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보르네오 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보르네오 분쟁은 현재 말레이시아 사바 주로 알려진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놓고 필리핀과 말레이시아 사이에서 지속되고 있는 영토 분쟁이다. 분쟁의 역사는 1878년 술루 술탄국과 영국 북보르네오 회사 간의 협정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 협정은 술탄국이 북보르네오 지역의 영토와 권리를 양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필리핀은 술루 술탄국을 계승하여 이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1960년대부터 이 문제에 대한 외교적 노력을 기울여왔다. 말레이시아는 사바에 대한 주권을 확고히 주장하며, 국제사법재판소에서의 분쟁 해결 시도를 거부하고 있다. 분쟁과 관련된 주요 사건으로는 1968년 자비다 학살, 2013년 라하드 다투 대치 등이 있으며, 2020년 필리핀 외무장관의 발언으로 양국 간 외교적 마찰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시아의 영토 분쟁 - 남중국해
    남중국해는 서태평양의 일부로 중국 남쪽, 베트남 동쪽, 필리핀 서쪽에 위치하며, 주요 무역로이자 전략적 요충지 및 풍부한 천연자원의 보고이지만, 영유권 분쟁이 끊이지 않는 해역이다.
  • 말레이시아의 영토 분쟁 - 이투아바섬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군도에 위치한 이투아바섬은 중화민국이 실효 지배하며 태평도라고 명명하고 가오슝시 치진구에 편입시켰으나, 베트남과 필리핀 또한 각기 다른 이름으로 부르며 영유권을 주장하는 군사적 요충지이다.
  • 사바주의 역사 - 브루나이 술탄국
  • 사바주의 역사 - 북보르네오
    북보르네오는 1877년 구스타프 오버벡이 브루나이와 술루 술탄국으로부터 토지 양허를 받아 설립된 지역으로, 이후 영국 세력의 진출과 보호령 편입, 회사 행정 체제, 경제 발전, 일본 점령, 그리고 영국의 직할 식민지화 과정을 거쳤다.
  • 필리핀의 영토 분쟁 - 남중국해
    남중국해는 서태평양의 일부로 중국 남쪽, 베트남 동쪽, 필리핀 서쪽에 위치하며, 주요 무역로이자 전략적 요충지 및 풍부한 천연자원의 보고이지만, 영유권 분쟁이 끊이지 않는 해역이다.
  • 필리핀의 영토 분쟁 - 이투아바섬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군도에 위치한 이투아바섬은 중화민국이 실효 지배하며 태평도라고 명명하고 가오슝시 치진구에 편입시켰으나, 베트남과 필리핀 또한 각기 다른 이름으로 부르며 영유권을 주장하는 군사적 요충지이다.
북보르네오 분쟁
지도
분쟁 개요
분쟁 이름북보르네오 분쟁
분쟁 당사국필리핀
말레이시아
관련 영토사바 주
분쟁 성격영토 분쟁
역사적 배경
1878년 협정북서쪽 해안의 판다산 강에서 남쪽의 세부쿠 강까지의 영토
분쟁의 주장
필리핀 주장사바는 필리핀의 영토이며, 술루 왕국으로부터 합법적으로 계승되었다고 주장
말레이시아 주장사바는 말레이시아의 일부이며, 1963년에 말레이시아 연방에 합병되었다고 주장
현재 상황
현재 지위사바는 말레이시아의 주
분쟁 지속필리핀은 여전히 사바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
국제적 관계이 분쟁은 필리핀과 말레이시아 간의 양국 관계에 영향을 미침
추가 정보
관련 기구중앙정보국 (CIA)
주요 사건2013년 사바 교전
참고 도서제임스 W. 굴드의 "미국과 말레이시아" (The United States and Malaysia)
참고 학술 자료대니 웡 치 켄(Danny Wong Tze Ken)의 "사바의 이름과 새로운 국가에서 새로운 정체성의 유지"(The Name of Sabah and the Sustaining of a New Identity in a New Nation)

2. 역사적 배경

2. 1. 1878년 협정

1878년 협정은 술루 술탄국과 영국 북보르네오 회사 간에 체결되었으며, 자위 문자로 쓰여진 말레이어로 작성되었다.[6] 협정의 핵심 내용은 홍콩에 거주하는 구스타부스 바론 본 오버벡 씨와 런던에 거주하는 알프레드 덴트 씨에게 보르네오 섬 본토의 판다산 강에서 시부쿤 강까지의 영토와 그 권한을 "영원히" 양도한다는 것이었다.[6] 또한, 이 권한은 영국 여왕 폐하의 사전 동의 없이는 다른 국가나 외국 회사에 양도될 수 없었다.[7]

술루 술탄이 보르네오 섬 본토의 판다산 강에서 시부쿤 강까지의 영토와 토지를 양여한 문서


이 협정에서 가장 논쟁이 되는 부분은 ''pajakkan''이라는 용어의 해석이다. 1878년 스페인 언어학자들과 1946년 미국 인류학자 H. 오틀리 베이어와 해롤드 콘클린은 이 단어를 "임대"로 번역했다.[8][9][10] 반면, 영국은 1908년 역사가 나지브 미트리 살레비와 1924년 윌리엄 조지 맥스웰과 윌리엄 서머 기브슨의 해석을 바탕으로 ''pajakkan''을 "양도"로 해석했다.[11][12][13][14]

하지만 ''pajakkan''은 타우스그어와 말레이어에서 "저당 잡히다", "담보로 잡히다", 또는 "도매하다"를 의미할 수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5][16] 이는 토지가 연간 할양금을 위해 영구적으로 담보로 잡혔으며, 술탄국이 이를 되찾으려면 대출금 전액을 상환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영원히"를 뜻하는 ''selama-lama''라는 용어는 술탄의 생애를 넘어선 구속력을 나타낸다.

술루 술탄과 수행원


해당 영토에 대한 배타적 권한에 대한 번역 역시 논쟁적이다. 원래 자위 문자와 영어 번역에서는 영국 여왕 폐하(말레이어로는 ''Duli Queen'')가 배타적 권한을 가지며 중재는 보르네오 영국 총영사가 단독 결정하지만, 타우스그어 번역에서는 "그들의 폐하 정부"로 바뀌었다.

이러한 모호성은 토지 임대 또는 양도에 관한 말레이어 원문의 해석 차이로 이어졌다.

