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스 614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스 614는 두 개의 저질량 적색 왜성으로 구성된 쌍성계이다. 주성은 1927년 프랭크 엘모어 로스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1936년 Dirk Reuyl에 의해 이중성계임이 확인되었다. 1955년에는 반성의 상이 처음 분리 관측되었다. 과거에는 반성 로스 614B가 갈색 왜성으로 추정되었으나, 2003년 연구를 통해 일반적인 적색 왜성으로 밝혀졌다. 이 쌍성계는 약 16.6년의 공전 주기를 가지며, 두 별 사이의 거리는 약 4.2 AU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외뿔소자리 - 장미 성운
    장미 성운은 외뿔소자리에 있는 지구로부터 약 5,200 광년 떨어진 지름 약 130 광년의 발광 성운으로, NGC 2237, NGC 2238, NGC 2239, NGC 2246 영역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산개 성단 NGC 2244를 포함하며 활발한 별 형성 활동이 일어나고, 2019년 오클라호마주의 주 천문 객체로 지정되었다.
  • 외뿔소자리 - 외뿔소자리 V838
    외뿔소자리 V838은 2002년 외뿔소자리에서 발견된 변광성으로, 특이한 광도 변화와 빛의 메아리 현상을 통해 기존 신성과는 다른 현상임이 밝혀졌으며, 폭발 원인에 대한 국제적인 연구가 진행 중이다.
  • 국부 거품 - 백조자리 61
    백조자리 61은 11.36광년 거리에 있는, 큰 고유 운동과 시차 측정으로 유명한 '베셀의 별'이라고도 불리는 K형 주계열성 쌍성계이다.
  • 국부 거품 - 스트루베 2398
    스트루베 2398은 HD 173739(스트루베 2398 A, 글리제 725 A)와 HD 173740(스트루베 2398 B, 글리제 725 B)로 이루어진 이중성계입니다.
  • 적색왜성 - 카노푸스
    카노푸스는 용골자리에 있는 밤하늘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로, 태양보다 1만 배 이상 밝은 F형 초거성이며, 고대부터 항해와 우주 탐사에 활용되어 온 중요한 천체이다.
  • 적색왜성 - 황새치자리 AB
    황새치자리 AB는 두 개의 쌍성계가 상호작용하며 공전하는 사중성계로, 주성 A는 강력한 자기장과 흑점 활동을 보이며, B와 C, 그리고 B는 Ba와 Bb로 나뉘는 반성을 가지고 황새치자리 AB 이동성군에 속한다.
로스 614
기본 정보
로스 614는 외뿔소자리에 위치함.
로스 614의 외뿔소자리 내 위치
별자리외뿔소자리
약칭V577 Monocerotis
관측 정보 (A)
겉보기 등급 (V)11.15
관측 정보 (B)
겉보기 등급 (V)14.23
특징 (A)
분광형M4.5V
겉보기 등급 (B)~12.77
겉보기 등급 (V)~11.08
겉보기 등급 (R)~9.78
겉보기 등급 (I)~8.06
겉보기 등급 (J)~6.376
겉보기 등급 (H)~5.754
겉보기 등급 (K)~5.486
색 지수 (B-V)1.72
색 지수 (U-B)1.19
변광성 유형UV Ceti형 변광성, 플레어 별
특징 (B)
분광형M8V
겉보기 등급 (B)~15.96
겉보기 등급 (J)~8.17
겉보기 등급 (H)~7.38
겉보기 등급 (K)~6.99
위치 정보
시선 속도+18.2 km/s
고유 운동 (적경)694.73 밀리초/년
고유 운동 (적위)−618.62 밀리초/년
연주 시차244.07 밀리초각
연주 시차 오차0.73 밀리초각
절대 등급 (V)13.09 / 16.17
궤도 요소
주기16.586
주기 오차0.004
긴반지름1.1012
긴반지름 오차0.0082
긴반지름 (AU)4.187
긴반지름 (AU) 오차0.008
긴반지름 (AU) 오차20.009
이심률0.382
이심률 오차0.0001
궤도 경사52.918
궤도 경사 오차0.016
승교점 경도210.385
승교점 경도 오차0.030
승교점 경도 오차20.031
근점 통과 시간2445226.863
근점 통과 시간 오차3.020
근점 통과 시간 오차23.043
근점 인수220.898
근점 인수 오차0.023
K12.201383
K1 오차0.015629
K1 오차20.025186
물리적 특징 (A)
질량0.2228
질량 오차0.0055
반지름0.24 태양반경
광도0.007 태양광도
표면 온도3370 K
물리적 특징 (B)
질량 (목성 질량)94.837
질량 (목성 질량) 오차0.880
질량 (목성 질량) 오차21.370
광도0.001 태양광도
반지름0.118 태양반경
표면 온도3145 K
식별 정보
명칭Ross 614
CCDM J06294-0249
GJ 234
GCTP 1509.00
G 106-049
HIP 30920
LFT 473
LPM 239
LTT 2564
NLTT 16580
V577 Monocerotis
명칭 (A)LHS 1849
명칭 (B)LHS 1850

