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아 페라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아 페라타는 암벽에 설치된 철제 케이블, 사다리, 발판 등을 이용하여 등반하는 등반 형태이다. 19세기 알프스에서 마을과 고산 목장을 연결하기 위해 시작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 돌로미티 산맥에서 군사적 목적으로 활용되면서 발전했다. 현재는 유럽을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난이도의 코스가 운영되고 있으며, 등급 시스템을 통해 난이도를 구분한다. 등반 시에는 안전을 위해 에너지 흡수 시스템이 포함된 비아 페라타 세트 등 개인 보호 장비(PPE)를 착용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아 페라타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종류 | 보호된 알파인 등반 루트 |
| 특징 | 고정된 케이블, 사다리, 기타 고정 장비를 사용하여 산악 지형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함 |
| 안전 장비 | 암벽 등반 안전벨트, 헬멧, 페라타 키트(특수 슬링 및 카라비너) |
| 역사 | |
| 유래 | 제1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 돌로미티에서 병력 이동을 위해 처음 사용 전쟁 후 관광 목적으로 발전 |
| 발전 | 유럽 전역과 다른 지역으로 확산 다양한 난이도 및 길이의 루트 개발 |
| 기술적 특징 | |
| 설치물 | 금속 케이블, 철제 사다리, 풋홀드(발 받침대) 등이 설치 케이블은 등반자가 페라타 키트로 안전하게 연결 |
| 난이도 | 초보자부터 숙련된 등반가까지 다양한 난이도 존재 |
| 등급 | 유럽에서는 A에서 F까지, 북미에서는 클래스 1에서 6까지의 등급 시스템 사용 |
| 안전 | |
| 필수 장비 | 암벽 등반 안전벨트, 헬멧, 페라타 키트 필수 장갑도 권장 |
| 안전 수칙 | 항상 케이블에 페라타 키트를 연결 안전 수칙을 따르고 경험과 능력에 맞는 루트 선택 |
| 위험 요소 | 낙석, 미끄러운 표면, 날씨 변화 등 주의 고소공포증 있는 사람은 위험 |
| 참고 자료 | |
| 관련 문서 | 알파인 등반 등산 스포츠 등반 |
| 용어 | |
| 비아 페라타 | 이탈리아어로 '철길' 또는 '철로'를 의미 |
| 페라타 키트 | 특수 슬링과 카라비너 세트 |
| 케이블 | 등반자를 연결하는 고정 금속 케이블 |
| 풋홀드 | 발을 디딜 수 있는 금속 고정 장치 |
2. 역사

비아 페라타의 기원은 19세기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오늘날과 같은 형태의 비아 페라타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의 돌로미티 산악 지역에서 군대 이동을 돕기 위해 여러 개가 건설된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2] 물론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도 알프스 지역에서는 등반 보조 시설이 설치되기 시작했는데, 1843년 오스트리아 다흐슈타인(Dachstein)에 설치된 것을 시작으로[3]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에 걸쳐 여러 주요 봉우리에 로프, 철제 발판 등이 설치되었다.[4][5]
비아 페라타의 본격적인 발전은 제1차 세계 대전 시기 돌로미티 전선에서 이루어졌다.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과 이탈리아군은 험준한 산악 지형에서 병력과 물자를 수송하고 전략적 요충지를 확보하기 위해 암벽에 고정 로프, 사다리 등을 대규모로 설치했다.[7] 이러한 군사 시설들이 현대 비아 페라타의 직접적인 토대가 되었다.
전쟁 후, 이러한 시설들은 등반가와 관광객을 위한 레크리에이션 시설로 복원 및 정비되었다. 특히 1930년대 이후 브렌타 돌로미티 지역에서 개발된 '비아 델레 보케테(Via delle Bocchetteita)'[8]와 같이, 등반 보조 장비를 최소화하고 경관을 즐기는 데 초점을 맞춘 클래식 루트들이 등장하면서, 비아 페라타는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그 자체를 즐기는 산악 활동으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5]
1970년대 이후 비아 페라타 개발은 더욱 활발해졌으며, 알프스 산맥 전역과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었고, 관광 산업과 연계되어 상업화되는 경향도 보였다.[9] 현대에는 전통적인 고산 루트 외에도 접근성이 좋고 스포츠성을 강조하거나, 폭포나 협곡 등 극적인 경관을 활용하거나, 와이어 브리지나 집라인 같은 시설을 포함하는 등 더욱 다양한 형태의 루트가 개발되고 있다. 오늘날 유럽 알프스에는 1,000개가 넘는 비아 페라타가 있으며, 대부분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에 집중되어 있다.[2]
2. 1. 기원
사다리와 기본적인 안전장비를 갖춘 간단한 보호 등산로는 알프스에서 수세기 동안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마을과 고산 목장을 연결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현대 비아 페라타의 전신으로 볼 수 있는 시설물의 건설은 19세기 알프스 탐험과 관광의 발전과 함께 시작되었다.비아 페라타의 기원은 19세기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제1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의 돌로미티 산악 지역에서 군대 이동을 돕기 위해 여러 개가 건설된 것과 관련이 있는 경우가 많다.[2] 그러나 등반 보조 시설의 설치는 그 이전부터 시작되었다. 1843년 프리드리히 시모니(Friedrich Simony)의 지휘 아래 오스트리아 다흐슈타인(Dachstein)에 다양한 등반 보조 장비를 포함한 등산로가 건설된 것을 시작으로[3],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에 걸쳐 알프스와 피레네 산맥의 여러 주요 봉우리에 로프, 철제 발판, 고정 케이블 등이 설치되었다. 특히 북부 석회암 알프스와 돌로미티 지역에서는 오늘날에도 비아 페라타로 사용되는 초기 등산로들이 이 시기에 건설되었다.[4][5]
초기 주요 비아 페라타 건설 사례는 다음과 같다.
| 연도 | 지역 | 산 / 경로 | 주요 특징 / 건설자 |
|---|---|---|---|
| 1843년 | 오스트리아 | 다흐슈타인(Dachstein) | 철핀, 손잡이 갈고리, 발판, 로프 등 설치 (프리드리히 시모니 지휘)[3] |
| 1869년 | 오스트리아 | 그로스글록너(Grossglockner) | 정상 사이에 로프 설치 |
| 1873년 | 독일/오스트리아 | 추크슈피체(Zugspitze) | 고정식 보호 장비 설치 |
| 1880년 | 프랑스/스페인 (피레네 산맥) | 피크 뒤 미디 도소(Pic du Midi d'Ossau) | 철제 등반 보조 장비 설치 |
| 1881년 | 스페인 (피레네 산맥) | 오르데사(Ordesa) | 철제 등반 보조 장비 설치 |
| 1899년 | 독일 (북부 석회암 알프스) | 하일브로너 길(Heilbronner Weg) | 현재도 사용되는 초기 비아 페라타[4] |
| 1903년 | 오스트리아 (북부 석회암 알프스) | 에거슈타이크(Eggersteig) (빌더 카이저) | [4] |
| 1903년 | 이탈리아 (돌로미티) | 마르몰라다(Marmolada) 서쪽 능선 | [5] |
| 1910년 | 오스트리아 | 한스 폰 하이드 슈타이크(Hans von Haid Steig) (락스(Rax)) | 구스타프 얀(Gustav Jahn), 아우구스트 체플(August Čepl) 건설[6] |
| 1911년 | 오스트리아 (북부 석회암 알프스) | 빌다우어슈타이크(Wildauersteig) (빌더 카이저) | [4] |
|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 이탈리아 (돌로미티) | 포스네커 길(Possnecker Path) (셀라 산맥) | [5] |
2. 2. 제1차 세계 대전: 돌로미티

1914년 돌로미티 산맥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영토였으며,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중앙 연합국의 일원이 되었다. 1915년 이탈리아는 연합국(영국, 프랑스, 러시아) 편에 가담하여 중앙 연합국에 선전포고했다. 당시 러시아 전선에 주력 병력이 묶여 있던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즉시 돌로미티 산맥을 따라 형성된 방어선으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초기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병력이 부족했으나, 지역의 노년층과 청년층 남성들로 구성된 민병대 Standschützen의 강력한 지원에 힘입어 이탈리아군의 공세에 맞서 효과적인 방어선을 구축했다. 이후 Kaiserjäger와 Kaiserschützen과 같은 정예 부대가 동부 전선에서 이탈리아 전선으로 재배치되었다.
1917년 가을 카포레토 전투가 벌어지기 전까지, 오스트리아-헝가리군(남부 독일군 지원 포함)과 이탈리아군은 돌로미티 산맥의 험준한 지형에서 치열한 산악전을 전개했다. 이들은 적군뿐만 아니라 혹독한 자연 환경과도 싸워야 했다. 양측 모두 전략적 요충지인 봉우리를 점령하여 관측소와 야포 진지를 구축하고자 했다. 이러한 극한의 조건 속에서 고지대로 병력을 이동시키고 보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암벽에 영구적인 로프와 사다리를 설치하여 병사들이 가파른 절벽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지원했다. 이것이 오늘날 비아 페라타의 시초가 되었다.[7] 또한, 양측은 봉우리 아래에 갱도를 파고 들어가 그곳에서 기습 공격을 시도하기도 했다.
오늘날에도 많은 비아 페라타 루트 주변에서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의 참호, 땅굴, 그리고 기타 전쟁 유적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당시 격전지였던 지역에서는 여전히 미폭발탄과 같은 위험한 전쟁 잔해물이 발견될 수 있으므로, 탐방객들에게는 땅을 파거나 오래된 금속 조각을 줍지 않도록 주의가 요구된다.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던 친퀘토리(5 Torri)와 라가주오이(Lagazuoi) 산군 주변에는 당시의 상황을 보여주는 광범위한 야외 박물관이 조성되어 있다.