영국 통치 기간 동안 영국 정부는 술탄과 그의 상속인들에게 매년 "할양금"을 지불했으며, 영수증에는 "할양금"으로 명시되었다.[17] 1961년 런던 회의에서 영국 패널은 필리핀 의원 호비토 살롱가에게 영수증 문구가 이의 제기되지 않았음을 알렸다.[18]

1963년 Maphilindo 회의에서 필리핀 정부는 술탄이 말레이시아 정부로부터 5,000의 지불을 원한다고 밝혔고, 툰쿠 압둘 라만 말레이시아 총리는 요청을 처리하겠다고 답변했다.[19][20] 말레이시아는 이 금액을 "할양금"으로, 술탄의 후손들은 "임대료"로 간주한다.[21]

같은 날, 술루 술탄은 바론 드 오버벡을 다투 반다하라와 산다칸 라자의 칭호를 가진 최고 통치자로 임명하고, 토지 주민과 재산에 대한 절대적인 권한을 부여하는 협정을 체결했다.[26][27]

말레이어 원문에는 "anugerahi dan serahkan" ("하사하고 양도하다")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28]

술루의 주장은 1878년 1월 22일 조약에 근거하지만, 브루나이 술탄 압둘 모민이 체결한 이전 조약(1877년 12월 29일)은 바론 드 오버벡을 사바의 마하라자, 가야 라자, 산다칸으로 임명하고 시부코 강까지 파이탄의 영토를 하사했다.[29] 이는 술루 술탄국의 사바 지배권 주장과 중복된다.[23]

사바 양보


2. 2. 1885년 마드리드 의정서

스페인은 1878년 7월 22일 술루 술탄과 체결한 "평화와 항복의 기초"에 따라 술루 술탄의 모든 소유지에 대한 주권을 양도받았다.[30] 술루 술탄은 술루 군도 전체와 그 부속물에 대한 스페인의 주권을 선언했다.[31]

1885년, 영국, 독일과 스페인은 마드리드 의정서에 서명하여 필리핀 제도에 대한 스페인의 영향력을 강화했다. 이 협정에서 스페인은 과거 술탄국에 속했던 북보르네오에 대한 모든 권리를 영국에 양도했다.[32]

마드리드 의정서 제3조에 따르면, 스페인 정부는 영국 정부에 관한 한, 술루(홀로) 술탄에게 속했거나 과거에 속했던 보르네오 대륙 영토와 발람반간, 방귀, 말라왈리 인근 섬들, 그리고 해안으로부터 3해리(약 5.5km)의 해역 안에 있는 영국 북보르네오 회사가 관리하는 영토를 포함하는 모든 영토에 대한 주권 주장을 포기했다.

1885년 마드리드 협정으로 북보르네오는 영국 북보르네오 회사의 통제하에 들어간 반면, 술루 군도와 나머지 필리핀 제도는 스페인령 동인도의 통제하에 있었다.

2. 3. 1903년 확인서

1903년 술루 술탄의 일부 섬 할양 확인, 자위 문자로 된 첫 번째 단락의 아랍 말레이어 필사본과 로마자 표기 말레이어 필사본. 붉은색 텍스트는 "우리는 이에 따라 기꺼이 영국 북보르네오 정부에 '''할양'''했습니다"로 번역됩니다


1903년 4월 22일, 자말룰 키람 2세 술탄은 "일부 섬의 할양 확인"이라는 문서에 서명했다. 이 문서에서 그는 1878년 합의된 토지 외에 방기섬에서 시부쿠 만까지 북보르네오 본토 인근에 위치한 추가적인 섬들을 영국 북보르네오 회사에 할양했다.[33]

1903년 합의에서는 모호한 용어인 ''pajakkan''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 대신 "kita telah keredhai '''menyerahkan''' kepada pemerintah British North Borneo,"라는 구절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문자 그대로 "우리는 기꺼이 영국 북보르네오 정부에 '''할양'''했습니다"라는 의미이다. 이는 당시 술루 술탄국이 1878년 이전 합의의 의미를 이해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34]

1903년 확인 증서를 통해 양측은 언급된 섬들이 1878년 1월 22일 합의에서 언급된 지역과 섬의 할양에 포함되었다는 것을 확인했다. 원래 합의되었던 5,000달러는 연간 지불되는 5,300달러로 증가했다.[35][36][37][38]

2. 4. 1939년 매캐스키 판결

1939년, 다양 다양 하지 피안다오(Dayang Dayang Hadji Piandao)와 다른 8명의 상속인들이 술루 술탄(Sultan of Sulu)의 상속인들에게 지급되는 "할양금"(cession money)에 관한 민사 소송을 제기했다. 당시 재임 중이던 자말룰 키람 2세(Jamalul Kiram II)가 1936년 6월 자녀 없이 사망했기 때문이다. 찰스 프레더릭 커닝햄 매캐스키(Charles Frederick Cunningham Macaskie) 북보르네오 고등법원(High Court of North Borneo) 수석 판사는 각 상속인의 지분에 대한 판결을 내렸다.[39]

찰스 프레더릭 커닝햄 매캐스키(Charles Frederick Cunningham Macaskie) (1888–1969), 1910–1920년경


이 판결은 술루 술탄국의 영토에 대한 소유권을 북보르네오가 인정했다는 증거로 술루 술탄국 주장론자들에 의해 종종 인용되지만, 실제로는 연간 5,300 말레이시아 링깃(ringgit)의 "할양금"을 누가 상속받을 자격이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었다.

3. 필리핀의 영유권 주장

1658년, 술루 술탄국브루나이 술탄을 도운 대가로 북보르네오 지역을 할양받았다.[41] 1878년 7월 22일, 술루 술탄은 조로에서 체결된 "평화와 항복의 기초"에 따라 자신의 모든 소유지에 대한 주권을 스페인에 양도했다.[41] 그러나 1885년 마드리드 의정서에 따라 영국과 독일이 필리핀 군도 내 스페인의 존재를 인정하는 대신 스페인이 북보르네오에 대한 영국의 문제에 간섭하는 것을 중단함으로써 스페인의 주장은 종결되었다.[32] 이후 영국 북보르네오 헌장회사가 북보르네오를 관리했고, 1888년 북보르네오는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42]

1946년, 북보르네오는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다.[43] 전 필리핀 총독 F. B. 해리슨은 필리핀 정부에 항의할 것을 촉구했다.[44] 미국은 스페인이 북보르네오에 대한 주권을 획득한 적이 없으므로 영국에 주장을 이전할 권리가 없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1878년 조약과 모순된다. 미국 정부는 분쟁에 개입하지 않고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하며 사바말레이시아의 일부로 인정했다.[45]



upright


1962년,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대통령 시절, 필리핀 정부는 술루 술탄의 먼 친척을 통해 북보르네오 영토에 대한 주권을 주장했다.[47] 필리핀은 1963년 사바와 함께 말레이시아가 결성된 후 말레이시아와의 외교 관계를 단절했지만, 마닐라 협정을 통해 비공식적으로 관계를 재개했을 가능성이 높다.[46]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는 북보르네오의 말레이시아 연방 포함이 필리핀의 주장을 해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부언했다.[48] 1968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작전 메르데카를 통해 사바 잠입을 시도했으나 자비다 학살로 인해 실패했다.[49][50][51]

1968년, 필리핀 공화국 법률 제5446호는 사바를 "필리핀 공화국이 주권과 영토권을 획득한 영토"로 간주한다.[52][53] 말레이시아는 외교 관계 단절로 대응했고, 나르시소 라모스 필리핀 외무장관은 UN 총회에서 분쟁 해결을 촉구했다.[53] 2011년, 필리핀 대법원은 사바에 대한 필리핀의 주장이 유지되고 향후 추구될 수 있다고 판결했다.[54]

3. 1. 술루 술탄국의 계승

1658년, 술루 술탄국브루나이 술탄을 도운 대가로 북보르네오 지역을 할양받았다.[41] 1878년 7월 22일, 술루 술탄은 조로에서 체결된 "평화와 항복의 기초"에 따라 자신의 모든 소유지에 대한 주권을 스페인에 양도했다.[41] 그러나 1885년 마드리드 의정서에 따라 영국과 독일이 필리핀 군도 내 스페인의 존재를 인정하는 대신 스페인이 북보르네오에 대한 영국의 문제에 간섭하는 것을 중단함으로써 스페인의 주장은 종결되었다.[32] 이후 영국 북보르네오 헌장회사가 북보르네오를 관리했고, 1888년 북보르네오는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42]

