금 (스피곳) 방식
렌즈 본체는 회전시키지 않거나, 회전에 의한 위치 결정은 있지만 고정을 위한 것이 아니라, 별도의 링(스피곳)을 바요넷처럼, 혹은 나사로 조여 렌즈를 고정한다. 어원은 수도관 등에 사용되는 조임식 '''''마개'''''(Spigot)에서 유래했다. 렌즈를 회전시키지 않고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디와의 더 높은 연동성을 기대했지만, 대형 렌즈의 장착 등에 어려움이 있었다(한 손으로 카메라를 잡고, 다른 손으로 렌즈를 잡았을 경우, 스피곳을 조작하기 위해 세 번째 손이 필요해진다). 때문에 채용 메이커는 몇몇 회사에 그쳤다.3. 주요 렌즈 마운트 목록
렌즈 마운트는 카메라 바디와 렌즈를 연결하는 기계적 및 전기적 인터페이스이다. 렌즈 마운트는 크게 나사산 방식, 베이요넷 방식, 브리치 잠금 (마찰 잠금)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현대의 스틸 카메라 렌즈 마운트는 대부분 베이요넷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는 렌즈와 바디 사이의 기계적, 전기적 기능을 정확하게 정렬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베이요넷 마운트는 일반적으로 렌즈 베이스 주변에 여러 개의 탭(주로 3개)이 있으며, 이 탭을 카메라 전면의 렌즈 장착 플레이트에 있는 홈에 맞춰 렌즈를 약간 돌려 고정한다. 렌즈가 한 방향으로만 삽입되도록 탭의 크기를 다르게 만드는 경우가 많다. 렌즈는 스프링 장착 핀으로 고정되며, 이 핀을 조작하여 렌즈를 제거할 수 있다.
렌즈 마운트는 제조사별로 호환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는 기계적, 전기적 인터페이스 차이뿐만 아니라, 렌즈 마운트에서 필름 또는 센서까지의 거리인 플랜지 초점 거리가 다르기 때문이다.
다음은 주요 렌즈 마운트 목록이다.
마운트 이름 | 플랜지 초점 거리 | 프레임 크기 | 목구멍 또는 나사산 직경 | 마운트 나사산 피치 | 마운트 유형 | 주요 사용 | 카메라 라인 |
---|---|---|---|---|---|---|---|
키노르 16SP | 52mm[1] | 16 mm | 43mm | 브리치 락 | 영화 촬영 | 키노르 16SP, 크라스노고르스크-1, -2, -3[2][3] 16mm 영화 카메라 | |
키노르 16SX | 52mm[4] | 16 mm | 43mm | 브리치 락 | 영화 촬영 | 키노르 16SX-1M,-2M 16mm 영화 카메라 | |
OST/OCT-19 | 68mm[4] | 35 mm | 61mm | 브리치 락 | 영화 촬영 | 콘바스-2M, 키노르-35H 35mm 영화 카메라 | |
키예프-16U | 31mm[5] | 16 mm | 32mm | 0.5mm | 나사 | 영화 촬영 | 키예프-16U/UE 16mm 영화 카메라 |
키예프-16C | 17.35mm[5] | 16 mm | 27mm | 0.75mm | 나사 | 키예프-1C 16mm 영화 카메라 | |
캐논 SV | 32mm | 베이요넷 | 사진 (디지털) | 캐논 RC-701 & 760 | |||
아거스 C3 | 40.3mm | 35 mm | 34mm | 20 TPI | 나사 | 사진 | 아거스 C3 |
캐논 EX | 20mm | 1/2" | 베이요넷 | 사진 | |||
캐논 FL | 42mm | 35 mm | 48mm | 브리치 락 | 사진 | ||
캐논 FD | 42mm | 35 mm | 48mm | 브리치 락 | 사진 | 캐논 F 시리즈, A 시리즈, 그리고 T 시리즈 SLR | |
캐논 FDn (일명 "New FD") | 42mm | 35 mm | 48mm | 베이요넷 | 사진 | 이전 FD 렌즈와 완전히 호환 가능 | |
캐논 EF | 44mm | 35 mm | 54mm[6] | 베이요넷 | 사진 | 캐논 EOS 35mm 필름 SLR, 풀 프레임 & APS-H DSLR | |
캐논 EF-S | 44mm | APS-C | 54mm | 베이요넷 | 사진 (디지털) | 캐논 EOS APS-C DSLR | |
캐논 EF-M | 18mm | APS-C | 47mm | 베이요넷 | 사진 (디지털) | 캐논 EOS M 시리즈 미러리스 APS-C 카메라 | |
캐논 RF | 20mm | 35 mm 및 APS-C | 54mm | 베이요넷 | 사진 (디지털) | 캐논 EOS R 시리즈 풀 프레임 및 APS-C 미러리스 카메라; RF-S로 지정된 렌즈는 APS-C 센서에 최적화되어 있지만 풀 프레임 바디에도 장착됩니다. | |
니콘 S | 34.85mm | 35 mm | 34mm[7] | 베이요넷 | 사진 | 니콘 레인지 파인더 | |
니콘 F | 46.5mm | 35 mm | 44mm[8] | 베이요넷 | 사진 | 니콘 F 35mm 필름 SLR, 풀 프레임 & APS-C DSLR | |
니콘 1 | 17mm | 13.2 x 8.8mm | 40mm | 베이요넷 | 사진 (디지털) | 니콘 1 시리즈 | |
니콘 Z | 16mm | 35 mm | 55mm | 베이요넷 | 사진 (디지털) | 니콘 Z - 미러리스 풀 프레임 & APS-C | |
소니 마비카 | 57mm | 베이요넷 | 사진 (디지털) | ||||
소니 E | 18mm | 35 mm 및 APS-C | 46.1mm | 베이요넷 | 사진 (디지털) | 소니 E/FE 마운트 알파 미러리스 풀 프레임 / APS-C | |
미놀타 SR | 43.5mm | 35 mm | 44.97mm | 베이요넷 (54°) | 사진 | 미놀타 SR/MC/MD | |
미놀타 V | 38mm | APS-H | 39.7mm | 베이요넷 | 사진 | 미놀타 벡티스 | |
미놀타 A | 44.5mm | 35 mm 및 APS-C | 49.7mm | 베이요넷 (54°) | 사진 | 미놀타 DSLR AF/알파/다이나스/맥섬 소니 DSLR 알파 (α) A 마운트 | |
펜탁스 오토 110 | 27mm | 110 필름 | 19.5mm | 베이요넷 | 사진 | 펜탁스 오토 110 및 오토 110 Super | |
펜탁스 Q | 9.2mm | 1/2.3", 1/1.7" | 31mm | 베이요넷 | 사진 (디지털) | ||
펜탁스 K | 45.46mm | 35 mm 및 APS-C | 44mm | 베이요넷 | 사진 | 리코, 시논, 아그파, 비비타, KMZ 제니트 카메라에서도 사용됨 | |
라이츠 비소플렉스 I | 91.3mm | 35 mm | 39mm | 26 TPI | 나사 | 사진 | |
라이츠 비소플렉스 II/III | 67.8mm | 35 mm | 44mm | 베이요넷 (라이카 M) | 사진 | ||
