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코포코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코포코스는 1830년대 미국에서 활동한 민주당 내 파벌로, 뉴욕시의 태머니 홀에 반대하여 결성되었다. 자유방임주의와 독점 반대를 지향했으며, 윌리엄 레겟이 주요 인물이었다. '로코포코'라는 이름은 정치 회의를 계속하기 위해 사용된 성냥에서 유래되었으며, 1837년 밀가루 폭동에 연루되기도 했다. 1840년 독립 재무부법 통과 이후 쇠퇴했으며, 캐나다 정치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급진주의 - 민중신학
민중신학은 1970년대 한국의 억압받던 민중의 고난에 대한 기독교 지식인들의 신학적 성찰에서 비롯되어 개발 독재 시기 소외된 민중의 해방을 강조하며 발전한 신학 사상이지만, 주체사상에 빗대어 비판하는 시각도 존재한다. - 급진주의 - 제10대 던도날드 백작 토머스 코크레인
제10대 던도날드 백작 토머스 코크레인은 영국 해군 제독, 정치인, 발명가로,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에서 활약하고, 증권 거래소 사기 사건에 연루되기도 했으며, 칠레, 브라질, 그리스 해군에서 지휘관으로 활동하며 독립 전쟁을 지원했다. - 민주당 (미국) - 태머니 홀
태머니 홀은 1789년 뉴욕에서 설립된 정치 조직으로, 초창기에는 클럽으로 시작하여 정치 기계로 변모, 이민자 지원을 통해 세력을 확장했으나 부패로 악명을 떨치다 1967년 해산되었다. - 민주당 (미국) - 제이크 태퍼
제이크 태퍼는 CNN의 수석 워싱턴 특파원으로서 《제이크 태퍼의 더 리드》와 《스테이트 오브 더 유니언》을 진행하고, ABC 뉴스 수석 백악관 특파원 등을 역임한 미국의 저널리스트, 작가, 만화가이다.
로코포코스 | |
---|---|
로코포코스 | |
다른 이름 | 평등주의자, 워킹맨즈 파티 |
이념 | 급진주의 평등주의 반독점주의 노동권 자유방임주의 |
정치적 입장 | 좌익 |
존속 기간 | 1835년 ~ 1840년대 초반 |
발상지 | 미국 |
지지 기반 | 노동자 계급 급진적인 민주주의자 |
영향 받은 정당 | 미국 민주당 |
2. 역사
로코포코스는 본래 평등권 정당(Equal Rights Party)으로 불렸으며, 뉴욕시의 민주당 조직인 태머니 홀에 반대하며 1830년대에 등장한 정치 파벌이다.[1] 이들은 자유방임주의를 강하게 옹호하고 독점에 반대했으며, 주요 이론가는 논설 위원 윌리엄 레겟이었다. '로코포코'라는 독특한 이름은 정치 회의 중 태머니 홀 측의 방해로 가스등이 꺼지자, 지지자들이 당시 사용되던 '로코포코' 성냥으로 촛불을 밝혀 회의를 계속 진행한 사건에서 유래했다.[2]
로코포코는 1837년 밀가루 폭동과 같은 사회적 저항 운동에 연루되기도 했으며,[3] 앤드루 잭슨과 마틴 반 뷰런 행정부를 지지하며 자유 무역, 화폐 유통 확대, 노동조합 보호 등을 주장했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당내 주도권을 확보하지는 못했으며, 1840년 연방 정부가 독립 재무부법을 통과시켜 정부의 은행 업무 불간섭 원칙이라는 이들의 핵심 목표 중 하나가 달성되자 점차 세력이 약화되었다.[4] 184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경쟁 상대였던 휘그당이 민주당 전체를 비판하기 위해 '로코포코'라는 명칭을 경멸적인 의미로 사용하기도 했다.