전쟁 중에 설치되었던 이러한 군용 등반 시설들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에야 본격적으로 복원 및 정비되었다. 기존의 밧줄은 튼튼한 강철 케이블로 교체되었고, 병사들이 사용했던 불안정한 나무 구조물 대신 암벽에 단단히 고정된 철제 사다리와 금속 발판이 설치되었다. 현재 이러한 비아 페라타 루트의 대부분은 이탈리아 알파인 클럽(CAI)과 사우스 티롤 알파인 클럽(AVS)에서 관리하고 있다.

2. 3. 비아 델레 보케테: 클래식 비아 페라타
1930년대, 트렌토 알피니스트 협회(Società degli Alpinisti Tridentini|SATita)는 이탈리아 알프스 클럽(CAI)과 함께 인공적인 보조 장비와 안전 장비를 설치하여 브렌타 돌로미티의 등반 루트 접근을 단축하고 개선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암석의 자연적인 라인과 루트가 연결되면서 루트 시스템이 개발되기 시작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작업은 계속되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비아 델레 보케테(Via delle Bocchetteita)는 산악인들에게 발견되었고, 점차 고유한 명성을 얻어 현재까지도 클래식 루트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8]비아 델레 보케테를 개발하는 과정에서는 특정한 윤리가 적용되었다. 등반 보조 장비는 최소한으로 설치되었고, 루트는 의도적으로 어떤 정상에도 도달하지 않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현대의 비아 페라타에서도 때때로 따르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비아 델레 보케테는 단순히 정상이나 등반 지점에 접근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로 가치를 지닌 비아 페라타 활동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5]
2. 4. 21세기
1970년대와 80년대에는 돌로미티와 북부 석회암 알프스와 같은 전통적인 지역을 중심으로 비아 페라타 개발이 이루어졌다. 초기에는 주로 등반가들이 노선을 개발했으며, 관련 알파인 클럽(예: 독일 알파인 클럽)도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나, 일부 노선 추가에 대해서는 논란과 반대가 있기도 했다. 이후 개발은 더욱 상업화되고 조직화되었으며, 알파인 클럽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 야외 활동 센터, 케이블카 회사, 산악 대피소 등 다양한 기관들이 참여하기 시작했다.[9] 비아 페라타는 관광을 활성화하고 방문객에게 다양한 활동을 제공하는 유용한 수단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비아 페라타 개발은 알프스 산맥의 다른 지역과 그 너머로 확산되었다. 예를 들어, 프랑스 최초의 비아 페라타는 1988년에 건설되었다(그랑드 팔레즈 비아 페라타, 프레시니에르, 난이도 C/D).[9] 고산 지대의 비아 페라타 개발이 계속되는 가운데, 현대에 들어서는 계곡과 더 가까운 곳에 위치하며 종종 가파른 구간이 많아 높은 체력을 요구하는 "스포츠적인" 노선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폭포 옆이나 협곡과 같은 극적인 장소에 노선이 건설되기도 하며, 관광객의 흥미를 끌기 위해 와이어 브리지나 집라인과 같은 요소가 포함된 노선도 등장하고 있다. 비아 페라타 등반은 이제 자체적인 안내서, 장비, 등급 시스템 및 애호가를 갖춘 독립적인 산악 활동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즐길 수 있는 장소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3. 등급
비아 페라타의 난이도를 평가하기 위해 여러 가지 등급 시스템이 사용된다. 이 시스템들은 주로 코스에서 가장 어려운 구간을 기준으로 난이도를 나누며, 일반적으로 5단계 또는 6단계 척도를 사용한다.[10][11] 다양한 등급 체계와 각 등급별 특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등급 시스템 개요
비아 페라타 등급 시스템은 여러 가지가 존재한다. 대부분 가장 어려운 구간의 난이도에 초점을 맞추며 5단계 또는 6단계 척도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Miller[10]는 1부터 5까지의 등급을 사용한다. Kurt Schall의 가이드(Klettersteig-Atlas 시리즈)는 주로 A부터 F까지의 6단계 척도를 사용하며, C/D와 같이 5개의 중간 등급도 포함한다. 웹사이트 www.klettersteig.de는 Schall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지만 1부터 6까지의 숫자로 등급을 매긴다. 프랑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6가지 고전적인 알파인 등급이 사용된다: F – Facile|파실fra (쉬움); PD – Peu Difficile|푀 디피실fra (약간 어려움); AD – Assez Difficile|아세 디피실fra (꽤 어려움); D – Difficile|디피실fra (어려움); TD – Très Difficile|트레 디피실fra (매우 어려움); ED – Extrêmement Difficile|엑스트레므망 디피실fra (극도로 어려움). 다만 이 등급은 일반적인 알파인 등반 등급과는 직접 비교할 수 없다. 아래 표는 다양한 등급 시스템을 비교한 예시이며, 실제 안내 책자의 등급은 해당 책자의 정의와 비교하여 확인해야 한다.
이러한 등급 시스템은 루트의 전반적인 심각성이나 길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다. 예를 들어, 길고 높은 고도에서 광범위한 D등급 구간을 포함하는 산악 루트는, 짧은 어려운 구간만 D등급인 계곡 루트와는 실제 난이도에서 큰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루트의 심각성에 대한 추가적인 등급이 종종 제공된다. Kurt Schall 가이드에서는 5단계의 형용사 척도를 사용하고, Smith와 Fletcher는 A부터 C까지의 3단계 척도를 사용한다. 오래된 Hofler/Werner 안내 책자에서는 A부터 G까지의 단일 종합 등급을 사용하기도 했다. 대부분의 안내 책자는 루트의 길이, 도달하는 최대 높이, 확보물의 상태 등 루트의 특성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추가 정보를 함께 제공한다.
3. 2. 등급별 특징
비아 페라타의 난이도를 나타내는 등급 시스템은 여러 종류가 있다. 대부분은 코스에서 가장 어려운 구간을 기준으로 삼으며, 5단계 또는 6단계의 척도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Miller[10]는 1등급부터 5등급까지의 체계를 사용한다. Kurt Schall의 가이드북(Klettersteig-Atlas 시리즈)에서는 주로 A(가장 쉬움)부터 F(가장 어려움)까지 6단계 척도를 사용하며, 때로는 C/D와 같이 두 등급 사이의 중간 등급을 사용하기도 한다. 독일 웹사이트 www.klettersteig.de는 Schall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지만 1등급부터 6등급까지 숫자로 표기한다. 프랑스에서는 전통적인 알파인 등급 6가지를 사용하는데, F – Facile|파실fra(쉬움); PD – Peu Difficile|푀 디피실fra(약간 어려움); AD – Assez Difficile|아세 디피실fra(꽤 어려움); D– Difficile|디피실fra(어려움): TD – Très Difficile|트레 디피실fra(매우 어려움): ED – Extrêmement Difficile|엑스트레므망 디피실fra(극도로 어려움) 순이다. 하지만 이 프랑스식 비아 페라타 등급은 일반적인 알파인 등반 등급과는 직접 비교하기 어렵다. 아래 표는 여러 등급 시스템을 비교하고 각 등급의 특징을 설명한 것이다. 다만, 실제 가이드북마다 등급 정의가 조금씩 다를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 등급 비교[11] | |||
|---|---|---|---|
| Schall | Hüsler | 프랑스 | 설명 |
| A (쉬움) | K1 | F | 단순한 경로이지만 노출된 구간이 있다. 발판이나 손잡이 같은 등반 보조 장비가 많고, 짧은 사다리가 있을 수 있다. 등반이라기보다는 도전적인 하이킹에 가깝다. 확실한 발걸음과 고소공포증이 없는 것이 중요하다. |
| B (중간 정도의 어려움) | K2 (K3) | PD | 약간 가파른 지형이며, 발 디딜 곳이 작지만 등반 보조 장비가 잘 설치되어 있다. 긴 사다리가 있을 수 있다. 기본적으로 안전하게 확보되어 있지만 노출된 구간에서의 스크램블링(손을 사용해야 하는 등반)이 필요하다. 팔 힘을 어느 정도 사용해야 한다. |
| C (어려움) | K3 (K4) | AD (D) | 가파르거나 매우 가파른 암벽 구간이다. 등반 보조 장비는 충분히 설치되어 있으며, 긴 사다리가 있거나 잠깐 동안 오버행(몸이 뒤로 젖혀지는 구간)이 있을 수 있다. 좋은 체력과 어느 정도의 팔 힘이 요구된다. |
| D (매우 어려움) | K4 (K5) | D / TD | 매우 가파르거나 수직에 가까운 암벽이다. 짧지만 보조 장비가 잘 갖춰진 오버행 구간이 있을 수 있으며, 대부분 매우 노출되어 있다. 일부 구간에는 발판 등이 있지만, 와이어 로프만 있는 경우도 많다. 강한 팔과 손의 힘이 필요하다. |
| E (극도로 어려움) | (K5) K6 | ED | 수직을 넘어서는 오버행 구간이 있다.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발 디딜 곳이 매우 작거나 마찰력에 의존해 올라야 하는 구간(슬랩 등반)이 있다. 와이어 로프 외에는 다른 보조 장비가 거의 없다. 지속적인 팔 힘이 필수적이며, 상대적으로 쉬운 구간이라도 확보물이 설치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
이러한 등급 시스템은 주로 가장 어려운 한 구간의 난이도만을 반영하기 때문에, 루트 전체의 실제적인 어려움이나 길이를 제대로 나타내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다. 예를 들어, D등급 구간이 길게 이어지는 고산 지대의 루트는, 짧은 어려운 구간만 D등급인 계곡 루트와는 실제 경험하는 어려움의 정도가 크게 다를 수 있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루트의 '심각성(seriousness)'에 대한 추가적인 등급이 제시되기도 한다. Kurt Schall 가이드에서는 5단계의 형용사 척도를 사용하고, Smith와 Fletcher는 3단계(A~C) 척도를 사용한다. 오래된 Hofler/Werner 가이드북에서는 A부터 G까지의 단일 종합 등급을 사용하기도 했다. 대부분의 현대 가이드북은 루트의 전체 길이, 도달하는 최고 고도, 확보 장비(보호 시설)의 품질 등 루트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되는 추가 정보를 함께 제공한다.