라이카 M | 27.8mm | 35 mm | 44mm | 베이요넷 | 사진 | 라이카 M 시리즈 라이카 CL 미놀타 CLE | |
라이카 R | 47mm | 35 mm | 49mm | 베이요넷 | 사진 | ||
라이카 L | 20mm | 35 mm 및 APS-C | 51.6mm | 베이요넷 | 사진 (디지털) | L-마운트 얼라이언스 (라이카, 파나소닉, 시그마, DJI 및 Blackmagic Design 카메라) | |
콘탁스 RF | 34.85mm | 35 mm | 34mm | 이중 베이요넷 | 사진 | 콘탁스 I, II, III, IIa, IIIa 키예프 레인지 파인더 | |
콘탁스 G | 29mm | 35 mm | 44mm | 브리치 락 | 사진 | ||
콘탁스 N | 48mm | 35 mm | 55mm | 베이요넷 | 사진 | ||
콘탁스/야시카 | 45.5mm | 35 mm | 48mm | 베이요넷 | 사진 | 야시카/콘탁스 | |
야시카 MA | 45.8mm | 35 mm | 베이요넷 | 사진 | 쿄세라 야시카 230 AF 등 | ||
후지카 X | 43.5mm | 35 mm | 49mm | 베이요넷 | 사진 | 후지카-X | |
후지필름 X | 17.7mm | APS-C | 44mm | 베이요넷 | 사진 (디지털) | 후지필름 X 시리즈 미러리스 | |
올림푸스 펜 F | 28.95mm | 35 mm 하프 프레임 | 베이요넷 | 사진 | |||
올림푸스 OM | 46mm | 35 mm | 46mm | 베이요넷 | 사진 | ||
포서즈 | 38.67mm | 17.3 mm × 12.98 mm | 44mm | 베이요넷 | 사진 (디지털) | 올림푸스 E 파나소닉 루믹스 DMC-L 라이카 디지룩스 | |
마이크로 포서즈 | 19.25mm | 17.3 mm × 12.98 mm | 38mm | 베이요넷 | 사진 (디지털) | 올림푸스 펜 & OM-D 시리즈 파나소닉 G, GF, GX & GH 시리즈 Blackmagic Design 시네마 카메라 | |
KM | 28mm | 35 mm | 44mm | 베이요넷 | 사진 | 코니카 헥사 RF | |
코니카 F | 40.5mm | 35 mm | 40mm | 베이요넷 | 사진 | 코니카 F | |
코니카 AR | 40.5mm | 35 mm | 47mm | 베이요넷 | 사진 | 코니카 오토플렉스 | |
삼성 NX 미니 | 6.95mm | 1" | 38mm | 베이요넷 | 사진 (디지털) | ||
삼성 NX | 25.5mm | APS-C | 42mm | 베이요넷 | 사진 (디지털) | ||
삼성 케녹스 | 44.5mm | 35 mm | 베이요넷 | 사진 | 수동 초점만 가능; 호환되는 카메라는 삼성 케녹스 GX-1/삼성 SR4000 하나뿐입니다. | ||
DJI DL | 16.84mm[9] | 35 mm 및 APS-C | 58mm[9] | 베이요넷 | 사진 (디지털), 영화 촬영 | 항공 드론 및 짐벌 사용; DJI 젠뮤즈 X7, X9 및 DJI 로닌 4D X9 카메라. | |
아이카렉스 BM | 48mm | 35 mm | 브리치 락 | 사진 | 아이카렉스 35S | ||
D | 12.29mm | 8 mm | 15.88mm | 32 TPI | 나사 | 영화 촬영 | |
CS | 12.526mm[10] | 1/3", 1/2" | 25.4mm | 32 TPI | 나사 | 영화 촬영 / 산업용 | |
C | 17.526mm | 1/2", 16 mm, 2/3", 1" | 25.4mm | 32 TPI | 나사 | 영화 촬영 / 산업용 / 머신 비전 | |
S (일명 M12) | 해당 없음. 나사산 마운트는 백 포커스를 위해 수동으로 조정해야 합니다. 후면 초점 거리는 1mm 미만에서 12mm까지입니다. | 1/6" ~ 1" | 12mm | 0.5mm 피치 | 나사 | CCTV, PCB | 에드먼드 옵틱스 μ-비디오 |
보렉스 바요넷 | 23.22mm | 16 mm | 브리치 락 | 영화 촬영 | 마운트 플랜지 뒤의 빔 분할기 때문에 유효 초점 거리 17.526mm (어댑터로 C-마운트 렌즈를 수용) | ||
1/3" 베이요넷 마운트 | 25mm | 1/3" (5.24mmx2.94mm) | 베이요넷 | 비디오 | JVC 전문 비디오 카메라 | ||
M39 (일명 L-마운트, LTM) | 28.8mm | 35 mm | 39mm | 26 TPI | 나사 | 사진 | 라이카 M39 나사 마운트 |
나르시스 | 28.8mm | 16 mm | M24 | 1mm | 나사 | 사진 | |
1/2" 베이요넷 마운트 | 37.8mm | 1/2" (6.97mmx3.92mm) | 베이요넷 | 비디오 | 소니가 아닌 전문 비디오 카메라 | ||
알파 | 37.8mm | 35 mm | 42mm | 베이요넷 | 사진 | ||
소니 1/2" 비디오 | 38mm | 1/2" (6.97mmx3.92mm) | 베이요넷 | 비디오 | 소니 전문 비디오 카메라 | ||
아톤 유니버설 | 40mm | 16 mm | 50mm | 브리치 락 | 영화 촬영 | ||
미란다 바요넷/M44 | 41.5mm | 35 mm 및 APS-C | 베이요넷 | 사진 | 미란다 카메라 컴퍼니 | ||
페트리플렉스 | 43.5mm | 35 mm | 브리치 락 | 사진 | |||
시그마 SA | 44mm | 35 mm | 44mm | 베이요넷 | 사진 | 시그마 SA | |
파세테 | 44mm | 35 mm | 39mm | 1mm | 나사 | 사진 | |
프라크티플렉스 | 44mm | 35 mm | 40mm | 1mm | 나사 | 사진 | |
프라크티카 | 44.4mm | 35 mm | 42mm | 베이요넷 | 사진 | ||
엑자크타, 톱콘 RE | 44.7mm | 35 mm | 46mm | 베이요넷 | 사진 | ||
제니트 M39 | 45.2mm | 35 mm | 39mm | 1mm | 나사 | 사진 | |
M37 | 45.46mm | 35 mm | 37mm | 1mm | 나사 | 사진 | 아사히플렉스 |
M42 | 45.46mm | 35 mm | 42mm | 1mm | 나사 | 사진 | 프라크티카,[11] 펜탁스, 제니트 |
B4-마운트 | 48mm | 2/3" (9.6mmx5.4mm) | 베이요넷 | 비디오 | 전문 및 방송용 비디오 카메라 | ||
프라크티나 | 50mm | 35 mm | 46mm | 브리치 락 | 사진 | ||
T-스레드(가장 초기 유형) | 50.7mm | 35 mm | M37 | 0.75mm | 나사 | 사진 | 탐론 |
어댑트-A-매틱 | 50.7mm | 35 mm | 54mm | 베이요넷 | 사진 | 탐론 | |
어댑탈 & 어댑탈-2 | 50.7mm | 35 mm | 54mm | 베이요넷 | 사진 | 탐론 | |
아리 표준 | 52mm | 35 mm 및 16 mm | 64mm | 탭 잠금 | 영화 촬영 | ||
