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롬니츠키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롬니츠키 봉은 게를라호프스키 봉 다음으로 높은 봉우리로, 슬로바키아의 타트라 산맥에 위치해 있다. 접근 방법으로는 타트란스카 로므니차에서 리프트를 타고 롬니츠케 세들로까지 이동 후 정상으로 향하는 클래식 루트(에메리치호 나레크)가 있으며, 스타리 스모코베츠에서 테리호 차타를 거쳐 정상으로 가는 요르다노바 체스타, 차타 프리 제레노플레세에서 시작하는 메데네 라브키, 롬니츠케 세들로에서 시작하는 집시 페라타, 스칼나테 플레소에서 시작하는 치미터를 통과하는 경로 등이 있다. 롬니츠키 봉에는 해발 2,635m에 위치한 기상 관측소가 있으며, 고산 기후를 나타낸다. 연평균 기온은 -2.9°C이며, 1952년 이후 최고 기온은 24.0°C, 최저 기온은 -31.2°C로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의 산 - 융프라우요흐
    융프라우요흐는 스위스 베른 알프스 산맥의 융프라우와 묀히 봉우리 사이에 있는 안부로, 유럽에서 가장 높은 철도역인 융프라우요흐역이 위치하며, 스핑크스 전망대와 아이스 팰리스 등 관광 시설을 갖춘 "유럽의 지붕"이자 철도 건설과 고산 연구의 중심지이다.
롬니츠키봉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롬니츠키봉 (왼쪽) 및 케주마르스키봉 (2558m)
롬니츠키봉 (왼쪽) 및 케주마르스키봉 (2558m)
별칭롬니차크
높이2,634 미터
솟아오름434 미터
위치타트라 국립공원, 포프라트 지구, 프레쇼우 주, 슬로바키아
산맥높은 타트라 산맥
좌표49°11′45″N 20°12′46″E
등반 정보
가장 쉬운 경로케이블카
첫 등반슈테판 파브리, 1760-1790년경
로마자 표기Romniceu-chuch

2. 접근

게를라호프스키 봉 다음으로 높은 봉우리인 롬니츠키 봉은 고타트라에서 두 번째로 가이드 동반 등반이 많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정상에 오르기 위한 여러 등반 경로가 존재한다.

가장 대중적인 경로는 '에메리치호 나레크'라고도 불리는 클래식 루트로, 타트란스카 로므니차에서 리프트를 타고 롬니츠케 세들로까지 이동하여 접근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요르다노바 체스타' 역시 인기 있는 경로로, 스타리 스모코베츠에서 시작하여 테리호 차타 산장을 거쳐 올라간다.

'메데네 라브키' 경로는 차타 프리 제레노플레세 산장에서 시작하지만, 낙석 위험이 커 최근에는 선호도가 낮아졌다. '집시 페라타'는 클래식 루트와 마찬가지로 롬니츠케 세들로에서 시작하며, 비아 페라타 장비가 필수적이다. 마지막으로 '치미터를 통과하는 경로'는 스칼나테 플레소에서 출발하며, 일부 구간에서는 밧줄이 필요하고 체인과 같은 추가 안전 장비는 없다.

각 경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클래식 루트 (에메리치호 나레크)

롬니츠키 봉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등반 경로는 '에메리치호 나레크'라고도 불리는 클래식 루트이다. 이 경로는 접근성이 좋아 인기가 많다. 타트란스카 로므니차에서 리프트를 타고 롬니츠케 세들로(해발 2189m)까지 이동한 후, 바로 정상으로 등반할 수 있다. 경로 중 어려운 구간에는 안전을 위해 철제 계단과 체인이 설치되어 있다.

2. 2. 요르다노바 체스타

'요르다노바 체스타'Jordánova cestask라고 불리는 이 경로는 롬니츠키봉을 오르는 매우 인기 있는 등반로 중 하나이다. 스타리 스모코베츠에서 출발하여 3시간 35분 동안 하이킹을 하면 [https://www.teryhochata.sk/ 테리호 차타]Téryho chatask 산장에 도착한다. 이곳부터 본격적으로 어려운 구간이 시작된다. 이 구간은 길을 찾기가 다소 까다로울 수 있지만, 가파른 곳에는 등반객의 안전을 위해 체인이 설치되어 있다.

