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암은 비정상적인 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특징으로 하는 질병의 일종으로, 악성 종양이라고도 불린다. 암은 세포가 발생하는 조직에 따라 암종과 육종으로 분류되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암의 원인은 유전자 돌연변이, 환경적 요인, 감염 등 다양하며,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암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암은 세포의 무한 증식, 전이, 혈관 신생 등 여섯 가지 특징을 보인다. 암은 조기 진단이 중요하며, 수술, 항암 화학 요법, 방사선 치료, 면역 요법 등 다양한 치료법이 사용된다. 암 예방을 위해서는 생활 습관 개선, 예방 접종, 정기적인 검진이 권장되며, 암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생물 - 정상피종
    정상피종은 35~50세 남성에게 주로 발생하는 고환 생식세포 종양으로, 고환 자기 검진으로 발견되며 종괴, 고환 위축, 요통 등의 증상과 함께 영상 검사, 혈액 검사, 조직 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병기에 따라 적극적 감시, 방사선 치료, 화학 요법 등으로 치료한다.
  • 신생물 - 프로락틴샘종
    프로락틴샘종은 뇌하수체에 생기는 양성 종양으로, 프로락틴을 과다 분비하여 고프로락틴혈증을 일으키고 여성에게는 무월경이나 유루증, 남성에게는 성욕 감퇴나 발기 부전 등을 유발하며 크기가 커지면 두통이나 시력 변화를 동반하기도 하지만 약물이나 수술로 치료하면 예후가 좋은 질환이다.
  • 암 - 피부암
    피부암은 피부 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자외선 노출, 유전적 요인, 면역 저하 등이 원인이 되며 기저세포암, 편평상피세포암, 흑색종으로 나뉘고 조기 발견과 자외선 차단이 중요하다.
  • 암 - 자궁경부암
    자궁경부암은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이 주원인인 자궁 경부의 악성 종양으로, 초기에는 증상이 미미하지만 진행 시 질 분비물 증가, 성교통, 골반통이 나타날 수 있으며,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 조직 생검 등으로 진단하고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 치료 등으로 치료하며, HPV 백신 접종과 정기 검진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기본 정보
악성 중피종의 CT 스캔
악성 중피종의 CT 스캔
분야종양학
다른 이름악성 신생물, 악성 종양
증상덩어리, 비정상적인 출혈, 장기간의 기침, 설명되지 않는 체중 감소, 배변 변화
세부 정보
위험 요인발암 물질 노출, 흡연, 비만, 불량한 식이 요법, 신체 활동 부족, 과도한 알코올, 특정 감염
치료방사선 치료, 수술, 화학 요법, 표적 치료
예후평균 5년 생존율 66% (미국)
유병률2,400만 명 (2019년)
사망자 수1,000만 명 (2019년)
추가 정보
ICD-10
ICD-9
메쉬 아이디D009369

2. 명칭

암, 즉 악성종양은 발생 부위에 따라 암종(Carcinoma)육종(Sarcoma)으로 나뉜다.[349] 암종은 점막, 피부 같은 상피성 세포에서 발생한 악성종양을 뜻하고, 육종은 근육, 결합조직, 뼈, 연골, 혈관 등의 비상피성 세포에서 발생한 악성종양을 뜻한다.[349]

"암"이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 καρκίνος(카르키노스)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게'와 '종양'을 의미한다. 히포크라테스갈레노스를 비롯한 그리스 의사들은 부푼 정맥이 있는 일부 종양이 게와 닮았다는 점을 언급했다. 이 단어는 1600년경 현대 의학적 의미로 영어에 도입되었다.[25]

종양은 양성 종양과 악성 종양으로 분류되며, 후자를 “암”이라고 한다. 암은 상피 조직계 유래의 암종(Carcinoma)과 비상피 조직계 세포 유래의 육종(Sarcoma)으로 분류된다. 암종의 진단명은 “장기명(조직명) + 암”으로 표기된다.[273] 히라가나의 “'''がん'''”은 악성 종양 전체를 나타내고, 한자의 “癌”은 상피 세포에서 발생하는 암종과 구분하여 사용되기도 하지만, 구분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274]

전후에 정한 당용 한자에는 “癌”이 포함되지 않아 “がん”이 널리 일반적으로 사용되었고, 학문에서는 “癌”을 사용했지만, “がん은 악성 종양의 총칭이고, 癌은 암종을 의미한다”는 주장이 1990년 이전부터 일부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다. 일본 구강외과 학회는 “がん은 악성 종양의 총칭이고, 癌은 암종을 의미한다”고 정의하고 있지만, 내과의인 후지타 조우슈는 당용 한자에 의한 한자 제한과 필연적으로 발생한 가나쓰기의 강제라는 역사적 관점에서 “부적절하다”고 주장하고 있다.[273]

3. 원인

악성종양이 발생하는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정상적인 세포의 유전자나 암 억제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겨서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암 억제 유전자인 p53 유전자의 경우는 자연발생적인 원발성 종양에서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관찰되었다.[25] 그러나 특정 유전자 몇 개의 변이만으로 암이 일어나는 것은 아니며, 복잡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발암 물질에 대한 GHS 위험 기호




폐암 발생률은 흡연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입니다.


암의 대부분(약 90~95%)은 환경적 및 생활 습관적 요인으로 인한 유전자 돌연변이 때문이며,[6] 나머지 5~10%는 유전적 요인 때문이다.[6] 여기서 ''환경적'' 요인이란 유전되지 않은 모든 원인을 의미하며, 생활 습관, 경제적 요인, 행동적 요인 등을 포함한다.[41] 암 사망에 기여하는 일반적인 환경 요인으로는 담배 사용(25~30%), 식단 및 비만(30~35%), 감염(15~20%), 방사선(이온화 및 비이온화 방사선, 최대 10%), 신체 활동 부족 및 오염 등이 있다.[6][42]

특정 물질에 대한 노출은 특정 유형의 암과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물질을 ''발암물질''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담배 연기는 폐암의 90%를 유발하며,[47] 구강과 인후, 후두, 식도, 위, 방광, 신장, 자궁경부, 결장/직장, 간 및 췌장을 포함한 신체 전반에 걸쳐 암을 유발할 수 있다.[48][49] 담배 연기에는 니트로사민과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를 포함한 50가지 이상의 알려진 발암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50]

흡연과 암의 상관관계는 수십 년에 걸친 연구에서 일관되게 밝혀지고 있다. 수백 건의 역학 조사를 통해 담배와 암의 연관성이 확인되었다. 미국에서 폐암으로 인한 사망률과 담배 소비량 증가 패턴은 거울처럼 일치하며, 흡연이 증가하면 폐암 사망률도 급격히 증가했다.

서유럽에서는 남성의 10%, 여성의 3%의 암이 알코올 노출, 특히 간암과 소화기암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54] 직업 관련 물질 노출로 인한 암은 전체 암 발생의 2~20%를 차지하며,[55] 최소 20만 명의 사망을 초래한다.[56] 폐암 및 중피종과 같은 암은 담배 연기 또는 석면 섬유를 흡입하거나 벤젠에 노출되어 백혈병이 발생할 수 있다.[56] 테플론 생산에 사용되는 과불화옥탄산(PFOA) 노출은 두 가지 유형의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7][58] 백금계 화합물과 같은 항암 화학 요법 약물, 면역억제제아자티오프린은 이차암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발암물질이다.[45]

식단, 신체 활동 부족, 비만은 암 사망의 최대 30~35%와 관련이 있다.[6][59] 미국에서는 과체중이 여러 유형의 암 발생과 관련이 있으며 암 사망의 14~20%에 영향을 미친다.[59] 영국 연구에 따르면, 높은 체질량 지수는 최소 10가지 유형의 암과 관련이 있으며 매년 약 12,000건의 암 발생 원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60]

고염분 식단은 위암과 관련이 있고,[61] 흔한 식품 오염 물질인 아플라톡신 B1은 간암을 유발하며,[61] 빈랑 나무 열매 씹기는 구강암을 유발할 수 있다.[61] 식습관의 국가적 차이는 암 발생률의 차이를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위암은 고염분 식단으로 인해 일본에서 더 흔하며,[62] 결장암은 미국에서 더 흔하다.

전 세계적으로 암 사망자의 약 18%가 감염병과 관련이 있다.[6] 이 비율은 아프리카의 25%에서 선진국의 10% 미만까지 다양하다.[6] 인간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종양 바이러스에는 인유두종바이러스(자궁경부암), 에프스타인-바 바이러스(B세포 증식성 질환 및 비인두암), 카포시육종 헤르페스바이러스(카포시육종 및 일차 삼출액 림프종), B형 간염C형 간염 바이러스(간세포암), 인간 T세포 백혈병 바이러스-1(T세포 백혈병), 머켈 세포 폴리오마바이러스(머켈 세포 암종) 등이 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의한 위암,[65][66] ''대장균'' 감염과 관련된 유전독소인 콜리박틴(대장암)[45] 등 세균 감염 또한 암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암과 관련된 기생충 감염에는 ''혈관주혈흡충''(방광 편평세포암), 간흡충인 ''오피스토르키스 비베리니''와 ''클로노르키스 시넨시스''(담관암) 등이 있다.[67]

태양으로부터의 자외선에 대한 장기간 노출은 흑색종 및 기타 피부 악성 종양으로 이어질 수 있다.[73] 자외선 및 방사성 물질과 같은 방사선 노출은 암의 위험 요소이다.[68][69][70] 많은 비흑색종 피부암은 자외선, 주로 태양광으로 인해 발생한다.[69] 이온화 방사선의 원인은 의료 영상과 라돈 가스를 포함한다.[69] 휴대전화, 전력 송전 등의 비이온화 무선 주파수 방사선은 세계보건기구의 국제암연구소에 의해 잠재적 발암 물질로 설명되었지만,[74] 증거는 우려 사항을 뒷받침하지 못했다.[75][68]

대부분의 암은 유전되지 않는 (산발성) 암이지만, 유전성 암은 주로 유전된 유전적 결함에 의해 발생한다. 인구의 0.3% 미만이 암 위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돌연변이의 보인자이며, 이러한 돌연변이는 암의 3~10% 미만을 유발한다.[77] 유전자 ''BRCA1'' 및 ''BRCA2''의 특정 유전자 돌연변이는 유방암 및 난소암 위험이 75% 이상 증가하고,[77] 유전성 비용종성 대장암(HNPCC 또는 린치 증후군)은 대장암 환자의 약 3%에서 나타난다.[78]

1촌(부모, 형제자매 또는 자녀)이 대장암 진단을 받은 경우 대장암 발병의 상대 위험도는 약 2이다.[79] 폐암의 경우 상대 위험도는 1.5이고,[80] 전립선암의 경우 1.9이다.[81] 유방암의 경우, 1촌이 50세 이상에 발병한 경우 상대 위험도는 1.8이고, 50세 미만에 발병한 경우 3.3이다.[82] 키가 큰 사람은 키가 작은 사람보다 세포 수가 많기 때문에 암 위험이 증가하며, 키는 상당 부분 유전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키가 큰 사람은 유전적으로 암 위험이 증가한다.[83]

석면과 같이, 일부 물질은 화학적 효과라기보다는 주로 물리적 효과를 통해 암을 유발한다.[84] 석면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광물 섬유로, 주로 폐를 둘러싸고 있는 장막(흉막)의 암인 중피종의 주요 원인이다.[84] 뼈가 부러지는 것이 골암을 유발했다는 주장과 같은, 암을 유발하는 물리적 외상은 비교적 드물다.[85]

만성 염증이 돌연변이를 직접적으로 유발한다는 가설이 있으며,[85][86] 염증은 종양 미세 환경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암세포의 증식, 생존, 혈관 형성 및 이동에 기여할 수 있다.[87][88]

호르몬은 세포 증식을 촉진함으로써 암 발생에도 역할을 한다.[90]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와 그 결합 단백질은 암세포 증식, 분화 및 세포자멸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발암 과정에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91] 유방암, 자궁내막암, 전립선암, 난소암, 고환암과 같은 성과 관련된 암과 갑상선암, 골암에도 호르몬은 중요한 요인이다.[90]

셀리악병과 모든 암의 위험 증가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다. 치료받지 않은 셀리악병 환자는 위험이 더 높지만, 진단 후 엄격한 글루텐 없는 식단 치료를 받으면 이 위험은 감소한다.[92] 만성 염증으로 인해 크론병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위장관암 발생률이 증가한다.[93]

정상 세포는 일반적으로 해당과정을 통해 에너지를 약 30%만 생성하는 반면,[114] 대부분의 암은 에너지 생산을 위해 해당과정에 의존한다(바르부르크 효과).[115][116] 그러나 림프종, 백혈병, 자궁내막암 등 일부 암 유형은 산화적 인산화를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117] 일부 암은 글루타민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데, 이는 뉴클레오티드(DNA, RNA) 합성에 필요한 질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118] 암줄기세포는 종종 산화적 인산화 또는 글루타민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119]

정상 세포에서는 산소가 충분히 공급될 때는 에너지 효율이 높지만 합성 속도가 느린 미토콘드리아에서의 산화적 인산화를 통해 에너지를 생산한다.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을 때는 에너지 효율은 낮지만 속도가 빠른 해당과정을 통해 에너지를 얻는다. 암세포는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는 환경에서도 에너지 효율이 낮은 해당과정으로 활동한다. 이것은 바르부르크 효과라고 불린다.

