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롤프 막시밀리안 시베르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롤프 막시밀리안 시베르트는 스웨덴의 물리학자이자 방사선 연구의 선구자이다. 그는 방사선량 측정 분야에 기여했으며, 암 진단 및 치료에 방사선을 사용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시베르트는 국제 방사선 방호 위원회(ICRP)의 전신인 국제 엑스선 및 라듐 방호 위원회의 창립 멤버이자 초대 의장을 역임했고, 유엔 방사선 영향 과학 위원회(UNSCEAR)의 의장도 맡았다. 또한 방사선 측정기인 시베르트 챔버를 개발했으며, 1979년에는 그의 이름을 따서 이온화 방사선 선량 당량의 SI 단위가 시버트(Sv)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의 물리학자 - 한네스 알벤
    한네스 알벤은 플라스마 물리학과 자기유체역학 분야에 기여하여 1970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우주 플라스마 이론과 알벤파 연구를 통해 플라스마 우주론을 제창했다.
  • 스웨덴의 물리학자 - 스반테 아레니우스
    스반테 아레니우스는 이온 해리 이론을 정립하여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고 전해질 용액의 전기 전도도 연구, 활성화 에너지 개념 제시, 아레니우스 방정식 개발, 지구 온난화 예측 등 다양한 과학 분야에 기여했으나, 우생학 운동 참여 논란도 있는 스웨덴의 물리화학자이다.
  • 웁살라 대학교 동문 - 한네스 알벤
    한네스 알벤은 플라스마 물리학과 자기유체역학 분야에 기여하여 1970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우주 플라스마 이론과 알벤파 연구를 통해 플라스마 우주론을 제창했다.
  • 웁살라 대학교 동문 -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는 스웨덴의 화학자로, 세륨과 셀레늄을 발견하고 규소 등을 분리했으며, 화학 용어 도입 및 근대적 원소 표기법 확립, 원자량 개념 발전에 기여하여 '근대 화학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불린다.
  • 스톡홀름 출신 - 마리 세르네홀트
    마리 세르네홀트는 스웨덴의 가수이자 방송인으로, 1998년 그룹 A-Teens 멤버로 데뷔 후 2006년 솔로 가수로 데뷔했으며,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 진행 및 심사위원으로도 활동했다.
  • 스톡홀름 출신 - 잉그리드 버그먼
    잉그리드 버그만은 스웨덴 출신의 배우로, 1930년대부터 1980년대 초까지 영화, 연극 등에서 활동하며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2회 등을 수상했고, 20세기 할리우드를 대표하는 배우로 자리매김했으며, 1982년 유방암으로 사망했다.
롤프 막시밀리안 시베르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롤프 시베르트 1896-1966
롤프 시베르트
원어 이름스웨덴어: Rolf Maximilian Sievert
로마자 표기Rolf Maximilian Sievert
IPAIPA(스웨덴어):
출생1896년 5월 6일
출생지스톡홀름, 스웨덴
사망1966년 10월 3일
사망지스톡홀름, 스웨덴
국적스웨덴
직업의학 물리학자
모교웁살라 대학교 (이학사)
스톡홀름 대학교 (이학 석사)
경력
근무지스웨덴 국립 방사선 방호 연구소
카롤린스카 연구소
알려진 업적지베르트 챔버 개발
스웨덴의 방사선 방호법 제정
위원회 활동국제 방사선 방호 위원회 위원장 (1958-1962)
유엔 원자 방사선 영향 과학 위원회 위원장 (1958-1960)

2. 생애

스웨덴 스톡홀름 출신으로[3], 기업가 막스 시베르트의 아들로 태어났다.[3][1] 그는 방사선 물리학 분야의 선구자로, 특히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방사선량 측정과 방사선 방호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1][4]

시베르트는 1924년부터 1937년까지 스웨덴 라듐헤메트의 물리학 연구소 소장을 지냈으며, 이후 카롤린스카 연구소 방사선 물리학부의 수장 및 교수로 활동했다.[1][4] 그는 사재를 털어 개설한 라듐헤메트 물리 실험실에서 방사선 측정 장치 개발과 방사선 관리를 선도했으며,[4] 만년에는 낮은 선량의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생물학적 영향 연구에 집중했다.[1]