아리 바요넷 | 52mm | 35 mm 및 16 mm | 64mm | 베이요넷 | 영화 촬영 | ||
아리 PL | 52mm | 35 mm 및 16 mm | 54mm | 브리치 락 | 영화 촬영 | ||
아리 LPL | 44mm | 아리 LF | 62mm | 브리치 락 | 영화 촬영 | ||
아리 맥시 PL | 52mm | 70 mm | 64mm | 영화 촬영 | |||
T | 55mm | 35 mm | 42mm | 0.75mm | 나사 | 사진 | 탐론 |
YS 오토 T-스레드 | 55mm | 35 mm | 42mm | 0.75mm | 나사 | 사진 | 시그마 법인 |
T-스레드 | 55mm | 35 mm | 47mm | 0.75mm | 나사 | 사진 | 토키나 |
H-마운트 | 55mm | 35 mm | 47mm | 0.75mm | 나사 | 사진 | 하니맥스(토키나 M47의 리브랜딩) |
파나비전 PV | 57.15mm | 35 mm | 49.5mm | 브리치 락 | 영화 촬영 | ||
B3-마운트 | 58mm | 2/3" | 역 베이요넷 | 비디오 | 이케가미 | ||
미첼 BNCR | 61.468mm | 35 mm | 68mm | 브리치 락 | 영화 촬영 | ||
차이스 판플렉스 5522/23 for 콘탁스 RF | 64.5mm | 35 mm | 34mm | 이중 베이요넷 | 사진 | ||
코와 식스/슈퍼 66 | 79mm | 6×6 | 브리치 락 | 사진 | |||
핫셀블라드 | 74.9mm | 6×6 |
3. 1. 정지 사진용 렌즈 마운트
- 캐논 EF 마운트
- 캐논 EF-S 마운트
- 캐논 FD
- 캐논 FL
- 콘탁스 N 마운트
- Contax/Yashica bayonet
- 니콘 F 마운트
- 니콘 S 마운트
- 올림푸스 OM
- 펜탁스 K 마운트
- 시그마 SA 마운트
- 삼성 NX 마운트
- 라이카 M 마운트
- 라이카 R 베요닛
- 소니 E 마운트
- 미놀타 AF 카메라 시스템 = 소니 α 마운트 시스템
경쟁 제조업체(소니, 니콘, 캐논, 콘탁스/야시카, 펜탁스 등)의 렌즈 마운트는 거의 항상 호환되지 않는다. 기계적 및 전기적 인터페이스 변형 외에도, 렌즈 마운트에서 필름 또는 센서까지의 플랜지 초점 거리도 다를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비호환성이 제조업체가 소비자를 자사 브랜드에 종속시키려는 욕구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3. 2. 영화용 렌즈 마운트
영화 카메라에서 현재 전문 디지털 시네마토그래피 카메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두 가지 마운트는 아리의 PL 마운트와 파나비전의 PV 마운트이다. PL 마운트는 아리 및 RED 디지털 시네마토그래피 카메라에서 모두 사용되며, 이는 디지털로 촬영된 영화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카메라이다. 파나비전 마운트는 파나비전 렌즈와 독점적으로 사용되므로 파나플렉스 카메라 또는 파나비전 렌탈 하우스에서 "파나비전화"된 타사 카메라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반면, PL 마운트 스타일은 대부분의 다른 카메라 및 시네 렌즈 제조업체에서 선호된다. 이 두 마운트 모두 위치 고정 핀과 마찰 잠금 링으로 고정된다.3. 3. 산업용 및 과학용 렌즈 마운트
C 마운트, CS 마운트, T-마운트는 산업 및 과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렌즈 마운트이다.마운트 이름 | 플랜지 초점 거리 | 프레임 크기 | 목구멍 또는 나사산 직경 | 마운트 나사산 피치 | 마운트 유형 | 주요 사용 |
---|---|---|---|---|---|---|
C | 17.526mm | 1/2", 16 mm, 2/3", 1" | 25.4mm | 32 TPI | 나사 | 영화 촬영 / 산업용 / 머신 비전 |
CS | 12.526mm[10] | 1/3", 1/2" | 25.4mm | 32 TPI | 나사 | 영화 촬영 / 산업용 |
T | 55mm | 35 mm | 42mm | 0.75 mm | 나사 | 사진 |
4. 렌즈 마운트의 역사
렌즈 마운트는 초기에는 나사산 방식이었으나, 이후 베이요넷 방식과 브리치 잠금(마찰 잠금) 방식으로 발전했다. 현대 스틸 카메라 렌즈 마운트는 대부분 베이요넷 방식인데, 이는 렌즈와 바디 사이의 기계적, 전기적 기능을 정확하게 정렬하기 쉽기 때문이다. 반면 나사산 마운트는 렌즈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어렵고 정밀한 회전 위치를 맞추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지만, C-마운트와 같이 비디오 카메라나 광학 기기 등 다른 분야에서는 여전히 널리 사용된다.[10]
베이요넷 마운트는 렌즈 베이스 주변에 여러 개의 탭(주로 3개)이 있어, 카메라 전면의 렌즈 장착 플레이트에 있는 홈에 맞춰 끼운 후 약간 돌려 고정하는 방식이다. 탭은 렌즈가 한 방향으로만 삽입되도록 설계되며, 주로 탭 하나의 크기를 다르게 만드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렌즈를 제거할 때는 스프링 장착 핀을 조작한다.
주요 제조사(소니, 니콘, 캐논, 콘탁스/야시카, 펜탁스 등)의 렌즈 마운트는 거의 호환되지 않는다. 기계적, 전기적 인터페이스 차이뿐만 아니라, 플랜지 초점 거리도 다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호환성은 제조사가 소비자를 자사 브랜드에 종속시키려는 의도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다.
영화 카메라, 특히 전문 디지털 시네마토그래피 카메라에서는 아리의 PL 마운트와 파나비전의 PV 마운트가 주로 사용된다. PL 마운트는 아리와 RED 디지털 시네마토그래피 카메라에 사용되며, 디지털로 촬영된 영화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카메라이다. 파나비전 마운트는 파나비전 렌즈와 독점적으로 사용되므로 파나플렉스 카메라 또는 파나비전 렌탈 하우스에서 "파나비전화"된 타사 카메라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반면 PL 마운트는 대부분의 다른 카메라 및 시네 렌즈 제조사에서 선호한다. 두 마운트 모두 위치 고정 핀과 마찰 잠금 링으로 고정된다.
과거에 사용되었거나 현재 소수만 사용하는 렌즈 마운트는 다음과 같다.