유전적 소인과 환경 요인 모두에 의해 발암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코올 탈수소효소의 저활성과 알코올 다량 섭취가 있다. 이것들이 함께 작용하면 두경부암(인두암·식도암)의 발병률이 상승한다.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에서는 알코올 탈수소효소(ADH1B)의 활성이 낮은 사람이 많다.

4. 암 유전자

암은 일련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합니다. 각 돌연변이는 세포의 행동을 다소 변화시킵니다.


암은 근본적으로 조직 성장 조절의 질병이다. 정상 세포가 악성 종양 세포로 전환되려면 세포 성장과 분화를 조절하는 유전자가 변형되어야 한다.[94]

영향을 받는 유전자는 크게 암유전자종양억제유전자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 암유전자는 세포 성장과 증식을 촉진하는 유전자이고, 종양억제유전자는 세포 분열과 생존을 억제하는 유전자이다. 악성 종양으로의 형질전환은 새로운 암유전자의 형성, 정상 암유전자의 부적절한 과발현 또는 종양억제유전자의 저발현이나 비활성화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상 세포를 암세포로 전환하려면 여러 유전자의 변화가 필요하다.[95]

유전적 변화는 여러 수준과 여러 메커니즘으로 발생할 수 있는데, 전체 염색체의 증가 또는 감소는 유사분열의 오류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더 흔한 것은 돌연변이이며, 이는 게놈 DNA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변화이다.

대규모 돌연변이는 염색체의 일부가 삭제되거나 증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게놈 증폭은 세포가 작은 염색체 로커스(보통 하나 이상의 암유전자와 인접한 유전 물질을 포함)의 사본(종종 20개 이상)을 얻을 때 발생한다. 전좌는 두 개의 분리된 염색체 영역이 비정상적으로 융합될 때(종종 특징적인 위치에서) 발생하는데, 잘 알려진 예는 필라델피아 염색체 또는 9번과 22번 염색체의 전좌이다. 이는 만성골수성백혈병에서 발생하며 BCR-abl 융합 단백질(암유전자 티로신 키나아제)의 생성을 초래한다.

소규모 돌연변이에는 점 돌연변이, 결실 및 삽입이 포함되며, 이는 유전자의 프로모터 영역에서 발생하여 발현에 영향을 미치거나 유전자의 코딩 서열에서 발생하여 그 단백질 생성물의 기능이나 안정성을 변경할 수 있다. 단일 유전자의 손상은 게놈 물질의 통합( DNA 바이러스 또는 레트로바이러스에서 유래)으로 인해 발생하여 영향을 받는 세포와 그 자손에서 '바이러스' 암유전자의 발현을 초래할 수도 있다.

생세포 DNA에 포함된 데이터의 복제는 확률적으로 일부 오류(돌연변이)를 초래한다. 복잡한 오류 수정 및 예방은 이 과정에 내장되어 있으며 세포를 암으로부터 보호한다. 심각한 오류가 발생하면 손상된 세포는 세포자멸사라고 하는 프로그램된 세포 사멸을 통해 자가 파괴될 수 있다. 오류 제어 과정이 실패하면 돌연변이는 살아남아 딸세포로 전달된다.

일부 환경에서는 오류가 발생하고 전파될 가능성이 더 높다. 이러한 환경에는 발암물질이라고 하는 파괴적인 물질의 존재, 반복적인 신체적 손상, 열, 이온화 방사선 또는 저산소증이 포함될 수 있다.[96]

암을 유발하는 오류는 자체 증폭되고 복합적이다. 예를 들어:

  • 세포의 오류 수정 기계의 돌연변이는 그 세포와 그 자손이 더 빠르게 오류를 축적하도록 할 수 있다.
  • 암유전자의 추가 돌연변이는 세포가 정상적인 대응 세포보다 더 빠르고 더 자주 재생산되도록 할 수 있다.
  • 추가 돌연변이는 종양 억제 유전자의 손실을 야기하여 세포자멸사 신호 전달 경로를 방해하고 세포를 불멸화할 수 있다.
  • 세포의 신호 전달 기계의 추가 돌연변이는 인근 세포에 오류를 유발하는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정상 세포의 암으로의 전환은 초기 오류로 인한 연쇄 반응과 유사하며, 이는 더 심각한 오류로 복합되어 각각 세포가 정상 조직 성장을 제한하는 더 많은 제어를 점진적으로 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반란과 같은 시나리오는 바람직하지 않은 적자생존이며, 진화의 원동력이 신체의 설계와 질서 유지를 거스르는 것이다. 암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클론 진화''라고 하는 이 지속적인 과정은 더욱 침습적인 병기로의 진행을 유도한다.[97] 클론 진화는 효과적인 치료 전략 설계를 복잡하게 하고 진화적 치료 설계 접근 방식을 필요로 하는 세포 내

암에 의해 발달된 특징적인 능력은 범주로 나뉘며, 구체적으로 세포자멸사 회피, 성장 신호의 자급자족, 항성장 신호에 대한 무감각, 지속적인 혈관신생, 무한한 복제 잠재력, 전이, 에너지 대사의 재프로그래밍 및 면역 파괴 회피이다.[28][29]

5. 발암 물질



특정 물질에 노출되면 특정 유형의 암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을 ''발암물질''이라고 한다.

담배 연기는 폐암의 90%를 유발하며,[47] 구강, 인후, 후두, 식도, 위, 방광, 신장, 자궁경부, 결장/직장, 간, 췌장 등 신체 전반에 걸쳐 암을 유발할 수 있다.[48][49] 담배 연기에는 니트로사민과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를 포함한 50가지 이상의 알려진 발암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50]

담배는 전 세계 암 사망자 5명 중 1명,[50] 선진국에서는 3명 중 1명의 사망 원인이다.[51] 미국의 폐암 사망률은 흡연 패턴을 반영하여 흡연 증가에 따라 폐암 사망률이 급격히 증가했고, 1950년대 이후 흡연율 감소에 따라 1990년 이후 남성의 폐암 사망률이 감소했다.[52][53] 와타나베 마사루(渡邊昌)는 일본 정부가 일본담배산업(JT) 주식의 절반 이상을 보유하고 있어 흡연 규제나 금연 관련 움직임이 더디다고 지적했으며,[299] 암 사망률 1위는 폐암이다.

서유럽에서는 남성의 10%, 여성의 3%의 암이 알코올 노출, 특히 간암과 소화기암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54] 직업 관련 물질 노출로 인한 암은 전체 암 발생의 2~20%를 차지하며,[55] 최소 20만 명의 사망을 초래한다.[56] 폐암 및 중피종은 담배 연기 또는 석면 섬유 흡입, 벤젠 노출로 인한 백혈병 발생과 관련이 있다.[56]

테플론 생산에 사용되는 과불화옥탄산(PFOA) 노출은 두 가지 유형의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7][58] 백금계 화합물과 같은 항암 화학 요법 약물과 면역억제제아자티오프린은 이차암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발암물질이다.[45]

국제암연구기관(IARC)은 인체 발암성이 인정되는 화학물질(Group 1)로 석면, 벤젠, 6가 크롬, 비소, 카드뮴, 벤지딘, 1,2-디클로로프로판, 방사선(감마선, X선)을 제시하고 있다.[311] (자세한 내용은 IARC 발암성 위험 목록 참조)

厚生労働省(일본 후생노동성)은 食生活(식생활)의 서구화가 암 사망자 증가의 원인이라고 보고있다.[284][285][286][287][288][289][301][302]

5. 1. 2단계를 거쳐 암을 일으키는 발암 물질

발암 물질은 정상 세포의 유전자에 숨어 있는 암 유전자를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발암 물질은 담배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과거 두부방부제로 사용되었던 AF-2, 어묵 등에 사용되었던 과산화수소, 쓰레기 소각장 연기, 디젤 엔진 배기 가스 등 우리 생활 환경에 많이 존재한다.

최근에는 발암의 2단계설이 유력하게 제시되고 있다. 발암 물질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하나는 초발인자(initiator)이다. 초발인자는 정상 세포의 유전자에 작용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암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후 촉진인자가 계속적으로 작용하면 암이 발생한다. 초발인자만으로도 강력하고 장기간에 걸쳐 작용하면 단독으로 암을 일으킬 수 있지만, 촉진인자만으로는 단독으로 암을 일으키지 못한다. 담배 연기에는 초발인자와 촉진인자 모두 포함되어 있다.

6. 암의 종류

암은 발생 기원 세포의 종류와 신체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크게 상피성 세포에서 발생하는 암종과 비상피성 세포에서 발생하는 육종으로 나눌 수 있다.

암종상피 세포에서 유래한 암으로, 유방암, 전립선암, 폐암, 췌장암, 대장암 등 대부분의 흔한 암이 여기에 속한다. 육종, 연골, 지방, 신경결합 조직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골수 외부의 중간엽 세포에서 유래한다.

림프종백혈병은 골수를 떠나 림프절과 혈액에서 성숙하는 조혈(혈액 형성) 세포에서 발생한다.[124] 생식세포종양은 다능성 세포에서 유래하며, 주로 고환이나 난소에서 나타난다. 모세포종은 미성숙한 "전구" 세포 또는 배아 조직에서 유래한다.

암은 일반적으로 기원 기관이나 조직의 라틴어 또는 그리스어 단어를 어근으로 하고, 접미사로 "-암종", "-육종", "-모세포종"을 붙여 명명한다. 예를 들어 간 실질의 악성 상피 세포에서 발생하는 암은 간암종이며, 원시 간 전구 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은 간모세포종이 된다.

양성 종양은 기관 이름에 "-종" 접미사를 붙여 명명하지만, 흑색종정상피종처럼 일부 암은 "-종" 접미사를 사용하기도 한다.

방추 세포 암종, 소세포 암종과 같이 현미경으로 본 세포의 크기와 모양으로 명명되는 암도 있다.

"암"이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 καρκίνος(카르키노스)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게'와 '종양'을 의미한다. 히포크라테스갈레노스를 비롯한 그리스 의사들은 부푼 정맥이 있는 일부 종양이 게와 닮았다는 점을 언급했다. 이 단어는 1600년경 현대 의학적 의미로 영어에 도입되었다.[25]

6. 1. 발생 부위별

암, 즉 악성종양은 발생 부위에 따라 암종(Carcinoma)육종(Sarcoma)으로 나뉜다.[349] 암종은 점막, 피부 같은 상피성 세포에서 발생한 악성종양을 뜻하고, 육종은 근육, 결합조직, 뼈, 연골, 혈관 등의 비상피성 세포에서 발생한 악성종양을 뜻한다.[349]

  • 위암(胃癌): 에 생기는 암이다. 소금에 절이거나 훈제한 식품, 질산, 아질산염 가공식품이나 그 함량이 높은 채소 또는 , 그리고 맵고 짠 음식이 위암 발생률을 높일 수 있다는 시각이 있다.[350]
  • 간암(肝癌): 원발성 간암은 에 일차적으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의미한다. 병리학적으로 간세포암종, 담관상피암종, 간모세포종, 혈관육종 등 다양한 종류의 원발성 간암이 있으나 간세포암종과 담관상피암종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을 많이 마시는 사람이 주로 걸리는 암이다.
  • 폐암(肺癌): 에 생기는 암이다. 담배를 피우지 않아도 간접 흡연으로 걸릴 가능성도 있다. 그 외에는 유전, 석면, 라돈 가스 등의 영향으로 폐암에 걸리기도 한다.
  • 췌장암(膵臓癌): 췌장암이란 췌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종괴를 말한다. 췌장암에는 여러 종류 중에서도 췌장관에서 발생하는 췌관선암이 90% 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일반적으로 췌장암이라고 하면 췌관선암을 말하는 것이다.
  • 대장암: 대장에 생기는 암으로, 고지방 식사를 하는 사람이 많이 걸리는 암이다.
  • 치종암: 잇몸에서 암세포가 발원되어서 걸리는 암이다.
  • 혈액암: 백혈병 등이 있다. 특정한 종양 부위가 없다.
  • 유방암(乳房癌): 유방 내에만 머무는 양성종양과 달리 유방 밖으로 퍼져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악성 종양이다. 유방에 있는 많은 종류의 세포 중 어느 것이라도 암이 될 수 있으므로 유방암의 종류는 매우 많다. 하지만 대부분의 유방암이 유관(젖줄)과 소엽(젖샘)에 있는 세포 그 중에서도 유관세포에서 기원하므로 일반적으로 유방암이라 하면 유관과 소엽의 상피세포에서 기원한 암을 말한다.
  • 뇌종양, 생식세포종, 교모세포종, 후두암, 식도암, 방광암, 직장암, 구강암, 자궁암, 쓸개암 등: 이 밖에도 뇌종양, 생식세포종, 교모세포종, 후두암, 식도암, 방광암, 직장암, 구강암, 자궁암, 쓸개암 등이 있다. 뇌종양은 '''두뇌암'''이라고도 부른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2005년 세계 5800만 명의 사망자 중 악성 종양으로 인한 사망은 13%(760만 명)를 차지한다. 사망 원인이 된 악성 종양 중 가장 많은 것은 폐암으로 130만 명이며, 위암 100만 명, 간암, 대장암, 유방암이 그 뒤를 잇는다. 악성 종양으로 인한 사망은 계속 증가하여 2030년에는 1140만 명이 악성 종양으로 사망할 것으로 예측된다.

일본의 사망 원인별 사망자 수 비율과 순위에서는 1951년부터 1980년까지 30년 동안 1위였던 뇌혈관질환을 대신하여 1981년부터 2015년까지 35년 연속 1위를 차지했으며,[283][284][285][286][287][288][289] 2015년에는 사망자 수 129만 428명 중 암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37만 131명으로,[288][289] 사망자 총수 대비 비율은 28.7%였다.