사상가 랠프 왈도 에머슨은 로코포코에 대해 "새로운 종족은 완고하고, 고집불통이며, 반항적이다; 그들은 자유의 광신자이며; 그들은 통행료, 세금, 유료 도로, 은행, 위계, 주지사, 아니, 거의 모든 법률을 싫어한다"고 평가하며 그들의 급진적 성향을 묘사했다.[5] 이 파벌의 구체적인 기원, 명칭의 상세한 유래, 활동과 쇠퇴 과정은 하위 문단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2. 1. 기원
이 파벌은 원래 평등권 정당(Equal Rights Party)이라는 이름으로, 뉴욕시의 정규 민주당 조직인 태머니 홀에 대한 반발로 만들어졌다. 반(反)태머니 민주당원들과 1828년부터 1830년까지 활동했던 노동자당 출신의 노동조합 운동가들이 합류하여 구성되었다.[1] 이들은 ''자유방임주의''를 강력히 지지했으며 독점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 파벌의 주요 이론가는 논설 위원이었던 윌리엄 레겟이었다.'로코포코'라는 이름은 마찰 성냥의 일종인 '로코포코(Locofoco)'에서 유래했다. 이는 잭슨 민주주의 지지자들이 정치 회의 도중, 태머니 홀 소속 인사들이 회의를 방해하기 위해 가스등을 끄자 로코포코 성냥으로 촛불을 켜 회의를 계속한 사건에서 비롯되었다.[2]
로코포코는 1837년 밀가루 폭동과 관련이 있다. 1837년 2월, 로코포코는 생활비 상승에 항의하기 위해 뉴욕 시청 공원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집회에 모인 군중이 로어 이스트 사이드의 창고에 밀가루가 사재기되어 있다는 소식을 듣고 창고로 몰려가 습격했으며, 이 과정에서 53명이 체포되었다. 뉴욕 주 의회는 이 소요 사태의 책임을 로코포코에게 돌리고 조사를 시작했다.[3]
로코포코는 전국적으로 민주당을 장악하지는 못했으며, 연방 정부가 독립 재무부법을 통과시킨 1840년 이후 세력이 약화되었다. 이 법안은 정부가 은행 업무에 직접 관여하지 않도록 규정했는데, 이는 로코포코의 핵심 목표 중 하나였다.[4] 184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로코포코'라는 용어가 민주당 전체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기도 했다. 이는 당시 민주당 대통령 마틴 반 뷰런이 로코포코의 여러 주장을 자신의 경제 정책에 반영했기 때문이며, 경쟁 상대였던 휘그당은 이 용어를 경멸적인 의미로 사용했다.
로코포코는 대체로 앤드루 잭슨과 마틴 반 뷰런을 지지했다. 이들은 자유 무역, 화폐 유통 확대, 노동조합에 대한 법적 보호, 지폐 발행 반대, 금융 투기 반대, 주립 은행 설립 등을 주장했다.
이름 | 비고 |
---|---|
윌리엄 레겟 | 논설 위원, 주요 이론가 |
윌리엄 컬렌 브라이언트 | |
알렉산더 밍 주니어 (Alexander Ming Jr.) | |
존 코머포드 (John Commerford) | |
레비 D. 슬램 (Levi D. Slamm) | |
에이브럼 D. 스미스 (Abram D. Smith) | |
헨리 K. 스미스 (Henry K. Smith) | |
아이작 S. 스미스 (Isaac S. Smith) | |
모세스 자크 (Moses Jacques) | |
고럼 파크스 (Gorham Parks) | |
월트 휘트먼 | 당시 신문 편집자 |
사상가 랠프 왈도 에머슨은 로코포코를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새로운 종족은 완고하고, 고집불통이며, 반항적이다; 그들은 자유의 광신자이며; 그들은 통행료, 세금, 유료 도로, 은행, 위계, 주지사, 아니, 거의 모든 법률을 싫어한다."[5]
'로코포코'라는 이름 자체는 1834년 4월 존 마크(John Marck)가 자신이 특허받은 자가 점화식 담배에 붙인 상표명에서 유래했다.[10][11] 이민자였던 마크는 당시 '기관차(locomotive)'라는 단어를 통해 알려지기 시작한 라틴어 접두사 'loco-|로코lat'(보통 '스스로'라는 의미로 잘못 해석됨)와 '불'을 뜻하는 이탈리아어 단어 'fuoco|푸오코ita'의 철자를 변형하여 조합했다.[11] 따라서 마크가 붙인 이름은 본래 "자가 점화(self-lighting)"를 의미했다. 이 용어는 빠르게 퍼져 모든 자가 점화 성냥을 가리키는 일반 명사가 되었고, 정치 파벌의 이름도 여기서 따온 것이다.