5. 렌즈 마운트와 호환성
베이요넷 마운트는 렌즈와 카메라 본체 사이의 기계적, 전기적 기능을 정확하게 연결하기 때문에 현대 스틸 카메라 렌즈 마운트에 주로 사용된다.[8] 나사산 마운트는 렌즈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어렵지만, C-마운트처럼 비디오 카메라나 광학 기기에 쓰이기도 한다.
렌즈 마운트는 카메라 바디(본체)와 렌즈를 연결하는 기구이므로, 양쪽 모두 일정 조건을 만족해야 호환된다. 기계적으로는 맞물림 부분의 구조와 치수, 광학적으로는 바디의 플랜지 백 등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바디와 렌즈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는 전기적 호환성도 필요하다.
렌즈 마운트의 기구는 장착 형태에 따라 "나사식", "바요넷식", "스피곳식"으로 나뉜다. 스피곳식도 바요넷식의 일종으로 볼 수 있지만, 여기서는 구분한다. 앞의 두 방식은 장착 시 렌즈가 바디에 대해 회전하고, 뒤의 방식은 회전하지 않는다. 이 외에도 마운트 개구부 크기나 플랜지 백 길이도 초기 설계에서 중요하다.
경쟁 제조사(소니, 니콘, 캐논, 콘탁스/야시카, 펜탁스 등)의 렌즈 마운트는 거의 항상 호환되지 않는다.[8] 기계적, 전기적 인터페이스 차이 외에 플랜지 초점 거리도 다를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비호환성이 제조사가 소비자를 자사 브랜드에 묶어두려는 의도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나사식 마운트는 마운트와 렌즈 접합부에 나사가 있어 렌즈를 회전시켜 바디에 조여 장착한다. 스크류 마운트라고도 한다. 라이카 스크류 마운트나 M42 마운트(프락티카 스크류 마운트)가 대표적이다. 렌즈 교환식 필름 카메라 초기에는 나사 마모는 있어도 마운트 플랜지부 긁힘이 없어 플랜지백이 틀어지지 않는다는 이유로 나사식 마운트의 견고성을 지지하는 견해도 있었다.[24] 그러나 렌즈 탈착에 시간이 걸리고, 카메라의 전자화, 다기능화에 대응하기 어려워 대부분의 제조사는 새로운 규격, 기능을 채용할 때 바요네트 방식으로 바꾸었다. 현재는 대부분의 제조사가 철수하여, 당시 공식 명칭보다 나사 지름으로 M○○ 마운트라는 호칭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바요넷 방식은 물림쇠 역할을 하는 갈고리가 마운트와 렌즈 접합부에 있어, 바디 측 빈 공간에 렌즈 측 갈고리를 끼우고 돌려서 장착한다. 어원은 소켓식 총검 (''Bayonet'')을 총에 장착하는 동작과 렌즈를 장착하는 동작이 매우 유사하다는 데서 유래했다. 렌즈 탈착이 간단하고, 바디와 렌즈의 각종 연동 기능에 대응하기 쉬워 많은 제조사 마운트 규격에 채용된다.
바디 측 마운트 내주에 갈고리가 있는 내갈고리형과 바디 측 마운트 외주에 갈고리가 있는 외갈고리형이 있다. 바요네트 규격으로 주류는 내갈고리형이지만, 내부에 나사산이 있고 외갈고리 바요네트를 병설하거나, 안팎 양쪽에 갈고리를 가진 더블 바요네트 방식을 채용한 마운트도 있다. 외갈고리형은 스피곳식과 외관이 매우 유사하여 혼동하기 쉬운데, 렌즈 측 마운트부가 회전하지 않고 조임 링을 회전시켜 장착하는 것이 스피곳식이며, 렌즈 측 마운트부를 회전시켜 장착하는 것이 바요네트식이다. 대부분의 마운트는 렌즈를 장착할 때, 초점을 무한대에서 맞출 때, 조리개를 개방 측으로 맞출 때는 시계 방향으로 렌즈를 조작하지만, 콘탁스 마운트와 그 준호환 마운트인 니콘 S 마운트, 니콘 F 마운트 및 올림푸스 펜 F 마운트 등,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도 있다.
필름 카메라 마운트에는 조리개 제어 및 자동 초점 대응 등으로 스프링이나 레버, 샤프트 등에 의한 기계적인 연동 기능을 가진 것도 있지만, 카메라의 전자화가 진전된 캐논 EF 마운트나, 디지털 카메라의 새로운 규격으로 개발된 미러리스 렌즈 교환식 카메라에서는 바디와 렌즈의 연동 기능을 모두 전자 접점을 통한 전기적 통신으로 실현하고 있다.
렌즈 본체는 회전시키지 않거나, 회전에 의한 위치 결정이 있어도 고정을 위한 것이 아니라, 별도 링(스피곳)을 바요넷처럼, 혹은 나사로 조여 렌즈를 고정한다. 어원은 수도관 등에 사용되는 조임식 ''''마개''''''(Spigot)에서 유래했다. 렌즈를 회전시키지 않고 장착할 수 있어 바디와의 더 높은 연동성을 기대했지만, 대형 렌즈 장착 등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 손으로 카메라를 잡고, 다른 손으로 렌즈를 잡았을 경우, 스피곳을 조작하기 위해 세 번째 손이 필요해진다) 때문에 채용 제조사는 몇몇 회사에 그쳤다.
라이카 스크루 마운트, 플라크티카 스크루 마운트, 엑사크타 마운트가 전형적인 예인데, 하나의 렌즈 마운트 규격에 맞춰 다수의 제조사가 카메라와 렌즈를 제작했을 경우, 해당 렌즈 마운트를 '''유니버설 마운트'''라고 부른다.
과거에는 펜탁스 K 마운트를 일안 반사식 카메라의 유니버설 마운트로 사양을 공개했고, 실제로 리코와 시그마 등이 채용했다. 하지만 1983년 아사히 광학 공업이 '''슈퍼 A'''를 출시했을 때, 전자 접점을 탑재한 K 마운트를 채용하여 프로그램 AE를 실현했지만, 타사에 K 마운트 사양을 공개하지 않고 독자 규격으로 했다. 이를 시작으로, 일안 반사식 카메라의 자동 초점화와 AE화로 인해 렌즈와 바디 간의 전자 통신이 필요하게 되면서 각 사마다 규격을 고수하게 되어, 결국 유니버설 마운트로는 성공하지 못했다. 1984년 리코가 '''XR-P'''를 출시할 때 '''RK 마운트'''라는 독자 규격의 전자 접점을 채용하여, 프로그램 자동 노출의 호환성은 무너졌다. 교환 렌즈 제조사인 시그마와 토키나, 코시나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K 마운트 교환 렌즈에 펜탁스 K와 리코 RK의 두 전자 접점을 모두 설치하는 방식으로 해결했고, 탐론은 어댑톨 II로 펜탁스 K와 리코 RK용 두 가지를 모두 출시하여 해결하면서, 카메라 제조사 정품보다 교환 렌즈 제조사 렌즈의 호환성이 더 높은 기묘한 상황이 벌어졌다. 이후 각 사가 독자 마운트를 채용하는 것은 자동 초점 및 자동 노출이 필수적이 되었고, 각 사의 독자 사양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가 보급되기 시작한 2003년에는 올림푸스와 코닥에 의해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용으로 포서즈 시스템,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이 제창되었으며, 렌즈 마운트도 해당 규격 안에 포함되었다. 2010년 현재, 파나소닉, 라이카 카메라, 시그마, 코시나가 참여하고 있다.