발생 부위별 암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292]



“암”은 어린아이나 신생아에게도 발생한다. 육종이 많은 것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영아기 암의 발생 피크 연령은 생후 1년 이내이다. 신경아세포종은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신생아 악성 종양이며, 백혈병 (''Leukemia'')과 중추신경암이 그 다음을 잇는다. 여자 신생아와 남자 신생아는 대체로 같은 발생률을 보인다. 그러나 백인 신생아는 흑인 신생아에 비해 거의 모든 종류의 암에서 발생률이 훨씬 높다.

신생아의 신경아세포종은 생존율이 매우 높고, 윌름스 종양, 망막아세포종도 매우 높지만, 다른 종류는 그렇지 않다.

영아기 암은 다음과 같다.[293]

6. 2. 조직학적 분류

암, 즉 악성종양은 발생 부위에 따라 암종(Carcinoma)육종(Sarcoma)으로 나뉜다.[349] 암종은 점막, 피부 같은 상피성 세포에서 발생한 악성종양을 뜻하고, 육종은 근육, 결합조직, 뼈, 연골, 혈관 등의 비상피성 세포에서 발생한 악성종양을 뜻한다.[349]

암은 종양 세포가 닮은 세포 유형에 따라 분류되며, 이는 종양의 기원을 추정하는 데 사용된다. 주요 유형은 다음과 같다.

암은 일반적으로 기원 기관이나 조직의 라틴어 또는 그리스어 단어를 어근으로 하고, 접미사로 "-암종", "-육종", "-모세포종"을 붙여 명명한다. 예를 들어, 간 실질의 악성 상피 세포에서 발생하는 암은 ''간암종''이며, 원시 간 전구 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은 간모세포종이다. 지방 세포에서 발생하는 암은 ''지방육종''이다. 흔한 암의 경우 영어 기관 이름을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가장 흔한 유방암 유형은 ''유방 유관암''인데, 이는 현미경으로 본 암의 모양이 유선에서 기원했음을 시사한다.

양성 종양은 기관 이름에 "-종" 접미사를 붙여 명명한다. 예를 들어, 평활근 세포의 양성 종양은 ''평활근종''이며, 자궁에서 자주 발생하는 이 양성 종양은 ''근종''이라고도 불린다. 혼란스럽게도 흑색종정상피종처럼 일부 암은 "-종" 접미사를 사용한다.

방추 세포 암종, 소세포 암종과 같이 현미경으로 본 세포의 크기와 모양으로 명명되는 암도 있다.

대부분의 암은 선암이며, 전형적인 조직병리학적 특징을 보이지만, 경우에 따라 크게 다를 수 있다.

7. 진단

암의 진단은 징후나 증상이 나타나거나 검진을 통해 이루어진다.[120] 하지만 확정적인 진단을 위해서는 병리학자가 조직 샘플을 검사해야 한다.[121] 암이 의심되는 사람들은 혈액 검사, X선, (조영증강) CT 스캔, 내시경 검사 등 의학 검사를 받는다.

좌측 폐에 나타난 폐암을 보여주는 흉부 X선 사진


세포유전학면역조직화학과 같은 조직 검사는 돌연변이, 융합 유전자, 수적 염색체 변화와 같은 분자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예후와 최상의 치료법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준다.

암 진단은 심리적 고통을 유발할 수 있으며, 암 환자의 자살 위험은 일반인의 약 두 배이다.[30] 따라서 대화 치료와 같은 심리사회적 개입이 도움이 될 수 있다.[122]

종양학 문서에 조직형 및 각 종양 조직형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암 진단에는 임상 진단(병리 검사)과 집단 검진(수술 후 검진 포함) 두 가지 상황이 있다. 암을 근치하기 위해서는 자각 증상이 없는 단계에서 조기에 발견하고, 완전 절제 수술 가능성을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검진 방법으로는 X선 촬영, 초음파 검사, 컴퓨터 단층 촬영(CT), 자기 공명 영상(MRI),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 골 신티그래피[322], 소화기 내시경 검사[323]가 있다.

암 조직은 현미경 관찰을 통해 형태학적으로 감별된다. 세포진이나 생검조직검사에서 세포핵의 크기와 모양이 불규칙하고, (분화된) 세포의 특징이 소실되어 있으며, 정상적인 조직 구조가 소실되어 있고, 주변 조직과 종양의 경계가 불명확한 것이 관찰된다.

생검조직검사는 과형성, 이형성, 상피내암과 침윤암을 감별하는 데 유용하다.

7. 1. 증상과 신호

암이 시작될 때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종양이 자라거나 궤양이 생기면 징후와 증상이 나타난다. 나타나는 증상은 암의 종류와 위치에 따라 다르며, 특정 증상만으로는 암을 진단하기 어렵다. 많은 증상이 다른 질환에서도 흔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암은 "위대한 모방자"로 여겨지기도 한다.[31]

암의 증상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국소적 증상''': 종양 덩어리, 출혈, 통증, 궤양이 나타날 수 있다. 주변 조직을 누르면 황달 같은 증상이 생길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폐암기관지를 막아 기침이나 폐렴을 유발하고, 식도암식도 협착으로 삼키기 어렵게 만든다. 대장암은 배변 습관에 영향을 주고, 유방이나 고환 종괴는 만져지는 덩어리를 만든다. 궤양은 객혈(폐암), 빈혈 또는 하부 위장관 출혈(대장암), 혈뇨(방광암), 비정상적인 질 출혈(자궁내막암 또는 자궁경부암)을 일으킬 수 있다.[31]

  • '''전이 증상''': 림프절 비대, 기침, 각혈, 간 비대, 뼈 통증 및 손상,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진행된 암은 통증을 유발하지만, 초기에는 통증이 없는 경우가 많다.[31]

  • '''전신 증상''': 체중 감소, 식욕 저하, 피로감, 체중 증가, 체력 감퇴, 과도한 땀, 식은땀, 빈혈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부종양증후군처럼 암 활동 중 호르몬 변화로 인한 특정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31] 호지킨병, 백혈병, 간암 또는 신장암은 지속적인 미열을 유발할 수 있다.[31]


호흡곤란은 암과 그 치료의 흔한 증상이다. 원인으로는 폐 또는 폐 주변 종양, 폐쇄된 기도, 폐에 고인 체액, 폐렴, 알레르기 반응 등이 있다.[34] 말기암 환자의 호흡 곤란 치료에는 선풍기, 양압 환기, 지압/수지침, 다성분 비약물적 중재가 포함될 수 있다.[35]

부종양증후군은 종양이 생성하는 호르몬이나 다른 분자에 의해 발생한다. 흔한 부종양증후군에는 고칼슘혈증(정신 상태 변화, 변비, 탈수 유발), 저나트륨혈증(정신 상태 변화, 구토, 두통, 발작 유발)이 있다.[36]

사람들은 암 진단 후 불안하거나 우울해질 수 있으며, 암 환자의 자살 위험은 일반인의 약 두 배이다.[30]

7. 2. 검진

암 검진은 증상이나 징후가 나타나기 전에 암을 발견하기 위한 노력이다.[159] 여기에는 신체 검사, 혈액 또는 소변 검사, 의료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159]

암 검진은 모든 유형의 암에 대해 가능한 것은 아니며, 검사가 가능하더라도 모든 사람에게 권장되는 것은 아니다. ''전체 검진''은 모든 사람을 검진하는 것이고, ''선별 검진''은 가족력 등 위험 요인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다.[160] 검진의 이점이 위험과 비용을 상회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여러 요소가 고려된다.[159]
검진 시 고려 요소:

  • 검진 검사 자체의 위험성 (예: X선 촬영은 이온화 방사선 노출)
  • 검사의 정확도
  • 암 존재 가능성 (드문 암에는 검진이 유용하지 않음)
  • 후속 절차의 위험성
  • 적절한 치료 가능 여부
  • 조기 발견이 치료 결과를 개선하는지 여부
  • 검진의 수용성 (예: 검사가 고통스러우면 참여 거부 가능성)[160]
  • 비용


미국 예방 서비스 태스크포스(USPSTF)는 다양한 암에 대한 검진 권고안을 발표한다.

  • 65세까지 성관계 경험이 있는 여성은 자궁경부암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161]
  • 50~75세는 대변 잠혈 검사, S상결장경검사, 대장내시경검사 등을 통해 대장암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162]
  • 피부암,[163] 구강암,[164] 폐암,[165] 75세 미만 남성의 전립선암[166] 검진에 대해서는 찬반 근거가 불충분하다.
  • 방광암,[167] 고환암,[168] 난소암,[169] 췌장암,[170] 전립선암[171]에 대한 정기 검진은 권장되지 않는다.
  • 50~74세 여성은 2년마다 유방촬영술을 이용한 유방암 검진을 권장하지만, 유방 자가 검진이나 임상 유방 검진은 권장하지 않는다.[172] 2013년 코크란 검토에서는 유방촬영술에 의한 유방암 검진이 과잉 진단 및 과잉 치료를 유발하여 사망률 감소에 효과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173]


일본에서는 위암 발병률이 높아 흉부 X선 사진을 이용한 위암 검진을 시행한다.[23]

유전자암 종류
BRCA1, BRCA2유방암, 난소암, 췌장암
HNPCC, MLH1, MSH2, MSH6, PMS1, PMS2결장암, 자궁암, 소장암, 위암, 요로암



특정 암 발생 위험이 높은 사람들을 위한 유전자 검사는 일부 비공식 단체에서 권장한다.[158][174] 이러한 돌연변이 보유자는 강화된 감시, 화학적 예방, 예방적 수술 등을 통해 위험을 줄일 수 있다.[174]

암 진단은 크게 임상 진단(특히 병리 검사)과 집단 검진(수술 후 검진 포함)으로 나뉜다. 암 치료 성공의 핵심은 자각 증상이 없는 단계에서의 조기 발견과 완전 절제 수술 가능성 검증이다. 즉, 집단 검진과 임상 진단이 효과적으로 기능해야 암 치료가 성공할 수 있다. 또한, 완전 절제 수술이 어려운 경우에도 암의 종류에 따라 효과적인 치료법을 선택하기 위해 임상 진단이 중요하다.

검진 방법으로는 X선 촬영, 초음파 검사, 컴퓨터 단층 촬영(CT), 자기 공명 영상(MRI),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 골 신티그래피[322], 소화기 내시경 검사[323] 등이 있다.

완전 절제 수술 후에도 재발암, 이차성 암 발생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기적인 수술 후 검진이 중요하다.

8. 병기

암세포는 접촉 저해 성질을 잃어 이웃 세포에 닿아도 증식을 멈추지 않고 서로의 세포 위에 쌓여 성장을 계속하며, 무한히 증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294][295] 암세포는 접촉 저해 소실, 증식 인자 의존성 저하, 부착 독립적 증식 능력 획득, 불멸화, 전이 능력 획득, 탈분화 발현 등의 특징을 보이며, 이는 과도한 증식 항진의 결과이다.[296]

종양 개시와 발암 촉진에 의해 세포 증식이 일어나 과형성이 되면, 세포자살 기전이 작용하여 세포 증식이 억제된다. 그러나 세포 사멸이 진행되어 세포 수가 감소하면, 체내에서 세포 사멸이 억제되고 세포 증식이 촉진된다. 방사선 유발 림프종 실험에서 세포 사멸이 일어나기 쉬운 동물 계통이 림프종 발생이 쉬운데, 이는 세포 사멸 억제 및 세포 증식 촉진이 암화의 계기가 됨을 보여준다. 바이러스 감염(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 유두종 바이러스(HPV), 인간 T세포 백혈병 바이러스, B형 및 C형 간염 바이러스) 및 화학 물질에 의한 발암도 방사선 유발 발암과 유사하게 세포 사멸 항진 후 억제가 암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암 억제 유전자 p53은 DNA 손상 복구를 돕지만, 손상 복구가 불가능한 경우 세포 사멸을 유발하여 세포를 제거한다. p53 이상은 세포 사멸을 어렵게 하여 발암으로 이어질 수 있다.[297]

악성종양(암)은 세포 DNA 특정 부위에 여러 이상이 누적되어 발생하는데, 유전자 변이는 정상적인 세포 분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바이러스, 화학물질, 방사선(환경방사선, 인공 방사선, X선 검사나 CT 스캔에 의한 의료 방사선 피폭[298]) 등에 의해 발생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건강한 생체 내에서는 DNA 복구 기전, 세포 면역 등이 악성 종양을 복구하거나 억제,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악성 종양이 이미 존재하는 경우, DNA 복구 기전이나 세포 면역 이상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수두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는 것과 같이 명확한 인과 관계를 설명하기 어렵다.

암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방법에는 TNM 분류와 병기 분류가 있다.

8. 1. TNM 분류

암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TNM 분류와 병기 분류가 있다.

T(tumor, 종양), N(nodes, 림프절), M(metastasis, 전이)의 세 가지 관점에서 진행 정도를 분류한 것이다. T1~4, N0~3, M0~1의 조합으로 표현한다.

8. 2. 병기 분류

암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방법에는 TNM 분류와 병기 분류(Stage)가 있다.

TNM 분류는 암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국제적인 기준이며, 다음 세 가지 요소를 기반으로 한다.

  • T (Tumor, 종양): 원발 종양의 크기와 주변 조직 침범 정도
  • N (Node, 림프절): 주변 림프절 전이 여부와 정도
  • M (Metastasis, 전이): 다른 장기로의 전이(원격 전이) 여부


이 세 가지 요소를 조합하여 암의 진행 정도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병기 분류는 TNM 분류를 바탕으로 암의 진행 및 확산 정도를 종합하여 나타내는 방법이다. 임상적 분류로, "임상 병기 분류"라고도 한다.