4. 장비
비아 페라타 등반에는 추락으로부터 등반자를 보호하기 위한 특수한 등반 장비가 필수적이다. 핵심 장비는 비아 페라타 세트로, 이는 등반자의 하네스와 비아 페라타 경로의 강철 케이블을 연결하는 랜야드 및 두 개의 카라비너로 구성된다. 현대의 랜야드에는 추락 시 충격을 흡수하는 에너지 흡수 시스템(EAS)이 포함되어 있어,[16] 과거 사용되던 단순 확보 시스템의 안전 문제를 개선하였다.[4][12] 안전한 등반을 위해서는 국제산악연맹(UIAA) 또는 유럽 표준(EN 958) 등 공인된 규격을 만족하는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14][15]
4. 1. 비아 페라타 세트
"비아 페라타 세트"는 등반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장비로, 주로 랜야드와 두 개의 카라비너로 구성된다. 랜야드는 등반자의 하네스와 비아 페라타 케이블을 연결하며, 추락 시 충격을 흡수하는 에너지 흡수 시스템과 케이블에 직접 연결하는 두 개의 팔(암)을 포함한다. 현대에 사용되는 랜야드는 대부분 "Y"자 형태의 테이프 구조를 가지며, 이는 사용 편의성과 안전성 면에서 뛰어나 UIAA의 승인을 받은 표준적인 형태이다.[16] Y자형 랜야드는 두 개의 팔을 이용해 케이블 구간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4. 1. 1. 에너지 흡수 장치
초기의 비아 페라타 등반에서는 짧은 로프나 슬링에 카라비너를 연결하여 가슴 또는 앉는 하네스에 고정하는 간단한 등반 장비를 사용했다. 이는 추락 거리가 매우 짧을 것이라는 가정에 기반했지만, 실제로는 이러한 시스템이 심각한 부상을 예방하지 못한다는 것이 밝혀졌다.[4] 추락 시 에너지를 흡수할 로프 길이가 짧아 낙하 계수가 매우 높아질 수 있으며(암벽 등반에서는 보통 2를 넘지 않음), 이는 인체와 장비가 견딜 수 없는 큰 힘을 발생시켜 심각한 부상이나 장비 파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12]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충격 흡수기 역할을 하는 여러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이 장치들은 추락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등반자와 장비를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그러나 이러한 에너지 흡수 시스템(EAS)이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비아 페라타에서 추락할 경우 암벽 등반보다 부상 위험이 더 높을 수 있다. 이는 높은 낙하 계수와 더불어 발을 디딜 수 있는 발판이나 철제 계단 등에 부딪힐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2012년 8월에는 비아 페라타 사고 중 에너지 흡수 시스템의 탄성 랜야드 두 개가 모두 파손되는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 사고 이후 국제 산악 등반 연맹(UIAA)은 제조업체와 협력하여 문제가 된 여러 EAS 모델을 확인하고 리콜 조치를 취했다.[13]
유럽 경제 지역에서는 비아 페라타 등반에 사용되는 에너지 흡수 시스템을 개인 보호 장비(PPE)로 분류하고 있으며, 관련 규정(EU) 2016/425에 따른 안전 요구 사항 및 적합성 평가 절차를 준수해야 한다.[14] 이 규정의 세부 요구 사항은 유럽 조화 표준 EN 958에 명시되어 있으며, 이 표준은 2012년 사고와 같은 유형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2017년에 여러 시험 항목이 개정되었다.[15]
일반적으로 "비아 페라타 세트"는 랜야드와 두 개의 카라비너로 구성된다. 랜야드는 에너지 흡수 시스템, 케이블에 연결하는 두 개의 팔(암), 그리고 하네스에 연결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현대의 랜야드는 대부분 "Y"자 형태의 테이프 구조를 사용하는데, 이는 사용이 간편하고 안전하며 잘못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현재 국제산악연맹(UIAA)에서 승인하는 유일한 유형이다. Y자형 랜야드는 두 팔 모두를 강철 케이블에 거는 것이 원칙이지만, 하나만 걸어도 시스템은 작동한다. 반면, 초기에 사용되었던 "V"자형 랜야드는 한 번에 한쪽 팔만 케이블에 걸어야 하며, 만약 양쪽 팔을 모두 걸 경우 에너지 흡수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일부 랜야드에는 등반자가 가파른 구간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짧은 세 번째 팔이 달려 있기도 하며, 팔 부분이 수납 가능하여 걸리적거리지 않도록 디자인된 제품도 있다.[16]

현재 주로 사용되는 에너지 흡수 장치는 티어링(tearing) 방식이다. 이 방식은 특수하게 봉제된 웨빙(webbing)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추락 시 봉제 부분이 점진적으로 뜯어지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한다. 티어링 방식 흡수 장치는 심각한 추락을 단 한 번만 막을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눈에 띄는 손상이 남는다. 이 방식의 장점은 작고 가벼우며, 추락 후 재사용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특히 대여 장비 관리에 유용하다). 하지만 단점은 일회용이기 때문에 한 번의 추락 이후에는 더 이상 보호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이다.[17]
과거에는 로프가 통과하며 마찰을 통해 에너지를 흡수하는 금속 브레이크 장치 형태의 에너지 흡수 장치도 사용되었으나, 2012년 사고 이후 안전성 재평가를 거치면서 대부분 시장에서 철수되었다.[18]
4. 2. 기타 장비
과거 비아 페라타 등반 시에는 짧은 로프나 슬링에 연결된 카라비너를 가슴 또는 앉는 하네스에 고정하는 간단한 등반 장비를 사용했다. 이는 낙하 거리가 매우 짧을 것이라는 가정에 기반했지만,[4] 실제로는 심각한 부상을 예방하지 못한다는 점이 드러났다. 로프 길이가 짧아 낙하 에너지를 흡수하기 어려웠고, 실제 낙하 거리는 예상보다 길어질 수 있어 낙하 계수가 매우 높아질 수 있었다. 암벽 등반에서는 낙하 계수가 보통 2를 넘지 않지만, 비아 페라타에서는 이를 초과할 수 있다.[12] 이렇게 높은 낙하 계수는 사람의 몸과 대부분의 등반 장비가 견딜 수 없는 큰 힘을 발생시켜 심각한 부상이나 장비 파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충격 흡수기 또는 점진적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여러 장치, 즉 에너지 흡수 시스템(EAS)이 개발되었다. 이 장치들은 짧은 로프보다 낙하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등반자와 장비를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장비가 개발되고 비아 페라타가 일반 암벽 등반보다 안전하다는 인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낙하 시 부상 위험은 여전히 더 높을 수 있다. 이는 높은 낙하 계수와 더불어 발을 디딜 수 있는 발판이나 계단에 부딪힐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12년 8월에는 비아 페라타 사고로 에너지 흡수 시스템(EAS)의 탄성 랜야드 두 개가 모두 파손되는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 사고 이후 국제 산악 등반 연맹(UIAA)은 제조업체와 협력하여 문제가 된 여러 EAS 시스템 모델을 확인하고 리콜 조치를 취했다.[13]
유럽 경제 지역에서는 비아 페라타 등반에 사용되는 에너지 흡수 시스템(EAS)을 개인 보호 장비(PPE)로 분류하고 있으며, PPE 규정(EU) 2016/425에 따른 안전 요구 사항 및 적합성 평가 절차를 따라야 한다.[14] 이 규정의 구체적인 요구 사항은 유럽 조화 표준 EN 958에 명시되어 있다. 이 표준은 2017년에 개정되었는데, 이는 2012년 사고와 같은 유형의 장비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시험 항목을 강화한 것이다.[15]
5. 주요 국가별 비아 페라타
비아 페라타는 알프스 산맥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특히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에 많은 코스가 집중되어 있다. 현재 유럽에는 1000개가 넘는 비아 페라타가 존재하며[2], 점차 유럽 전역과 다른 대륙으로도 확산되어 다양한 형태의 비아 페라타를 즐길 수 있다.
이탈리아는 비아 페라타의 기원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국적으로 400개가 넘는 코스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돌로미티를 중심으로 제1차 세계 대전 관련 역사적인 루트와 아름다운 고산 루트가 풍부하다.[21][22] 오스트리아는 550개가 넘는 클라이터슈타이크(Klettersteigedeu)를 보유하며 비아 페라타를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홍보하는 국가 중 하나이다.[19] 북부 석회암 알프스가 주요 중심지이며, 세계에서 기술적으로 가장 어려운 코스 중 일부도 오스트리아에 있다.[20]
프랑스는 1988년 첫 코스가 생긴 이후 약 200개의 코스가 개발되었으며[27], 와이어 다리나 집라인 등을 활용하여 스릴을 강조하는 독특한 "프랑스식 스타일"이 특징이다.[28] 스위스는 비교적 늦게 비아 페라타가 도입되었지만 21세기 들어 빠르게 발전하여 현재 150개 이상의 코스를 보유하고 있다. 스위스 코스는 인공적인 보조물을 최소화하고 자연 암벽을 직접 활용하는 경향이 있다.[31] 독일 역시 남부 바이에른 알프스 지역과 작센 스위스 등을 중심으로 약 180개의 코스가 있으며, 스포츠적인 성격의 현대적인 코스가 많다.[34]
이 외에도 스페인(약 200개 코스)[30], 슬로베니아, 노르웨이, 영국 등 다른 유럽 국가들에서도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진 비아 페라타 코스들이 개발되어 운영되고 있다. 비아 페라타는 북아메리카(캐나다, 미국), 아시아(중국, 일본, 네팔, 말레이시아 등), 아프리카(케냐), 오세아니아(뉴질랜드), 남아메리카(페루) 등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추세에 있다.
