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산 기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산 기후는 쾨펜 기후 구분에서 극 기후와 함께 'E' 그룹으로 분류되며, 홀드리지 생명대 시스템에서는 나무의 성장을 막는 두 가지 산악 기후로 정의된다. 고산 기후는 위도에 따라 연중 기온 변화가 다르며, 대류 현상과 단열 감률에 의해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낮아진다. 고산 기후는 히말라야 산맥, 안데스 산맥 등 전 세계 고지대에 분포하며, 저위도 지역에서는 쾌적한 기온으로 인해 고산 도시가 발달했다. 고산 기후는 식생의 고도 분포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되며, 워싱턴 산과 마우나로아 산과 같은 지역에서 그 특징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의 기후 - 서안 해양성 기후
    서안 해양성 기후는 대륙 서안 중위도에 분포하며 바다의 영향으로 기온 변화가 적고 강수량이 고른 기후로, 쾨펜 기후 구분 상 Cfb, Cfc로 분류되며 지역에 따라 기온과 강수량의 연교차가 다를 수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기후 - 온난 습윤 기후
    온난 습윤 기후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 온대 기후에 속하며, 여름이 길고 덥고 습하며 겨울은 온화하고, 연중 강수량이 비교적 많고 여름철에 집중되며, Cfa와 Cwa로 세분되고 중위도 대륙 동해안에 주로 나타나 농업에 유리하다.
  • 기후 - 스텝 기후
    스텝 기후는 쾨펜 기후 분류상 반건조 기후에 속하며, 250~500mm의 연평균 강수량과 풀, 관목 위주의 초원 생태계, 그리고 고온과 저온 스텝 기후로 나뉘는 특징을 가진다.
  • 기후 - 서안 해양성 기후
    서안 해양성 기후는 대륙 서안 중위도에 분포하며 바다의 영향으로 기온 변화가 적고 강수량이 고른 기후로, 쾨펜 기후 구분 상 Cfb, Cfc로 분류되며 지역에 따라 기온과 강수량의 연교차가 다를 수 있다.
고산 기후
지도 정보
고산 기후
정의수목 한계선 위의 지역에서 나타나는 기후
특징낮은 기온
강한 바람
높은 강수량 (눈)
낮은 습도
높은 일사량
기온
평균 기온매우 낮음
연교차작음
강수
형태대부분 눈
강수량높음
바람
특징강함
일사량
특징높음
습도
특징낮음
고도
수목 한계선약 4,300미터 (14,100피트) 이상
지역
분포알프스 산맥
히말라야 산맥
안데스 산맥
로키 산맥
기타 고산 지역
생태계
특징짧은 생장 기간
툰드라 생태계
고산 식물
동물 (예: 산양, 마멋, 고산 조류)
기타
영향빙하 형성
토양 침식
수자원 공급
인간 영향등산
관광
기후 변화 영향

2. 정의

쾨펜 기후 구분에서 고산 기후와 산악 기후는 어떤 달의 평균 온도도 10°C를 넘지 않는 극 기후와 함께 ''E'' 그룹에 속한다.[1]

홀드리지 생명대 시스템에 따르면, 나무의 성장을 막는 두 가지 산악 기후가 있다.

a) 고산 기후: 어떤 지역의 평균 생물 온도가 1.5°C~3°C 사이일 때 발생한다. 홀드리지 시스템의 고산 기후는 쾨펜 시스템의 가장 따뜻한 툰드라 기후(ET)와 거의 일치한다.

b) 알바르 기후: 생물 온도가 0°C~1.5°C 사이이기 때문에 가장 추운 산악 기후이다(생물 온도는 0°C 이하가 될 수 없다). 이는 가장 추운 툰드라 기후와 빙상 기후(EF)와 거의 일치한다.

홀드리지는 식물이 0°C 이하와 30°C 이상의 온도에서 휴면 상태가 되면 순 생산성이 중단된다고 판단했다.[2] 따라서 그는 모든 온도의 평균을 생물 온도로 정의했지만, 어는점 이하와 30°C 이상의 모든 온도는 0°C로 조정했다. 즉, 조정되지 않은 온도의 합을 모든 온도(조정된 온도와 조정되지 않은 온도 모두 포함)의 개수로 나눈 것이다.