1946년, 북보르네오는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다.[43] 전 필리핀 총독 F. B. 해리슨은 필리핀 정부에 항의할 것을 촉구했다.[44] 미국은 스페인이 북보르네오에 대한 주권을 획득한 적이 없으므로 영국에 주장을 이전할 권리가 없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1878년 조약과 모순된다. 미국 정부는 분쟁에 개입하지 않고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하며 사바말레이시아의 일부로 인정했다.[45]

1962년,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대통령 시절, 필리핀 정부는 술루 술탄의 먼 친척을 통해 북보르네오 영토에 대한 주권을 주장했다.[47] 필리핀은 1963년 사바와 함께 말레이시아가 결성된 후 말레이시아와의 외교 관계를 단절했지만, 마닐라 협정을 통해 비공식적으로 관계를 재개했을 가능성이 높다.[46]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는 북보르네오의 말레이시아 연방 포함이 필리핀의 주장을 해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부언했다.[48] 1968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작전 메르데카를 통해 사바 잠입을 시도했으나 자비다 학살로 인해 실패했다.[49][50][51]

1968년, 필리핀 공화국 법률 제5446호는 사바를 "필리핀 공화국이 주권과 영토권을 획득한 영토"로 간주한다.[52][53] 말레이시아는 외교 관계 단절로 대응했고, 나르시소 라모스 필리핀 외무장관은 UN 총회에서 분쟁 해결을 촉구했다.[53] 2011년, 필리핀 대법원은 사바에 대한 필리핀의 주장이 유지되고 향후 추구될 수 있다고 판결했다.[54]

3. 2. 마닐라 협정 (1963)

upright


1963년 7월, 인도네시아 대통령 수카르노, 필리핀 대통령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말레이시아 총리 툰쿠 압둘 라흐만 간의 3자 회담이 마닐라에서 개최되었다. 세 국가 정상은 마닐라 협정에 서명하였다.[67] 이 협정에서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은 "보르네오 지역 주민들의 지지는 유엔 사무총장 또는 그의 대표와 같은 독립적이고 공정한 당국에 의해 확인되는 경우"라는 전제하에, 그리고 "북보르네오가 말레이시아의 일부로 편입되는 것은 필리핀의 영토에 대한 주장이나 그에 따른 권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조건하에 말레이시아의 형성을 환영한다고 명시했다.

이 협정에 따라, 같은 해에 아르헨티나, 브라질, 실론(스리랑카), 체코슬로바키아, 가나, 파키스탄, 일본, 요르단 출신 유엔 사무국 회원들로 구성된 유엔 보르네오 파견단이 설립되었다.[68] 유엔 사무총장 우탄이 작성한 파견단의 보고서는 말레이시아 편입에 찬성하는 "상당수의 주민"이 있다고 밝혔다.[69][70] 그러나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은 이후 보고서의 결과를 거부했고, 인도네시아는 말레이시아에 대한 반군사적 정책인 ''콘프론타시''를 계속했다.[71][72]

1966년 2월 7일자 ''외교문서''에서 말레이시아 정부는 "1963년 7월 31일 마닐라 협정과 그에 수반되는 공동 성명에서 벗어난 적이 없다"고 재확인했다.[46] 특히, 마닐라 협정 제12항과 공동 성명 제8항을 준수할 것을 확인했는데, 이는 북보르네오와 관련된 영토 분쟁이 여전히 미해결 상태임을 인정한 것이다.[46] 1966년 6월 3일, 말레이시아와 필리핀은 공동 성명을 통해 마닐라 협정을 준수하고 북보르네오(현재 "사바")에 대한 필리핀의 주장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기로 합의했다.[46]

1968년, 양국 정부는 방콕에서 회담을 열어 영토 분쟁을 해결하는 방식을 논의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말레이시아 대표단은 회담에서 "공동 성명에 따른 이 행사는 끝났다"고 선언하며 회담을 갑자기 종료시켰다.[73]

3. 3. 필리핀 공화국 법률 제5446호 (1968)

3. 4. 필리핀 대법원 판결 (2011)

4. 말레이시아의 입장

말레이시아는 사바 주권 문제를 비논쟁적이고 비협상적인 사안으로 간주하며, 국제사법재판소(ICJ)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라는 필리핀의 요구를 거부하고 있다.[74] 사바 당국은 2009년 필리핀 모로 지도자 누르 미수아리가 사바를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하려는 주장을 비논쟁적인 사안으로 보고 그 주장을 기각한다고 밝혔다.[74]

1963년 말레이시아 합중(말레이시아 협정) 이전에, 코볼드 위원회(Cobbold Commission)로 알려진 조사 위원회가 사바(북보르네오)와 이웃한 사라왁을 방문하여 말라야(그리고 싱가포르)와의 합병에 대한 여론을 조사했다.[62] 위원회는 사바 주민의 자결권, 즉 사바 주민이 자신의 정치적 지위를 자유롭게 결정하고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발전을 자유롭게 추구할 권리를 다루도록 위임받았다.

코볼드 위원회는 말라야와 영국 정부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코볼드 경(Cameron Cobbold, 1st Baron Cobbold)이 이끌었고, 말라야와 영국의 대표 각 두 명이 포함되었지만(조사 대상 지역의 대표는 없었다). 위원회는 "각 지역(즉, 북보르네오와 사라왁) 인구의 약 3분의 1이 조건에 대한 우려 없이 말레이시아의 조기 실현을 강력히 지지합니다. 또 다른 3분의 1은 말레이시아 프로젝트에 호의적인 사람들 중 다수가 다양한 정도로 조건과 안전장치를 요구합니다. 나머지 3분의 1은 말레이시아를 고려하기 전에 독립을 주장하는 사람들과 영국 통치가 몇 년 더 지속되기를 강력히 선호하는 사람들로 나뉩니다"라고 결론을 내렸다.[62]

위원회는 1962년 8월 1일 보고서를 발표하고 여러 권고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싱가포르와는 달리(싱가포르 1962년 국민투표), 북보르네오와 사라왁에서는 국민투표가 실시되지 않았다.[63] 주목할 점은 당시 "국민투표"가 북보르네오와 사라왁의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대표적인 협의만 이루어졌다는 것이다.[64] UN 사절단 보고서는 "...요청에 국민투표 또는 플레비시트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고 밝혔으며, "...따라서 사절단은 주민들의 선출된 대표, 정당 지도자 및 기타 단체와 조직, 그리고 자신의 견해를 표명할 의향이 있는 모든 사람들과 협의를 주선했습니다"라고 밝혔다.[65][66] 인도네시아필리핀은 코볼드 위원회의 결과를 거부했다.

4. 1. 주민투표 (1963)

1963년 말레이시아 합중(말레이시아 협정) 이전에, 코볼드 위원회(Cobbold Commission)로 알려진 조사 위원회가 사바(북보르네오)와 이웃한 사라왁을 방문하여 말라야(그리고 싱가포르)와의 합병에 대한 여론을 조사했다.[62] 위원회는 사바 주민의 자결권, 즉 사바 주민이 자신의 정치적 지위를 자유롭게 결정하고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발전을 자유롭게 추구할 권리를 다루도록 위임받았다.