2. 3. 메데네 라브키

'메데네 라브키' 경로는 차타 프리 제레노플레세에서 시작한다. 표시되지 않은 산책로를 따라 무릎을 꿇는 길을 거쳐 치에르니 슈티트 산괴 방향으로 진행한다. 폭포 오른쪽에는 체인으로 고정된 기둥이 있으며, 이 기둥까지 올라가야 한다. 이후 벨카 즈므르즐라 돌리나의 문턱을 넘어 개울을 건너고, 메데나 코틀리나의 왼쪽으로 향한다. 생명이 없는 듯한 돌무더기 밭을 지나면 케즈마로크 봉우리 사이의 안장에서 떨어지는 주요 홈통에 도달하게 된다. 이 경로는 낙석 위험이 매우 높아 최근에는 등반객들이 덜 찾는 편이다.

2. 4. 집시 페라타

집시 페라타는 클래식 루트 '에메리치호 나레크'처럼 롬니츠케 세들로에서 시작하는 경로이다. 하지만 실제 시작 지점을 찾기는 어려운 편이다. 이 경로는 체인과 철제 계단으로 안전하게 확보되어 있지만, 상부 구간은 극도로 노출되어 있어 완전한 페라타 장비가 반드시 필요하다.

2. 5. 치미터를 통과하는 경로

스칼나테 플레소에서 시작하여 비들로베 베제와 케즈마르스키 슈티트 산괴 아래의 스칼나타 돌리나를 통과하는 경로이다. 이 경로는 낙석에 노출되어 있다. 어려운 구간은 밧줄이 필요하며, 체인과 같은 추가적인 안전 장비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3. 기후

롬니츠키봉의 기후는 고산 기후 (쾨펜: ''ET'')에 속한다.[6][7] 해발 고도 2635m에 위치한 기상 관측소의 기록에 따르면, 연평균 기온은 -2.9°C이며 연 강수량은 1902.4mm이다.[6][7] 1952년부터 관측된 극한 기온은 -31.2°C에서 24°C 사이의 분포를 보인다.[6][7]

3. 1. 기상 관측소

롬니츠키봉의 기후는 고산 기후 (쾨펜: ''ET'')에 속한다. 이는 기상 관측소의 해발 고도가 2635m에 달하기 때문이다. 연평균 기온은 -2.9°C이며, 가장 더운 달은 8월로 평균 기온이 5.6°C이고, 가장 추운 달은 2월로 평균 기온이 -10.6°C이다.

연 강수량은 1902.4mm이며, 모든 달의 평균 강수량은 120mm 이상이다. 가장 높은 월평균 강수량은 7월의 193.7mm이다.

이 기상 관측소에서 기록된 가장 이른 기상 관측 자료는 1952년부터이다. 1952년 이후 이 지역의 극한 기온은 1987년 3월 3일에 기록된 -31.2°C와 1981년 8월 1일에 기록된 24°C 사이였다. 역대 가장 높았던 일일 최저 기온은 1998년 8월 3일의 11.8°C이고, 역대 가장 낮았던 일일 최고 기온은 1956년 1월 31일의 -27.8°C이다.

가장 따뜻한 여름에도 산의 기온은 15°C 이상으로 올라가는 경우가 드물다. 20°C 이상의 기온이 기록된 것은 1973년 6월 28일의 21°C와 1981년 8월의 24°C, 단 두 번뿐이었다. 겨울에는 최저 기온이 종종 -25°C까지 내려가며, 극도로 추울 때는 -30°C 이하로 내려가기도 한다.[6][7]

4. 갤러리

슬라프코프스키 봉 (왼쪽)과 롬니츠키 봉 (중앙 오른쪽)은 타트란스카 롬니차, 슬로바키아에서 바라본 모습

참조

[1] 서적 The High Tatras: Slovakia and Poland, Including the Western & White Tatras Cicerone 2012
[2] 서적 The Columbia Gazetteer of the World: P to Z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8
[3] 서적 Children's Illustrated Atlas Dorling Kindersley 2016
[4] 서적 Army Film and the Avant Garde: Cinema and Experiment in the Czechoslovak Military Indiana University Press 2014
[5] 간행물 Robert Townson - The Great Explorer of the Tatra https://www.alpinejo[...]
[6] 웹사이트 Lomnický štít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8-20
[7] 웹사이트 Global Surface Summary of the Day - GSOD (extremes 1952-present)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