일년 내내 고산 기후의 변화는 위치의 위도에 따라 달라진다. 마우나로아 정상과 같은 열대 해양 지역의 경우, 온도는 일년 내내 거의 일정하다.[3] 뉴햄프셔주워싱턴산과 같은 중위도 지역의 경우, 온도는 계절에 따라 변하지만 매우 따뜻해지지는 않는다.[4][5]

3. 원인

대기의 온도 분포는 복사대류의 상호 작용 결과이다. 가시광선 스펙트럼의 태양광이 지표면에 도달하여 지표면을 가열한다. 그러면 지표면이 표면의 공기를 가열한다. 만약 복사가 지표면에서 우주로 열을 전달하는 유일한 방법이라면, 대기 중 기체의 온실 효과로 인해 지표면 온도는 약 333,000가 되고,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온도는 지수적으로 감소할 것이다.[6]

하지만 공기가 뜨거워지면 팽창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밀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뜨거운 공기는 상승하여 위쪽으로 열을 전달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이 대류 과정이다. 주어진 고도의 공기 덩어리가 주변과 같은 밀도를 가질 때 대류는 평형 상태에 이른다. 공기는 열의 불량한 전도체이므로, 공기 덩어리는 열을 교환하지 않고 상승하고 하강한다. 이것은 단열 과정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징적인 압력-온도 곡선을 갖는다.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온도는 감소한다. 고도에 따른 온도 감소율을 단열 감률이라고 하며, 약 9.8°C/km (약 -14.8°C/1000 ft)이다.[6]

대기 중에 수분이 존재하면 대류 과정이 복잡해진다. 수증기는 잠열인 증발열을 포함한다. 공기가 상승하고 냉각됨에 따라 결국 이슬점에 도달하여 수증기량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수증기는 응결되어 (구름을 형성하고) 열을 방출하며, 이는 감률을 건조 단열 감률에서 습윤 단열 감률( 5.5°C/km 또는 약 -16.1°C/1000 ft)로 변화시킨다.[7] 실제 감률인 환경 감률은 일정하지 않지만(하루 또는 계절에 따라, 그리고 지역적으로 변동될 수 있음), 일반적인 감률은 5.5°C/1000 m (약 -15.8°C/1000 ft)이다.[8][9] 따라서 산에서 100m 상승하는 것은 극지방을 향해 약 80 km(50 마일 또는 위도 0.75°) 이동하는 것과 거의 같다.[10] 그러나 이 관계는 근사치일 뿐이며, 해양과의 근접성과 같은 지역적 요인이 기후를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11]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강수의 주요 형태는 이 되고 풍속이 증가한다. 11000m 고도의 권계면까지 온도는 계속 떨어지다가 더 이상 감소하지 않는다. 이는 가장 높은 봉우리보다 높다.

4. 분포

고산 기후는 지구 표면의 작은 부분만을 포함하지만, 널리 분포되어 있다. 고산 기후는 히말라야 산맥, 티베트 고원, 감숙성, 칭하이성, 그리고 레바논 산맥[12](아시아); 알프스 산맥, 우랄 산맥, 피레네 산맥, 칸타브리아 산맥, 그리고 시에라네바다 산맥(유럽); 안데스 산맥(남아메리카); 시에라네바다 산맥, 캐스케이드 산맥, 로키 산맥, 북부 애팔래치아 산맥(아디론댁 산맥과 화이트 마운틴), 그리고 트란스멕시코 화산대(북아메리카); 뉴질랜드 남부알프스(뉴질랜드); 스노이 산맥(오스트레일리아); 아틀라스 산맥, 에티오피아 고원, 그리고 동부고지(아프리카)의 고지대; 보르네오와 뉴기니의 중앙부; 그리고 대서양[13]의 피쿠 산과 태평양의 마우나로아 산의 정상에서 나타난다.

고산 기후의 최저 고도는 위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고산 기후를 수목 한계선으로 정의한다면, 스웨덴에서는 북위 68도에서 650m 정도의 낮은 고도에서 나타나지만,[14] 탄자니아의 킬리만자로 산에서는 수목 한계선이 3950m에 있다.[14]

위치하는 위도에 따라 기후의 차이가 나타난다.


  • 열대 고산 기후: 남북의 적도를 사이에 둔 저위도 지역은 연교차가 작고 일교차가 더 크다. 온대 하우 기후 또는 서안 해양성 기후에 속하는 지역이 많다.
  • 온대 고산 기후: 기온의 일교차보다 연교차가 더 크다. 냉대, 아한대, 서안 해양성 기후 중 Cfc(여름도 서늘) 중 하나에 속하며, 식생도 냉대 또는 아한대 기후와 비슷하지만, 일사량이 많다는 점에서 다르다.