휘그당은 이 이름을 정치적으로 이용했다. 그들은 '미쳤다'는 뜻의 스페인어 단어 'loco|로코spa'와 '초점'을 의미하는 'focus|포쿠스lat' 또는 '불'을 의미하는 'fuego|푸에고spa'를 조합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다른 의미를 부여했다.[12] 휘그당은 이를 통해 로코포코 파벌, 나아가 민주당 전체가 "어리석음의 초점(focus of folly)"이라고 비난하려 했다.[13] 민주당에 대한 경멸적인 별칭으로서 '로코포코'는 휘그당이 해체된 이후인 1850년대까지도 사용되었다. 이후 로코포코 출신의 도시 노동자들, 노예제 반대 노우 나씽당원, 자유토지당원, 양심적 휘그당원, 금주 운동 지지 휘그당원 등이 모여 공화당을 창당하게 된다.[14][15][16]
2. 2. 명칭의 유래
이 파벌은 원래 평등권 정당(Equal Rights Party)으로 불렸으며, 뉴욕시의 정규 민주당 조직인 태머니 홀에 대한 반발로 생겨났다. 반(反)태머니 민주당원과 1828년부터 1830년까지 활동했던 노동자당 출신의 노동조합 활동가들이 주축을 이루었다.[1] 이들은 자유방임주의 원칙을 강하게 지지하며 독점에 반대했다.'로코포코'라는 이름은 특정 사건에서 유래했다. 잭슨 민주주의 지지자들이 모인 정치 회의 중, 태머니 홀 측 인사들이 회의를 방해하기 위해 가스등을 껐다. 이때 회의 참석자들이 '로코포코'라고 불리는 당시의 마찰 성냥을 사용하여 촛불을 켜고 회의를 계속 진행했는데, 이 일로 인해 파벌의 이름이 '로코포코스'로 굳어졌다.[2]
'로코포코' 성냥 자체의 이름은 1834년 존 마크(John Marck)가 자가 점화식 담배를 위해 특허를 내면서 처음 사용했다.[10][11] 이민자였던 마크는 당시 '기관차(locomotiveeng)'라는 단어를 통해 알려지기 시작한 라틴어 접두사 loco-|로코-lat(장소, 위치를 의미하지만 당시에는 흔히 '자기(self)'로 잘못 해석됨)와 '불'을 뜻하는 이탈리아어 fuoco|푸오코ita를 결합하여 '자가 점화(self-lighting)'라는 의미로 이 이름을 만들었다.[11] 이 용어는 곧 일반 명사화되어 모든 자가 점화 성냥을 가리키게 되었다.
