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신섬 (태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신섬 (태국)은 태국과 말레이시아 사이의 영토 분쟁 지역으로, 두 나라가 대륙붕 경계를 획정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기선을 채택하여 분쟁이 발생했다. 태국은 1909년 영-샴 조약에 따라 쿠알라 타바르에서 로신섬을 거쳐 코크라까지 기선을 설정한 반면, 말레이시아는 로신섬을 기선 지점으로 인정하지 않고 해안을 따라 기선을 설정한다. 현재 태국이 실효 지배하고 있으며, 코크라와 함께 해양 영유권 분쟁의 근거가 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시아-태국 국경 - 안다만해
안다만해는 인도양의 해역으로, 미얀마, 태국, 인도네시아에 둘러싸여 있으며, 벵골만과 말라카 해협을 연결하고, 지진 활동이 활발하며, 다양한 해양 생태계를 포함하고 어업, 광물 채취, 해상 교통, 관광 등의 산업이 이루어진다. - 태국의 영토 분쟁 - 포이펫
포이펫은 캄보디아와 태국 국경에 위치한 도시이자 캄보디아 철도 시스템의 종착역이며, 도박 및 카지노 산업의 중심지로 외국인 방문객과 거주민이 많고 2022년에는 카지노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하기도 했다. - 태국의 영토 분쟁 - 라오스-태국 국경 분쟁
라오스-태국 국경 분쟁은 1980년대 후반 반롬클라오 마을 소유권을 두고 라오스와 태국 간에 발생한 군사적 충돌로, 휴전 협정 후 공동위원회를 통해 국경 확정 및 분쟁 지역 소유권 해결을 모색했다. - 말레이시아의 영토 분쟁 - 남중국해
남중국해는 서태평양의 일부로 중국 남쪽, 베트남 동쪽, 필리핀 서쪽에 위치하며, 주요 무역로이자 전략적 요충지 및 풍부한 천연자원의 보고이지만, 영유권 분쟁이 끊이지 않는 해역이다. - 말레이시아의 영토 분쟁 - 북보르네오 분쟁
북보르네오 분쟁은 말레이시아 사바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두고 필리핀과 말레이시아 간에 지속되는 영토 분쟁이며, 1878년 술루 술탄국과 영국 북보르네오 회사 간의 협정에서 기원하여, 필리핀이 술루 술탄국을 계승하여 영유권을 주장하고 말레이시아는 주권을 확고히 주장하며 국제사법재판소에서의 분쟁 해결 시도를 거부한다.
| 로신섬 (태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일반 정보 | |
![]() | |
| 현지 이름 | th |
| 현지 이름 (로마자) | Ko Losin |
| 현지 이름 (IPA) | th |
| 별칭 | th 꼬로신 |
| 위치 | 남중국해 |
| 군도 | 해당사항 없음 |
| 총 섬 수 | 해당사항 없음 |
| 주요 섬 | 해당사항 없음 |
| 면적 | 해당사항 없음 |
| 순위 | 해당사항 없음 |
| 길이 | 해당사항 없음 |
| 너비 | 해당사항 없음 |
| 해안선 길이 | 해당사항 없음 |
| 최고봉 | 해당사항 없음 |
| 해발 고도 | 10m |
| 나라 | 태국 |
| 행정 구역 단위 (이름) | 주 |
| 행정 구역 | 빠따니 주 |
| 인구 | 해당사항 없음 |
| 인구 조사 시점 | 해당사항 없음 |
| 인구 밀도 | 해당사항 없음 |
| 민족 | 해당사항 없음 |
| 웹사이트 | 해당사항 없음 |
| 추가 정보 | 해당사항 없음 |
| 위치 정보 | |
2. 분쟁
로신섬은 태국과 말레이시아 사이에 영토 분쟁이 있는 무인도로, 대륙붕 경계 획정 문제와 관련이 있다. 현재 이 섬은 태국이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다.[4][5] 자세한 분쟁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2. 1. 영토 분쟁
로신섬은 태국과 말레이시아 사이에 영토 분쟁이 있는 무인도이다. 이 분쟁은 양국 간 대륙붕 경계를 정하는 방식의 차이에서 비롯되었으며, 현재 섬은 태국이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다. 로신섬은 끄라 섬과 함께 해양 영유권 주장의 근거가 되는 섬 중 하나이다.[4] 양국 간 대륙붕 경계에 대한 구체적인 입장 차이는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2. 1. 1. 대륙붕 경계 획정 문제
끄라 섬과 마찬가지로 무인도인 로신섬은 태국과 말레이시아 사이의 대륙붕 경계 획정 문제로 인해 영토 분쟁이 있는 곳이다. 현재 이 섬은 태국이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다.로신섬 자체는 사람이 살지 않는 작은 바위섬이지만, 코크라와 함께 해양 영유권 주장의 중요한 근거가 된다.[4] 분쟁의 핵심 원인은 양국이 대륙붕 경계를 정하기 위한 등거리선을 계산할 때 서로 다른 기선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태국은 1909년 영-샴 조약에 따라 정해진 말레이시아-태국 육상 국경의 동쪽 끝 지점인 쿠알라 타바르에서 북쪽으로 로신섬을 거쳐, 다시 북서쪽의 코크라 섬까지 이어지는 선을 기선으로 주장한다. 반면, 말레이시아는 로신섬을 유효한 기선 지점으로 인정하지 않고, 자국 해안선을 따라 설정한 기선을 기준으로 등거리선을 계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5] 이러한 양측의 입장 차이로 인해 대륙붕 경계가 확정되지 못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attani Province
http://marinegiscent[...]
Department of Marine and Coastal Resource
2014-06-15
[2]
웹사이트
Pattani Province
http://chm-thai.onep[...]
Inland Biodiversity
2014-06-15
[3]
문서
Diving information
http://www.asiadives[...]
[4]
서적
Undelimited Maritime Boundaries of the Asian Rim
https://books.google[...]
[5]
웹사이트
Joint development in the Gulf of Thailand
http://www.dur.ac.uk[...]
IBRU Boundary and Security Bulletin Autumn 1999
2008-04-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