  • 0기: 상피내암으로, 암세포가 상피 내에만 존재한다. 림프절 전이는 없다.
  • 1기: 암세포가 상피를 넘어 기저막을 뚫고 성장했지만, 근육층에 국한되어 있다. 림프절 전이는 없다.
  • 2기: 암세포가 근육층을 넘어 침윤했지만 림프절 전이는 없다. 또는, 종양의 크기는 작지만 림프절 전이가 조금 있다.
  • 3기: 암세포가 주변 조직으로 상당히 침윤했고, 림프절 전이도 있다.
  • 4기: 암세포가 처음 발생한 장기를 넘어 다른 장기로 전이(원격 전이)되었다. 4기는 말기암과는 달리 다양한 치료법이 존재하며, 의료 기술의 발전에 따라 치료 선택지가 늘어나고 있다.[325]


TNM 분류와 마찬가지로, 각 장기별로 세부적인 분류 기준이 있어 위에 제시된 분류보다 더 자세하게 분류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위암의 경우 TNM 분류와 병기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326]

위암의 진행도 분류(TNM 분류)와 병기
N0
림프절 전이 없음
N1
위 영역 림프절(※) 중,
1~2개에 전이
N2
위 영역 림프절 중,
3~6개에 전이
N3
위 영역 림프절 중,
7개 이상에 전이
M1
위 영역 림프절 이외의
림프절에 전이
T1a (M)
위 점막에 국한됨
IIIIIIIV
T1b (SM)
위 점막하층에 도달
I
T2 (MP)
위 근육층에 도달
IIIIIIII
T3 (SS)
위 근육층을 넘어,
장막하층에 도달
IIIIIIIIII
T4a (SE)
암이 장막을 넘어,
위 표면에 나타남
IIIIIIIIIII
T4b (SI)
암이 위 표면에 나타난 데다,
다른 장기에도 암이 이어짐
IIIIIIIIIII



※ 위 근처에 있어 전이가 쉬운 림프절로, 일본 임상외과학회의 『위 치료 가이드라인』에서는 13개의 림프절을 “영역 림프절”이라고 한다.

9. 치료

암은 초기에 발견하면 절제 수술만으로 완치가 가능하며 재발률도 낮다. 조기 발견이 중요한 이유는 암 조직을 쉽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암의 경우 일부 국가에서 항암 치료제 개발이 진행 중이며, 폐암 등도 연구가 활발하다. 특히 여성에게 흔한 유방암은 조기 발견 시 절제 수술만으로 치료가 가능하지만, 전이가 시작되면 사망율이 높아진다. 흡연, 음주 등을 피하고 조기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암 치료의 목적은 암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완치)일 수도 있고, 증상 완화나 생명 연장일 수도 있다. 어떤 치료법을 선택할지는 암의 종류, 위치, 진행 정도, 그리고 환자의 건강 상태와 선호도에 따라 결정된다.

자궁경부암HPV 백신 접종으로 발병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위암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치료, B형 간염은 엔테카비르를 사용한 HBV 바이러스 감소, C형 간염인터페론 치료를 통해 HCV를 제거함으로써 발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암 진단에는 임상 진단(특히 병리 검사)과 집단 검진(암 검진, 수술 후 검진 포함) 두 가지 상황이 있다. 암을 근치하기 위해서는 자각 증상이 없는 단계에서 조기에 발견하고, 완전 절제 수술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검진 방법으로는 X선 촬영, 초음파 검사, 컴퓨터 단층 촬영(CT), 자기 공명 영상(MRI),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 골 신티그래피[322], 소화기 내시경 검사[323] 등이 있다.

암세포는 혈관신생을 유도하여 많은 혈관을 만들지만, 이렇게 생성된 혈관은 가늘고 취약하다. 따라서 혈관 신생을 억제하거나, 암에 뻗은 혈관을 정상화하여 항암제가 암세포에 잘 전달되도록 하는 치료법이 연구되고 있다.

직장암으로 항문 가까이 암이 발생한 경우 인공항문(소화기 스토마)이 만들어질 수 있다. 방광암으로 방광과 요도를 제거해야 하는 경우 인공방광을 만들고 소변 배출구인 요로 출구(요로 스토마)를 만든다. 수술 후 스토마 관리에 대한 충분한 교육을 받고 퇴원한다.

앞부분에 둥근 구멍을 내는 기관공은, 호흡곤란이 있을 때 숨을 쉴 수 있도록 기관절개술을 통해 만들어진다. 영구 기관공을 설치하면 목에 구멍이 남게 되며, 목욕 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고, 성대 절제로 목소리가 나오지 않게 되며, 식사 시 후각을 상실하는 등의 영향이 있다.

유방암 치료에서는 항암제와 방사선 치료를 병행하여 유방을 보존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절제 수술을 받은 경우 다양한 인공 유방을 사용할 수 있다.

두경부암 치료 시에는 얼굴 일부 기능이 손상되거나 상실될 수 있다. 재건술도 많이 시행되며, 상실된 얼굴 부위에 따라 의치(에피테제)를 제작할 수 있다.

뼈암(골육종)이 팔다리에 발생한 경우, 과거에는 절단이 불가피했지만 최근에는 절단 없이 종양을 제거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절단하는 경우 사용하는 의족(義肢)의 기능도 크게 향상되었다.

암 치료로 인해 손실된 장기의 기능을 완전히 보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위암으로 위를 전부 절제한 경우, 조금씩 시간을 두고 여러 번 나눠 먹는 방법으로 대처해야 한다. 갑상선암으로 갑상선을 전부 절제한 경우에는 평생 갑상선호르몬제를 복용해야 한다.

9. 1. 치료의 종류

암의 치료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주요 방법으로는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호르몬 요법, 표적 치료, 완화 의료가 있다. 어떤 치료법을 사용할지는 암의 종류, 위치, 등급뿐만 아니라 환자의 건강 상태와 선호도에 따라 달라진다.

  • '''수술''': 암이 발생한 조직의 전체 혹은 일부를 제거하여 확실한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암은 다른 장기로 쉽게 전이될 수 있기 때문에 전이가 일어난 암은 수술로 치료하기 어렵다.[351]
  • '''항암 화학 요법''': 항암제와 같은 약물을 이용하여 전신에 퍼진 암세포를 치료한다. 암세포가 계속적으로 분열하는 특성에 착안하여, 세포 분열 주기의 일부분을 억제하여 암세포를 죽인다.[351]
  • '''방사선 치료''': 방사선을 이용해 세포 DNA의 나선구조를 파괴하거나 세포막에 작용하여 암세포를 죽인다. 그러나 골수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351]
  • '''조혈모세포 이식''': 백혈병, 악성 림프종 등 혈액 종양을 치료하기 위해 암세포와 환자 자신의 조혈모세포를 제거한 다음 새로운 조혈모세포를 이식한다. 재생 불량성 빈혈, AIDS같은 악성 혈액 질환에도 건강한 사람의 조혈모세포를 이식하여 치료할 수 있다.[351]
  • '''면역 요법''': 항암 약물 치료나 방사선 치료로 인한 정상 조직의 손상 등의 부작용을 줄이면서 면역기전을 이용해서 암세포를 제거한다. 면역 요법은 능동 면역과 수동 면역으로 나눌 수 있다. 면역요법에 관여하는 면역세포에는 B세포, 세포독성 T세포, 보조T세포 등의 림프구와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 NK cell), 대식세포가 있다.
  • '''레이저 치료''': 고강도 빛을 사용하여 종양이나 전암성 병변을 축소하거나 파괴한다. 주로 신체 표면이나 내부 장기의 점막에 있는 표재성 암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 '''보완대체암치료법''': 기존 의학의 일부가 아닌 다양한 치료법, 관행 및 제품을 말한다. "보완 의학"은 기존 의학과 함께 사용되는 방법과 물질을 의미하며, "대체 의학"은 기존 의학 대신 사용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일본에서는 1984년에 「암 정복 10개년 종합 전략」, 1994년에 「암 극복 신 10개년 전략」을 책정하고 많은 연구 자금을 투입해 왔다. 2010년대까지 암 치료 성적은 급격히 향상되었다. 많은 암의 경우 초기(1기)라면 90% 이상의 5년 생존율을 보이고 있지만, 췌장암처럼 치료가 어려운 암도 존재한다.

암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다.

2014년 1월, 돗토리대학 의학부는 마이크로RNA를 악성도가 높은 미분화 암에 도입하면, 악성도를 쉽게 상실시킬 수 있고 정상 줄기세포로 형질전환할 수 있다는 획기적인 치료법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331]

“정밀의료”는 “Precision Medicine”의 번역어이다. 환자 개인의 수준에 맞춰 최적의 치료법을 분석·선택하고 시행한다. 최첨단 기술을 이용하여 세포를 유전자 수준에서 분석하고 적절한 약물만을 투여한다.

10. 예방

암 예방은 암 위험을 줄이기 위한 적극적인 조치를 의미한다.[126] 대부분의 암은 환경적 위험 요인 때문에 발생하며, 이 중 상당수는 생활 습관과 관련되어 있어 일반적으로 암은 예방 가능한 것으로 여겨진다.[127] 실제로 흔한 암의 70~90%는 환경적 요인으로 발생하므로 잠재적으로 예방이 가능하다.[128]

담배, 과체중 및 비만, 부실한 식단, 운동 부족, 음주, 성병, 대기 오염과 같은 위험 요인을 피함으로써 암 사망의 30% 이상을 예방할 수 있다.[129] 빈곤 또한 암의 간접적인 위험 요인으로 간주될 수 있다.[130] 그러나 자연 방사선이나 유전 질환과 같이 모든 환경적 요인을 통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요인들은 개인의 노력으로 예방하기 어렵다.

2019년에는 전체 암 사망자의 약 44%(약 450만 명), 약 1억 500만 DALY(장애 조정 생존 연수) 손실이 예방 가능한 위험 요인 때문이었으며, 흡연, 음주, 고BMI(비만)가 주요 원인이었다.[131]

암 위험을 줄이기 위한 식이요법 권장 사항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명확한 증거는 아직 부족하다.[10][132] 비만과 음주는 암 위험을 높이는 주요 식이 요인이다. 과일 및 채소 섭취 부족, 붉은 고기 섭취 과다 등이 암과 관련되어 있다는 주장이 있지만, 연구 결과는 일관되지 않다.[133][134] 2014년 메타 분석에서는 과일 및 채소와 암 사이의 연관성을 발견하지 못했다.[135] 커피는 간암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으며,[136] 붉은 고기나 가공육 과다 섭취는 유방암, 결장암, 췌장암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고온 조리 시 발생하는 발암 물질 때문일 수 있다.[137][138] 2015년 IARC는 가공육(베이컨, , 핫도그, 소시지 등) 섭취와 붉은 고기 섭취가 일부 암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했다.[139][140]

일반적으로 암 예방을 위한 식단에는 채소, 과일, 통곡물, 생선을 충분히 섭취하고, 가공육 및 붉은 고기(소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동물성 지방, 절임 음식, 정제된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는 것이 권장된다.[10][132]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는 대장암 위험을 줄이지만, 심혈관 및 위장계 부작용 때문에 예방 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다.[142] 아스피린은 암 사망 위험을 약 7%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43] COX-2 억제제는 가족성 선종증 환자의 용종(polyp) 발생률을 낮추지만, NSAIDs와 유사한 부작용이 있다.[144] 타목시펜 또는 랄록시펜은 고위험 여성의 유방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145] 피나스테리드와 같은 5α-환원효소 억제제의 효과는 불분명하다.[146]

비타민 보충제는 암 예방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147] 낮은 비타민 D 수치가 암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지만,[148][149][150] 비타민 D 보충제의 예방 효과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51][152] 베타카로틴 보충제는 고위험군의 폐암 발생률을 높이고,[154] 엽산 보충제는 대장암 예방에 효과가 없으며 대장 용종을 증가시킬 수 있다.[155] 셀레늄 보충제 역시 암 위험 감소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156]




10. 1. 생활 습관 개선

식단, 앉아 있는 생활 방식, 그리고 비만은 암 사망의 최대 30~35%와 관련이 있다.[6][59] 미국에서는 과체중이 여러 유형의 암 발생과 관련이 있으며 암 사망의 14~20%에 영향을 미친다.[59] 영국 연구에 따르면, 높은 체질량 지수는 최소 10가지 유형의 암과 관련이 있으며 매년 약 12,000건의 암 발생 원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60] 신체 활동 부족은 체중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면역 체계와 내분비계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통해 암 위험에 기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59]

특정 식품은 특정 암과 관련이 있다. 고염분 식단은 위암과 관련이 있다.[61] 흔한 식품 오염 물질인 아플라톡신 B1은 간암을 유발한다.[61] 빈랑 나무 열매 씹기는 구강암을 유발할 수 있다.[61] 식습관의 국가적 차이는 암 발생률의 차이를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암은 고염분 식단으로 인해 일본에서 더 흔하며,[62] 결장암은 미국에서 더 흔하다.