5. 1. 이탈리아
이탈리아는 비아 페라타의 발상지로 여겨지며, 전국적으로 400개가 넘는 비아 페라타 코스가 있다. 이 중 절반 이상은 돌로미티 산맥에 집중되어 있다.[21] 돌로미티 지역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만들어진 역사적인 루트와 아름다운 고산 경관을 따라 조성된 루트들로 유명하다.[22] 또한, 돌로미티 서쪽의 브렌타 돌로미티 지역에도 조밀한 비아 페라타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Via delle Bocchette|비아 델레 보케테ita 시스템이 유명하다. 그 외 가르다 호 주변, 아오스타 계곡, 코모 호 동쪽 산악 지대, 프리울리 등 이탈리아 전역에 걸쳐 150개 이상의 다양한 비아 페라타가 존재한다.[25]5. 1. 1. 돌로미티
이탈리아에는 400개가 넘는 비아 페라타가 있으며, 그 중 절반 이상이 돌로미티 산맥에 위치해 있다.[21] 돌로미티의 비아 페라타는 크게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군사적 목적으로 건설된 역사적인 루트와, 전후 아름다운 고산 경관을 따라 조성된 루트로 나눌 수 있다.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돌로미티 산맥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영토였다. 1915년 이탈리아가 협상국에 가담하여 중앙 연합국에 선전포고하면서, 돌로미티는 오스트리아-헝가리군과 이탈리아군 사이의 치열한 격전지가 되었다. 양측 군대는 전략적 요충지인 봉우리들을 점령하고 관측소와 포대를 설치하기 위해 경쟁했다. 험준한 산악 지형에서 병력과 물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암벽에 영구적인 로프와 사다리를 설치했는데, 이것이 돌로미티 비아 페라타의 시초가 되었다.[7] 또한, 적의 요새를 파괴하기 위해 산 아래에 갱도를 파고 폭발물을 설치하기도 했다(이탈리아 전선의 갱도(제1차 세계 대전) 참조). 당시 전투의 흔적인 참호, 땅굴 등은 오늘날에도 여러 비아 페라타 코스 주변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미폭발탄과 같은 위험한 유물이 발견되기도 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격전지였던 친퀘토리(Cinque Torri)와 라가주오이 산 주변에는 당시 상황을 보여주는 광범위한 야외 박물관이 조성되어 있다.
전쟁 중 설치되었던 비아 페라타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복원 및 정비되었다. 기존의 로프는 강철 케이블로 교체되었고, 허술했던 나무 구조물 대신 암벽에 고정된 철제 사다리와 발판이 설치되었다. 이러한 등반로의 대부분은 현재 이탈리아 알파인 클럽(CAI; Club Alpino Italianoita)과 남부 티롤 알파인 클럽(AVS; Alpenverein Südtiroldeu)에서 관리하고 있다.

돌로미티에는 역사적인 루트 외에도 극적인 경관을 자랑하는 다양한 고산 비아 페라타가 많다. 주요 코스는 다음과 같다.[22]
- 이바노 디보나 비아 페라타 (VF Ivano Dibona): 주요 몬테 크리스탈로 능선을 가로지르는 역사적인 루트. 로렌치 산장(Rifugio Lorenzi, 2950m)에서 시작하며, 특징적인 현수교와 1차 세계 대전 요새 유적을 지난다. 종종 마리노 비안키 비아 페라타(Via Ferrata Marino Bianchi)를 먼저 오른 후 이어서 진행하기도 한다.[23]
- 마르몰라다 비아 페라타 (Via ferrata della Marmolada, Hans-Seyffert-Weg): 돌로미티 최고봉인 마르몰라다(Marmolada, 3343m)의 서쪽 능선을 오르는 루트로, 1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있던 루트이다.
- 지아니 아글리오와 주세페 올리비에리 비아 페라타 (Via ferratas Gianni Aglio and Giuseppe Olivieri): 토파나 디 메초(Tofana di Mezzo, 3244m) 정상에 도달하는 루트. 푼타 안나 비아 페라타(via ferrata Punta Anna)라고도 불린다.[24]
- 조반니 리펠라 비아 페라타 (Via ferrata Giovanni Lipella): 인근 토파나 디 로제스(Tofana di Rozes, 3225m)를 오르는 루트로, 전쟁 당시 만들어진 터널을 통과하는 것이 특징이다.
- 알레게시 비아 페라타 (Via ferrata degli Alleghesi): 치베타(Civetta, 3220m) 정상까지 이어지는 길고 고전적인 루트로, 1966년에 개설되었다.
- 볼베르-루글리 비아 페라타 (Via ferrata Bolver-Lugli): 돌로미티의 "마터호른"이라 불리는 치몬 델라 팔라(Cimon della Pala, 3184m)를 오르는 루트. 1970년 산 마르티노 디 카스트로차의 산악 가이드들이 건설했다.
- 체스코 토마셀리 비아 페라타 (Via ferrata Cesco Tomaselli): 파네스 그룹(Fanes group)의 푼타 수드(Punta Sud, 2980m)를 오르는 어려운 루트. 등반 보조 장비가 최소화되어 있고 보호되지 않은 구간이 있다.
- 메술레스 비아 페라타 (Via ferrata delle Mésules, Pössnecker Path): 셀라 그룹의 피츠 셀바(Piz Selva, 2941m)를 오르는 루트. 최초의 비아 페라타 중 하나로, 경치가 뛰어나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까다로운 코스로 평가받는다.
- 피츠 다 레흐 비아 페라타 (Via ferrata Piz da Lech): 셀라 그룹의 피츠 다 레흐(Piz da Lech, 2911m) 남쪽 면을 오르는 인기 있는 중간 난이도의 반나절 루트이다.
- 지아니 콘스탄티니 페라타 (Ferrata Gianni Costantini): 치베타 근처의 치마 모이아짜 수드(Cima Moiazza Sud, 2878m)를 오르는 루트. 돌로미티에서 가장 길고(1000m) 어려우며 가장 유명한 루트 중 하나이다.
- 잔도넬라 비아 페라타 (Via ferrata Zandonella): 세스토의 크로다 로사(Croda Rossa di Sesto, 2936m)를 오르는 루트 중 하나로, 1차 세계 대전 유적이 많이 남아있다. 근처에는 1차 대전 루트를 기반으로 한 훨씬 쉬운 알피니 길(Strada degli Alpini)이 있다.
- 알타 비아 브루노 페더스필 (Alta via Bruno Federspiel): 마르몰라다 남서쪽 파사네르 돌로미티(Fassaner Dolomites)의 스피츠 디 타리치뇨(Spiz di Taricignon, 2647m)를 가로지르는 매우 긴 루트로, 탁 트인 전망을 제공한다.
아마도 가장 특이한 비아 페라타는 라가주오이 터널 비아 페라타(via ferrata Lagazuoi Tunnels)일 것이다. 1차 세계 대전 중 라가주오이 산(Mount Lagazuoi) 장악을 위한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군과 이탈리아 군대는 산을 통과하는 일련의 터널을 건설했다. 현재 이 터널을 이용하는 비아 페라타가 있어 산 속으로 내려가 통과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돌로미티에는 쉬운 아베라우 비아 페라타(Via ferrata Averau)나 어려운 카날로네 비아 페라타(Via ferrata del Canalone)와 같은 훨씬 더 짧은 루트를 포함하여 수많은 다른 비아 페라타가 있다. 메초코로나 근처 아디제 계곡(Val d'Adige)에 있는 부로네 조반넬리 비아 페라타(Via ferrata Burrone Giovannelli)와 같이 돌로미티 주변 계곡에도 협곡을 오르는 비아 페라타가 있다.
5. 1. 2. 브렌타
1930년대, 트렌토 알피니스트 협회(Società degli Alpinisti Tridentini|소치에타 델리 알피니스티 트리덴티니ita, SAT)는 이탈리아 알프스 클럽(Club Alpino Italiano|클루브 알피노 이탈리아노ita, CAI)과 함께 브렌타 돌로미티의 등반 루트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인공 보조 장비와 안전 장비를 설치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암석의 자연적인 선과 경로를 연결하며 루트 시스템이 개발되었고, 이러한 작업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특히 산악인들에 의해 발견되고 개발된 Via delle Bocchette|비아 델레 보케테ita는 점차 독자적인 명성을 얻어 오늘날까지도 고전적인 루트로 인정받고 있다.[8] Via delle Bocchette|비아 델레 보케테ita 개발에는 독특한 원칙이 적용되었다. 등반 보조 장비 사용은 최소화되었고, 루트는 의도적으로 특정 봉우리의 정상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현대의 비아 페라타에서도 일부 이어지고 있지만, 반드시 지켜지는 것은 아니다. Via delle Bocchette|비아 델레 보케테ita는 단순히 정상 등반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비아 페라타 활동 그 자체의 가치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5]5. 1. 3. 기타 지역
이탈리아에는 돌로미티 산맥 외에도 150개가 넘는 비아 페라타가 있으며, 대부분 최근에 조성되었다. 특히 가르다 호 북쪽 끝, 아오스타 계곡, 코모 호 동쪽 산악 지대, 그리고 프리울리 지역(카르니 알프스 산맥과 줄리안 알프스 산맥에 걸쳐 분포)에 비아 페라타가 집중되어 있다.[25]주목할 만한 비아 페라타 노선은 다음과 같다.