카메라 바디의 렌즈 마운트 규격과 렌즈의 바디 마운트 규격이 일치하지 않을 때, 양자를 연결하여 장착 및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기구를 '''마운트 어댑터'''('''렌즈 어댑터''', '''마운트 컨버터'''라고도 함)라고 부른다. 마운트 어댑터는 카메라·렌즈 제조사가 규격을 변경하여 과거와의 호환성을 위해 제작하는 경우도 있지만, 타사 렌즈를 다른 규격 바디로 즐기거나, 역사적인 명품 렌즈를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마운트 어댑터는 일반적으로 단순히 렌즈를 카메라 바디에 장착하는 용도로, 자동 조리개나 조리개 값 연동, 오토 포커스, 전력·신호 접점 등의 기능까지 변환하는 것은 아니다.
마운트 어댑터는 플랜지백이 긴 규격의 렌즈를 짧은 규격의 바디에 장착하는 데 사용할 수 있지만, 반대로 짧은 규격의 렌즈를 긴 바디에 사용하는 데는 여러 문제가 발생한다. 광학적 성능을 무시하고 단순히 렌즈와 바디의 기계적 결합만을 제공한다면 후자도 가능하지만, 그 경우에는 접사 링을 끼운 것과 같은 상태가 되어, 무한대 초점 측이 맞지 않아 근거리 전용이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운트 어댑터에 보정용 광학계를 내장하기도 하지만, 내면 반사가 증가하고, 초점 거리가 변화하며, 화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마지막 렌즈에 비 순정 렌즈를 채용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 그리고 렌즈 부분의 후면 렌즈 후퇴로 인해 어댑터 렌즈와 충돌하여 결국 무한대 초점이 맞지 않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어 선호되지 않는다. 예외적으로, 매뉴얼 포커스 일안 반사식 카메라 전성기에는 접사 촬영 전용으로 플랜지백을 무시하고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 라이카 스크류 마운트 렌즈나 시네 카메라용 렌즈를 장착하는 어댑터가 일부 제조사에 존재했다.
단순히 플랜지백이 짧은 카메라라면 플랜지백이 긴 다른 마운트의 렌즈도 마운트 어댑터를 사용하여 장착할 수 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조합하는 두 개의 마운트의 플랜지백이 근접해 있는 경우, 마운트 어댑터 두께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마운트 구경 크기나, 돌출물 간섭으로 인해 제한을 받기도 한다. 또한 물리적인 문제와는 별개로, 마운트 자체의 인기, 보급도 등의 문제도 있다.
장착은 가능해도 렌즈에 따라 조리개 제어가 불가능해지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조리개/실 조리개 전환이 없는 자동 조리개 M42 마운트 렌즈를 조리개 핀 누름 기구가 없는 타입의 M42 마운트 어댑터에 장착한 경우, 조리개를 조일 수 없다. 또한, 캐논 EF 마운트와 같이 바디 측에서 렌즈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자식 조리개를 제어하는 경우, 어댑터를 사용하면 조리개를 조일 수 없으므로 최대 개방 조리개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니콘 F 마운트의 G 타입 렌즈는 전자식 조리개가 아니지만 조리개 링이 없고 최소 조리개로 고정된 상태이므로, 어댑터를 사용하는 경우 최소 조리개로 사용하게 된다. 자동 조리개 기구 자체는 기계적으로 레버를 들어 올려 작동하므로, 렌즈의 조리개 조임 레버에 플라스틱 조각을 끼워 조리개를 개방 상태로 고정하여 사용하는 사람도 있다.
플랜지백 31.95mm, 표준 렌즈 초점 거리 51.6mm. 니콘 레인지 파인더 카메라 제품 목록#S형 니콘, 복트렌더 브랜드로 코시나가 생산한 '''베사 R2S'''가 채용했다. 반시계 방향으로 렌즈를 돌려 장착한다. 콘탁스 마운트와 기계적으로 호환되지만, 헬리코이드의 인출량이 다르기 때문에 거리계 작동에 오차가 생겨, 장초점 렌즈의 경우 초점 조절의 정밀도에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조합에 따라 바디나 렌즈 어느 한쪽에 상처를 입힐 수도 있다. 탈착 시에는 초점을 무한대로 해 둘 필요가 있다.
카메라 제조사가 카메라의 렌즈 마운트를 변경하는 경우, 기존 사용자를 배려하여 마운트 어댑터를 준비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대표적인 예가 아사히 광학 공업(현 리코이미징)의 정품 어댑터이다. 초기 아사히 플렉스에 사용되던 M37 마운트에서 아사히 펜탁스의 M42 마운트로의 이행 시에도 마운트 어댑터를 제공했으며, M42 마운트 렌즈를 현재 채용하고 있는 K 마운트로 이행할 때에도 어댑터를 준비하여 공급하고 있다.
이것은 동사가 마운트를 이행할 때 플랜지 백을 동일하게 설정함으로써 플랜지 백을 변환할 필요가 없고, 가공 정밀도의 요구가 비교적 낮기 때문이다. 플랜지 백이 같기 때문에 M42 나사를 깎은 어댑터는 K 마운트 내에 나사로 조여지고, 플랜지 면은 카메라의 것을 사용한다. 이 어댑터는 단순히 기계적인 접합을 변환할 뿐이며, 자동 조리개 등에는 대응하지 않는다.
페트리도 처음 M42 마운트였지만 바요넷식 마운트로 이행할 때 어댑터를 준비했다.
후지도 처음 M42 마운트였지만 바요넷식 마운트로 이행할 때 어댑터를 2종류 준비했다. '''X-S 어댑터'''는 '''후지카 AX-1''', '''후지카 AX-3'''용으로 조리개 조임 AE가 가능하다. '''X-D 어댑터'''는 '''후지카 AX-5'''용으로 멀티 프로그램 AE에 대응했다.
아사히 광학 공업(현 리코이미징)은 그 외에 동사의 펜탁스 67 마운트나 펜탁스 645 마운트용 렌즈를 펜탁스 K 마운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어댑터도 제조하고 있다. 또한, 수동 초점에서 자동 초점으로 전환되었을 때도 그전의 수동 초점 렌즈를 자동 초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AF 어댑터 "F AF 어댑터 1.7X"를 발매하여, 1.7배의 텔레컨버터 부분의 렌즈를 구동함으로써 자동 초점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니콘도 1.6배의 AF 텔레컨버터 "TC-16A"를 발매했지만 현재는 발매하지 않는다.