연구실에서 (1925년 촬영)


국제적으로는 1928년 국제 엑스선 및 라듐 방호 위원회(IXRPC, 이후 ICRP)의 창립 멤버이자 초대 의장을 맡았고,[2] 훗날 국제 방사선 방호 위원회(ICRP)의 위원장(1958년-1962년)을 역임했다.[5] 또한 유엔 방사선 영향 과학 위원회(UNSCEAR)의 의장(1958년-1960년)으로도 활동했다.[2][4]

그는 방사선량 측정기인 시베르트 챔버를 개발했으며,[1] 1941년 스웨덴의 방사선 방호법 제정에도 기여했다.[4]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시베르트는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막스 시베르트(Max Sievert), 어머니는 소피아 카롤리나 시베르트(결혼 전 성 판첸)였다.[1] 그의 아버지는 1881년 스톡홀름에 막스 시베르트 회사를 설립한 기업가였다.[1][3]

시베르트의 학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914년–1915년카롤린스카 연구소에서 수학했다.[3]
1915년–1916년왕립 기술 연구소에 소속되었다.[3]
1919년웁살라 대학교에 입학하여 이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3]
1932년박사 학위를 취득했다.[3]



같은 해인 1932년스톡홀름 대학교 부교수가 되었다.[3]

2. 2. 경력

1914년부터 1915년까지 카롤린스카 연구소에서 수학했고, 1915년부터 1916년에는 왕립 기술 연구소에 소속되었다.[3] 1919년 웁살라 대학교에 입학하여 이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1932년에는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같은 해 스톡홀름 대학교 부교수가 되었다.[3]

1924년부터 1937년까지 스웨덴 라듐헤메트의 물리학 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1] 이 연구소는 시베르트가 사재를 털어 개설한 곳으로, 그는 이곳에서 방사선 측정 장치의 개발, 방사선 관리와 방호를 선도했다.[4] 특히 진단 및 치료에 방사선을 사용하는 데 있어 방사선량 측정에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1] 1937년 이후에는 카롤린스카 연구소 방사선 물리학부의 수장으로 임명되었고,[1] 1941년에는 같은 연구소의 방사선 물리학 교수로 취임했다.[4] 만년에는 낮은 방사선량에 반복적으로 노출될 때 나타나는 생물학적 영향에 대한 연구에 집중했다.[1]

국제적으로도 활발히 활동하여, 1928년 국제 엑스선 및 라듐 방호 위원회(IXRPC, 이후 ICRP)의 창립 멤버였으며 초대 의장을 역임했다.[2] 이후 1958년부터 1962년까지 국제 방사선 방호 위원회(ICRP)의 위원장을 맡았다.[5] 또한 1958년부터 1960년 사이에는 유엔 방사선 영향 과학 위원회(UNSCEAR)의 의장을 역임했다.[2][4]

시베르트는 방사선량을 측정하기 위한 여러 기기를 발명했으며, 그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시베르트 챔버이다.[1] 또한 1941년 스웨덴의 방사선 방호법 제정에 힘썼다.[4]

3. 유산

1979년, 국제 도량형 총회에서는 이온화 방사선의 선량 당량에 대한 SI 단위를 그의 업적을 기려 시버트 (Sv)로 명명하였다.

또한 시버트는 생전에 광범위한 곤충 표본을 수집하기도 하였는데, 그가 모은 표본들은 스웨덴 룬드 대학교의 곤충 박물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참조

[1] 논문 Rolf Maximilian Sievert (1896–1966): father of radiation protection https://doi.org/10.1[...] 2021-07-02
[2] 간행물 The History of ICRP and the Evolution of its Policies http://www.icrp.org/[...] 2012-05-12
[3] 웹사이트 Rolf Sievert, the man and the unit http://ki.se/ki/jsp/[...] 2015-10-29
[4] 웹사이트 グレイとシーベルト https://www.kantei.g[...] 2015-10-29
[5] 웹사이트 ロルフ・シーベルト http://www.mhi.co.jp[...] 2015-10-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