2. 역사

로스 614는 높은 고유 운동을 가진 천체로 1927년 프랭크 엘모어 로스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이후 천문학자들의 지속적인 관측과 연구를 통해 보이지 않는 동반성을 가진 이중성계임이 밝혀졌으며[6][10], 1955년에는 동반성의 모습이 처음으로 광학적으로 분리되어 관측되었다.[8][11] 초기 연구에서는 동반성 로스 614 B의 질량이 특이하게 측정되어 갈색 왜성일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2003년 재분석 연구를 통해 일반적인 적색 왜성으로 확인되었다.[12]

2. 1. 발견

로스 614의 주성은 1927년 프랭크 엘모어 로스(F. E. Ross)가 예르키스 천문대의 약 101.60cm 굴절 망원경을 사용하여 발견했다. 그는 천문대에서 그의 전임자인 E. E. 바너드가 시작한 천문 조사의 일부로, 두 번째 시대의 사진 건판에서 이 희미한 11등급 별의 높은 고유 운동을 발견했다. 로스는 이후 그가 발견한 많은 다른 별들과 함께 이 새로운 별을 자신의 이름을 딴 목록에 포함시켰다.

이 별이 이중성계라는 사실은 1936년 버지니아 대학교 매코믹 천문대의 26인치 굴절 망원경을 사용한 Dirk Reuyl의 측성학적 분석을 통해 처음 밝혀졌다.[6][10] 그는 천체 사진 분석 결과, 눈에 보이지 않는 동반성이 존재함을 확인했다. 1951년, 새라 L. 린코트는 스프로울 천문대의 약 60.96cm 굴절 망원경을 사용하여 동반성의 위치에 대한 최초의 상당히 정확한 예측을 내놓았다.[7] 이러한 계산은 월터 바데가 캘리포니아 팔로마 천문대에 새로 설치된 5m 헤일 망원경을 사용하여 이 이중성계를 처음으로 광학적으로 분해하는 데 활용되었다.[8] 동반성의 상을 처음으로 분리하여 관측했다는 연구는 1955년에 발표되었으며[11], 이후 로스 614는 실시 연성으로서 연구되기 시작했다.

로스 614는 오랫동안 주성과 동반성 사이의 거리가 실제보다 가깝게 측정되었다. 이로 인해 연성계 전체의 질량이 과소평가되었고, 특히 동반성인 로스 614B는 갈색 왜성 정도의 질량을 가졌으면서도 적색 왜성 수준의 밝기를 내는 특이한 천체일 가능성이 제기되어 주목받았다. 그러나 2003년 발표된 연구에서는 과거의 관측 기록들을 종합적으로 재분석하여 질량을 상향 수정했다. 그 결과 로스 614B는 프록시마 센타우리와 울프 359의 중간 정도 밝기를 가진 일반적인 적색 왜성으로 결론지어졌다.[12]

2. 2. 쌍성계 확인

로스 614의 주성은 1927년 프랭크 엘모어 로스가 예르키스 천문대의 약 101.60cm 굴절 망원경을 사용하여 발견했다. 그는 천문대에서 그의 전임자인 에드워드 에머슨 바너드가 시작한 천문 조사의 일부인 두 번째 시대의 사진 건판에서 이 희미한 11등급 별의 높은 고유 운동을 발견했다. 로스는 이후 그가 발견한 다른 많은 별들과 함께 이 새로운 별을 자신의 이름을 딴 목록에 포함시켰다.

이 쌍성계의 존재는 1936년 버지니아 대학교 매코믹 천문대의 약 66.04cm 굴절 망원경을 사용한 측성학적 분석을 통해 Dirk Reuyl에 의해 처음 확인되었다.[6][10] 1951년 세라 리핀콧은 스프로울 천문대의 약 60.96cm 굴절 망원경을 사용하여 동반성의 위치에 대한 최초의 상당히 정확한 예측을 내놓았다.[7] 이 계산을 바탕으로 발터 바데는 캘리포니아 팔로마 천문대에 새로 설치된 5m 헤일 망원경을 사용하여 1955년 마침내 이 쌍성계를 광학적으로 분해하고 동반성의 상을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8][11] 이후 로스 614는 실시쌍성으로 연구되고 있다.