- 칸초의 비아 페라타 델 벤티친쿠엔날레 (Via ferrata del Venticinquennale) (코모 호 삼각지대 중앙)[26]
- 가르다 호의 리바 델 가르다 마을 위쪽으로 이어지는 비아 델 아미치지아 (Via dell´Amicizia)
- 가르다 호 북쪽 트렌토의 몬테 카살레에 있는 비아 페라타 에르네스토 체 게바라 (Via ferrata Ernesto Che Guevara)
- 코모 호 서쪽 해안에 있는 비아 페라타 델 첸테나리오 C.A.O (Via Ferrata del Centenario C.A.O) (코모 호 비아 페라타 중 가장 유명)
- 아오스타 계곡의 몬테 에밀리우스에 있는 비아 페라타 델 몬테 에밀리우스/비아 페라타 두 몽-에밀리우스 (Via Ferrata del Monte Emilius / Via ferrata du mont-Émilius) (알프스 산맥에서 가장 높은 비아 페라타 중 하나)
- 프리울리의 줄리안 알프스 산맥에 있는 비아 이탈리아나 (Via Italiana) (www.klettersteig.de에서 6\* 등급으로 평가받은 3개의 비아 페라타 중 하나)
- 제노바의 비아 페라타 디아나 오를란디니 (Via ferrata Deanna Orlandini)
- 사르데냐 알게로 카포 칵차에 있는 비아 페라타 델 카비롤 (Via Ferrata del Cabirol) (해안 비아 페라타)
- 사르데냐 오글리아스트라의 셀바지오 블루(Selvaggio Blu) 코스 중 하나인 비아 페라타 블루 셀바지오 (Via Ferrata Blu Selvaggio)
5. 2.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는 비아 페라타(via ferrata)를 자연 체험의 한 방법으로 적극 홍보하며, 이를 가장 열정적으로 수용한 국가 중 하나로 꼽힌다. 2009년 기준으로 550개가 넘는 클라이터슈타이크(Klettersteige, 독일어로 비아 페라타를 의미)를 보유하고 있으며, 오스트리아 알파인 클럽(ÖAV)의 지역 지부들이 많은 난이도 높은 하이킹 코스를 비아 페라타 중심으로 조성했다.[19]오스트리아의 비아 페라타는 역사가 길며, 20세기 초 북부 석회암 알프스에서 처음 루트가 만들어졌다. 수년 동안 루트 개발은 이 지역에 집중되었으나, 최근에는 오스트리아 알프스 전역으로 비아 페라타 건설이 확대되었다. 오스트리아의 루트는 대체로 돌로미티의 긴 산악 루트와 프랑스의 짧은 스포츠 루트의 중간 정도의 특징을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슈타이어마르크주에 있는 Bürgeralm-Panorama-Klettersteig의 "아레나" 변형 루트는 2012년 기준으로 세계에서 기술적으로 가장 어려운 비아 페라타 중 하나로 여겨진다.[20]
주요 지역 및 코스
- 북부 석회암 알프스: 오스트리아 클라이터슈타이크의 중심지로, 빈 근처에서 스위스 국경까지 이어진다. 주요 산악 지대인 락스(가장 오래된 비아 페라타 중 일부가 있는 곳), 호에 반트, 토테스 게비르게, 다흐슈타인, 빌더 카이저, 카르벤델 등에 루트가 집중되어 있다.
- 특히 슈타이어마르크주의 다흐슈타인 산맥에는 람자우어 클라이터슈타이크, 유빌라움 클라이터슈타이크, 그리고 다흐슈타인 북쪽의 제반트 클라이터슈타이크(오스트리아에서 가장 어려운 장거리 루트 중 하나) 등 여러 주목할 만한 비아 페라타가 있다. 가장 하이라이트 중 하나는 세 개의 루트를 연결하여 최근에 만들어진 길고 어려운 다흐슈타인 슈퍼 페라타로, 오스트리아에서 가장 어려운 비아 페라타 중 하나로 꼽힌다.
- 북부 석회암 알프스의 다른 주목할 만한 루트로는 카르벤델의 인스브루커 클라이터슈타이크와 바로 동쪽의 미밍거 산맥에 있는 타야칸테 클라이터슈타이크가 있다. 두 루트 모두 인스브루크 근처 티롤주에 위치한다.
- 중앙 동부 알프스: 최근 개발이 진행되었으며, 외츠탈과 슈타바이 알프스, 그리고 호에 타우른 양쪽에 많은 루트가 있다. 슈타바이의 슐리커 클라이터슈타이크와 일름슈피츠 클라이터슈타이크, 외츠탈의 티롤러 베크, 그리고 카린티아의 호에 타우른 남쪽에 있는 벨라 비스타 클라이터슈타이크 등이 높이 평가받는 루트이다. 이 지역의 다른 비아 페라타들은 여러 개의 3000m 고봉을 오르는 코스를 포함한다.
- 남부 석회암 알프스: 카린티아와 동티롤에 걸쳐 있는 전통적인 비아 페라타 지역이다. 여러 루트가 이탈리아 국경 근처(카르니 알프스)에 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최전선을 형성했던 곳으로 일부 비아 페라타는 당시의 요새를 지나기도 한다. 여기에는 이 산맥의 최고봉인 호에 바르테를 오르는 베크 데어 26어가 포함된다.
5. 3. 프랑스
1988년 에크랭 산맥(Ecrins)의 프레시니에르(Freissinière)에 라 그랑드 팔레즈(La Grande Falaise)가 건설되면서 프랑스 최초의 비아 페라타가 시작되었다.[9][27] 이후 북쪽 레 비뉴(les Vigneaux)에는 프랑스에서 가장 인기 있는 루트 중 하나인 라 부아 뒤 콜롱비에(La Voie du Colombier, 연간 1만 5천 명 방문)가, 더 북쪽에는 전통적인 고산 루트인 뢰제의 아귀예트(Aiguillette du Lauzet) 등이 생겨났다.[27] 현재 프랑스에는 프랑스 알프스 전역에 약 200개의 비아 페라타가 있으며, 중앙산맥, 피레네 산맥, 코르시카 등 다른 지역에도 일부 코스가 있다.[27] 코스 난이도는 프랑스의 6개 등급 체계에 따라 비교적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매우 쉬움(F)과 극도로 어려움(ED) 등급은 소수이고 대부분 중간 난이도에 속한다.프랑스 비아 페라타는 발전 과정에서 독특한 "프랑스식 스타일"을 형성했는데, 이는 아찔한 절벽에 설치된 금속 발판, 와이어 다리, 집라인 등을 통해 스릴을 강조하는 특징을 보인다.[28] 이러한 요소는 관광객 유치에 기여하지만, 일각에서는 철제 보조물이 과도하게 사용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인상적인 지형적 특징을 활용한 주목할 만한 루트들이 많다.
일부 루트는 역사 유적지와 연계되어 있다. 오트알프(Hautes Alpes) 라 그라브(La Grave) 근처의 그랑 클로 광산(Les Mines du Grand Clôt) 비아 페라타는 19세기 초부터 20세기 초까지 운영되었던 납 광산 유적지를 따라 조성되었다. 코스 내 안내판은 당시 열악한 환경 속에서 광석을 채굴하려 했던 노동자들의 고된 삶을 보여준다. 이제르(Isère) 륄뱅(Lumbin) 근처의 비르 데 라방디에르(Vire des Lavandières) 비아 페라타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프랑스 레지스탕스 대원들이 이용했던 옛길(에셸 데 마키자르, Échelle des Maquisards) 일부를 포함하고 있어 역사적 의미를 더한다.
프랑스에서 비아 페라타의 유지 및 관리는 해당 시설이 위치한 코뮌(commune)이 담당한다. 특히 고지대 코스는 겨울철 눈과 얼음으로 인한 손상 가능성이 있어 유지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일부 코뮌에서는 유지 비용 충당을 위해 입장료를 부과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비아 페라타는 무료로 개방된다.
5. 4. 스위스
알프스 중앙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비아 페라타가 스위스에 도입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1993년에야 최초의 본격적인 스위스 비아 페라타인 탈리 클레터슈타이크(Tälli Klettersteig)가 우르너 알프스(Urner Alps)의 가드머 플뤼(Gadmer Flue) 남쪽 절벽에 만들어졌다. 이 코스는 여전히 최고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이후 몇 년간 큰 변화는 없었으나,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비아 페라타는 빠르게 확산되어 현재 150개 이상의 코스가 등록되어 있다. 로터 가이드(Rother guide)[31]에 따르면, 스위스의 비아 페라타는 일반적으로 프랑스의 "스포츠" 비아 페라타와 유사하지만, 인공적인 발 디딤쇠나 손잡이가 풍부하지 않아 등반가가 암벽에 직접 접촉하며 다음 지점을 찾아야 하는 경우가 많다.현재(2019년 11월 기준) 비아 페라타는 스위스 전역에 분포하지만, 특히 중부와 서부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주요 지역은 다음과 같다.
- 베르네 오버란트(Bernese Oberland): 32개 코스
- 발레주(Valais): 39개 코스
- 중부 스위스: 루체른 호수(Lake Lucerne) 주변, 우르너 알프스(15개 코스), 피어발트슈테터 알프스(17개 코스)[32]
특히 엔겔베르크(Engelberg)는 비아 페라타의 주요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곳의 퓌렌반트 클레터슈타이크(Fürenwand-Klettersteig)는 "가장 장관"으로 꼽힌다.[33]
스위스의 비아 페라타는 다양한 특징을 가진다.
- 협곡 코스: 사스페(Saas-Fee)의 알파인 협곡, 체르마트(Zermatt) 근처 고르너 협곡 등 액션으로 가득 찬 코스
- 전망 코스: 사스페(Saas-Fee) 근처 예기슈타이크(Jegisteig, 예기호른(Jägihorn)) 및 미타고른 클레터슈타이크(미타크호른(Mittaghorn))와 같이 3000m 봉우리까지 이어지는 탁 트인 전망을 제공하는 코스
- 고산 코스: 안데르마트(Andermatt) 근처 살비트-케텐베크(Salbit-Kettenweg)와 같이 고산 지대의 도전적인 코스
- 운동 코스: 루가노(Lugano) 근처 비아 페라타 산 살바토레(Via ferrata San Salvatore)와 같이 까다로운 신체 능력을 요구하는 코스
로터 가이드[31]는 경치와 등급을 고려했을 때 가장 뛰어난 코스로 스위스 동부 글라루스주(canton of Glarus)의 브라운발더 비아 페라타(Braunwalder via ferrata)와 발레주(Valais) 로이커바트(Leukerbad) 근처의 다우벤혼 비아 페라타(Daubenhorn via ferrata)를 추천한다. 로이커바트너 클레터슈타이크(Leukerbadner Klettersteig)(1&2)라고도 불리는 다우벤혼 비아 페라타는 스위스에서 가장 긴 코스이기도 하다.