암 예방을 위한 식이 요법 권장 사항에는 일반적으로 채소, 과일, 통곡물 및 생선을 강조하고 가공육 및 붉은 고기(소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동물성 지방, 절임 음식 및 정제된 탄수화물을 피하는 것이 포함된다.[10][132]

WHO와 국제암연구기관(IARC)는 생활 습관과 암의 관련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보고하였다.[308]

생활 습관과 암의 관련성[309]
(WHO/IARC)
관련의 강도위험을 낮추는 것(부위)위험을 높이는 것(부위)
확실신체 활동(결장)담배(구강, 인두, 후두, 식도, 위, 폐, 췌장, 간, 신장, 요로, 방광, 자궁경부, 골수성 백혈병)
타인의 담배 연기(폐)
과체중과 비만(식도<선암>, 결장, 직장, 유방<폐경 후>, 자궁체부, 신장)
음주(구강, 인두, 후두, 식도, 간, 유방),
아플라톡신(간)
중국식 염장어(:zh:鹹魚(비인두))
가능성 대채소·과일(구강, 식도, 위, 결장, 직장)
신체 활동(유방)
저장육(결장, 직장)
염장품 및 식염(위)
뜨거운 음식물(구강, 인두, 식도)
가능성 있음
데이터 부족
식이섬유, 대두, 어류, ω-3 지방산,
카로티노이드, 비타민 B2, 비타민 B6,
엽산, 비타민 B12, 비타민 C, 비타민 D,
비타민 E, 칼슘, 아연, 셀레늄,
비영양성 식물 기능 성분
(예: 알리움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이소플라본, 리그난)
동물성 지방(※동물성 지방이 암의 원인임을 보여주는 증거는 없음[310])
복소환식 아민
다환방향족 탄화수소
니트로소 화합물



흡연과 암의 상관관계는 수십 년에 걸친 연구에서 일관되게 밝혀지고 있다. 미국에서 폐암으로 인한 사망률과 담배 소비량 증가 패턴은 거울처럼 일치하며, 흡연이 증가하면 폐암 사망률도 급격히 증가했다. 와타나베 마사루(渡邊昌)는 "일본 정부가 일본담배산업(JT) 주식의 절반 이상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흡연 규제나 금연 관련 움직임이 더디다"고 지적했으며,[299] 암 사망률 1위는 폐암이다.

후생노동성은 「식생활의 서구화」[300]가 암으로 인한 사망자 증가의 원인이라고 생각하고 있다.[284][285][286][287][288][289][301][302]

1978년, 일본 국립암센터는 “암을 예방하기 위한 12가지 조항”을 제창했다.[273][319] 2011년에 암 연구 진흥 재단이 “암을 예방하기 위한 새로운 12가지 조항”으로 개정판을 발표했다.[320]

개정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담배를 피우지 않는다.

# 다른 사람의 담배 연기를 피한다.

# 술은 적당히 마신다.

# 균형 잡힌 식생활을 한다.

# 짠 음식은 적게 먹는다.

# 채소와 과일을 충분히 섭취한다.

# 적당히 운동한다.

# 적절한 체중을 유지한다.

# 바이러스와 세균 감염 예방 및 치료.

# 정기적인 암 검진을 받는다.

# 신체 이상을 감지하면 즉시 진료를 받는다.

# 정확한 암 정보를 통해 암에 대해 알아본다.

10. 2. 예방 접종

일부 발암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는 백신이 개발되었다.[157]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가다실 및 서바릭스)은 자궁경부암 발생 위험을 감소시킨다.[157] B형 간염 백신은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여 간암 위험을 감소시킨다.[157] 자원이 허용되는 경우 인유두종바이러스 및 B형 간염 백신 접종이 권장된다.[158]

일부 악성종양(암)의 경우, 바이러스세균 감염이 발생의 중요한 원인으로 밝혀졌다.

2005년 11월, 스웨덴의 말뫼 대학교가 발표한 연구에서는, 인유두종바이러스(HPV)에 감염된 사람과의 예방 수단을 사용하지 않은 구강 성교는 구강암의 위험을 높인다고 시사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암 환자의 36%가 HPV에 감염되어 있었던 반면, 건강한 대조군에서는 1%만 감염되어 있었다.[312]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지에 발표된 최근의 다른 연구는, 구강 성교와 인두암에는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HPV는 자궁경부암의 대부분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이 상관관계는 HPV 감염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는, 생애 동안 1~5명의 파트너와 구강 성교를 한 사람은 전혀 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약 2배, 6명 이상의 파트너와 한 사람은 3.5배의 인두암 위험이 있다고 결론짓고 있다.[313]

10. 3. 정기 검진

증상이나 징후로 인해 시작되는 진단 노력과는 달리, 암 검진은 암이 발생한 후 눈에 띄는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암을 발견하기 위한 노력을 포함한다.[159] 여기에는 신체 검사, 혈액 또는 소변 검사 또는 의료 영상이 포함될 수 있다.[159]

암 검진은 많은 유형의 암에 대해 사용할 수 없다. 검사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도 모든 사람에게 권장되는 것은 아니다. ''전체 검진'' 또는 ''대규모 검진''은 모든 사람을 검진하는 것을 포함한다.[160] ''선별 검진''은 가족력이 있는 사람과 같이 위험이 더 높은 사람을 식별한다.[160] 검진의 이점이 위험과 비용을 능가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여러 요소가 고려된다.[159] 이러한 요소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검진 검사로 인한 가능한 해로움: 예를 들어, X선 영상은 잠재적으로 해로운 이온화 방사선에 노출되는 것을 포함한다.
  • 검사가 암을 정확하게 식별할 가능성
  • 암이 존재할 가능성: 암 검진은 일반적으로 드문 암에는 유용하지 않다.
  • 후속 절차로 인한 가능한 해로움
  • 적절한 치료가 가능한지 여부
  • 조기 발견이 치료 결과를 개선하는지 여부
  • 암이 언젠가 치료가 필요할지 여부
  • 검사가 사람들에게 받아들일 수 있는지 여부: 검진 검사가 너무 부담스러운 경우(예: 매우 고통스러운 경우) 사람들은 참여를 거부할 것이다.[160]
  • 비용


미국 예방 서비스 태스크포스(USPSTF)는 다양한 암에 대한 권고안을 발표한다.

일본에서는 위암 발병률이 높아 위암 검진에 흉부 X선 사진을 사용한다.[23]

11. 역학

방사선 노출은 암의 위험 요소이다. 비흑색종 피부암의 많은 경우가 주로 태양광으로 인한 자외선 때문에 발생한다.[69] 이온화 방사선의 원인에는 의료 영상과 라돈 가스가 있다.[69]

이온화 방사선은 강력한 돌연변이원은 아니지만,[71] 라돈 가스에 대한 주거 노출은 간접 흡연과 유사한 암 위험을 가진다. 방사선은 라돈과 담배 연기처럼 다른 발암 물질과 결합될 때 더 강력한 암 원인이 된다. 어린이는 성인보다 방사선 유발 백혈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두 배나 높으며, 태어나기 전 방사선 노출은 그 효과가 열 배나 된다.[71]

이온화 방사선은 다른 암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어떤 경우에는 두 번째 암을 유발할 수 있다.[71] 또한 일부 종류의 의료 영상에도 사용된다.[72]

태양으로부터의 자외선에 대한 장기간 노출은 흑색종 및 기타 피부 악성 종양으로 이어질 수 있다.[73] 명확한 증거는 자외선, 특히 비이온화 중파 UVB를 세계에서 가장 흔한 암인 대부분의 비흑색종 피부암의 원인으로 확립한다.[73]

휴대전화, 전력 송전 및 기타 유사한 출처의 비이온화 무선 주파수 방사선은 세계보건기구의 국제암연구소에 의해 잠재적 발암 물질로 설명되었으나,[74] 연구에서 휴대전화 방사선과 암 위험 사이의 일관된 연관성을 발견하지 못했다는 사실 등으로 인해 우려를 뒷받침하지 못했다.[75][68][76]

2018년 추산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1,810만 건의 새로운 암 환자가 발생하고 960만 명이 암으로 사망했다.[207] 남성의 약 20%와 여성의 약 17%가 언젠가 암에 걸리고, 남성의 13%와 여성의 9%가 암으로 사망한다.[207] 2008년에는 약 1,270만 건의 암이 진단되었고,[23] 2010년에는 거의 798만 명이 사망했다.[208] 암은 사망 원인의 약 16%를 차지한다.

2018년 기준으로 가장 흔한 암은 폐암(176만 명 사망), 대장암(86만 명), 위암(78만 명), 간암(78만 명), 유방암(62만 명)이다.[3] 암 환자의 절반 이상이 개발도상국에 있다.[23] 1990년에는 암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580만 명이었으나,[208] 주로 개발도상국의 수명 연장과 생활 방식 변화로 인해 사망자 수가 증가했다.[23]

암 발병의 가장 중요한 위험 요인은 나이이다.[209] 침윤성 암 환자 대부분은 65세 이상이다.[209] 암 연구자인 로버트 A. 와인버그에 따르면, "충분히 오래 산다면 결국에는 모두 암에 걸릴 것"이다.[210]

일부 느리게 성장하는 암은 흔하지만 종종 치명적이지 않다. 유럽과 아시아의 부검 연구에 따르면, 사망 당시 최대 36%의 사람들이 진단되지 않은 무해한 갑상선암을 가지고 있었고, 80세가 되면 남성의 80%가 전립선암에 걸린다.[215][216]

세 가지 가장 흔한 소아암백혈병(34%), 뇌종양(23%), 림프종(12%)이다.[217] 미국에서는 1975년부터 2002년 사이에 소아암 발생률이 연간 0.6% 증가했고,[219] 유럽에서는 1978년부터 1997년 사이에 연간 1.1% 증가했다.[217] 미국에서는 1975년부터 2010년 사이에 소아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절반으로 감소했다.[218]

11. 1. 한국의 암 발생 현황

자궁경부암은 발암 위험을 줄일 수 있는 HPV 백신이 일본에서도 허가되었다. 위암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를 제균함으로써 발암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B형 간염은 엔테카비르를 사용하여 HBV 바이러스를 감소시킴으로써, C형 간염인터페론 치료를 통해 HCV를 제거함으로써 발암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12. 사회와 문화

암은 심장부전 등 다른 질병보다 예후가 나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널리 퍼진 공포와 금기의 대상이다. 많은 사람이 암을 언급하기 꺼려하며, 부고에서는 "오랜 질병"과 같은 완곡어법이 사용되기도 한다.[227] 이는 암에 대한 사회적 낙인을 반영한다. 암은 "C-단어"로 불리기도 하며,[228][229][230] 맥밀런 암 지원(Macmillan Cancer Support)은 이러한 표현을 사용하여 질병에 대한 공포를 줄이려 노력한다.[231] 나이지리아에서는 암을 "치유될 수 없는 질병"으로 번역하기도 한다.[232]

이러한 믿음은 암 통계에도 반영된다. 가장 흔한 암인 비흑색종 피부암은 전 세계 암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지만, 사망자는 매우 적다.[233][234] 비흑색종 피부암은 쉽게 치료되고 거의 항상 완치되기 때문에 암 통계에서 제외되기도 한다.[235]

서구에서는 환자의 권리 개념에 따라 환자에게 의학적 상황을 완전히 공개하고, 공동 의사결정에 참여할 권리를 보장한다. 그러나 다른 문화권에서는 다른 가치관이 우선시된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에서는 개인주의보다 가족을 중시하여, 가족 구성원이 진단을 언제 어떻게 공개할지 결정하는 경향이 있다.[232] 아시아와 남미 국가에서도 정보 공개를 더 느리고 솔직하지 않은 방식으로 선호하며, 때로는 암 진단을 듣지 않는 것이 낫다고 믿기도 한다.[232] 20세기에 비해 진단 공개는 더 흔해졌지만, 전 세계적으로 많은 환자에게 예후에 대한 완전한 공개는 제공되지 않는다.[232]

미국 등 일부 문화권에서는 암을 "싸워야" 하는 질병으로 간주하며, 암 정복 전쟁이 선포되기도 했다. 군사적 은유는 암의 인간적 영향에 대한 묘사에 흔히 사용되며, 환자의 건강 상태와 즉각적인 조치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군사적 은유는 과격하고 파괴적인 치료를 합리화하는 데 도움이 되기도 한다.[236][237]

1970년대 미국에서는 암이 나쁜 태도로 인해 발생한다는 생각에 기반한 대체 암 치료법이 인기를 끌었다.[238] "암 성격"을 가진 사람들은 잠재의식적인 욕망을 통해 암을 나타낸다고 믿었다. 일부 정신 치료사들은 치료를 통해 암을 치료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238] 이러한 믿음은 암을 피해자를 비난하고, 자연스러운 감정이 수명을 단축시킨다고 잘못 믿게 했다.[239] 수전 손탁(Susan Sontag)은 ''은유로서의 질병(Illness as Metaphor)''에서 이러한 생각을 비판했다.[238] 현재는 이러한 생각이 터무니없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긍정적인 사고가 생존율을 높인다는 잘못된 믿음으로 남아있다.[239]

암 환자를 비난하는 이유 중 하나는 정의로운 세계 오류이다. 이는 환자의 행동이나 태도에 암을 돌려 통제력을 되찾으려는 심리이다. 세상이 정의롭기 때문에 나쁜 일은 나쁜 사람에게만 일어난다는 믿음에 기초한다.[240]