라이카를 시작으로 각사에서 발매되고 있는 라이카 스크류 마운트용 렌즈를 라이카 M 마운트 바디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하는 외측이 M 바요넷, 내측이 나사인 어댑터도 금속 링이다. 이 경우 M 마운트가 라이카 스크류 마운트보다 플랜지 백이 1mm 짧으므로, 마운트 어댑터의 두께에 의해 이것을 조정하고 있다. 거리계 연동식이므로 플랜지 백을 높은 정밀도로 일치시킬 필요가 있으며, 도금을 한 다음 다시 깎는 등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또한, M 마운트가 가진 파인더의 브라이트 프레임 전환 기능에도 대응하기 위해, 3종류의 어댑터를 렌즈의 초점 거리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소비에트의 제니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에서도, 초기 M39 마운트와 후기 M42 마운트는 거의 같은 플랜지 백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펜탁스와 마찬가지의 어댑터 링이 준비되어 있었다. 단, 약간 M39 마운트가 플랜지 백이 짧아, 엄밀한 무한대는 낼 수 없다. 또한 구 소련에는, 에기자크 호환·M42 호환·니콘 F 마운트 호환 등의 카메라가 다수 존재했기 때문에, 현재에도 이러한 사이의 어댑터 등은 러시아제를 많이 볼 수 있다.
디지털 시대의 유니버설 규격인 포서즈 마운트는 플랜지 백이 짧기 때문에 타사 용 어댑터도 많지만, 더욱 구경·플랜지 백이 짧은 마이크로 포서즈 규격이 등장했기 때문에, 포서즈에서 마이크로 포서즈로의 어댑터는 정품으로 준비하게 되었다. 마이크로 포서즈는 포서즈의 서브 규격이므로, 어댑터에서는 정보·전력 전달 등의 접점 규격도 변환된다.
마이크로 포서즈가 포서즈와 전기적으로도 호환성을 취하는 마운트 어댑터를 내는 규격 설계를 한 이후에 나온, 소니 E-마운트, 니콘 1 CX 마운트, 캐논 EOS-M 마운트에서도 자사의 선행 마운트 렌즈와 전자적 호환을 취하는 마운트 어댑터가 만들어지는 마운트 규격이 되었다. 이것은 AF화까지의 카메라의 역사 속에서 마운트 변경이 사용자의 소유 렌즈, 자사 렌즈 라인업이 원점으로 되돌아가는 리스크에 대한 큰 경감 요소가 되고 있다. 기존 사용자가 같은 메이커 내의 신 마운트에 머무르는(기존 렌즈를 메이커 공식의 마운트 어댑터를 경유해서 우선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한편 통신 protocol을 알면 타사 렌즈를 전자 호환으로 만드는 마운트 어댑터가 기술적으로 가능하지만, 아직 완성도가 낮아 큰 움직임으로는 이어지지 않고 있다.
한편, 자사에서는 채용하지 않더라도, M42 마운트, 엑사크타 마운트 렌즈는 플랜지백이 길다는 점과 다수의 렌즈가 유통되고 있었던 점 때문에, 비교적 많은 카메라 바디를 위한 순정 마운트 어댑터의 설정이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자동 초점화, 디지털화로 인해 마운트 어댑터를 만드는 것이 어려워졌기 때문에, 카메라 제조사 순정 마운트 어댑터의 대부분은 사라졌다. 대신, 몇몇 사진 용품 제조사에서 다양한 마운트 간에 렌즈를 장착 가능하게 하는 어댑터가 출시되었으며, 이를 통해 예를 들어 니콘 F 마운트 렌즈를 캐논의 EOS(EF 마운트) 바디에 장착할 수 있게 되었다.
어댑터 용도에 적합한 예로, 비교적 플랜지백이 짧고 구경이 큰 캐논 EOS 바디용, 또는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의 포서즈 시스템 및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 소니의 E 마운트 바디용에는 순정, 비순정을 포함하여 꽤 많은 어댑터가 존재한다.
플랜지백이 짧다는 점을 내세운 알파('''알파_(카메라)#알파 아르네아 4부터 알파 11si용 렌즈 어댑터 참조'''), 미란다 카메라('''미란다의 카메라 제품 목록#미란다 마운트 일안 반사식 카메라용 어댑터 참조'''), 올림푸스 펜 F('''올림푸스 펜 F#펜 F 시스템의 액세서리 참조'''), 코니카 F 마운트(니콘 F 마운트 렌즈용, 엑사크타 마운트 렌즈용), 코니카 AR 마운트(니콘 F 마운트 렌즈용, 엑사크타 마운트 렌즈용, M42 마운트 렌즈용)에는 다수의 자사제 마운트 어댑터가 준비되어 있었다. 또한 종류는 적지만 카메라 바디 제조사가 준비한 자사제 마운트 어댑터는 다음 제품이 있었다.
AE/AF 기능이 보급된 이후의 마운트 규격은 단순한 형태 변환, 조리개 핀의 힘 전달(드물게 렌즈 셔터의 와인딩이나 셔터 트리거)뿐만 아니라, 포커싱 모터의 힘 전달, 렌즈 내 모터 및 CPU, 손떨림 보정 기구로의 전력 전달, 렌즈 내 CPU와의 정보 전달(렌즈의 왜곡 보정 및 주변부 감광 보정 정보까지 전달하는 것도 있다) 등을 담당하게 된다. 일반적인 어댑터로는 이러한 변환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어댑터를 사용하면 일부 기능을 희생하게 된다.
AE 카메라에서 렌즈 어댑터를 사용할 경우, 조리개 우선으로 실 조리개(조여진 상태에서 측광)로 사용하거나 수동 모드로 사용하게 된다. 즉, 렌즈 측의 실 조리개를 설정하고, 측광 후 적절한 셔터 속도를 카메라가 결정하는 모드가 된다.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서는 조여진 상태에서는 초점 맞추기에 장애가 되지만, 라이브 뷰로 초점을 맞출 수 있는 디지털 기종에서는 그 장애도 줄어든다. 어댑터 사용을 염두에 둔 설계에서는 (망원경, 필드 스코프 사용에서도 필요하게 된다), 프로그램 모드는 조리개 우선 모드로, 셔터 속도 우선 모드는 수동 모드로 자동적으로 전환되는 것도 있다. 또한 어댑터에는 전자 접점이 없기 때문에, 카메라에 따라 렌즈 미장착으로 인식하여 셔터가 눌러지지 않는 경우가 있지만, 이 경우에는 망원경 어댑터 등의 사용을 고려하여 강제로 셔터를 누르는 모드로 대처할 수 있는 카메라가 많다.
2008년 8월, 파나소닉에서 미러(레플렉스) 기구를 생략하고, 광학 뷰파인더 대신 EVF를 갖춘 최초의 미러리스 카메라가 출시되었다. 미러리스 카메라는 기존의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 비해 플랜지백이 획기적으로 짧기 때문에, 다수의 마운트에 대응하는 어댑터가 출시되었다. 2014년에는 소니에서 최초의 풀사이즈 미러리스 카메라가 출시되었다. 풀사이즈 미러리스 카메라에서는 필름과 같은 크기의 센서가 탑재되어 과거 필름용 렌즈로도 같은 화각으로 촬영이 가능해졌다. 단, 이러한 미러리스 카메라에서는 디지털 특유의 문제인 렌즈의 상측 텔레센트릭성의 부족으로 인해 주변부 감광 등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점 등에 유의해야 한다. 2018년, 캐논과 니콘이 풀사이즈 미러리스 카메라 시장에 진입하면서, EF 마운트 렌즈나 F 마운트 렌즈에 AE·AF·손떨림 보정 기구·전자 보정 등에 완전 대응하는 마운트 어댑터가 출시되었다.