과거 로스 614는 주성과 반성 사이의 간격이 실제보다 작게 측정되었다. 이로 인해 쌍성계 전체의 질량이 과소평가되었고, 특히 반성인 로스 614 B는 갈색 왜성 정도의 질량을 가지면서도 적색 왜성 수준의 광도를 내는 특이한 천체일 가능성이 제기되어 주목받았다. 그러나 2003년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기존의 관측 기록을 종합적으로 재분석하여 질량을 상향 수정했으며, 로스 614 B는 프록시마 센타우리와 울프 359의 중간 정도 광도를 가진 일반적인 적색 왜성이라고 결론 내렸다.[12]

2. 3. 추가 연구

1936년, 버지니아 대학교 매코믹 천문대의 약 66.04cm 굴절 망원경을 사용한 Dirk Reuyl의 측성학 분석을 통해 로스 614가 이중성계임이 처음 밝혀졌다.[6] 1930년대에는 천체 사진 분석을 통해 보이지 않는 반성을 가진 연성계로 판명되었다.[10]

1951년, 새라 L. 린코트는 스프로울 천문대의 약 60.96cm 굴절 망원경을 사용하여 반성의 위치를 상당히 정확하게 예측했다.[7] 이 예측 계산은 월터 바데가 캘리포니아 팔로마 천문대의 당시 새로운 5m 헤일 망원경을 사용하여 1955년 이 이중성계를 처음으로 광학적으로 분해하고 관측 결과를 발표하는 데 활용되었다.[8][11] 이후 로스 614는 실시 연성으로 연구되고 있다.

로스 614는 오랫동안 주성과 반성 사이의 간격이 실제보다 작게 측정되어 왔다. 이 때문에 연성계 전체의 총 질량이 과소평가되었고, 특히 반성인 로스 614B는 갈색 왜성 정도의 질량과 적색 왜성 정도의 광도를 가진 특이한 천체일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2003년, 기존의 관측 기록을 종합적으로 재분석한 연구 결과 질량이 상향 조정되었고, 로스 614B는 프록시마 센타우리와 울프 359의 중간 정도 광도를 가진 일반적인 적색 왜성으로 결론 내려졌다.[12]

3. 항성계 특징

이 쌍성계는 두 개의 가까이 붙어 있는 저질량 적색 왜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반성의 겉보기등급은 14등급으로, 주성의 밝은 빛 때문에 관측하기 어렵다.[5] 이 두 별의 공전 궤도와 각 구성원의 상세한 특징은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3. 1. 로스 614 A



로스 614는 두 개의 가까이 붙어 있는 저질량 적색 왜성으로 이루어진 쌍성계이다. 이 중 주성인 로스 614 A는 동반성인 로스 614 B와 함께 공전한다. 동반성 B는 밝기가 14등급으로, 주성 A의 밝은 빛 때문에 관측하기 어렵다.[5]

2003년 조지 게이트우드(George Gatewood)는 이전 관측 자료와 히파르코스 위성의 데이터를 종합하여 이 쌍성계의 궤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공전 주기는 약 16.6년이며 두 별 사이의 장반경은 약 1.1 초각(이는 실제 거리로 약 2.4–5.3 AU에 해당)으로 계산되었다.[8] 이후 2022년에는 시선 속도, 측성학, 이미징 데이터를 결합한 연구가 발표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비슷한 공전 주기와 함께, 장반경을 4.2 AU, 그리고 동반성 로스 614 B의 질량을 목성 질량의 94.8배로 더 정확하게 측정했다.

3. 2. 로스 614 B

로스 614 B는 주성과 함께 쌍성계를 이루는 저질량 적색 왜성이다. 밝기는 14등급으로 주성의 빛 때문에 희미하게 보인다.[5]

2003년 조지 게이트우드는 이전 자료와 히파르코스 위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공전 주기가 약 16.6년이고, 장반경 분리가 약 1.1 초각(2.4–5.3 AU)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8] 2022년에는 시선 속도, 측성학, 이미징 데이터를 종합한 연구를 통해 더 정확한 궤도 요소가 밝혀졌다. 이 연구에 따르면 공전 주기는 이전 연구와 비슷하며, 장반경은 4.2 AU, 질량은 목성 질량의 94.8배로 측정되었다.

참조

[1] 논문 Circumstellar habitable zones of binary-star systems in the solar neighbourhood 2013-02-01
[2] 웹사이트 GCVS Query=V577 Mon http://www.sai.msu.s[...]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09-06-02
[3] 웹사이트 V* V577 Mon 2009-06-02
[4] 논문 The flare activity of V 577 Monocerotis https://ui.adsabs.ha[...] 2022-01-29
[5] 웹사이트 LHS 1850 2009-06-02
[6] 논문 Variable proper motion of Ross 614 1936-07
[7] 논문 Parallax and orbit analysis of Ross 614 1951-02
[8] 논문 An Astrometric Study of the Low-Mass Binary Star Ross 614 http://www.iop.org/E[...] 2003
[9] 논문 New proper-motion stars. (Fifth list) 1927
[10] 논문 The binary star Ross 614 1942
[11] 논문 The astrometric binary, Ross 614A, B, -visual resolution and masses of the components 1955
[12] 논문 An astrometric study of the low-mass binary star Ross 614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