세계암연구기금(World Cancer Research Fund)과 미국암연구협회(American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는 2007년 11월 1일에 7,000건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음식, 영양, 운동과 암 예방”[316]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1997년에 발표된 보고서를 대폭 업데이트한 것이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항목내용권장 사항
비만BMI 21~23 유지표준 체중 유지
운동매일 빠르게 걷기 30분 이상매일 중강도 신체 활동 60분 이상 또는 고강도 신체 활동 30분 이상
체중 증가 음식고에너지 음식, 설탕 음료, 과일 주스, 패스트푸드 섭취 제한물, , 무가당 커피
식물성 식품매일 야채와 과일 최소 600그램 이상, 비전분성 다당류 및 최소 25g의 식이섬유 섭취매일 야채와 과일 400그램 이상, 정제되지 않은 곡물과 콩 섭취, 정제된 곡물 제한
동물성 식품적색육(소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섭취 제한, 가공육(, 베이컨, 살라미 등) 피하기닭고기생선 권장, 적색육 주 300그램 이하 (권장: 주 500그램 이하), 유제품은 논란
알코올(술)남성 하루 2잔, 여성 하루 1잔 이하
보관, 조리1일 염분 섭취량 5그램 이하짠 음식 피하기, 1일 염분 섭취량 6그램 이하, 곰팡이 핀 곡물과 콩 피하기
영양제영양제에 의존하지 않고 식사로 영양 충족
모유 수유6개월 동안 모유만으로 아이 키우기
암 치료 후생존자는 영양, 체중, 운동 전문가 지도



흡연폐암, 구강암, 방광암의 주요 원인이며, 담배 연기는 많은 부위의 암을 유발하는 원인이다. 담배와 알코올은 상승작용으로 발암물질이 된다. 정신분열증 환자의 암 사망률이 낮다는 보고가 있다.[335]

암을 이해하려는 시도는 고대부터 이어져 왔다.[336] “Cancer”는 고대 그리스어 “Καρκινοσ”()에서 유래한다.[336] "종양학"을 의미하는 "Oncology"의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 "Ογκος"("덩어리")이다. 에베르스 파피루스에도 암에 관한 기록이 있다. 고대 로마갈레노스는 암이 4체액 중 흑담즙 과잉으로 발생한다고 생각했다.[336] 18세기 후반 이후로는 환경 속 독소도 암의 원인 중 하나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36]

19세기 중반, 필라델피아의 외과의사 는 암에 대해 아는 것이 없다고 썼다.[336] 20세기 초, 페이턴 로우스가 육종 실험을 통해 암에 바이러스가 관여할 수 있음을 보였다.[336] 그러나 당시 과학계는 바이러스설을 이단시하여, John Joseph Bittner는 마우스 암이 모유를 통해 전달된다는 것을 발견하고도 “밀크 인자”라고 불렀다.[336] Ludwik Gross도 바이러스가 암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지만, 대부분의 암 연구자는 받아들이지 않았다.[336] 제이콥 퍼스(Jacob Furth (1896-1979))[338]가 그로스의 실험을 재현하여 바이러스설이 과학적으로 검토되기 시작했다.[336] 페이턴 로우스는 1966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336]

1863년 루돌프 피르호(Rudolf Virchow)는 암 병변이 염증 조직에서 발생한다는 가설을 발표했다.[339] 1986년 해롤드 드보락(Harold Dvorak)은 암을 “'wound that does not heal'”(치유되지 않는 상처)로 정의했다.[273]

12. 1. 경제적 영향

2015년 미국의 암 관련 의료비 총액은 802억달러로 추산되었다.[241] 최근 수십 년 동안 암 관련 의료비 지출은 절대적인 측면에서 증가했지만, 1960년대부터 2004년까지 암 치료에 사용된 의료비 비율은 약 5%로 유지되었다.[242][243] 유럽에서도 모든 의료비 지출 중 약 6%가 암 치료에 사용되는 비슷한 양상이 관찰되었다.[244][245]

암은 의료비 외에도 병가, 영구적인 장애, 조기 사망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과 같은 간접 비용을 초래한다. 또한, 암 환자를 돌보는 가족이나 친구들이 겪는 비공식적 돌봄 비용도 발생한다. 이러한 간접 비용과 비공식적 돌봄 비용은 일반적으로 암의 직접적인 의료비와 비슷하거나 더 크다고 추정된다.[246][245]

미국에서는 암이 미국 평등고용기회위원회(EEOC)에 의해 보호되는 질병으로 지정되어 있다.[247] 이는 암이 노동자에게 차별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고용주가 암 환자가 제대로 일을 할 수 없다는 잘못된 믿음을 가지거나, 암 병력을 이유로 채용이나 해고를 결정할 수 있다. EEOC는 고용주를 위한 면접 지침과 암 환자를 위한 가능한 해결책을 제공한다.[247]

한 연구에 따르면 여성은 남성에 비해 암 진단 직후 이혼할 가능성이 약 6배 높았다.[248] 암 생존자의 이혼율은 인종, 연령, 소득, 동반 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49] 다른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암 유형에서 이혼율이 다소 감소했음을 발견했지만, 암이 이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의 연구 이질성과 방법론적 약점을 지적했다.[250]

12. 2. 암 환자와 가족 지원

암 치료 후 가장 큰 관심사는 재발 및 전이 여부이며, 암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그 추이에 있다.[335] 따라서 치료 후에도 담당 의사의 정기적인 검진을 받아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면서 생활을 재건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암 치료는 수술에 의한 절제를 수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치료 후의 생활은 암 자체가 완치된 경우라도 크게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다. 암이 생긴 부위에 따라 치료에 의해 영향을 받는 기능은 천차만별이며, 대처법도 각각 다르다. 일반적으로 절제에 의해 상실되는 신체 기능을 최대한 작게 하고, 상실된 기능을 보충하는 수단을 사용하여 치료 후 삶의 질(QOL, Quality Of Life)을 종래보다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암은 발견부터 투병 중에 이르기까지, 질병 및 죽음에 대한 불안감, 암성 통증으로 인한 고통, 생활 및 경제적 상황에 대한 타격으로 인해 환자 본인과 가족들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준다.