일본에도 후지산과 히다 산맥을 비롯해 해발 2,000m 이상의 고산이 많이 존재하며, 정상 부근 등 일부 지역에 고산 기후의 특징이 나타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산들을 고산 기후로 분류하지 않는다.

세계적으로도 삼림 한계의 요인이 고도 기준에만 의존하는 것은 아니며, 산악 기후와 겹쳐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주요 분포 지역은 대체로 신생대 이후의 조산 운동으로 생긴 산맥의 고산 지역과 겹친다. 대표적인 분포 지역은 다음과 같다.

지역분포 지역
열대 고산 기후보르네오 섬, 뉴기니 섬, 아프리카 동부, 아비시니아(현재의 에티오피아), 멕시코, 안데스 중부의 고원 및 산악 지대
온대 산악 기후티베트 고원, 히말라야 산맥, 유럽 알프스, 로키 산맥, 안데스 산맥 중부의 산악 지대. 유사한 기후 조건은 일본의 일본 알프스 정상 부근 등에서 볼 수 있다.


5. 식생

고산 기후는 삼림 식생의 고도 분포로 판단된다. 산지대도 마찬가지로 삼림 분포로 판단하여, 상록활엽수림대를 '''아산지대''', 낙엽활엽수림대를 '''산지대''', 상록침엽수림대를 '''아고산대'''로 하고, 그 이상을 '''고산대'''로 한다. 그러나 기후 측면에서는 대체로 고산대의 수목한계선 이상의 고도의 기후를 '''고산 기후'''로 하고, 그 이하를 '''산악기후'''로 구분하고 있다.[1]

킬리만자로 산과 같이 저위도 지역에 위치한 고산에서는 저지대의 열대우림이나 사바나에서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온대의 낙엽활엽수림, 아한대의 침엽수림, 한대의 툰드라, 정상 부근의 영구 동토대까지 고도별로 단계적인 식생 변화가 나타난다. 반면 중·고위도 지역에서도 활엽수림·침엽수림에서 시작하는 고도별 식생 변화는 나타나지만, 산림한계, 식물한계 모두 그 고도는 저위도 지역에 비해 낮다. 참고로, 고산에서 볼 수 있는 툰드라를 한대의 툰드라와 구분하여 고산툰드라라고 한다.

건조대에서는 고도에 따라 기온이 내려감으로써 건조한계가 낮아지고, 또한 겨울철 강설에 의해 강수량이 증가하기도 한다. 따라서 동위도의 저지대가 사막이더라도 고지대에서는 키가 작은 풀이 자라는 스텝이 된다. 고도가 더 높아지면 건조한계가 더욱 낮아지면서 건조지대에서 습윤지대로 변화한다. 미국 애리조나주 북부, 플래그스태프시 부근에 우뚝 솟은 독립봉인 험프리스 피크(Humphreys Peak, 고도 3,850m)의 경우 그 식생은 산록의 고지 사막(실제로는 스텝)에서 산악림, 고산 툰드라로 변화한다.

6. 인간 거주

열대 고산 기후는 저지대의 고온다습한 기후와 달리, ‘영춘(常春)’이라고 부를 만큼 적절한 온도와 낮은 습도로 비교적 쾌적하다. 에콰도르의 수도 키토적도 바로 아래에 있지만, 해발 2800m가 넘는 고지에 있어 연중 평균 기온이 13.5℃ 전후로 거의 변화가 없다. 중·고위도 지역에서는 같은 위도의 저지대가 온대·아한대 기후이며, 저위도 지역과 달리 연교차가 크기 때문에 한대와 비슷한 기후를 보인다. 어느 경우든 일교차는 크다.

6. 1. 대표적인 고산 도시

열대 고산 기후는 저지대의 고온다습한 기후와 달리, '영춘(常春)'이라고 부를 만큼 적절한 온도와 낮은 습도로 비교적 쾌적하다. 예를 들어 에콰도르의 수도 키토적도 바로 아래에 있지만, 해발 2800m가 넘는 고지에 있어 연중 평균 기온이 13.5℃ 전후로 거의 변화가 없다. 중·고위도 지역에서는 같은 위도의 저지대가 온대·아한대 기후이며, 저위도 지역과 달리 연교차가 크기 때문에 한대와 비슷한 기후를 보인다. 어느 경우든 일교차는 크다.