5. 5. 독일
독일에는 약 180개의 비아 페라타(Via Ferrata|비아 페라타ita)가 있으며, 그중 가장 쉬운 코스는 특수한 장비 없이도 접근할 수 있다. 많은 비아 페라타가 오스트리아 국경 근처 독일 남부 지역에 있다. 작센 스위스를 비롯한 다른 지역에도 많은 비아 페라타가 있다. 돌로미티(Dolomites)의 비아 페라타와는 달리, 많은 코스가 현대에 조성되었으며 스포츠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이 때문에 돌로미티의 고전적인 코스보다 길이는 더 짧지만 난이도는 훨씬 어려울 수 있다.[34]5. 6. 기타 유럽 국가
=== 스페인 ===스페인 최초의 비아 페라타는 1954년 우에스카(Huesca)에 있는 카날 델 팔로모(Canal del Palomo)에 건설되었으며, 난이도는 D등급이었다.[9] 이후 스포츠 등반을 위한 루트는 1993년 카탈루냐의 몬세라트(Montserrat) 산에 조성되었다.[9] 현재 스페인에는 약 200개의 비아 페라타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30] 대부분은 카탈루냐, 아라곤, 발렌시아 지방, 안달루시아(론다와 말라가 주변)에 위치해 있다.[9] 날씨 덕분에 연중 대부분 이용 가능하며, 정상으로 이어지는 루트는 소수에 불과하다.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비아 페라타 중 하나는 카나리아 제도에 있는 그란 카나리아의 비아 페라타 엑스트라플로믹스(Via Ferrata Extraplomix)로, 독특하게 G등급을 받았다.[9] 특징적인 루트로는 물이 없는 협곡을 통과하는 루트가 있는데, 예를 들어 콜바토(Collbató)의 카날 데 라스 다마스(Canal de las Damas)는 D등급이다.[9]
=== 안도라 ===
이 작은 나라에는 비아 페라타(vía ferrataes)가 15개 있다.[35]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2019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는 최초의 비아 페라타가 벨레즈에 설치되었다.[36]
=== 불가리아 ===
불가리아에는 7개 이상의 비아 페라타(vía ferrataes)가 있다. 가장 인기 있는 비아 페라타 중 하나는 2010년 말리요비차 산장 근처에 건설되었다. 또한 로도피 산맥에는 스몰리얀, 라키토보, 트리그라드 근처에 4개의 비아 페라타가 있다.[37]
=== 체코 ===
체코의 데친 마을에는 비아 페라타 시스템이 있다. 초반부는 쉬운 공용 구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후 다양한 난이도의 여러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38]
세밀리에는 "보드니 브라나(Vodní Brána, 수문)"라는 비아 페라타가 있다.[39]
비르(Vír) 마을과 그곳의 댐 근처에는 3개의 비아 페라타로 이루어진 폐쇄 회로 시스템이 있다.[40]
=== 헝가리 ===
헝가리에는 최소 4개 이상의 비아 페라타가 있다.[41]
=== 코소보 ===
루고바 산맥 인근 페야에는 여러 개의 비아 페라타(Via Ferrata)가 있다. 아리 비아 페라타(Ari via ferrata)는 2012년에 이탈리아와 코소보 알파인 클럽의 협력으로 건설되었다.[42] 베림 비아 페라타(Berim via ferrata)는 주빈포토크 근처에 있으며 발칸반도에서 가장 길고 높다.[43][44]
=== 노르웨이 ===
노르웨이에는 여러 개의 비아 페라타가 있으며, 2020년 기준으로 15개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보통 노르웨이어로 '클라테스티(klatresti)'라고 불리는데, 이는 '등반로'로 번역될 수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여러 개의 새로운 비아 페라타가 건설되었지만, 노르웨이는 남유럽과 달리 비아 페라타의 전통이 그리 깊지 않다.
티세달에는 티소(Tysso) 비아 페라타가 있는데, 노르웨이 수력발전 박물관에서 시작하여 매우 가파른 수력발전관을 따라 올라간다. 퀴르키예베겐(Kyrkjeveggen, "교회 벽")은 오크라피오르덴 피오르드의 푈에라(Fjæra)에 위치해 있다. 퀴르키예베겐 코스는 500m 높이까지 올라간다. 헴세달에도 하나가 있다.[45]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스트륀에 있는 비아 페라타 로엔(Via Ferrata Loen)이다. 2012년에 개장했다.[46] 이 코스에는 극적인 현수교인 괴울문네브루아(Gjølmunnebrua)가 있다. 트론헤임에는 뭉켄(Munken) 산의 트론헤임 피오르 건너편에 도시 전망을 감상할 수 있는 비아 페라타가 있다.[47] 2015년부터 세테스달의 스트라움스푈(Straumsfjell)은 북유럽에서 가장 긴[48] 비아 페라타이다. 롬에 있는 비아 페라타는 해발 380m에서 시작하여 해발 1524m까지 올라가는데, 노르웨이에서 고도 상승량과 최고 지점 모두 기록을 세웠다. 또 다른 비아 페라타는 2017년에 온달스네스에도 개장했다.
=== 루마니아 ===
2022년 기준으로 루마니아에는 최소 12개 지역에 비아 페라타(Via Ferrata) 코스가 있다. 대부분의 코스는 최근 몇 년 사이에 개설된 스포츠 지향적인 코스이며, 난이도는 A등급에서 E등급까지 다양하다.[49] 고르주주 바이아데피에르(Baia de Fier) 코뮌에 있는 무이에릴 동굴(Peștera Muierilor) 근처에는 21개[50]의 코스가 밀집되어 있으며, 가장 최근 코스는 2021년 12월에 완공되었다.[51] 2021년 12월, 바이아데피에르는 루마니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익스트림 비아 페라타(Acrobatic Via Ferrata) 군집으로 국가 기록을 경신했다.[52] 또 다른 5개 코스로 이루어진 "아스트라갈루스(Astragalus)"(쥐눈이콩속(Astragalus) 식물 종에서 이름을 따옴) 코스는 슈거우 강(Șugău River (Bicaz)) 근처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 코스는 2017년 봄에 개설되었고 이용료가 부과된다.[53] 비호르주의 산악 구조대는 바두크리슐루이 근처에 2개의 코스[54]와 아푸세니 산맥의 아리에셰니 코뮌 근처 피에트렐레 네그레(Pietrele Negre)에 1개의 코스를 건설했다.[55] 하르기타주의 산악 구조대는 2016년 붉은 호수 근처에 "와일드 페렌츠(Wild Ferenc)"라는 코스를 건설했다.[56]
=== 슬로바키아 ===
슬로바키아에는 여러 개의 비아 페라타(Via Ferrata) 코스가 산재해 있으며, 가장 많은 코스가 크렘니차 마을 근처 스칼카(Skalka)의 스키 및 비아 페라타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스칼카에는 두 개의 무료 공공 하위 지역이 함께 위치해 있다. 하나는 비아 페라타 코민(via ferrata Komin)으로, 등급 E(60m) 1개, 등급 D 1개, 등급 C 1개, 등급 B 1개, 등급 A/B 2개, 등급 A 1개의 비아 페라타와 여러 개의 볼더링 코스가 있다. 두 번째 지역인 비아 페라타 랜드(Via Ferrata Land)에는 등급 F(45m) 1개, 등급 E 1개, 등급 D 1개, 등급 B 3개, 등급 A 1개의 비아 페라타가 있다. 다른 비아 페라타 코스는 마르틴스케 홀레(Martinske Hole)(B&C), 키셀(Kysel) 또는 리프토프(Liptov)에서 찾을 수 있으며, 리프토프에는 비아 페라타 드베 베제(Via Ferrata Dve veze)(3개 코스 - B, C & C/D)가 있다. 니트라에 위치한 비아 페라타 조보르(via Ferrata Zobor)는 A/B부터 D/E 등급까지 다양한 여러 코스로 구성되어 있다.[57]
=== 슬로베니아 ===
슬로베니아에는 비아 페라타 노선이나 구간이 많지만, 확실한 목록은 없다. 서부 지역(줄리안 알프스)의 몇몇 노선은 돌로미티의 노선과 마찬가지로 전시와 관련된 기원을 가지고 있지만, 나머지는 훼손되었거나 나중에 건설된 것이다. "매우 어려운" 등급의 등산로에 보호 장비가 추가되면서 노선이 발전해 왔다. 다른 곳의 전문적으로 건설된 비아 페라타보다 난이도가 더 다양하고 보호 장비가 덜 지속적으로 설치되는 경향이 있다. 주목할 만한 노선으로는 브라타 계곡에서 트리글라프로 이어지는 노선(프라그 노선, 토미섹 노선, 밤베르크 길), 코피슈차르 "창문을 통과하는" 프리산크 등반 노선, 그리고 망가르트로 이어지는 슬로베니아식 노선이 있다.
2010년에 빈스카 고라 근처에 최초의 스포츠 비아 페라타인 "곤자르예바 페치"가 건설되었으며, 난이도는 D/E이다.[58] 최근 몇 년 동안 리스카(체르예, 최상부 난이도 D/E, 나머지 B/C), 모이스트라나(그란치슈체), 체슈카 코차(예제르스코) 등 다른 비아 페라타들이 추가되었다.
=== 스웨덴 ===
스웨덴에는 최소 7개의 비아 페라타 등반로가 있다. 케브네카이세 산 정상으로 가는 동쪽 루트에 하나, 푸네스달렌에 하나, 키텔피얄에 하나, 그리고 높은 해안 지역의 스쿨레베르게트(Skuleberget)에 네 개가 있다.[59]
=== 영국 ===
레이크 디스트릭트의 호니스터 슬레이트 광산 비아 페라타는 플릿위스 파이크의 가파른 면을 따라 이어지는 옛 광부들의 길을 기반으로 한다.[60]
요크셔 데일스의 하우 스티안 협곡 비아 페라타는 2009년 레크리에이션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강 위에 고정된 보와 사다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암벽 구간도 있다.