6. 렌즈 마운트 어댑터
렌즈 마운트 어댑터는 서로 다른 마운트를 가진 렌즈와 카메라 바디를 연결해 주는 장치이다. 렌즈 마운트는 카메라 바디(본체)와 렌즈의 결합 기구이므로, 양쪽 모두 일정한 전제를 충족해야 바디와 렌즈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기계적으로는 양쪽의 맞물림 부분의 구조나 치수 등이, 광학적으로는 바디의 플랜지 백 등이 문제가 된다. 최근에는 바디와 렌즈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는 전기적 호환성도 필요하다.
렌즈 마운트의 기구는 장착 형태에 따라 "나사식", "바요넷식", "스피곳식"의 세 가지 종류로 나뉜다. 스피곳식도 바요넷식의 일종으로 해석되기도 하지만, 본 문서에서는 구분한다. 원리적으로 앞의 두 가지는 장착 시 렌즈가 바디에 대해 회전하고, 뒤의 것은 회전하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이 외에도 기계적으로는 마운트 개구부의 크기나 플랜지 백의 길이도 초기 설계상의 중요한 점이다.
카메라 바디의 렌즈 마운트 규격과 렌즈의 바디 마운트 규격이 일치하지 않을 때, 양자를 연결하여 장착 및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기구를 '''마운트 어댑터'''('''렌즈 어댑터''', '''마운트 컨버터'''라고도 함)라고 부른다.
카메라 제조사가 카메라의 렌즈 마운트를 변경하는 경우, 기존 사용자를 배려하여 마운트 어댑터를 준비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대표적인 예가 아사히 광학 공업(현 리코이미징)이다. 아사히 광학 공업은 초기 아사히 플렉스에 사용되던 M37 마운트에서 아사히 펜탁스의 M42 마운트로, 다시 M42 마운트 렌즈에서 K 마운트로 이행할 때에도 어댑터를 제공했다. 이는 마운트를 이행할 때 플랜지 백을 동일하게 설정함으로써 플랜지 백을 변환할 필요가 없고, 가공 정밀도의 요구가 비교적 낮기 때문이다.
페트리, 후지도 처음 M42 마운트였지만 바요넷식 마운트로 이행할 때 어댑터를 준비했다. 아사히 광학 공업은 펜탁스 67 마운트나 펜탁스 645 마운트용 렌즈를 펜탁스 K 마운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어댑터도 제조했다. 또한, 수동 초점에서 자동 초점으로 전환되었을 때도 그전의 수동 초점 렌즈를 자동 초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AF 어댑터를 발매하였다.
탐론은 매뉴얼 포커스 렌즈에서 어댑톨 시스템을 채택했다. 이는 동일한 렌즈를 각 회사의 매뉴얼 포커스 카메라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 조리개나 조리개 값 연동 등 각 회사 마운트 고유의 기능까지 포함하여 변환하도록 설계된 시스템이다. 그러나 자동 초점 카메라의 보급으로 탐론 렌즈도 마운트 고정식으로 이행하였고, 2006년에 탐론은 제조 중단을 발표했다.
2008년 8월, 파나소닉에서 미러(레플렉스) 기구를 생략하고, 광학 뷰파인더 대신 EVF를 갖춘 최초의 미러리스 카메라가 출시되었다. 미러리스 카메라는 기존의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 비해 플랜지백이 획기적으로 짧기 때문에, 다수의 마운트에 대응하는 어댑터가 출시되었다. 2014년에는 소니에서 최초의 풀사이즈 미러리스 카메라가 출시되었다. 2018년, 캐논과 니콘이 풀사이즈 미러리스 카메라 시장에 진입하면서, EF 마운트 렌즈나 F 마운트 렌즈에 AE·AF·손떨림 보정 기구·전자 보정 등에 완전 대응하는 마운트 어댑터가 출시되었다.
6. 1. 마운트 어댑터의 종류
렌즈 마운트 어댑터(마운트 컨버터라고도 함)는 카메라 바디와 렌즈의 마운트 규격이 일치하지 않을 때, 둘을 연결하여 장착 및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기구이다. 렌즈 마운트 어댑터는 제조사가 규격을 변경하여 과거와의 호환성을 위해 어쩔 수 없이 제작하는 경우도 있지만, 다른 회사의 렌즈를 다른 규격의 바디에 사용하거나, 역사적인 명품 렌즈를 활용하는 등, 적극적으로 사진 촬영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19]
플랜지 초점 거리가 더 긴 카메라 바디에 렌즈를 연결하려면 어댑터에 보조 렌즈가 포함되어야 한다. 이는 센서에 도달하는 빛의 양을 감소시키고 렌즈에 크롭 팩터를 추가하는 부작용을 낳는다. 보조 렌즈가 없으면 이 어댑터는 익스텐션 튜브처럼 작동하며 무한대에 초점을 맞출 수 없다.
예외적으로, 수동 초점 일안 반사식 카메라 전성기에는 접사 촬영 전용으로 플랜지백을 무시하고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 라이카 스크류 마운트 렌즈나 시네 카메라용 렌즈를 장착하는 어댑터가 일부 제조사에서 존재했다.
6. 1. 1. 기계식 어댑터
렌즈 마운트 어댑터는 일반적인 경우 렌즈를 카메라 바디에 단순히 장착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며, 자동 조리개, 조리개 값 연동, 오토 포커스, 전력·신호 접점 등의 기능을 변환하는 것은 아니다.[19]플랜지백이 긴 규격의 렌즈를 플랜지백이 짧은 규격의 바디에 장착할 때는 마운트 어댑터를 사용할 수 있지만, 반대로 짧은 규격의 렌즈를 긴 규격의 바디에 사용하려면 여러 문제가 발생한다. 광학 성능을 무시하고 기계적 결합만 제공한다면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는 접사 링을 끼운 것과 같아져 무한대 초점 측이 맞지 않고 근거리 전용으로만 사용 가능하다.
플랜지백이 짧은 카메라라고 해서 플랜지백이 긴 다른 마운트 렌즈를 마운트 어댑터를 이용해 무조건 장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마운트 어댑터의 두께 확보 문제, 마운트 구경 크기, 돌출물 간섭, 마운트 자체의 인기 및 보급도 등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장착이 가능하더라도 렌즈에 따라 조리개 제어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조리개/실 조리개 전환 기능이 없는 자동 조리개 M42 마운트 렌즈를 조리개 핀 누름 기구가 없는 M42 마운트 어댑터에 장착하면 조리개를 조절할 수 없다. 또한 캐논 EF 마운트처럼 바디에서 렌즈에 전원을 공급해 전자식 조리개를 제어하는 경우, 어댑터를 사용하면 조리개를 조일 수 없어 최대 개방 조리개로만 사용해야 한다. 니콘 F 마운트 G 타입 렌즈는 전자식 조리개가 아니지만 조리개 링이 없고 최소 조리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어댑터를 사용하면 최소 조리개로만 사용해야 한다.