동위도 저지대보다 서늘하기 때문에 저위도 지역에서는 예부터 고산 도시가 발달하여 마야 문명, 아즈텍 문명 및 잉카 문명이 번영했다. 중위도 이상의 지역에서도 수는 많지 않지만 고산 도시가 존재한다. 이 기후대에 속하는 대표적인 도시는 다음과 같다.



참고로 쾨펜의 기후 구분에는 고산 기후가 없고, 후에 트레워사 등에 의한 수정판에서 추가되었다. 원래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는 라파스는 Cwc, 키토・멕시코시티・아디스아바바・라사는 Cwb, 산타페는 BSk로 각각 분류된다.

7. 기후 예시

해발 2,000m 이상인 지역은 지구 전체 육지의 약 30%를 차지하지만, 그중 30%는 남극 대륙에 위치하므로 고산 기후로 분류되지 않는다.

위치하는 위도에 따라 기후의 차이가 나타난다.


  • 열대 고산 기후: 남북의 적도를 사이에 둔 저위도 지역은 연교차보다 일교차가 더 크다. 충분한 일사량을 확보할 수 있어 수분이 충분하면 삼림 한계 고도가 높아진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는 온대 하우 기후 또는 서안 해양성 기후에 속하는 지역이 많으며, 내한성이 강한 열대 과일의 원산지인 경우가 많다.
  • 온대 고산 기후: 기온의 일교차보다 연교차가 더 크기 때문에 연간 누적 온도의 영향이 커진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는 냉대, 아한대, 서안 해양성 기후 중 Cfc(여름도 서늘) 중 하나에 속하며, 식생도 냉대 또는 아한대 기후와 비슷하지만, 일사량이 많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다르다. 온대에서는 대략 해발 2,000m 이상의 고지에 분포한다.


일본에는 후지산과 히다 산맥 등 해발 2,000m 이상의 고산이 많지만, 정상 부근 등 일부 지역에만 고산 기후의 특징이 나타난다. 기후 구역으로 구분할 만큼 넓지 않고, 작은 지역에서는 위도 외 요인으로 삼림 한계가 생기는 경우가 있어 일반적으로 고산 기후로 분류하지 않는다.

세계적으로도 삼림 한계의 요인이 고도 기준에만 의존하는 것은 아니며, 산악 기후와 겹치는 지역도 있어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주요 분포 지역은 대체로 신생대 이후의 조산 운동으로 생긴 산맥의 고산 지역과 겹친다.
대표적인 분포 지역

고산에서는 침식 지형이 기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산체의 양사면과 음사면, 깊은 골짜기 바닥의 식생이 다를 수 있다. 분지 지형은 기온의 연교차와 일교차가 모두 커지고 건조해진다. 탁월풍의 영향으로 바람이 강하다.

해발 2000~2500m에서는 매달 대략 13°C~18°C로 안정되며, 연평균 기온도 15°C~16°C 전후인 곳이 많지만, 강수량은 장소에 따라 크게 다르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7. 1. 마우나로아 산 (하와이)

마우나로아산 사면 기상대(1961–1990)의 기후는 다음과 같다.[17]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 기록 (°F)678565676871706867666567
평균 최고 기온 (°F)약 9.9°C약 9.8°C약 10.1°C약 11.0°C약 12.2°C약 14.0°C약 13.6°C약 13.5°C약 13.2°C약 12.6°C약 11.4°C약 10.3°C
평균 최저 기온 (°F)약 0.7°C약 0.5°C약 0.7°C약 1.4°C약 2.6°C약 4.1°C약 3.8°C약 3.8°C약 3.6°C약 3.2°C약 2.3°C약 1.3°C
최저 기온 기록 (°F)191820242728262829272522
평균 강수량 (인치)약 5.84cm약 3.81cm약 4.32cm약 3.30cm약 2.54cm약 1.27cm약 2.79cm약 3.81cm약 3.30cm약 2.79cm약 4.32cm약 5.08cm
평균 강수 일수 (≥ 약 0.03cm)456543455554
평균 적설량 (인치)약 0.00cm약 2.54cm약 0.76cm약 3.30cm약 0.00cm약 0.00cm약 0.00cm약 0.00cm약 0.00cm약 0.00cm약 0.00cm약 2.54cm


7. 2. 워싱턴 산 (미국 뉴햄프셔)