스코틀랜드 파이프주의 엘리 마을 서쪽에 있는 엘리 체인 워크는 킨로클레븐에 최근 비아 페라타가 생기기 전까지 스코틀랜드에서 비아 페라타와 가장 유사한 시설이었다. 엘리 체인 워크는 가파른 해안 절벽을 따라 이어지는 노선에 여덟 개의 체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비아 페라타 장비(랜야드, 헬멧, 하네스)는 사용되지 않는다. 처음에는 어부들이 그물을 걷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는 지방 의회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최근에 보수 공사를 마쳤다. 약 10세 이상(감독 하에) 어린이에게 적합하며, 썰물 때문에 고립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만조 시에는 이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최근 스코틀랜드에 첫 비아 페라타가 완공되었다. 비아 페라타 스코틀랜드는 포트 윌리엄과 글렌코 근처 킨로클레븐에 위치해 있다. 스코틀랜드에서 세 번째로 큰 폭포인 그레이 메어스 테일 옆에 있으며, 버티컬 디센츠가 설치 및 운영하고 있다.
켄들 클라이밍 월에는 실내 비아 페라타가 있으며, 강철 사다리와 발판을 이용하여 클라이밍 구역 주변을 이동하는 코스이다.
펜린과 팰머스 근처 지역인 할바소에 있는 비아 페라타 콘월은 채석장 부지에 위치하며 금속 발판, 사다리, 현수교와 집라인을 갖추고 있다.[61]
=== 포르투갈 ===
포르투갈에는 많은 비아 페라타(Via Ferrata) 노선이 있으며,[62] 그중 가장 긴 노선은 길이 2190m의 비아 페라타 다스 탈라다스(Via Ferrata das Talhadas)이다.[63]
5. 7. 기타 국가
=== 캐나다 ===캐나다에는 여러 개의 비아 페라타가 있으며, 대부분 민간에서 운영한다. 2002년 산악 가이드 프랑수아 기 티비에르주(François Guy Thivierge)가 퀘벡 시티 근처 캔용 생트 앤(Canyon St Anne)에 처음으로 지퍼 라인이 있는 비아 페라타 두 개를 설치했다. 2003년 티비에르주는 생 시메옹(St Siméon)에서 170번 도로를 따라 북쪽으로 10km 떨어진 레 팔리사드 드 샤를르부아(Les Palissades de Charlevoix)에 지퍼 라인 두 개가 있는 비아 페라타 두 개를 더 개발했다. 퀘벡주 발데몽(Val-des-Monts)의 아르브라스카 라플레슈(Arbraska Laflèche)와 퀘벡주 로돈(Rawdon)의 아르브라스카 로돈(Arbraska Rawdon)에도 각각 하나씩 있다.[64]
서부 캐나다에는 8개의 코스가 있다. 캐나다에서 가장 큰 비아 페라타는 브리티시컬럼비아주 퍼셀 산맥(Purcell Mountains)의 님버스 산(Mt. Nimbus)에 있다. 캐나디언 마운틴 홀리데이즈(Canadian Mountain Holidays)가 운영하는 두 곳 중 한 곳으로, 헬리콥터로만 접근할 수 있다.[65]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다른 비아 페라타는 골든(Golden) 근처의 키킹 호스 산악 리조트(Kicking Horse Mountain Resort), 스쿼미시(Squamish) 근처의 씨 투 스카이 곤돌라(Sea to Sky Gondola), 그리고 휘슬러 산(Whistler Mountain)에 있다.[66]
서부 캐나다 최초의 공공 비아 페라타는 앨버타주 노르데그(Nordegg)와 아이스필드 파크웨이(Icefield Parkway) 중간에 있는 스텔폭스 산(Mt. Stelfox)에 있다. 로키 산맥에 위치하며, 클라인 강(Cline River) 동쪽 주차장에서 트레일헤드를 찾을 수 있다. 등반 길이는 약 180m이며, 주차장까지 돌아오는 데 약 2시간이 걸린다.[67] 앨버타주의 다른 비아 페라타는 어니스트 로스 산(Mount Ernest Ross)과 노퀘이 산(Mt. Norquay)에 있다.[68]
=== 중국 ===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에서는 'Yuehua Junning'이라는 전문 비아 페라타 건설 회사가 부상했다. 이 회사의 팀은 주로 케이브 유니온(Cave Union)과 IRATA 전문 교육을 통해 구성되었으며, 자체 비아 페라타 부품 생산 라인과 연구 개발 기관을 보유하고 있다. 이 팀은 하이난, 구이저우, 쓰촨, 충칭, 허난, 산둥, 저장, 장시, 베이징 등지에 20개 이상의 비아 페라타를 건설했다. 특히 유명한 구간은 장시성 시수이 현과 동후하이 경관구에 있다.
중국 시안 근처의 화산에는 최소 두 개의 짧은 비아 페라타 코스가 있다.[69] 2016년 기준으로 베이징, 구이저우, 충칭, 장시, 운남, 산시 등 중국 전역에 10개 이상의 비아 페라타가 건설되었다. 프리스메(Prisme)는 중국 파트너인 베이징 비아 페라타 개발 및 서비스 유한회사(Beijing Via Ferrata Development & Services Co. Ltd)를 통해 베이징, 산시, 운남에 3개의 비아 페라타를 건설했다. 몇몇 현지 업체들도 비아 페라타 건설을 시작했지만, 현지 업체들이 건설한 비아 페라타의 안전 기준은 프리스메나 다른 유럽 건설업체들과 동일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70]
=== 일본 ===
일본 중앙알프스의 호켄산에는 중급 수준의 비아 페라타가 있다. 고도 2900m가 넘는 곳에서 300m의 깎아지른 절벽 위를 지난다. 이 루트에서 여러 명이 사망했으며, 비아 페라타는 예상치 못하게 얼어붙을 수 있다.
=== 케냐 ===
2012년 7월, 케냐 야생동물국(KWS)이 개발한 비아 페라타가 케냐 산에 개장하여, 레나나 봉(오스트리아 헛 경유)으로 가는 북서쪽 접근로와 남쪽(십턴)에서 안전한 통행로를 제공했다. "올로나나"로 명명된 이 비아 페라타는 4985m 높이로 당시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비아 페라타였다.[71]
=== 라오스 ===
2011년, 그린 디스커버리 라오스(Green Discovery Laos)가 개발한 비아 페라타가 트리톱 익스플로러(Tree Top Explorer)의 일부로 개장했다. 난이도는 중급이다. 환경 친화적인 접근 방식과 지역 사회의 참여를 인정받아 세계관광기구(UNWTO)와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네덜란드)의 지원을 받았으며, 이 프로젝트는 라오스 관광의 다양화에도 기여하고자 한다. 개장 이후 라오스 전역에 여러 개의 비아 페라타가 새로 생겼다.
=== 말레이시아 ===
말레이시아의 비아 페라타는 사바주에 있는 키나발루산에 위치해 있다. 해발 3776m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의해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비아 페라타로 인증되었다.[72]
=== 멕시코 ===
멕시코의 후아스테카 협곡에 최근 비아 페라타가 생겼다. 이는 라틴 아메리카에서 가장 큰 도시 중 하나인 몬테레이에서 30분 거리에 위치하며, 난이도는 중급이다.
=== 네팔 ===
드롤람바우 빙폭의 비아 페라타("사가르마타로 가는 하늘길"이라고도 함)는 2017년부터 2019년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네팔 롤왈링 계곡 해발 5000m~5400m에 위치한다. 이는 히말라야 최초이자 세계 최고 높이에 위치한 비아 페라타이다. 탐험 누나트 인터내셔널(다비데 펠루치, 조르조 마리넬리, 마르코 디 마르첼로, 파올로 코코, 푸르바 텐징 셰르파, 파당 타망)이 설계 및 조성하여 유명한 쿰부 계곡으로의 통로를 확보하고 히말라야 최고 고도의 대피소로의 안전한 등반을 가능하게 하였다.[73][74][75]
=== 뉴질랜드 ===
뉴질랜드 퀸스타운 언덕(Queenstown Hill) 서쪽 면에는 비아 페라타가 있다. 수직 높이 300m가 넘는 곳에 12개의 루트가 있다.[76]
와나카의 비아 페라타는 와일드와이어 와나카(Wildwire Wanaka)라는 회사가 개인이 운영한다. 비아 페라타에는 60m 높이의 폭포를 따라 이어지는 구간이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높은 폭포 비아 페라타이다.[77]
=== 오만 ===
오만에는 5개의 비아 페라타 등반로가 있다. 그중 3개는 관광부가 운영하는 자발 샴스(Jabal Shams), 와디 바니 아우프(Wadi Bani Awf, 스네이크 조지), 반다르 카이란(Bandar Khayran, 웨스턴 아일) 등반로인데, 2012년부터 운영이 중단되었다.[78] 현재 운영 중인 곳은 알릴라 자발 악다르(Alila Jabal Akhdar)가 사적으로 운영하는 2개의 등반로뿐이다. 하나는 난이도 2급이고, 다른 하나는 난이도 5급으로 동굴 입구를 가로지르는 22m 길이의 현수교 워크가 포함되어 있다.[79]
=== 페루 ===
페루 잉카의 신성 계곡(고도 2650m)에 위치하며, 쿠스코와 올란타이탐보 요새 사이에 있다. 비아 페라타는 250m 높이의 현수교를 포함하여 300m의 수직 높이에 달하며, 총 길이는 700m이다. 개인 루트이며 중급 레벨이다. 100m 래펠을 통해 하강한다.
=== 아랍에미리트 ===
아랍에미리트에는 라스알카이마 토후국에 위치한 비아 페라타 코스가 하나 있다. 이 코스는 자벨 자이스(Jebel Jais) 산맥을 따라 이어지며 총 길이 1km이고, 짚라인(zip-line) 3개가 포함되어 있다.
