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널드 조지 레이퍼드 노리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널드 조지 레이퍼드 노리시는 영국의 물리화학자이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교수를 역임했으며, 광화학과 기체 역학 분야에서 연구 업적을 남겼다. 특히 연속 광원을 이용한 광화학 연구로 학계에 영향을 미쳤다. 1936년 왕립 학회 펠로우로 선출되었으며, 1967년 플래시 광분해 기술 개발로 만프레트 아이겐, 조지 포터와 함께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또한 노리시 반응을 개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임브리지 대학교 엠마뉴엘 칼리지 교수 - 존 코튼
    존 코튼은 1585년 영국에서 태어나 뉴잉글랜드 보스턴 교회의 목사로 활동하며 회중교회 정치와 언약 신학을 주창하고 미국 교회 형성에 영향을 미친 청교도 목사이자 신학자이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엠마뉴엘 칼리지 교수 - 리처드 애튼버러
    리처드 애튼버러는 잉글랜드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 제작자로, 《대탈주》, 《쥬라기 공원》 등의 출연과 《간디》 감독으로 아카데미 감독상을 수상했으며, 교육, 복지, 예술 분야에도 헌신한 인물이다.
  • 영국의 화학자 - 윌리엄 하이드 울러스턴
    영국의 과학자 윌리엄 하이드 울러스턴은 의학에서 과학으로 전향하여 팔라듐과 로듐을 발견하는 화학적 업적과 더불어 태양 스펙트럼 흑선 발견, 카메라 루시다와 윌러스턴 프리즘 발명 등 물리학 및 광학 분야에도 기여했으며 왕립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나, 체계적인 발표 부족으로 덜 알려졌다.
  • 영국의 화학자 - 해럴드 크로토
    해럴드 크로토는 1996년 풀러렌 발견으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영국의 화학자로, 분광학, 양자화학, 천체화학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펼쳤으며 과학 교육 및 대중화에 기여하고 사회적 책임을 강조한 무신론자이자 인본주의자이다.
  • 케임브리지 출신 - 존 메이너드 케인스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경제학자 중 한 명으로, 거시경제 이론을 통해 현대 경제학과 정책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며, 정부의 적극적인 경제 개입을 옹호하는 그의 사상은 현대 경제학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케임브리지 출신 - 더글러스 애덤스
    더글러스 애덤스는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시리즈로 유명한 영국의 작가, 희극 작가, 극작가, 배우, 컴퓨터 프로그래머, 에세이스트, 환경 운동가로서, 풍자적인 유머와 기발한 상상력이 돋보이는 작품을 남겼다.
로널드 조지 레이퍼드 노리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널드 조지 레이퍼드 노리시
출생일1897년 11월 9일
출생지잉글랜드 케임브리지
사망일1978년 6월 7일
사망지잉글랜드 케임브리지
국적영국
학력 및 경력
모교케임브리지 대학교 (BA, PhD)
박사 지도교수에릭 리델
학위 논문 제목방사선 및 화학 반응성
학위 논문 발표 연도1924년
직장케임브리지 대학교
연구 분야 및 업적
분야화학
주요 업적플래시 광분해
노리시 반응
트롬스도르프-노리시 효과
수상
수상 내역FRS (1936년)
데비 메달 (1958년)
패러데이 강연상 (1965년)
노벨 화학상 (1967년)

2. 생애

로널드 조지 레이퍼드 노리시는 영국 케임브리지에서 태어나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학위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모교에서 교수를 역임했다. 1967년에는 초고속 화학 반응에 관한 연구로 만프레트 아이겐, 조지 포터와 함께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5] 대표적인 업적으로는 광반응의 일종인 노리시 반응이 있다.

제1차 세계 대전에 영국 왕립 야전 포병대 중위로 참전했다가 복귀 후, 1925년에 화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엠마누엘 칼리지의 연구원이 되었다. 1937년부터 1965년까지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물리 화학 교수를 역임했다.

1936년 왕립 학회 펠로우로 선출되었고, 1958년 데이비 메달, 1966년 베이커리안 메달을 수상했으며, 왕립 화학회에서 1957년 리버시지 상을 수상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노리시는 케임브리지에서 태어나 퍼스 학교와 케임브리지 이매뉴엘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았다.[5] 그는 에릭 리달의 제자였다.[1] 어린 시절부터 화학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였고, 케임브리지 대학교 화학 실험실을 오가며 모든 장비를 감탄하며 바라보았다. 그의 아버지는 그가 정원 창고에 작은 실험실을 만들고 갖추도록 격려했으며, 실험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화학 물질을 제공했다.[6] 이 장치는 현재 과학 박물관 컬렉션의 일부를 형성한다. (구리 물 탱크 참조)[7] 그는 Pharmaceutical Journal에서 보낸 혼합물의 분석을 위한 대회에 참가하여 종종 상을 받았다.[6] 1915년 노리시는 이매뉴얼 칼리지의 기초 장학금을 받았지만, 나이를 조금 더하여 영국 왕립 야전 포병대에 입대하여 중위로 복무했으며, 처음에는 아일랜드에서, 그 다음에는 서부 전선에서 복무했다.[6]