6. 1. 2. 전자식 어댑터
전자식 어댑터는 전자 접점을 통해 렌즈와 카메라 간 통신을 지원하여 자동 초점, 조리개 제어, 손떨림 보정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19] 일부 전자식 어댑터는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새로운 렌즈 및 카메라와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AE/AF 기능이 보급된 이후의 마운트 규격은 단순한 형태 변환, 조리개 핀의 힘 전달뿐만 아니라, 포커싱 모터의 힘 전달, 렌즈 내 모터 및 CPU, 손떨림 보정 기구로의 전력 전달, 렌즈 내 CPU와의 정보 전달 등도 담당한다. 일반적인 어댑터로는 이러한 변환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어댑터를 사용하면 일부 기능을 희생하게 된다.
AE 카메라에서 렌즈 어댑터를 사용할 경우, 조리개 우선으로 실 조리개(조여진 상태에서 측광)로 사용하거나 수동 모드로 사용하게 된다. 즉, 렌즈 측의 실 조리개를 설정하고, 측광 후 적절한 셔터 속도를 카메라가 결정하는 방식이다.
6. 2. 마운트 어댑터 사용 시 주의사항
마운트 어댑터는 서로 다른 마운트를 가진 렌즈와 카메라 바디를 연결해주는 장치이다. 하지만 마운트 어댑터를 사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주의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호환성: 렌즈와 카메라 바디의 마운트, 플랜지 초점 거리, 이미지 서클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어댑터를 선택해야 한다. 플랜지 초점 거리가 더 짧은 카메라 바디에 렌즈를 어댑터하는 것은 비교적 쉽지만, 플랜지 초점 거리가 더 긴 카메라 바디에 렌즈를 어댑터하려면 보조 렌즈가 필요할 수 있다. 보조 렌즈는 센서에 도달하는 빛의 양을 줄이고 크롭 팩터를 추가하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19]
- 자동 기능 제한: 일반적으로 마운트 어댑터는 자동 조리개, 조리개 값 연동, 오토 포커스, 전력·신호 접점 등의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동으로 초점과 조리개를 조절해야 한다.
- 화질 저하 가능성: 보정용 광학계가 내장된 마운트 어댑터는 내면 반사가 증가하고 초점 거리가 변하며, 화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마지막 렌즈에 비 순정 렌즈를 채용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있을 수 있다.
- 무한대 초점 문제: 플랜지백이 긴 규격의 렌즈를 짧은 규격의 바디에 장착할 때, 광학적 성능을 무시하고 기계적 결합만 제공하는 어댑터를 사용하면 무한대 초점이 맞지 않아 근거리 전용으로만 사용해야 할 수 있다.[19]
- 기타 제약: 플랜지백 차이가 작은 마운트 조합은 어댑터 두께 확보가 어려울 수 있으며, 마운트 구경 크기나 돌출물 간섭으로 인해 장착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렌즈에 따라 조리개 제어가 불가능해지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캐논 EF 마운트처럼 바디에서 전원을 공급하여 전자식 조리개를 제어하는 경우, 어댑터를 사용하면 조리개를 조일 수 없어 최대 개방 조리개로만 사용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Krasnogorsk-2 lens mount
https://rafcamera.co[...]
2024-05-20
[2]
웹사이트
Seeking knowledge and user experiences with the Kinor SP16
https://cinematograp[...]
2006-11-21
[3]
웹사이트
K-3 bayonet question
https://cinematograp[...]
2010-02-07
[4]
웹사이트
Kinor 16CX-2M lens mount question
https://cinematograp[...]
2011-01-28
[5]
서적
Lens mounts and flange focal distances
https://cameramarket[...]
[6]
웹사이트
Camera Story – 1987–1991 EOS
http://www.canon.com[...]
Canon
2008-07-22
[7]
웹사이트
Debut of Nikon F
https://imaging.niko[...]
Nikon
2024-04-14
[8]
웹사이트
Debut of Nikon F
https://imaging.niko[...]
Nikon
2020-10-26
[9]
웹사이트
DJI DL mount lenses
https://iso3200.org/[...]
2024-09-09
[10]
서적
Handbook of Machine Vis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7-02-27
[11]
웹사이트
Questar Corporation: Photographic Camera Adapters "P" Thread
http://www.questarco[...]
2017-03-01
[12]
웹사이트
Mamiya 6
https://www.kenrockw[...]
[13]
웹사이트
Camera Mounts Sorted by Register
https://www.graphics[...]
2018-08-23
[14]
웹사이트
FUJIFILM GFX 50S, Features
http://www.fujifilm.[...]
Fujifilm
2018-05-23
[15]
웹사이트
Lens Mounts {{pipe}} Edmund Optics
https://www.edmundop[...]
[16]
웹사이트
Pentax Auto 110 Lenses
https://pages.mtu.ed[...]
2024-11-26
[17]
웹사이트
Pentax auto 110 to Sony E / FE adapter
https://www.thingive[...]
2023-12-16
[18]
웹사이트
cctvopticallens-m12 and cs mount lens provider
http://www.cctvoptic[...]
2018-04-03
[19]
웹사이트
Lens mount compatibility chart
http://www.similaar.[...]
2016-11-29
[20]
웹사이트
About Four Thirds, Standard, Whitepaper (Summary of Standard)
http://www.four-thir[...]
Four Thirds System
2008-08-11
[21]
웹사이트
About Four Thirds, Standard, Benefits of Four Thirds
http://www.four-thir[...]
Four Thirds System
2008-08-11
[22]
웹사이트
Micro Four Thirds, Standard, Whitepaper (Summary of Standard)
http://www.four-thir[...]
Four Thirds System
2008-08-11
[23]
웹사이트
Olympus and Panasonic announce Micro Four Thirds
http://www.dpreview.[...]
Digital Photography Review
[24]
문서
降り懸かる火の粉は拂はねばならぬ
[25]
뉴스
ライカSL、その名の由来は? キーパーソンに現地インタビュー
https://dc.watch.imp[...]
Impress デジカメWatch
2015-11-04
[26]
문서
ただし1949年に発売されたコンタックスSは1946年9月にはすでに完成し政府の量産許可を待っていた。
[27]
웹사이트
FAレンズ/マシンビジョンレンズ/工業用レンズ - 光学レンズ製品の紹介
http://www.universek[...]
유니버스광학공업
2017-11-18
[28]
웹사이트
Camera Lens Mounts -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Lens Mounts
https://photographyl[...]
2020-05-21
[29]
문서
코니카 F〜코니카 FM까지의 팜플렛
[30]
문서
코니카플렉스 팜플렛
[31]
문서
코니카 홍보 팜플렛 및 잡지 광고
[32]
뉴스
니콘은 「Z마운트」로 카메라의 왕도를 간다 (1/4)
https://www.itmedia.[...]
2018-12-02
[33]
웹사이트
Camera Lens Mounts -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Lens Mounts
https://photographyl[...]
2020-05-21
[34]
뉴스
【포토키나】인터뷰:「L마운트 얼라이언스」의 경위와 향후 라이카, 파나소닉, 시그마에게 듣다
https://dc.watch.imp[...]
Impress 데지카메Watch
2018-10-02
[35]
문서
『클래식 카메라 전과No.9, 35mm일안 리플렉스 카메라』p.6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