참조

[1] 논문 Cancer Incidence, Mortality, Years of Life Lost, Years Lived With Disability, and Disability-Adjusted Life Years for 29 Cancer Groups From 2010 to 2019: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9 2022-03-00
[2] 웹사이트 Cancer – Signs and symptoms http://www.nhs.uk/Co[...] 2014-06-10
[3] 웹사이트 Cancer https://www.who.int/[...] 2018-09-12
[4] 웹사이트 Obesity and Cancer Risk http://www.cancer.go[...]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2-01-03
[5] 논문 Long-Term Alcohol Consumption and Breast, Upper Aero-Digestive Tract and Colorectal Cancer Ris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05-00
[6] 논문 Cancer is a preventable disease that requires major lifestyle changes 2008-09-00
[7] 논문 Global burden of cancer attributable to infections in 2018: a worldwide incidence analysis https://www.thelance[...] 2020-02-15
[8] 웹사이트 Heredity and Cancer http://www.cancer.or[...] American Cancer Society 2013-07-22
[9] 웹사이트 How is cancer diagnosed? http://www.cancer.or[...] 2013-01-29
[10] 논문 American Cancer Society Guidelines on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for cancer prevention: reducing the risk of cancer with healthy food choices and physical activity
[11] 논문 16. The fraction of cancer attributable to lifestyle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UK in 2010 2011-12-00
[12] 서적 World Cancer Report 2014 http://www.searo.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13] 논문 Screening for breast cancer with mammography 2013-06-00
[14] 웹사이트 Targeted Cancer Therapies https://www.cancer.g[...]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8-02-26
[15] 서적 World Cancer Report 2014 http://www.searo.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16] 웹사이트 SEER Stat Fact Sheets: All Cancer Sites http://seer.cancer.g[...]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4-06-18
[17]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08
[18] 논문 Metabolic Drivers in Hereditary Cancer Syndromes
[19] 서적 World Cancer Report 20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20] 논문 Cancer statistics, 2023 2023-01-00
[21] 논문 Nonmelanoma skin cancer 2013-02-00
[22] 논문 Epidemiology and economic burden of nonmelanoma skin cancer 2012-11-00
[23] 논문 Global cancer statistics 2011-02-00
[24] 서적 World Report 2014 http://www.searo.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25] 웹사이트 cancer https://www.etymonli[...]
[26] 웹사이트 Cancer Glossary http://www.cancer.or[...] American Cancer Society 2013-09-11
[27] 웹사이트 What is cancer? https://www.cancer.g[...]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7-09-17
[28] 논문 The hallmarks of cancer 2000-01-00
[29] 논문 Hallmarks of cancer: the next generation 2011-03-00
[30] 논문 A literature review of suicide in cancer patients 2012-07-00
[31] 기타 Holland Chp. 1
[32] 서적 Cancer rehabilitation principles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Demos Medical
[33] 논문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ancer cachexia: an international consensus 2011-05-00
[34] 웹사이트 Shortness of Breath {{!}} Cancer-related Side Effects https://www.cancer.o[...] 2023-10-10
[35] 서적 Interventions for Breathlessness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http://www.ncbi.nlm.[...]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US) 2020
[36] 논문 Paraneoplastic endocrine syndromes 2017-06-01
[37] 웹사이트 What is Metastasized Cancer? http://www.nccn.com/[...] 2013-07-18
[38] 웹사이트 Metastatic Cancer: Questions and Answers https://www.cancer.g[...]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5-05-12
[39] 웹사이트 Why is cancer so hard to cure? https://www.theage.c[...] 2023-07-15
[40] 웹사이트 Share of cancer deaths attributed to tobacco https://ourworldinda[...] 2020-03-05
[41] 서적 Cancer Mortality and Morbidity Patterns in the U.S. Population: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8-12-28
[42] 논문 Proportion and number of cancer cases and deaths attributable to potentially modifiable risk factors in the United States 2018-01-01
[43] 논문 Ten Surprising Facts About Stressful Life Events and Disease Risk 2019-01-01
[44] 논문 Work stress and risk of cancer: meta-analysis of 5700 incident cancer events in 116,000 European men and women 2013-02-01
[45] 논문 An overview of mutational and copy number signatures in human cancer 2022-07-01
[46] 논문 Transplacental and other routes of cancer transmission between individuals 2003-06-01
[47] 논문 European Consensus Statement on Lung Cancer: risk factors and prevention. Lung Cancer Panel
[48] 논문 Tobacco use and cancer causation: association by tumour type 2002-09-01
[49] 웹사이트 Cancer and Tobacco Use https://www.cdc.gov/[...] 2019-08-27
[50] 논문 Tobacco use, cancer causation and public health impact 2002-06-01
[51] 논문 Tobacco smoking and cancer: a brief review of recent epidemiological evidence 2004-08-01
[52] 논문 How much of the decrease in cancer death rates in the United States is attributable to reductions in tobacco smoking? 2006-10-01
[53] 논문 Update in lung cancer 2007 2008-05-01
[54] 논문 Alcohol attributable burden of incidence of cancer in eight European countries based on results from prospective cohort study 2011-04-01
[55] 논문 Lifestyle-related factors and environmental agents causing cancer: an overview 2007-12-01
[56] 보도자료 WHO calls for prevention of cancer through healthy workplaces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04-27
[57] 웹사이트 Erin Brockovich Blasts U.S. Regulation of Toxic Chemicals https://www.scientif[...] Scientific American 2020-12-28
[58] 뉴스 Environmental Pollutant, PFOA,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Kidney Cancer https://dceg.cancer.[...] 2020-09-24
[59] 논문 American Cancer Society Guidelines on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for cancer prevention: reducing the risk of cancer with healthy food choices and physical activity
[60] 논문 Body-mass index and risk of 22 specific cancers: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of 5·24 million UK adults 2014-08-01
[61] 논문 Aetiology of cancer in Asia http://www.apocpcont[...]
[62] 서적 Cancer Epidemiology
[63] 논문 Cancer Mortality Among Japanese Issei and Nisei of California 1965-05-01
[64] 논문 Why do viruses cause cancer? Highlights of the first century of human tumour virology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10-12-01
[65] 논문 Infectious agents and cancer: criteria for a causal relation 2004-12-01
[66] 논문 HPV-associated diseases
[67] 논문 Chronic bacterial and parasitic infections and cancer: a review http://www.jidc.org/[...] 2010-06-01
[68] 웹사이트 Radiation https://www.cancer.g[...]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5-04-29
[69] 웹사이트 Sunlight https://www.cancer.g[...]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5-04-29
[70] 웹사이트 Cancer prevention https://www.who.int/[...]
[71] 서적 Cancer medicine B.C. Decker
[72] 학술지 Computed tomography—an increasing source of radiation exposure https://repositorio.[...] 2007-11-00
[73] 서적 Holland-Frei Cancer Medicine B.C. Decker 2011-01-31
[74] 웹사이트 IARC classifies radio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s as possibly carcinogenic to humans http://www.iarc.fr/e[...]
[75] 웹사이트 Electromagnetic Fields and Cancer https://www.cancer.g[...]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9-01-07
[76] 웹사이트 Cell Phones and Cancer Risk – National Cancer Institute https://www.cancer.g[...] Cancer.gov 2013-05-08
[77] 학술지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how predictable is a person's cancer risk? 2009-04-00
[78] 학술지 Colorectal cancer 2010-03-00
[79] 학술지 A first-degree relative with colorectal cancer: what are we missing? 2007-01-00
[80] 학술지 Increased risk of lung cancer in individuals with a family history of the disease: a pooled analysis from the International Lung Cancer Consortium 2012-09-00
[81] 학술지 Relative risk of prostate cancer for men with affected relativ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03-12-00
[82] 학술지 Rating the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2003-04-00
[83] 학술지 Height and cancer incidence in the Million Women Study: prospective cohort, and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of height and total cancer risk 2011-08-00
[84] 서적 Holland-Frei Cancer Medicine B.C. Decker 2011-01-31
[85] 서적 Holland-Frei Cancer Medicine B.C. Decker 2011-01-27
[86] review Cancer-related inflammation, the seventh hallmark of cancer: links to genetic instability 2009-07-00
[87] 학술지 Interaction of tumor cells with the microenvironment 2011-09-00
[88] review Molecular pathways linking inflammation and cancer 2010-06-00
[89] review Inflammation and cancer: the oncogene-driven connection 2008-08-00
[90] 서적 Holland-Frei Cancer Medicine B.C. Decker 2011-01-27
[91] 학술지 Circulating insulin-like growth factor peptides and prostate cancer ris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09-05-00
[92] 학술지 Association Between Coeliac Disease and Risk of Any Malignancy and Gastrointestinal Malignancy: A Meta-Analysis 2015-09-00
[93] 학술지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 cancer: The role of inflammation, immunosuppression, and cancer treatment 2016-05-00
[94] 학술지 Oncogenes and cancer 2008-01-00
[95] 학술지 Two genetic hits (more or less) to cancer 2001-11-00
[96] 학술지 Hypoxia and defective apoptosis drive genomic instability and tumorigenesis 2004-09-00
[97] 학술지 Cancer as an evolutionary and ecological process 2006-12-00
[98] 학술지 Epigenetic gene silencing in cancer – a mechanism for early oncogenic pathway addiction? 2006-02-00
[99] 학술지 Epigenetic modifications in cancer 2012-04-00
[100] 학술지 Negative regulation of BRCA1 gene expression by HMGA1 proteins accounts for the reduced BRCA1 protein levels in sporadic breast carcinoma 2003-04-00
[101] 학술지 Epigenetics Offer New Horizons for Colorectal Cancer Prevention 2012-03-00
[102] 학술지 Mutator pathways unleashed by epigenetic silencing in human cancer 2007-07-00
[103] 학술지 Epigenetic changes of DNA repair genes in cancer 2011-02-00
[104] 학술지 Epigenetic field defects in progression to cancer 2013-03-00
[105] 학술지 Elevated levels of mutation in multiple tissues of mice deficient in the DNA mismatch repair gene Pms2 1997-04-00
[106] 논문 Differing patterns of genetic instability in mice deficient in the mismatch repair genes Pms2, Mlh1, Msh2, Msh3 and Msh6 2006-12-00
[107] 논문 Disruption of Brca2 increases the spontaneous mutation rate in vivo: synergism with ionizing radiation 2002-03-00
[108] 논문 Bloom's syndrome. I. Genetical and clinical observations in the first twenty-seven patients 1969-03-00
[109] 논문 Double strand breaks can initiate gene silencing and SIRT1-dependent onset of DNA methylation in an exogenous promoter CpG island 2008-08-00
[110] 논문 DNA damage, homology-directed repair, and DNA methylation 2007-07-00
[111] 논문 Li-fraumeni syndrome 2011-04-00
[112] 논문 Human cancer syndromes: clues to the origin and nature of cancer 1997-11-00
[113] 논문 Cancer genome landscapes 2013-03-00
[114] 논문 Energy metabolism of cancer: Glycolysis versus oxidative phosphorylation (Review)
[115] 논문 Cancer as a metabolic disease
[116] 논문 The promise and peril of targeting cell metabolism for cancer therapy
[117] 논문 The emerging role of targeting cancer metabolism for cancer therapy
[118] 논문 The Emerging Hallmarks of Cancer Metabolism
[119] 논문 Metabolic Adaptations in Cancer Stem Cells
[120] 웹사이트 Cancer Screening Guidelines {{!}} Detecting Cancer Early https://www.cancer.o[...] American Cancer Society 2022-03-14
[121] 서적 Holland-Frei Cancer Medicine https://www.ncbi.nlm[...] BC Decker
[122] 논문 Psychosocial interventions to improve quality of life and emotional wellbeing for recently diagnosed cancer patients 2012-11-00
[123] 뉴스 Why Some People Keep Serious Illnesses Private https://www.nytimes.[...] 2024-01-10
[124] 서적 A cancer source book for nurses https://books.google[...]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125] 웹사이트 Lung – Small cell carcinoma https://www.patholog[...] 2022-09-20
[126] 웹사이트 Cancer prevention: 7 steps to reduce your risk http://www.mayoclini[...] Mayo Clinic 2008-09-27
[127] 논문 Causes of cancer in the world: comparative risk assessment of nine behavioural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2005-11-00
[128] 논문 Substantial contribution of extrinsic risk factors to cancer development 2016-01-00
[129] 웹사이트 Cancer https://www.who.int/[...]
[130] 논문 Poverty as a risk factor in human cancers 2013-00-00
[131] 논문 The global burden of cancer attributable to risk factors, 2010-19: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9 2022-08-00
[132] 논문 Diet and cancer 2011-09-00
[133] 논문 Diet, obesity and breast cancer: an update 2012-01-00
[134] 논문 Fruit and vegetables and cancer risk 2011-01-00
[135] 논문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mortality from all causes,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systematic review and dose-response meta-analysis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2014-07-00
[136] 논문 Coffee consumption and risk of liver cancer: a meta-analysis http://www.gastrojou[...] 2007-05-00
[137] 논문 Well-done meat intake, heterocyclic amine exposure, and cancer risk
[138] 논문 Meat and cancer 2010-02-00
[139] 뉴스 World Health Organization – IARC Monographs evaluate consumption of red meat and processed meat http://www.iarc.fr/e[...] 2015-10-26
[140] 뉴스 W.H.O. Report Links Some Cancers With Processed or Red Meat https://www.nytimes.[...] 2015-10-26
[141] 서적 Holland Chp.33
[142] 논문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d cyclooxygenase-2 inhibitors for primary prevention of colorectal cancer: a systematic review prepared for th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2007-03-06
[143] 논문 Effect of daily aspirin on long-term risk of death due to cancer: analysis of individual patient data from randomised trials 2011-01-01
[144] 논문 Chemoprevention of colorectal cancer: systematic review and economic evaluation 2010-06-01
[145] 논문 Chemoprevention of breast cancer 2008-12-01
[146] 논문 Five-alpha-reductase Inhibitors for prostate cancer prevention 2008-04-01
[147] 논문 Vitamins and minerals: not for cancer or cardiovascular prevention http://english.presc[...] 2010-08-01
[148] 논문 Prospective study of predictors of vitamin D status and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in men 2006-04-01
[149] 웹사이트 Vitamin D Has Role in Colon Cancer Prevention http://www.cancer.or[...] 2007-07-27
[150] 논문 Vitamin D, sunlight and cancer connection 2013-01-01
[151] 논문 Vitamin D status and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something new under the sun 2006-04-01
[152] 논문 The effect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skeletal, vascular, or cancer outcomes: a trial sequential meta-analysis 2014-04-01
[153] 논문 Vitamin D supplementation for prevention of mortality in adults 2014-01-01
[154] 논문 Vitamin A and retinoid derivatives for lung canc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2011-01-01
[155] 논문 Folic acid for the prevention of colorectal adenoma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2007-06-01
[156] 논문 Selenium for preventing cancer 2018-01-01
[157] 웹사이트 Cancer Vaccine Fact Sheet NCI 2006-06-08
[158] 논문 Cancer prevention in Asia: resource-stratified guidelines from the Asian Oncology Summit 2013 2013-11-01
[159] 웹사이트 Cancer Screening Overview (PDQ®)–Patient Version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0-01-13
[160] 간행물 Principles and practice of screening for disease. https://web.archive.[...] World Health Organization 1968-01-01
[161] 웹사이트 Screening for Cervical Cancer http://www.usprevent[...] 2003-01-01
[162] 웹사이트 Screening for Colorectal Cancer http://www.usprevent[...] 2008-01-01