2. 2.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1915년 노리시는 이매뉴엘 칼리지에서 기초 장학금을 받았지만, 나이를 조금 더하여 영국 왕립 야전 포병대에 입대했다. 중위로 복무했으며, 처음에는 아일랜드에서, 그 다음에는 서부 전선에서 복무했다.[6]

2. 3. 학문적 경력

1925년 엠마누엘 칼리지 연구원으로 복귀하여 케임브리지 대학교 물리화학부 학과장을 맡았다.[6] 물리화학부는 렌스필드 로드 건물 왼편에 위치했으며, 알렉산더 R. 토드가 이끄는 (유기, 이론, 무기 화학을 포함하는) '화학' 부서는 정문 오른편에 있었다. 두 학과는 1980년대 초 존 메리그 토마스에 의해 하나의 화학부로 통합될 때까지 별도의 행정, 기술 및 학술 인력을 보유했다. 노리시는 연속 광원(전쟁 후에는 탐조등 포함)을 사용하여 광화학을 연구했다.[6]

실험실 작업에서 노리시가 보여준 기술은 그를 광화학과 기체 역학 분야에서 큰 발전을 이룬 유능하고 활기찬 실험가로 돋보이게 했다.[6] 1937년부터 1965년까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물리화학 교수로 재직했다.

1936년 왕립 학회 펠로우로 선출되었으며, 1958년 데이비 메달, 1966년 베이커리안 메달을, 왕립 화학회에서 1957년 리버시지 상을 수상했다.

3. 연구 업적

Ronald George Wreyford Norrish영어는 만프레드 아이겐, 조지 포터와 함께 플래시 광분해 기술을 개발하여 매우 빠른 화학 반응을 연구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 업적으로 1967년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하였다.[8][5]

3. 1. 플래시 광분해

만프레드 아이겐, 조지 포터와 함께 플래시 광분해 기술을 개발하여 매우 빠른 화학 반응을 연구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 업적으로 1967년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하였다.[8][5] 그의 업적 중 하나는 노리시 반응 개발이다.

3. 2. 노리시 반응

노리시는 광반응의 일종인 노리시 반응을 개발하여 유기 화학 분야 발전에 공헌하였다.[1]

4. 수상 경력

로널드 조지 레이퍼드 노리시는 다양한 학술적 업적을 인정받아 여러 상을 받았다. 1967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1]

왕립 학회에서 1958년에 데이비 메달, 1966년에 베이커리안 메달을 수상했고, 왕립 화학회에서 1957년에 리버시지 상을 수상했다.

4. 1. 왕립 학회

노리시는 1936년에 왕립 학회 회원(FRS)으로 선출되었다.[1] 1958년에 데비 메달, 1966년에 베이커리안 메달을 수상했다.

4. 2. 노벨 화학상

노리시는 플래시 광분해 기술 개발로, 1967년에 만프레트 아이겐, 조지 포터와 함께 매우 빠른 화학 반응 연구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8][5] 그의 업적 중 하나는 노리시 반응 개발이다.

4. 3. 기타 수상

연도수상
1957년왕립 화학회 리버시지 상[1]
1958년데비 메달[1]
1966년베이커리안 메달[1]


참조

[1] 학술지 Ronald George Wreyford Norrish. 9 November 1897-7 June 1978
[2] 웹사이트 Nobel Foundation biography http://nobelprize.or[...]
[3] Lecture Some Fast Reactions in Gases Studied by Flash Photolysis and Kinetic Spectroscopy http://nobelprize.or[...]
[4] AcademicSearch
[5] 웹사이트 Ronald George Wreyford Norrish (1897 – 1978) http://www.emma.cam.[...] Emmanuel College, Cambridge 2012-01-25
[6] 학술지 Ronald George Wreyford Norrish, 9 November 1897 - 7 June 1978 1981-11
[7] 웹사이트 Copper water tank, from Ronald G. W. Norrish's garden shed chemical laboratory https://collection.s[...] 2021-11-21
[8] 학술지 George Porter KT OM, Lord Porter of Luddenham. 6 December 1920 – 31 August 2002: Elected F.R.S. 1960
[9] 서적 Rosalind Franklin: The Dark Lady of DNA HarperCollins 2002
[10] 저널 Ronald George Wreyford Norrish. 9 November 1897-7 June 197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