코볼드 위원회는 말라야와 영국 정부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코볼드 경(Cameron Cobbold, 1st Baron Cobbold)이 이끌었고, 말라야와 영국의 대표 각 두 명이 포함되었지만(조사 대상 지역의 대표는 없었다). 위원회는 "각 지역(즉, 북보르네오와 사라왁) 인구의 약 3분의 1이 조건에 대한 우려 없이 말레이시아의 조기 실현을 강력히 지지합니다. 또 다른 3분의 1은 말레이시아 프로젝트에 호의적인 사람들 중 다수가 다양한 정도로 조건과 안전장치를 요구합니다. 나머지 3분의 1은 말레이시아를 고려하기 전에 독립을 주장하는 사람들과 영국 통치가 몇 년 더 지속되기를 강력히 선호하는 사람들로 나뉩니다"라고 결론을 내렸다.[62]

위원회는 1962년 8월 1일 보고서를 발표하고 여러 권고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싱가포르와는 달리(싱가포르 1962년 국민투표), 북보르네오와 사라왁에서는 국민투표가 실시되지 않았다.[63] 주목할 점은 당시 "국민투표"가 북보르네오와 사라왁의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대표적인 협의만 이루어졌다는 것이다.[64] UN 사절단 보고서는 "...요청에 국민투표 또는 플레비시트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고 밝혔으며, "...따라서 사절단은 주민들의 선출된 대표, 정당 지도자 및 기타 단체와 조직, 그리고 자신의 견해를 표명할 의향이 있는 모든 사람들과 협의를 주선했습니다"라고 밝혔다.[65][66] 인도네시아필리핀은 코볼드 위원회의 결과를 거부했다.

4. 2. 국제사법재판소 판결 거부

말레이시아는 사바 주권 문제를 비논쟁적이고 비협상적인 사안으로 간주하며, 국제사법재판소(ICJ)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라는 필리핀의 요구를 거부하고 있다.[74] 사바 당국은 2009년 필리핀 모로 지도자 누르 미수아리가 사바를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하려는 주장을 비논쟁적인 사안으로 보고 그 주장을 기각한다고 밝혔다.[74]

5. 관련 사건

에마누엘 L. 오소리오의 제안. 무슬림과 원주민을 대표하는 아홉 번째 광선과 필리핀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사바 지역을 대표하는 네 번째 별 추가


1967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무슬림 개종자인 에두아르도 "압둘 라티프" 마르텔리노 소령에게 "자비다"라는 암호명의 비밀 특수부대 작전을 지휘하고 사바를 불안정하게 만들고 장악하기 위한 "메르데카 계획"(''메르데카(merdeka)''는 말레이어로 "자유"를 의미함)을 은밀히 승인했다.[75] 그러나 배후에는 필리핀군(AFP)의 주요 장군들, 국방 차관 마누엘 시퀴오, 그리고 마르코스 자신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한다.[76]

이 계획은 1968년 니노이 아키노 상원의원이 사바 탈환 계획을 발표하면서 실패했다.[77] 훈련생들은 훈련을 계속 거부하고 귀국을 요구했다. 한 무리의 훈련생들은 무장 해제되었고, 일부는 귀국하고 다른 일부는 루손의 일반 군대 캠프로 이동했다. 하지만 다른 한 무리의 훈련생들은 군대에 의해 살해되었고, 지빈 아룰라라는 단 한 명의 생존자만이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76] 이 사건은 필리핀 모로 반란을 촉발시킨 주요 격화 요인으로 인정받고 있다.[78] 필리핀의 사바 재정복 시도에 대한 보복으로 말레이시아는 모로들의 독립 요구를 공개적으로 지지했다. 그러나 모로 지도자들이 권력을 남용하자 말레이시아는 지원을 중단했다.[79] 뿐만 아니라 마르코스 정부는 계엄령(Proclamation No. 1081) 하에 모로 학살을 자행하고 반(反)모로 전쟁과 탄압을 벌여 민다나오의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80] 이 때문에 말레이시아는 2001년까지 필리핀의 잔혹 행위에 대응하기 위해 자금, 무기, 훈련, 인력을 제공하며 남필리핀 방사모로를 지원했다.[81][82]

1985년 9월, 필리핀에서 온 15~20명의 무장한 모로 해적들이 라하드 다투에 상륙하여 일련의 강도 및 무차별 총격 사건을 일으켰다.[83][84] 이 사건으로 최소 21명이 사망하고 11명이 부상당했다.[83][84] 또한, 현지 은행에서 약 20만 달러, 말레이시아 항공 사무실에서 5,000달러가 도난당했다.[85]

셀레베스 해의 보르네오 북동쪽 해안에 위치한 시파단 섬과 리기탄 섬에 대한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간의 분쟁이 국제사법재판소(ICJ)에 회부되었다.[86] 필리핀도 참여를 신청하였으나, 국제사법재판소는 필리핀의 북보르네오 영토 주장에 대한 "법적 이익"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개입 신청을 기각하였다.[88][89]

2002년 국제사법재판소(ICJ)는 이 분쟁에서 말레이시아의 손을 들어주었다.[86]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모두 조약에 기반한 영유권을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말레이시아의 ''사실적 지배''에 근거하여 결정되었다.[87] 인도네시아는 필리핀의 개입 신청에 대해 "필리핀은 [두 섬]에 대해 어떠한 주장도 제기하지 않으며, 북보르네오의 법적 지위는 재판소가 판결을 요구받은 사항이 아니다"라고 밝혔다.[87] 말레이시아 또한 "리기탄과 시파단에 대한 영유권 문제는 북보르네오의 지위 문제와 완전히 독립적"이며 "두 사건의 영토권은 다르다"라고 주장했다.[87]

2013년 술루 술탄국의 술탄 지위를 승계했다고 주장하는 필리핀의 부족의 지도자 자말룰 키람 3세가 부족원을 말레이시아가 지배하는 라하드다투에 상륙시켜 대치하였다. 결과적으로 말레이시아가 승전하였고 소강상태에 이르었으나 말레이시아 법원이 부족원들에게 2018년에 사형을 확정해 영토 분쟁이 다시 일고 있다.