한편, 정치적 반대 세력이었던 휘그당은 이 이름을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해석하여 사용했다. 그들은 '로코포코'가 '미치거나 제정신이 아닌'이라는 뜻의 스페인어 loco|로코spa와 '초점'을 의미하는 foco|포코spa 또는 '불'을 의미하는 fuego|푸에고spa의 조합이라고 주장했다.[12] 이를 통해 휘그당은 로코포코 파벌, 나아가 민주당 전체를 "어리석음의 초점"이라고 비하하려 했다.[13] 특히 184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 대통령 마틴 반 뷰런이 로코포코의 경제 정책 아이디어를 많이 수용하자, 휘그당은 '로코포코'라는 명칭을 민주당 전체에 대한 경멸적인 용어로 사용했다. 이러한 용법은 휘그당이 해체되고 공화당이 창당된 1850년대까지도 이어졌다.[14][15][16]
2. 3. 활동과 쇠퇴
이 파벌은 본래 평등권 정당(Equal Rights Party)이라는 이름으로, 뉴욕시의 정규 민주당 조직인 태머니 홀에 대한 반발로 형성되었다. 구성원은 반(反)태머니 민주당원들과 1828년부터 1830년까지 활동했던 노동자당 출신의 노동조합 운동가들이 주축이었다.[1] 이들은 자유방임주의를 강력히 지지하며 독점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 파벌의 주요 이론가이자 대변인은 논설 위원 윌리엄 레겟이었다.'로코포코'라는 독특한 이름은 당시 사용되던 마찰 성냥의 한 종류인 '로코포코'에서 유래했다. 잭슨 민주주의 지지자들이 정치 회의를 진행하던 중, 태머니 홀 측 인사들이 회의를 방해하기 위해 가스등을 끄자, 로코포코 지지자들이 가져온 성냥으로 촛불을 켜 회의를 계속 이어간 사건에서 비롯된 이름이다.[2]
로코포코는 1837년 밀가루 폭동과 연관되기도 했다. 1837년 2월, 로코포코는 치솟는 생활비에 항의하기 위해 뉴욕 시청 공원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이 집회에서 로어 이스트 사이드의 한 창고에 밀가루가 사재기되어 있다는 소문이 퍼지자, 흥분한 군중 수백 명이 해당 창고로 몰려가 습격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이 과정에서 53명이 체포되었다. 뉴욕 주 의회는 이 소요 사태의 책임을 로코포코에게 물으며 조사를 개시했다.[3]
그러나 로코포코는 전국적으로 당내 주도권을 잡는 데는 실패했다. 1840년 연방 정부가 독립 재무부법을 통과시키면서 이들의 핵심 목표 중 하나였던 정부의 은행 업무 불간섭 원칙이 확보되자, 파벌의 영향력은 점차 약화되었다.[4] 1840년 미국 대통령 선거 당시, 민주당 대통령 후보였던 마틴 반 뷰런이 로코포코의 경제 정책 아이디어를 일부 수용하자, 경쟁 관계였던 휘그당은 '로코포코'라는 명칭을 민주당 전체를 비하하는 용어로 사용하기도 했다.[4]
로코포코는 대체로 앤드루 잭슨과 마틴 반 뷰런을 지지했으며, 자유 무역과 화폐 유통량 확대를 주장했다. 또한 노동조합의 법적 보호를 지지하고, 지폐 발행, 금융 투기, 주립 은행 설립 등에 반대하는 입장을 견지했다.
이 파벌의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 | 비고 |
---|---|
윌리엄 레겟 | 논설 위원, 주요 지식인 |
윌리엄 컬렌 브라이언트 | 시인, 편집자 |
알렉산더 밍 주니어 | |
존 코머포드 | |
레비 D. 슬램 | |
에이브럼 D. 스미스 | |
헨리 K. 스미스 | |
아이작 S. 스미스 | |
모세스 자크 | |
고럼 파크스 | |
월트 휘트먼 | 시인, 당시 신문 편집자 |
로코포코스는 자유방임주의의 강력한 옹호자들이었으며 독점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 그들은 자유 무역, 더 많은 화폐 유통, 노동조합에 대한 법적 보호를 지지했으며, 지폐 발행과 금융 투기, 그리고 주립 은행 설립에 반대했다. 이 파벌은 앤드루 잭슨과 마틴 반 뷰런 대통령을 지지했다.
로코포코주의는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를 통해 캐나다 정치에 영향을 미쳤다. 매켄지는 영향력 있는 신문 발행인이자 국회의원이었으며, 1829년 앤드루 잭슨 대통령을 만난 후 로코포코주의에 공감하게 되었다.[6][7] 당시 캐나다 정치를 장악하고 있던 토리아당의 통제에 불만을 품은 매켄지는 1837년 어퍼캐나다 반란을 이끌었다. 그는 미국 민병대의 도움을 받아 애국자 전쟁 기간 동안 잠시 존재했던 "캐나다 공화국"을 선포하기도 했다.[7] 로코포코주의자였던 에이브럼 스미스를 비롯한 많은 미국인들은 캐나다 내 영국 통치 종식을 목표로 하는 미국 내 비밀 조직 헌터스 로지에서 활동하며 매켄지를 지원했다.