워싱턴산 정상 부근(해발고도 1910m)의 기후는 다음과 같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F)약 -10.2°C약 -9.6°C약 -6.3°C약 -0.9°C약 5.2°C약 10.2°C약 12.3°C약 11.8°C약 8.4°C약 2.4°C약 -2.2°C약 -7.6°C약 1.1°C
평균 최저 기온 (°F)약 -20.1°C약 -19.1°C약 -15.0°C약 -8.1°C약 -1.2°C약 4.2°C약 6.7°C약 6.1°C약 2.3°C약 -4.4°C약 -10.4°C약 -16.8°C약 -6.3°C
최고 기온 기록 (°F)약 8.9°C약 6.1°C약 12.2°C약 15.6°C약 18.9°C약 22.2°C약 21.7°C약 22.2°C약 20.6°C약 16.7°C약 11.1°C약 8.3°C약 22.2°C
최저 기온 기록 (°F)약 -43.9°C약 -43.3°C약 -38.9°C약 -28.9°C약 -18.9°C약 -13.3°C약 -4.4°C약 -6.7°C약 -12.8°C약 -20.6°C약 -28.9°C약 -43.3°C약 -43.9°C
강수량 (인치)약 16.36cm약 17.20cm약 19.48cm약 18.90cm약 20.78cm약 21.34cm약 22.28cm약 21.13cm약 20.40cm약 23.55cm약 25.02cm약 19.63cm약 246.05cm
강설량 (인치)약 111.76cm약 101.85cm약 114.55cm약 90.42cm약 30.99cm약 2.54cm약 0.00cm약 0.25cm약 5.59cm약 44.70cm약 96.01cm약 115.57cm약 714.25cm
강수 일수 (≥ 0.01 인치)19.717.919.017.417.416.816.515.213.916.819.120.7210.4
강설 일수 (≥ 0.1 인치)19.317.316.613.16.40.90.10.21.79.114.619.2118.5
일조 시간92.0106.9127.6143.2171.3151.3145.0130.5127.2127.182.483.11487.6
일조율 (%)32363435373331303437293033

[18][19][20][21][22]

참조

[1] 서적 Physical Geography: A Landscape Appreciation https://archive.org/[...] Prentice Hall
[2] 학술지 The Holdridge life zones of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in relation to ecosystem mapping https://www.research[...] 2015-05-27
[3] 웹사이트 Period of Record Monthly Climate Summary http://www.wrcc.dri.[...] NOAA 2012-06-05
[4] 웹사이트 Station Name: NH MT WASHINGTON ftp://ftp.ncdc.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4-06-09
[5] 웹사이트 WMO Climate Normals for MOUNT WASHINGTON, NH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4-06-09
[6] 서적 Atmospheres https://web.archive.[...] Prentice-Hall 2016-05-02
[7] 웹사이트 Dry Adiabatic Lapse Rate https://web.archive.[...] tpub.com 2016-05-02
[8] 서적 The IUPAC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IUPAC
[9] 서적 Airplane Aerodynamics (3rd ed.) Pitman Publishing Co.
[10] 웹사이트 Mountain Environments http://quin.unep-wcm[...]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World Conservation Monitoring Centre
[11] 웹사이트 Factors affecting climate http://www.ecn.ac.uk[...] The United Kingdom Environmental Change Network
[12]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Geography - Volume 1 Facts On File, Incorporated 2014-05-14
[13] 웹사이트 Climate atlas of the archipelagos of the Canary Islands, Madeira and the Azores https://www.ipma.pt/[...] IPMA, AEMET 2021-06-17
[14] 학술지 A re-assessment of high elevation treeline positions and their explanation https://web.archive.[...] 2015-08-05
[15] 서적 矢澤(1989)
[16] 서적 Physical Geography: A Landscape Appreciation
[17] 웹인용 Period of Record Monthly Climate Summary http://www.wrcc.dri.[...] NOAA 2012-06-05
[18] 웹인용 NOWData – NOAA Online Weather Data http://www.nws.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3-06-19
[19] 웹인용 Station Name: NH MT WASHINGTON ftp://ftp.ncdc.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4-06-09
[20] 웹인용 WMO Climate Normals for MOUNT WASHINGTON, NH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4-06-09
[21] 웹인용 Mount Washington Observatory: Normals, Means and Extreme http://www.mountwash[...] Mount Washington Observatory 2010-08-07
[22] 웹인용 Today's Weather atop Mount Washington https://www.webcitat[...] Mount Washington Observatory 2013-0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