2013년 2월 11일, 무장한 약 100~200명의 인원이 필리핀 남부 타위타위 주 시무눌 섬에서 보트를 타고 사바 주 라하드다투에 도착했다.[90] 이들은 술루 술탄국의 왕위 계승자 중 한 명인 자말룰 키람 3세가 보낸 자들이었다. 그들의 목표는 북보르네오에 대한 미해결 영토 주장을 관철하는 것이었다. 이어진 대치 상황에서 추종자 56명과 민간인 6명, 말레이시아 군인 10명이 사망했다.[91][92][93][94]

2020년 7월 27일, 필리핀 외무장관 테오도로 로크신 주니어(Teodoro Locsin Jr.)는 트윗에서 "사바는 말레이시아에 속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95] 이는 마닐라 주재 미국 대사관(Embassy of the United States, Manila)이 "미국의 말레이시아 사바주 필리핀인을 위한 위생 키트 기증"에 대해 게시한 내용에 대한 반응이었다. 이에 말레이시아 외무장관 히샴무딘 후세인(Hishammuddin Hussein)은 필리핀 외무장관의 트윗을 양국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무책임한 발언이라고 비난했고, 2020년 7월 30일 필리핀 대사를 소환했다.[96] 로크신 장관은 맞대응으로 말레이시아 대사를 소환했다.[96]

샤피에 아프달(Shafie Apdal) 사바 주지사는 필리핀의 주장을 거부하며, 아세안(ASEAN) 플랫폼을 통해 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정부 간 대화"를 하여 이 문제를 해결할 것을 제안했다.[97][98] 그는 이전에 필리핀 중앙 정부가 여권에 사바 영토를 필리핀 영토로 포함시키려는 제안은 도발이며, 말레이시아 연방 정부가 즉각 대응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99] 샤피에는 사바가 "주권 국가"이며, 1963년 말레이시아 연방이 형성될 때 사바 주민들에게 "완전한 안전과 보호"를 보장했던 오래전에 해결된 문제라고 덧붙였다.[100]

전 사바 주지사 무사 아만(Musa Aman)은 필리핀에 사바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중단하고 사바와 관련된 모든 계획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전 말레이시아 외무장관이자 사바 출신인 아니파 아만(Anifah Aman)도 로크신 장관의 발언을 비판했다.[101]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술루 주의 한 선출직 공무원이 2021년 12월 술루 시장들이 참석한 회의를 주최했으며, 이 회의에서 600명 규모의 "술루 왕국군"을 조직하여 북보르네오의 분쟁 지역을 무력으로 장악하려는 계획이 있었다고 보도했다.[102] 필리핀 국방장관 델핀 로렌자나는 이러한 음모설을 가짜 뉴스로 일축했다. 술루 주 필리핀 군은 이 주장이 근거 없다고 밝혔지만, 지역 관리들이 해당 지역의 해상 안보 강화 방안을 논의한 회의를 주최한 것은 사실이라고 확인했다.[103]

나집 라작 전 총리는 자말룰 키람 3세가 2013년 라하드 다투 대치를 시작했다는 이유로 연례 할양금 지급 중단 조치를 옹호했다. 하지만, 말레이시아 정부는 2013년 라하드 다투 무장세력과 술루 술탄 왕조 후손들 간의 연관성을 증명하지 못했다.[107][104] 이는 나집 라작 전 총리의 결정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기한다. 나집은 말레이시아가 스페인 법원을 중재 장소로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대표 파견을 하지 않은 정부 조치도 옹호했다.

5. 1. 시파탄 섬과 리기탄 섬 분쟁

셀레베스 해의 보르네오 북동쪽 해안에 위치한 시파탄 섬과 리기탄 섬에 대한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간의 분쟁은 국제사법재판소(ICJ)에 회부되었다.[86] 국제사법재판소는 양국이 섬에 대한 조약에 기반한 영유권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을 들어, 말레이시아의 ''사실적 지배''를 근거로 말레이시아의 손을 들어주었다.[87] 필리핀북보르네오에 대한 영토 주장을 근거로 이 사건에 개입하려 했으나, 국제사법재판소는 필리핀의 개입 신청이 "법적 이익"이 없다는 이유로 기각했다.[88][89]

5. 2. 2013년 라하드다투 대치



2013년 술루 술탄국의 술탄 지위를 승계했다고 주장하는 필리핀의 부족의 지도자 자말룰 키람 3세가 부족원을 말레이시아가 지배하는 라하드다투에 상륙시켜 대치하였다. 결과적으로 말레이시아가 승전하였고 소강상태에 이르었으나 말레이시아 법원이 부족원들에게 2018년에 사형을 확정해 영토 분쟁이 다시 일고 있다.

2013년 2월 11일, 무장한 약 100~200명의 인원이 필리핀 남부 타위타위 주 시무눌 섬에서 보트를 타고 사바 주 라하드다투에 도착했다.[90] 이들은 술루 술탄국의 왕위 계승자 중 한 명인 자말룰 키람 3세가 보낸 자들이었다. 그들의 목표는 북보르네오에 대한 미해결 영토 주장을 관철하는 것이었다. 이어진 대치 상황에서 추종자 56명과 민간인 6명, 말레이시아 군인 10명이 사망했다.[91][92][93][94]

5. 2. 1. 자말룰 키람 3세

2013년 술루 술탄국의 술탄 지위를 승계했다고 주장하는 필리핀의 부족의 지도자 자말룰 키람 3세가 부족원을 말레이시아가 지배하는 라하드다투에 상륙시켜 대치하였다. 결과적으로 말레이시아가 승전하였고 소강상태에 이르었으나 말레이시아 법원이 부족원들에게 2018년에 사형을 확정해 영토 분쟁이 다시 일고 있다.

2013년 2월 11일, 무장한 약 100~200명의 인원이 필리핀 남부 타위타위 주 시무눌 섬에서 보트를 타고 사바 주 라하드다투에 도착했다.[90] 이들은 술루 술탄국의 왕위 계승자 중 한 명인 자말룰 키람 3세가 보낸 자들이었다. 그들의 목표는 북보르네오에 대한 미해결 영토 주장을 관철하는 것이었다. 이어진 대치 상황에서 추종자 56명과 민간인 6명, 말레이시아 군인 10명이 사망했다.[91][92][93][94]

5. 3. 1985년 라하드다투 매복

1985년 9월, 필리핀에서 온 15~20명의 무장한 모로 해적들이 라하드 다투에 상륙하여 일련의 강도 및 무차별 총격 사건을 일으켰다.[83][84] 이 사건으로 최소 21명이 사망하고 11명이 부상당했다.[83][84] 또한, 현지 은행에서 약 20만 달러, 말레이시아 항공 사무실에서 5,000달러가 도난당했다.[85]

5. 4. 리기탄 및 시파단 분쟁 (2002)

셀레베스 해의 보르네오 북동쪽 해안에 위치한 시파단 섬과 리기탄 섬에 대한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간의 분쟁이 국제사법재판소에 회부되었다.[86] 필리핀도 참여를 신청하였으나, 국제사법재판소는 필리핀의 북보르네오 영토 주장에 대한 "법적 이익"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개입 신청을 기각하였다.[88][89]

2002년 국제사법재판소(ICJ)는 이 분쟁에서 말레이시아의 손을 들어주었다.[86]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모두 조약에 기반한 영유권을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말레이시아의 ''사실적 지배''에 근거하여 결정되었다.[87] 인도네시아는 필리핀의 개입 신청에 대해 "필리핀은 [두 섬]에 대해 어떠한 주장도 제기하지 않으며, 북보르네오의 법적 지위는 재판소가 판결을 요구받은 사항이 아니다"라고 밝혔다.[87] 말레이시아 또한 "리기탄과 시파단에 대한 영유권 문제는 북보르네오의 지위 문제와 완전히 독립적"이며 "두 사건의 영토권은 다르다"라고 주장했다.[87]