[163] 웹사이트 Screening for Skin Cancer http://www.usprevent[...] 2009-01-01
[164] 웹사이트 Screening for Oral Cancer http://www.usprevent[...] 2004-01-01
[165] 웹사이트 Lung Cancer Screening http://www.usprevent[...] 2004-01-01
[166] 웹사이트 Screening for Prostate Cancer http://www.usprevent[...] 2008-01-01
[167] 웹사이트 Screening for Bladder Cancer http://www.usprevent[...] 2004-01-01
[168] 웹사이트 Screening for Testicular Cancer http://www.usprevent[...] 2004-01-01
[169] 웹사이트 Screening for Ovarian Cancer http://www.usprevent[...] 2004-01-01
[170] 웹사이트 Screening for Pancreatic Cancer http://www.usprevent[...] 2004-01-01
[171] 논문 Screening for prostate cancer: a review of the evidence for th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United State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2011-12-01
[172] 웹사이트 Screening for Breast Cancer http://www.usprevent[...] 2009-01-01
[173] 논문 Screening for breast cancer with mammography 2013-06-01
[174] 논문 The clinical management of BRCA1 and BRCA2 mutation carriers 2008-01-01
[175] 논문 Principles of cytotoxic chemotherapy 2008-01-01
[176] 서적 Combination Chemotherapy https://www.ncbi.nlm[...] 2003-04-04
[177] 학술지 Combination versus sequential single agent chemotherapy for metastatic breast cancer 2013-12-01
[178] 학술지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current treatment approaches 2012-05-01
[179] 학술지 Follicular lymphoma: 2012 update on diagnosis and management 2012-10-01
[180] 학술지 The present and future management of malignant brain tumours: surgery, radiotherapy, chemotherapy 2004-06-01
[181] 학술지 Non-melanoma skin cancer 2010-02-01
[182] 학술지 Mitotic catastrophe: a mechanism for avoiding genomic instability 2011-06-01
[183] 서적 Walter and Miller's Textbook of Radiation therapy
[184] 웹사이트 tumour radiosensitivity – General Practice Notebook http://www.gpnoteboo[...]
[185] 웹사이트 Radiotherapy https://patient.info[...] Patient UK 2015-12-23
[186] 학술지 Advances in kilovoltage x-ray beam dosimetry 2014-03-01
[187] 웹사이트 Radiation Therapy for Brain Metastases: A Systematic Review https://www.pcori.or[...] 2019-08-13
[188] 서적 Holland Chp. 41
[189] 서적 Holland Chp. 40
[190] 웹사이트 Five Things Physicians and Patients Should Question http://choosingwisel[...] 2012-08-14
[191] 웹사이트 NCCN Guidelines http://www.nccn.org/[...]
[192] 웹사이트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Quality Palliative Care http://www.nationalc[...] The National Consensus Project for Quality Palliative Care (NCP)
[193] 학술지 Palliative car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n oncology 2006-09-01
[194] 학술지 Immunotherapy: past, present and future https://zenodo.org/r[...] 2003-03-01
[195] 웹사이트 Lasers in Cancer Treatment https://www.cancer.g[...]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1-09-13
[196] 학술지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for cancer http://theoncologist[...]
[197] 웹사이트 What Is CAM? http://nccam.nih.gov[...] 2008-02-03
[198] 학술지 Alternative cancer cures: "unproven" or "disproven"?
[199] 웹사이트 Three measures of cancer mortality https://ourworldinda[...] 2020-03-07
[200] 학술지 Investigating Tumor Heterogeneity in Mouse Models 2020-03-01
[201] 서적 World Cancer Report 2014 http://www.searo.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07-12
[202] 서적 Holland-Frei Cancer Medicine https://archive.org/[...] BC Decker
[203] 학술지 Quality of life data as prognostic indicators of survival in cancer patients: an overview of the literature from 1982 to 2008 2009-12-01
[204] 학술지 Parenteral anticoagulation in ambulatory patients with cancer 2017-09-01
[205] 학술지 The spontaneous remission of cancer: Current insights and therapeutic significance 2021-09-01
[206] 웹사이트 Cancer death rates https://ourworldinda[...] 2019-10-04
[207] 웹사이트 Latest global cancer data: Cancer burden rises to 18.1 million new cases and 9.6 million cancer deaths in 2018 https://www.iarc.fr/[...] 2018-12-05
[208] 학술지 Global and regional mortality from 235 causes of death for 20 age groups in 1990 and 2010: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https://zenodo.org/r[...] 2012-12-01
[209] 서적 Molecular Pathology: The Molecular Basis of Human Disease Elsevier Academic Press
[210] 뉴스 Unearthing Prehistoric Tumors, and Debate https://www.nytimes.[...] 2010-12-28
[211] 논문 Immunosenescence and cancer 2010-08-01
[212] 서적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Garland Science
[213] 논문 Relationships between cancer and aging: a multilevel approach 2009-08-01
[214] 논문 How ageing processes influence cancer 2013-05-01
[215] 서적 Cancer Epidemiology and Preven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6-08-24
[216] 서적 Urological Surgical Pathology https://books.google[...] Mosby
[217] 논문 Epidemiology of childhood cancer 2010-06-01
[218] 논문 Childhood and adolescent cancer statistics, 2014 2014-01-01
[219] 논문 Interpreting cancer trends 2006-09-01
[220] 논문 A note from history: landmarks in history of cancer, part 1 2011-03-01
[221] 웹사이트 Galen on Cancer http://www.cancerdec[...] CancerDecisions
[222] 서적 Cells, Tissues, and Disease: Principles of General Pathology: Principles of General Path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08-12
[223] 논문 A note from history: landmarks in history of cancer, part 2 2011-06-01
[224] 서적 A history of the breast https://books.google[...] Ballantine Books
[225] 논문 A note from history: landmarks in history of cancer, part 3 2012-02-01
[226] 논문 Campbell De Morgan's 'Observations on cancer', and their relevance today 2002-06-01
[227] 뉴스 Welcome to Cancerland http://www.barbaraeh[...] 2001-11-01
[228] 논문 Confronting the "C" Word: Cancer and Death in Philip Roth's Fiction https://muse.jhu.edu[...] 2015-03-20
[229] 뉴스 The C-Word review – a wonderful testament to a woman who faced cancer with honesty, verve and wit https://www.theguard[...] 2015-05-04
[230] 뉴스 Avoiding the 'C' Word for Low-Risk Thyroid Cancer https://www.medscape[...]
[231] 뉴스 The C word: how we react to cancer today https://www.networks[...]
[232] 서적 Handbook of Psychiatry in Palliative Medicin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233] 서적 Dermatology: 2-Volume Set Mosby
[234] 웹사이트 Skin cancers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35] 서적 Molecular therapeutics: 21st-century medicine https://books.google[...] J. Wiley
[236] 서적 Researching and Applying Metaph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7] 서적 Pink Ribbon Blues: How Breast Cancer Culture Undermines Women's Healt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38] 서적 Bathsheba's Breast: Women, Cancer, and History https://books.google[...] JHU Press
[239] 서적 Bright-sided: How the Relentless Promotion of Positive Thinking Has Undermined America https://books.google[...] Henry Holt and Company
[240] 뉴스 A Sick Stigma: Why are cancer patients blamed for their illness? http://www.slate.com[...] 2013-09-24
[241] 웹사이트 Economic Impact of Cancer https://www.cancer.o[...] 2018-01-03
[242] 논문 The economics of cancer care in the UK
[243] 논문 Projections of the cost of cancer care in the United States: 2010–2020
[244] 논문 The cost and burden of cancer in the European Union 1995–2014
[245] 논문 The cost of cancer in Europe 2018
[246] 논문 Economic burden of cancer across the European Union: a population-based cost analysis
[247] 웹사이트 Questions & Answers about Cancer in the Workplace and the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ADA) https://www.eeoc.gov[...] U.S.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
[248] 논문 Gender disparity in the rate of partner abandonment in patients with serious medical illness 2009-11-00
[249] 논문 Gender differences in associations between cancer-related problems and relationship dissolution among cancer survivors 2016-10-00
[250] 논문 A Systematic Review: The Effect of Cancer on the Divorce Rate 2022-03-09
[251] 웹사이트 What Is Cancer? https://www.cancer.g[...]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7-09-17
[252] 웹사이트 Cancer Fact Sheet http://www.atsdr.cdc[...] Agency for Toxic Substances & Disease Registry 2002-08-30
[253] 웹사이트 Exciting New Cancer Treatments Emerge Amid Persistent Myths http://www.livescien[...] 2006-09-16
[254] 논문 Cutting off cancer's supply lines 2009-04-00
[255] 논문 Use of anti-VEGF adjuvant therapy in cancer: challenges and rationale 2010-03-00
[256] 논문 Repurposing Strategies for Therapeutics
[257] 논문 Drug-Diagnostic Co-Development in Cancer
[258] 웹사이트 Rethinking the War on Cancer http://www.newsweek.[...] 2008-09-16
[259] 뉴스 Advances Elusive in the Drive to Cure Cancer https://www.nytimes.[...] 2009-04-23
[260] 논문 Rescuing US biomedical research from its systemic flaws
[261] 뉴스 Grant System Leads Cancer Researchers to Play It Safe https://www.nytimes.[...] 2009-06-27
[262] 논문 Young, talented and fed-up: scientists tell their stories
[263] 웹사이트 Opinion | I'm an oncologist. My worst fears about Covid and cancer are coming true https://www.nbcnews.[...] 2021-02-12
[264] 웹사이트 Don't sacrifice cancer care to COVID https://www.nydailyn[...] 2021-01-13
[265] 웹사이트 Revolutionary nanodrones enable targeted cancer treatment https://www.scienced[...] 2024-03-24
[266] 서적 Cancer Nursing: Principles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Learning
[267] 논문 How companion animals contribute to the fight against cancer in humans http://www.izs.it/ve[...] 2009-03-00
[268] 논문 Cancer risk across mammals 2022-01-00
[269] 논문 Clonal origin and evolution of a transmissible cancer 2006-08-00
[270] 뉴스 がん患者10年生存59.4% 国立がんセンター集計 08年診断の24万人 読売新聞 2021-04-28
[271] 서적 スタンダード病理学 大西
[272] 서적 クーパー細胞生物学 Geoffrey M.Cooper
[273] 논문 がんと癌とで意味が異なるか ―医学用語の混乱を憂える― https://ycu.repo.nii[...] 横浜市立大学医学会 2021-00-00
[274] 웹사이트 がんの基礎知識 がんという病気について https://ganjoho.jp/p[...] 国立研究開発法人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
[275] 간행물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for oncology (ICD-O), 3rd ed., 1st revision https://hdl.handle.n[...] 厚生労働統計協会
[276] 서적 フラクタルな世界 丸善株式会社
[277] 웹사이트 がん概論 https://ctr-info.ncc[...]
[278] 웹사이트 白血病とは https://www.jalsg.jp[...]
[279] 서적 広辞苑
[280] 논문 Quantitative metabolome profiling of colon and stomach cancer microenvironment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281] 서적 閉塞性動脈硬化症(PAD)診療の実践 http://www.nankodo.c[...] 南江堂 2009
[282] 웹사이트 WHO Disease and injury country estimates http://www.who.int/h[...] 2009-11-11
[283] 간행물 厚生労働省>統計情報・白書>各種統計調査>厚生労働統計一覧>人口動態調査>人口動態統計(確定数)の概況>平成22年(2010)人口動態統計(確定数)の概況>人口動態統計年報 主要統計表(最新データ、年次推移)>14ページ 第7表 死因順位(第5位まで)別にみた死亡数・死亡率(人口10万対)の年次推移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84] 웹사이트 厚生労働省>人口動態統計>平成23年度>第6表 死亡数・死亡率(人口10万対),死因簡単分類別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85] 웹사이트 厚生労働省>人口動態統計>平成23年度>第7表 死因順位(1〜5位)別死亡数・死亡率(人口10万対),性・年齢(5歳階級)別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86] 간행물 厚生労働省>人口動態統計>平成25年度>第6表 死亡数・死亡率(人口10万対),死因簡単分類別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87] 간행물 厚生労働省>人口動態統計>平成25年度>第7表 死因順位(1〜5位)別死亡数・死亡率(人口10万対),性・年齢(5歳階級)別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88] 간행물 厚生労働省>人口動態統計>平成27年度>第6表 死亡数・死亡率(人口10万対),死因簡単分類別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89] 간행물 厚生労働省>人口動態統計>平成27年度>第7表 死因順位(1〜5位)別死亡数・死亡率(人口10万対),性・年齢(5歳階級)別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90] 웹사이트 がん情報サービス「がん登録・統計」 https://ganjoho.jp/ 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
[291] 웹사이트 人口動態調査 人口動態統計 2021 https://www.e-stat.g[...] 2023-05-07
[292] 기타
[293] 기타
[294] 서적 細胞-その秘密を探る 共立出版 1994-12-01
[295] 논문 Hypersensitivity to contact inhibition provides a clue to cancer resistance of naked mole-rat http://www.pnas.org/[...] 2016-04-07
[296] 논문 細胞周期の調節機序 https://doi.org/10.3[...] 日本老年医学会 1998
[297] 서적 アポトーシスとは何か 講談社現代新書 1998-06-25
[298] 서적 医者が患者を騙す時 PHP文庫 2008
[299] 서적 食事でがんは防げる 光文社 2004-04-23
[300] 웹사이트 図録▽食生活の変化(1910年代以降の品目別純食料・たんぱく質供給量) http://www2.ttcn.ne.[...] 社会実情データ図録 2009-12-01
[301] 웹사이트 厚生労働省>人口動態統計>平成8年度>死亡 第2表 主な死因別にみた年齢階級別死亡数・死亡率(人口10万対)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302] 웹사이트 厚生労働省>人口動態統計>平成8年度>死亡 第3表 悪性新生物の主な部位別にみた性別死亡率(人口10万対)の年次推移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303] 간행물 糖尿病診療ガイドライン2019 https://www.jds.or.j[...] 南江堂 2019-10-01
[304] 웹사이트 久山町研究 https://www.hisayama[...]
[305] 논문 変貌する生活習慣病の現状と課題:久山町研究 https://doi.org/10.1[...] 日本人間ドック学会 2010
[306] 웹사이트 糖尿病とその後のがん罹患との関連について https://epi.ncc.go.j[...]
[307] 웹사이트 インスリン関連マーカーと大腸がん罹患との関係について https://epi.ncc.go.j[...]
[308] 웹사이트 日本人のためのがん予防法:現状において推奨できる科学的根拠に基づくがん予防法 http://ganjoho.ncc.g[...] 2009-02-25
[309] 간행물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 Tobacco Smoke and Involuntary Smoking WHO & IARC
[310] 블로그 Meat Is Amazingly Nutritious—But Is It Amazingly Nutritious for Cancer Cells, Too? https://blog.supplys[...] 2017-10-10
[311] 웹사이트 IARC Monographs Programme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 http://monographs.ia[...] IARC
[312] 뉴스 Oral Sex Linked To Mouth Cancer Risk http://www.medindia.[...]
[313] 뉴스 Oral sex can cause throat cancer http://www.newscient[...] 2007-05-09
[314] 간행물 現代病理学体系 腫瘍Ⅲ 癌の自然史 http://www.louis-pas[...] 中山書店 1984-12-25
[315] 웹사이트 10分でわかる甲状腺がんの自然史と過剰診断 https://www.med.osak[...]
[316] 서적 Food, Nutrition, Physical Activity, and the Prevention of Cancer: A Global Perspective http://wcrf.org/int/[...] Amer. Inst. for Cancer Research
[317] 웹사이트 健康日本21 - 1. 栄養・食生活 https://www.kenkouni[...] 2009-12-01
[318] 웹사이트 がん予防法の提示 2017年8月1日改訂版 https://epi.ncc.go.j[...] 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 がん対策研究所 2022-03-16
[319] 웹사이트 がんを防ぐための12ヵ条 https://web.archive.[...] 2009-12-01
[320] 논문 がんを防ぐための〈12か条〉から〈新12か条〉へ https://www.fpcr.or.[...] がん研究振興財団
[321] 웹사이트 がんを防ぐための新12か条 https://www.jcancer.[...] 日本対がん協会 2022-03-17
[322] 웹사이트 画像診断について https://www.ncc.go.j[...] 2023-06-25
[323] 웹사이트 内視鏡検査 https://www.yobouiga[...] 2023-06-25
[324] 웹사이트 遺伝子p53抗体検査 人間ドック・健康診断|医療法人養寿会 ウェル・ビーイング・メディカ保健クリニック https://w-bm.or.jp/p[...] 2023-06-25
[325] 웹사이트 がん防災マニュアル https://www.gh-ouend[...] 2021-09-11
[326] 웹사이트 一般のみなさま (3) 進行度分類と病期 http://www.ringe.jp/[...] 2015-06-18
[327] 웹사이트 海外がん医療情報リファレンス - がんに対する標的光免疫療法の進展 https://www.cancerit[...] 一般社団法人 日本癌医療翻訳アソシエイツ(JAMT) 2020-11-01
[328] 웹사이트 米国国立がん研究所/米国国立衛生研究所 小林久隆 主任研究員 http://biomedcircus.[...] 2023-06-25
[329] 웹사이트 ハイパーサーミア(温熱療法)外来 https://www.pref.chi[...] 2023-06-25
[330] 논문 Phellinus linteus suppresses growth, angiogenesis and invasive behaviour of breast cancer cells through the inhibition of AKT signalling. https://pubmed.ncbi.[...]
[331] 웹사이트 癌細胞は、正常細胞や良性細胞へ変換できる https://web.archive.[...] 2014-10-03
[332] 웹사이트 プレシジョン・メディシン(精密医療)とは? https://web.archive.[...] えむえむNEWS
[333] 웹사이트 ストーマケア https://web.archive.[...] 2009-12-01
[334] 웹사이트 永久気管孔(永久気管瘻) https://web.archive.[...] 2009-12-01
[335] 서적 分裂病の起源 日本評論社
[336] 서적 消された科学史 みすず書房
[337] 논문 Warburgの「癌細胞の起原」に就いて
[338] 웹사이트 Jacob Furth, National Academy of Science http://www.nasonline[...]
[339] 논문 From inflammation to cancer https://www.ncbi.nlm[...]
[340] 논문 Cytokine storms in cancer and COVID-19 https://www.ncbi.nlm[...] Elsevier 2020-11-09
[341] 웹사이트 植物 Q&A 植物のガンについて みんなのひろば http://jspp.org/hiro[...] 2021-09-09
[342] 웹인용 Cancer – Signs and symptoms http://www.nhs.uk/Co[...] 2014-06-10
[343] 웹인용 Cancer https://www.who.int/[...] 2018-09-12
[344] 논문 Cancer is a preventable disease that requires major lifestyle changes 2008-09
[345] 웹인용 Targeted Cancer Therapies https://www.cancer.g[...] 2018-03-28
[346] 웹인용 SEER Stat Fact Sheets: All Cancer Sites http://seer.cancer.g[...] 2014-06-18
[347]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08
[348]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08
[349] 웹인용 암의 정의, 발생부위. 국가암정보센터. http://www.cancer.go[...] 2016-10-25
[350] 논문 위암치료의 최신 동향 http://bric.postech.[...] 국립암센터 위암센터 2009-10-23
[351] 서적 고등학교 과학 천재교육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