플레시스는 2001년 앨범 ''Kill The Dreamer's Dream''에 "Locofoco Motherfucker"를 녹음했는데, 이 곡은 로코포코 운동을 언급하며 현대 정치를 해석했다.[17]
[1]
서적
The History of the Loco-Foco or Equal Rights Party
https://archive.org/[...]
Clement & Packard
1842
미국의 사상가 랠프 왈도 에머슨은 로코포코에 대해 "새로운 종족은 완고하고, 고집불통이며, 반항적이다. 그들은 자유의 광신자이며, 통행료, 세금, 유료 도로, 은행, 위계, 주지사, 아니, 거의 모든 법률을 싫어한다"고 평가했다.[5]
3. 주요 인물 및 이념
로코포코스의 주요 지식인은 논설 위원 윌리엄 레겟이었다. 이 파벌의 다른 저명한 구성원들은 다음과 같다.이름 주요 역할/특징 윌리엄 레겟 논설 위원, 주요 지식인 윌리엄 컬렌 브라이언트 저명한 구성원 알렉산더 밍 주니어 저명한 구성원 존 코머포드 저명한 구성원 레비 D. 슬램 저명한 구성원 에이브럼 D. 스미스 저명한 구성원 헨리 K. 스미스 저명한 구성원 아이작 S. 스미스 저명한 구성원 모세스 자크 저명한 구성원 고럼 파크스 저명한 구성원 월트 휘트먼 당시 신문 편집자, 저명한 구성원
사상가 랠프 왈도 에머슨은 로코포코스를 "새로운 종족은 완고하고, 고집불통이며, 반항적이다; 그들은 자유의 광신자이며; 그들은 통행료, 세금, 유료 도로, 은행, 위계, 주지사, 아니, 거의 모든 법률을 싫어한다"고 평가했다.[5]
4. 캐나다로의 영향
매켄지는 애국자 전쟁 중 미국의 중립법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투옥되었으나, 그에게 동정적이었던 로코포코주의자들과 다른 지지자들의 압력으로 마틴 밴 뷰런 대통령은 1840년 매켄지를 사면했다.[8] 이후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는 미국 시민이 되어 로코포코 정치인으로 활동하다가 다시 캐나다로 돌아왔다.[9]
5. 대중문화
참조
[2]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www.britannic[...]
[3]
서적
Long Road to Harpers Ferry
https://www.ebooks.c[...]
Pluto Press
2018
[4]
백과사전
Locofoco Party
https://www.britanni[...]
2017-03-14
[5]
웹사이트
The Republic Strikes Back
http://www.theameric[...]
2015-08-26
[6]
간행물
The Political Ideas of William Lyon Mackenzie
https://www.jstor.or[...]
1937
[7]
간행물
The Patriot War of 1837-1838: Locofocoism with a Gun?
https://www.jstor.or[...]
2003
[8]
서적
Mackenzie: A Political Biography
https://books.google[...]
James Lorimer Limited
2002-10
[9]
서적
After the Rebellion: The later years of William Lyon Mackenzie
https://books.google[...]
Dundurn
1996-07-25
[10]
간행물
American Patents
https://books.google[...]
1834-11
[11]
서적
A Dictionary of Americanisms
https://archive.org/[...]
Little, Brown and Company
1859
[12]
웹사이트
loco-foco
https://www.etymonli[...]
2018-03-29
[13]
뉴스
Loco Foco
http://chroniclingam[...]
2015-08-27
[14]
서적
What Hath God Wrought: The Transformation of America, 1815-1848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The Origins of the Republican Party, 1852-1856
Oxfo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Parties and Elections in America: The Electoral Proces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7]
웹사이트
Johnny NoMoniker on Outsight Radio Hours
https://archive.org/[...]
2019-0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