5. 5. 2020년 외교적 마찰

2020년 7월 27일, 필리핀 외무장관 테오도로 로크신 주니어(Teodoro Locsin Jr.)는 트윗에서 "사바는 말레이시아에 속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95] 이는 마닐라 주재 미국 대사관(Embassy of the United States, Manila)이 "미국의 말레이시아 사바주 필리핀인을 위한 위생 키트 기증"에 대해 게시한 내용에 대한 반응이었다. 이에 말레이시아 외무장관 히샴무딘 후세인(Hishammuddin Hussein)은 필리핀 외무장관의 트윗을 양국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무책임한 발언이라고 비난했고, 2020년 7월 30일 필리핀 대사를 소환했다.[96] 로크신 장관은 맞대응으로 말레이시아 대사를 소환했다.[96]

샤피에 아프달(Shafie Apdal) 사바 주지사는 필리핀의 주장을 거부하며, 아세안(ASEAN) 플랫폼을 통해 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정부 간 대화"를 하여 이 문제를 해결할 것을 제안했다.[97][98] 그는 이전에 필리핀 중앙 정부가 여권에 사바 영토를 필리핀 영토로 포함시키려는 제안은 도발이며, 말레이시아 연방 정부가 즉각 대응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99] 샤피에는 사바가 "주권 국가"이며, 1963년 말레이시아 연방이 형성될 때 사바 주민들에게 "완전한 안전과 보호"를 보장했던 오래전에 해결된 문제라고 덧붙였다.[100]

전 사바 주지사 무사 아만(Musa Aman)은 필리핀에 사바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중단하고 사바와 관련된 모든 계획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전 말레이시아 외무장관이자 사바 출신인 아니파 아만(Anifah Aman)도 로크신 장관의 발언을 비판했다.[101]

5. 6. 2021년 12월 음모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술루 주의 한 선출직 공무원이 2021년 12월 술루 시장들이 참석한 회의를 주최했으며, 이 회의에서 600명 규모의 "술루 왕국군"을 조직하여 북보르네오의 분쟁 지역을 무력으로 장악하려는 계획이 있었다고 보도했다.[102] 필리핀 국방장관 델핀 로렌자나는 이러한 음모설을 가짜 뉴스로 일축했다. 술루 주 필리핀 군은 이 주장이 근거 없다고 밝혔지만, 지역 관리들이 해당 지역의 해상 안보 강화 방안을 논의한 회의를 주최한 것은 사실이라고 확인했다.[103]

5. 7. 말레이시아 해외 자산 압류 (2022-현재)

나집 라작 전 총리는 자말룰 키람 3세가 2013년 라하드 다투 대치를 시작했다는 이유로 연례 할양금 지급 중단 조치를 옹호했다. 하지만, 말레이시아 정부는 2013년 라하드 다투 무장세력과 술루 술탄 왕조 후손들 간의 연관성을 증명하지 못했다.[107][104] 이는 나집 라작 전 총리의 결정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기한다. 나집은 말레이시아가 스페인 법원을 중재 장소로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대표 파견을 하지 않은 정부 조치도 옹호했다.

5. 7. 1. 나집 라작

나집 라작 전 총리는 자말룰 키람 3세가 2013년 라하드 다투 대치를 시작했다는 이유로 연례 할양금 지급 중단 조치를 옹호했다. 하지만, 말레이시아 정부는 2013년 라하드 다투 무장세력과 술루 술탄 왕조 후손들 간의 연관성을 증명하지 못했다.[107][104] 이는 나집 라작 전 총리의 결정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기한다. 나집은 말레이시아가 스페인 법원을 중재 장소로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대표 파견을 하지 않은 정부 조치도 옹호했다.

6. 분쟁 해결 노력

6. 1. 코볼드 위원회 (1962)

6. 2. 마닐라 협정 (1963)

6. 3. 아세안 (ASEAN)

6. 4. 협상 시도와 결렬

참조

[1] 웹사이트 British North Borneo company charter (page 4) https://archive.org/[...] OpenLibrary.org 2013-03-16
[2] 논문 The Name of Sabah and the Sustaining of a New Identity in a New Nation https://journals.ope[...] 2015
[3] 웹사이트 East and Southeast Asia: The Philippines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3-03-07
[4] 뉴스 Sabah Standoff: Diplomatic Drama After Filipino Militants Storm Malaysia https://world.time.c[...] 2013-02-26
[5] 서적 The United States and Malaysia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6] 논문 Tuntutan Kesultanan Sulu terhadap Sabah: Soroton dari Perspektif Sejarah dan Perundangan (The Claim Over Sabah by the Sultanate of Sulu: A Revision from Historical and Legal Perspective) http://jurnalmelayu.[...] 2016
[7] 논문 Tuntutan Kesultanan Sulu terhadap Sabah: Soroton dari Perspektif Sejarah dan Perundangan (The Claim Over Sabah by the Sultanate of Sulu: A Revision from Historical and Legal Perspective) http://jurnalmelayu.[...] 2016
[8] 뉴스 Translation by Professor Conklin of the Deed of 1878 in Arabic characters found by Mr. Quintero in Washington (Philippine Claim to North Borneo) https://www.official[...] 2013-03-31
[9] 웹사이트 Contrato de Arrendo de Sandacan en Borneo, con el Baron de Overbeck https://www.official[...] Philippine Claim to North Borneo, Vol. I 2013-03-31
[10] 문서 #REDIRECT {{r from merge}}
[11] 웹사이트 British North Borneo Treaties. (British North Borneo, 1878) http://www.lawnet.sa[...] Sabah State Government (State Attorney-General's Chambers) 2013-02-24
[12] 서적 The History of Sulu https://archive.org/[...] Bureau of Printing, Harvard University 2013-03-31
[13] 서적 Treaties and Engagements Affecting the Malay States and Borneo https://books.google[...] J. Truscott & Son, Limited 2013-03-31
[14] 뉴스 1878 Grant of Lease by the Sultan of Sulu to Britain: Profession Conklin Translation vis a vis Maxwell and Gibson Translation https://www.official[...] 2013-03-31
[15] 서적 The Muslim Private Sector in Southeast Asia: Islam and the Economic Development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6] 웹사이트 English Pilipino Sama Sibutu', BASIC VOCABULARY http://www.sil.org/a[...]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Philippines, Inc., TRANSLATORS 2012-10-14
[17] 뉴스 Philippine Claim to North Borneo, Volume 2 https://books.google[...] Bureau of Printing 1967
[18] 뉴스 Philippine Claim to North Borneo, Volume 2 https://books.google[...] Bureau of Printing 1967
[19] 뉴스 Why 'Sultan' is dreaming http://www.dailyexpr[...] 2013-03-27
[20] 뉴스 Malaysia stopped paying cession money to Sulu Sultanate in 2013 https://www.nst.com.[...] 2020-07-23
[21] 뉴스 WHAT WENT BEFORE: Sultan of Sulu's 9 principal heirs http://globalnation.[...] 2013-02-23
[22] 뉴스 How Brunei lost its northern province http://www.bt.com.bn[...] 2008-09-21
[23] 뉴스 Sabah and the Sulu claims http://www.bt.com.bn[...] 2013-03-07
[24] 서적 Summaries of Judgments, Advisory Opinions, and Orders of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1997–2002 https://books.google[...] United Nations Publications
[25] 서적 Southeast Asia: A Historical Encyclopedia, from Angkor Wat to East Timor https://books.google[...] ABC-CLIO 2004-01-01
[26] 뉴스 Commission from the Sultan of Sulu appointing Baron de Overbeck Datu Bandahara and Rajah of Sandakan. | GOVPH https://www.official[...]
[27] 웹사이트 https://sagc.sabah.g[...] 2023-04-00
[28] 웹사이트 Surat Kuasa Sultan Sulu kepada Baron de Overbeck - Wikisource https://wikisource.o[...]
[29] 웹사이트 British North Borneo Treaties. (British North Borneo, 1877) http://www.lawnet.sa[...] Sabah State Government (State Attorney-General's Chambers) 2013-02-24
[30] 서적 Summaries of Judgments, Advisory Opinions, and Orders of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1997–2002 https://legal.un.org[...] United Nations Publications
[31] 서적 State and Society in the Philippine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7
[32] 웹사이트 British North Borneo Treaties. (British North Borneo, 1885) http://www.lawnet.sa[...] Sabah State Government (State Attorney-General's Chambers) 2013-02-24
[33] 서적 The Contested Maritime and Territorial Boundaries of Malaysia: An International Law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Kluwer Law International 1998-01-01
[34] 서적 The Contested Maritime and Territorial Boundaries of Malaysia: An International Law Perspective https://www.google.c[...] Kluwer Law International
[35] 서적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Digest of Judgments and Advisory Opinions, Canon and Case Law 1946–2011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12
[36] 웹사이트 British North Borneo Treaties. (British North Borneo, 1903) https://sagc.sabah.g[...] Sabah State Government (State Attorney-General's Chambers) 2017-08-18
[37] 웹사이트 CONFIRMATION by Sultan of Sulu of Cession of Certain Islands https://www.official[...] Government of the Philippines 2014-05-12
[38] 문서 The Confirmatory Deed of 1903 must be viewed in the light of the 1878 Agreement. The British North Borneo Company entered into a Confirmatory Deed with the Sultanate of Sulu in 1903, thereby confirming and ratifying what was done in 1878.
[39] 서적 Where in the World is the Philippines?: Debating Its National Territory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40] 웹사이트 Malaysia's territorial disputes – two cases at the ICJ : Batu Puteh, Middle Rocks and South Ledge (Malaysia/Singapore), Ligitan and Sipadan [and the Sabah claim] https://web.archive.[...] Institute of Diplomacy and Foreign Relations (IDFR),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alaysia 2014-05-16
[41] 서적 The Philippine Archipelago https://books.googl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4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ritish Empir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43] 웹사이트 The North Borneo Cession Order in Council 1946 https://www.official[...] Government of the Philippines 1946-07-10
[44] 서적 Where in the World is the Philippines?: Debating Its National Territory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45] 논문 Co-producing the Postcolonial: U.S.-Philippine Cinematic Relations, 1946—1986 https://www.proquest[...]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2008
[46] 웹사이트 PHILIPPINES and MALAYSIA https://treaties.un.[...] United Nations 2013-02-24
[47] 웹사이트 Cession and transfer of the territory of North Borneo by His Highness, Sultan Mohammad Esmail Kiram, Sultan of Sulu, acting with the consent and approval of the Ruma Bechara, in council assembled, to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https://www.official[...] Government of the Philippines 2016-02-07
[48] 웹사이트 Treaties and international agreements registered or filed and recorded with the Secretariat of the United Nations http://treaties.un.o[...] United Nations 2013-02-24
[49] 뉴스 Marcos order: Destabilize, take Sabah https://news.google.[...] 2015-06-19
[50] 웹사이트 The Corregidor Massacre – 1968 http://corregidor.or[...] Corregidor Historic Society 2015-09-13
[51] 웹사이트 Sabah – the question that won't go away https://web.archive.[...] 2016-09-23
[52] 웹사이트 An Act to Amend Section One of Republic Act Numbered Thirty Hundred and forty-six, Entitled "An Act to Define the Baselines of the Territorial Sea of the Philippines" https://web.archive.[...] Philippine Laws and Jurisprudence Databank 2013-02-17
[53] 웹사이트 Dec 1968 - The Sabah Dispute https://web.stanford[...] Keesing's Record of World Events 2022-09-23
[54] 웹사이트 G.R No. 187167 https://web.archive.[...] Supreme Court of the Philippines 2013-02-17
[55] 뉴스 Marcos drops Philippine claim to Sabah https://news.google.[...] 2018-04-12
[56] 웹사이트 President Ferdinand Marcos said today he had proposed talks... https://www.upi.com/[...] United Press International 2018-04-12
[57] 뉴스 KL may now agree to talk, shall we go for it? http://www.manilatim[...] 2018-04-13
[58] 뉴스 North Borneo (Sabah): An annotated timeline 1640s-present http://globalnation.[...] 2018-04-13
[59] 서적 International Relations in Southeast Asia: Between Bilateralism and Multilateralism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0
[60] 뉴스 'Bizarre' standoff in Sabah https://ph.news.yaho[...] 2018-04-13
[61] 서적 International Relations in Southeast Asia: Between Bilateralism and Multilateralism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0
[62] 간행물 Report of the Commission of Enquiry: North Borneo and Sarawak, 1962 HMSO
[63] 뉴스 There was no Sabah referendum https://web.archive.[...] 2013-03-08
[64] 서적 A History of the United Nations: Volume 2: The Age of Decolonization, 1955–1965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07-27
[65] 서적 Malaysia https://books.google[...] The Stationery Office
[66] 서적 Public Papers of the Secretaries 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06-01
[67] 웹사이트 PHILIPPINES, FEDERATION OF MALAYA and INDONESIA https://treaties.un.[...] United Nations 2013-02-24
[68] 서적 Chronicle of Malaysia: Fifty Years of Headline News, 1963–2013 https://books.google[...] Editions Didier Millet 2014-02-28
[69] 서적 British Counterinsurgency in the Post-imperial Era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70] 서적 Economists with Guns: Authoritarian Development and U.S.-Indonesian Relations, 1960-1968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8-03-28
[71] 서적 Southeast Asia: A Testament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72] 서적 Public Papers of the Secretaries 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Volume 7 U. Thant 1965-1967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06-01
[73] 웹사이트 Official Records, 1696th Plenary Meeting,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https://undocs.org/p[...] 2021-03-30
[74] 웹사이트 Call for ICJ arbitration dismissed http://www.thestar.c[...] 2008-05-29
[75] 뉴스 Marcos order: Destabilize, take Sabah https://news.google.[...] 2000-04-02
[76] 서적 Terrorism and Violence in Southeast Asia: Transnational Challenges to States and Regional Stability: Transnational Challenges to States and Regional Stabilit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5-03-26
[77] 웹사이트 "Sabah! A Game of Diversion" by Senator Benigno S. Aquino Jr. | GOVPH https://www.official[...]
[78] 서적 Revolt in Mindanao: The Rise of Islam in Philippine Politic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79] 뉴스 Philippines rebel leader arrested http://news.bbc.co.u[...] 2001-11-25
[80] 웹사이트 No moving on from Marcos-era massacres and abuse, Bangsamoro group says https://www.philstar[...]
[81] 웹사이트 Writing Malaysia and the Moro Identity: An Analysis of the Moro National Liberation Front’s Foreign Policy https://www.insightt[...]
[82] 간행물 The Moro National Liberation Front in the Philippines https://www.jstor.or[...] 1976
[83] 뉴스 Lahad Datu Recalls Its Blackest Monday https://news.google.[...] New Straits Times 1987-09-24
[84] 뉴스 Filipino pirates wreak havoc in a Malaysian island paradise https://news.google.[...] The Sydney Morning Herald 1985-10-30
[85] 웹사이트 Thoughts on Sabah's piracy problem http://www.thestar.c[...] 2014-02-19
[86] 웹사이트 The Court finds that sovereignty over the islands of Ligitan and Sipadan belongs to Malaysia http://www.icj-cij.o[...]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2002-12-17
[87] 웹사이트 Sovereignty over Pulau Ligitan and Pulau Sipadan (Indonesia/Malaysia) http://www.icj-cij.o[...]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2002-12-17
[88] 웹사이트 Sovereignty over Pulau Ligitan and Pulau Sipadan (Indonesia v. Malaysia) (Permission to Intervene by the Philippines) http://www.icj-cij.o[...]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2001-10-23
[89] 웹사이트 Sovereignty over Pulau Ligitan and Pulau Sipadan (Indonesia/Malaysia), Application for Permission to Intervene, Judgment http://www.icj-cij.o[...]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2001-10-23
[90] 뉴스 Heirs of Sultan of Sulu pursue Sabah claim on their own http://globalnation.[...] 2013-02-16
[91] 뉴스 Sultanate of Sulu wants Sabah returned to Phl http://www.philstar.[...] 2013-02-23
[92] 웹사이트 Kronologi pencerobohon Lahad Datu http://www.astroawan[...] Astro Awani 2014-02-15
[93] 웹사이트 Dakwaan anggota tentera terbunuh hanya taktik musuh – Panglima Tentera Darat http://www.astroawan[...] Astro Awani 2013-08-12
[94] 웹사이트 Lahad Datu invasion: A painful memory of 2013 http://english.astro[...] Astro Awani 2013-12-30
[95] 웹사이트 'Sabah is not in Malaysia': When Locsin awakens a sleeping giant https://rappler.com/[...] 2020-08-07
[96] 웹사이트 Malaysia, Philippines in war of words over Sabah claim https://www.aljazeer[...] 2020-07-30
[97] 웹사이트 Sabah chief looks to ASEAN to quash Philippine territorial claim https://asia.nikkei.[...] 2020-09-17
[98] 웹사이트 Shafie demands Wisma Putra protest Manila's plan to include Sabah in map on its passports https://www.thestar.[...] 2020-08-24
[99] 웹사이트 Shafie tells Wisma Putra to issue stern warning to Philippines over Sabah claim https://www.theborne[...] 2020-08-24
[100] 웹사이트 Ex-chief minister Musa Aman slams Philippines over Sabah claim https://www.straitst[...] 2020-08-01
[101] 뉴스 Plot to invade Sabah with 600 fighters involves '19 mayors' from southern Philippines, says security source https://www.thestar.[...] 2021-12-09
[102] 뉴스 Philippines denies reports of secret plot to invade Malaysian territory https://arab.news/r5[...] 2021-12-11
[103] 뉴스 'Malaysia has stopped paying cession money to Sulu Sultanate since 2013' https://www.theborne[...] The Borneo Post 2020-07-23
[104] 뉴스 Tommy sudah pastikah bukan waris Kesultanan Sulu serang Malaysia, tanya Najib (Najib: Tommy, are you sure Sulu descendents did not launch an attack against Malaysia?) https://malaysiagaze[...] Malaysia Gazette 2022-07-24
[106] 뉴스 French arbitration court rules Malaysia owes US$14.92bil to sultan of Sulu's heirs https://www.thestar.[...] 2022-03-01
[107] 웹사이트 Heirs to the Sultanate of Sulu v. Malaysia https://jusmundi.com[...] Jus Mundi 2022-07-13
[108] 뉴스 Explaining the Sulu claim https://www.theedgem[...] The Edge Markets 2022-07-27
[109]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urt Ruled That Malaysia Must Pay RM62 Billion To Sulu Sultan's Descendents [sic] https://www.therakya[...] 2022-03-01
[110] 웹사이트 Malaysia files application to annul final award over claims by Sulu sultan's heirs https://www.thestar.[...] 2022-03-18
[111] 뉴스 An old sultanate, oil and $14.9 million ruling against Malaysia https://www.laprensa[...] 2022-03-17
[112] 웹사이트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Arbitral Awards (New York, 10 June 1958) https://www.newyorkc[...] 2022-03-18
[113] 뉴스 Petronas says seized Luxembourg units have already divested Azerbaijan assets https://www.theedgem[...] The Edge Markets 2022-07-12
[114] 뉴스 Petronas subsidiaries seized as lawyers press $15bn claim on Malaysia https://www.ft.com/c[...] 2022-07-14
[115] 뉴스 Petronas Closes Its Subsidiary in Azerbaijan https://business.com[...] Business Turkmenistan 2022-04-08
[116] 뉴스 Malaysia obtains stay order against $15 BLN award to late sultan's heirs https://www.reuters.[...] 2022-07-13
[117] 뉴스 Malaysia vows to fight move by sultan's heirs to seize Dutch assets https://www.reuters.[...] 2022-10-10
[118] 뉴스 Exclusive: After $15 billion award, sultan's heirs target Malaysian properties in Paris https://www.reuters.[...] Reuters 2023-03-07
[119] 뉴스 Malaysia classifies Fuad A Kiram as a terrorist https://www.nst.com.[...] New Straits Times 2023-04-11
[120] 뉴스 Sulu claimants' award thrown out by Paris Appeals Court https://www.thestar.[...] 2023-06-07
[121] 뉴스 Malaysia hails 'decisive victory' over Sulu sultan's heirs after French court ruling https://www.scmp.com[...] 2023-06-07
[122] 뉴스 Malaysia hails 'victory' in row with Sulu sultan's Filipino heirs https://www.aljazeer[...] 2023-06-07
[123] 뉴스 Dutch court rules sultan's heirs cannot seize Malaysian assets https://www.reuters.[...] 2023-06-27
[124] 뉴스 Sulu case: French court ends so-called heirs' claims over Malaysia's diplomatic assets, says Azalina https://www.thestar.[...] 2023-11-09
[125] 뉴스 Sulu case: Spanish arbitrator Stampa to face criminal charges in Madrid on Dec 11 - Azalina https://www.nst.com.[...] 2023-11-10
[126] 뉴스 Arbitrator's Guilty Verdict Puts UK Funder's Investment at Risk https://news.bloombe[...] 2024-02-12
[127] 웹사이트 Arbitrator Who Issued $14.9B Award Against Malaysia Indicted - Law360 https://www.law360.c[...] 2024-02-12
[128] 웹사이트 MADRID COURT OF APPEAL CONFIRMS SULU ARBITRATOR GONZALO STAMPA'S CONVICTION FOR CONTEMPT OF COURT https://www.kln.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alaysia 2024-05-17
[129] 웹사이트 British North Borneo Treaties (British North Borneo, 1878) https://sagc.sabah.g[...] Sabah State Attorney-General's Chambers 2013-09-06
[130] 웹사이트 Translation by Professor Conklin of the Deed of 1878 in Arabic characters found by Mr. Quintero in Washington | GOVPH https://www.official[...]
[131] 웹사이트 British North Borneo company charter (page 4) http://www.archive.o[...] OpenLibrary.org 2013-03-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