=== 미국 ===
한 출판물에서는 미국의 최고 비아 페라타로 유타주 워터폴 캐니언, 켄터키주 레드리버 고지의 토렌트 폭포, 웨스트버지니아주 넬슨 록스, 와이오밍주 잭슨홀 마운틴 리조트, 콜로라도주 텔루라이드, 콜로라도주 우레이, 캘리포니아주 팔리세이즈 타호의 타호 비아페라타를 꼽았다.[80] 다른 코스로는 콜로라도주 캐니언 시티의 로열 고지 브리지,[81] 애리조나주 피카초 피크 주립공원의 피카초 피크,[82] 유타주 남부의 아망기리 리조트가 있다.[83] 콜로라도주 아라파호 베이슨 스키 리조트는 북미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비아 페라타를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해발 약 366m 높이에서 해발 약 3980m 봉우리까지 이어지는 코스를 제공한다.[84]
6. 한국의 비아 페라타
(작성할 내용 없음)
7. 안전
비아 페라타 등반은 적절한 장비와 주의가 필요한 활동이다. 과거에는 간단한 장비가 사용되었으나, 높은 낙하 계수로 인한 심각한 부상 위험 때문에 에너지 흡수 시스템(EAS)과 같은 특수 장비가 개발되었다.[4][12] 그럼에도 불구하고, 추락 시 발판이나 계단 등에 부딪힐 위험이 있어 부상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2012년에는 에너지 흡수 시스템의 결함으로 인한 사망 사고가 발생하여, 이후 장비 안전 기준이 강화되었다.[13] 유럽 경제 지역에서는 비아 페라타용 에너지 흡수 시스템을 개인 보호 장비(PPE)로 분류하고 엄격한 안전 표준(EN 958)을 적용하고 있다.[14][15]
7. 1. 위험 요소
과거에는 비아 페라타를 등반할 때 짧은 로프나 슬링에 카라비너를 연결하여 가슴 또는 앉는 하네스에 고정하는 간단한 등반 장비만을 사용했다. 이는 추락 거리가 매우 짧을 것이라는 가정에 기반했지만,[4] 이러한 시스템이 심각한 부상을 예방하지 못한다는 것이 점차 분명해졌다. 낙하 에너지를 흡수할 로프 길이가 짧은 반면 실제 추락 거리는 훨씬 길 수 있어, 낙하 계수(암벽 등반에서는 보통 2를 넘지 않는다)가 매우 높아질 수 있다.[12] 이렇게 높은 낙하 계수는 사람의 몸과 대부분의 등반 장비가 견딜 수 없는 큰 힘을 발생시켜 심각한 부상이나 장비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충격 흡수기 또는 점진적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여러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 장치들은 짧은 로프보다 낙하 에너지를 더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등반자와 장비를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하지만 이러한 장비가 개발되고 비아 페라타가 일반 암벽 등반보다 더 안전하다는 인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추락할 경우 부상 위험은 오히려 더 높을 수 있다. 이는 여전히 높은 낙하 계수의 영향과 더불어, 추락 시 부딪힐 수 있는 발판이나 계단 등이 자주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12년 8월에는 비아 페라타 등반 중 에너지 흡수 시스템(EAS)의 탄성 랜야드 두 개가 모두 파손되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 사고 이후 국제 산악 등반 연맹(UIAA)은 여러 EAS 시스템 모델의 문제를 확인하고 제조업체와 협력하여 리콜 조치를 시행했다.[13]
유럽 경제 지역 내에서는 비아 페라타 등반에 사용되는 에너지 흡수 시스템을 개인 보호 장비(PPE)로 분류하고 있으며, PPE 규정(EU) 2016/425에 따른 안전 요구 사항 및 적합성 평가 절차를 준수하도록 요구한다.[14] 이 규정의 구체적인 요구 사항은 유럽 조화 표준인 EN 958에 명시되어 있다. 이 표준은 2017년에 개정되었는데, 특히 2012년 사고와 관련된 유형의 장비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시험 항목이 강화되었다.[15]
7. 2. 안전 수칙
과거 비아 페라타 등반 시에는 짧은 로프나 슬링에 연결된 카라비너를 가슴 또는 앉는 하네스에 고정하는 간단한 등반 장비를 사용했다. 이는 낙하 거리가 매우 짧을 것이라는 가정에 기반한 것이었다.[4]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심각한 부상을 막지 못한다는 점이 점차 명확해졌다. 로프 길이가 짧아 낙하 에너지를 흡수하기 어렵고, 실제 낙하 거리는 예상보다 길 수 있어 낙하 계수가 매우 높아질 수 있다 (일반적인 암벽 등반에서는 보통 2를 넘지 않는다).[12] 이렇게 높은 낙하 계수는 사람의 몸과 대부분의 등반 장비가 견딜 수 없는 큰 힘을 발생시켜 심각한 부상이나 장비 파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충격 흡수 장치나 점진적 제동 장치(에너지 흡수 시스템, EAS)들이 개발되었다. 이 장치들은 짧은 로프보다 낙하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등반자와 장비를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에너지 흡수 시스템(EAS)이 개발되고 비아 페라타가 암벽 등반보다 안전하다는 인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추락 시 부상 위험은 여전히 더 높을 수 있다. 이는 높은 낙하 계수 문제와 더불어, 추락 시 부딪힐 수 있는 발판이나 계단 등이 자주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12년 8월에는 비아 페라타 사고 중 에너지 흡수 시스템의 탄성 랜야드 두 개가 모두 파손되어 사망자가 발생하는 안타까운 사고가 있었다. 이 사고 이후 국제 산악 등반 연맹(UIAA)은 제조업체와 협력하여 문제가 된 여러 에너지 흡수 시스템 모델을 확인하고 리콜 조치를 취했다.[13]
유럽 경제 지역 내에서는 비아 페라타 등반에 사용되는 에너지 흡수 시스템을 개인 보호 장비(PPE)로 분류하고 있다. 따라서 이 장비들은 PPE 규정(EU) 2016/425에 명시된 안전 요구 사항과 적합성 평가 절차를 따라야 한다.[14] 이 규정의 구체적인 요구 사항은 유럽 조화 표준인 EN 958에 의해 뒷받침된다. 이 표준은 2017년에 개정되었으며, 2012년 사고와 같은 유형의 장비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시험 항목이 강화되었다.[15]
7. 3. 한국 특수 안전 문제
과거 비아 페라타 등반에서는 짧은 로프나 슬링에 카라비너를 연결해 하네스에 고정하는 간단한 등반 장비를 사용했다. 이는 낙하 거리가 매우 짧을 것이라는 가정에 기반한 방식이었다.[4]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심각한 부상을 막지 못한다는 점이 점차 드러났다. 낙하 에너지를 흡수할 로프 길이가 짧아 낙하 계수가 매우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암벽 등반에서는 보통 2를 넘지 않는다).[12] 이렇게 높은 낙하 계수는 사람의 몸이나 대부분의 등반 장비가 견딜 수 없는 큰 힘을 발생시켜 심각한 부상이나 장비 파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충격 흡수기나 점진적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여러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 장치들은 짧은 로프보다 낙하 에너지를 더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등반자와 장비를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비 개발과 비아 페라타가 암벽 등반보다 안전하다는 인식에도 불구하고, 추락 시 부상 위험은 여전히 높다. 이는 높은 낙하 계수뿐만 아니라, 발을 디딜 수 있는 발판이나 계단이 많아 추락 시 부딪힐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2012년 8월에는 비아 페라타 사고 중 에너지 흡수 시스템(EAS)의 탄성 랜야드 두 개가 모두 파손되는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 사고 이후 국제 산악 등반 연맹(UIAA)은 제조업체와 협력하여 문제가 된 여러 EAS 시스템 모델을 확인하고 리콜 조치를 취했다.[13]
유럽 경제 지역에서는 비아 페라타 등반에 사용되는 에너지 흡수 시스템을 개인 보호 장비(PPE)로 분류하고, PPE 규정(EU) 2016/425의 안전 요구 사항 및 적합성 평가 절차를 따르도록 하고 있다.[14] 이 규정의 요구 사항은 유럽 조화 표준 EN 958에 의해 뒷받침된다. 이 표준은 2017년에 개정되었으며, 2012년 사고와 같은 유형의 장비 고장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시험 항목이 개정되어 포함되었다.[15]
참조
[1]
뉴스
Truly, madly, steeply: a via ferrata tour of the Dolomites
https://www.theguard[...]
2019-09-17
[2]
서적
Klettersteig-Guide Österreich alle gesicherten Klettersteige
Tyrolia-Verl
2003
[3]
웹사이트
Entstehung und Geschichte
http://www.via-ferra[...]
via-ferrata-dachstein.at
2012-09-11
[4]
서적
Klettersteig Scrambles in the Northern Limestone Alps
Cicerone Press
1983
[5]
서적
Via Ferrata Scrambles in the Dolomites
Cicerone Press
1982
[6]
웹사이트
Gustav Jahn (1879-1919) Alpines
http://www.gustav-ja[...]
2022-11-11
[7]
뉴스
Hit the Heights, but Take the Stairs
https://www.nytimes.[...]
2006-09-15
[8]
서적
Classic Walks of the World
Oxford Illustrated Press
1985
[9]
서적
25 Klettersteige in Europa mit besonderem Charakter
https://books.google[...]
BoD – Books on Demand
2022
[10]
서적
Via Ferratas of the French Alps
Cicerone
2014
[11]
서적
25 Klettersteige in Europa mit besonderem Charakter
https://books.google[...]
BoD – Books on Demand
2022
[12]
웹사이트
Get into via ferrata: the gear
https://www.thebmc.c[...]
2017-07-16
[13]
뉴스
Second wave of via ferrata set recalls within six months – UIAA – Last News
http://theuiaa.org/n[...]
2013-02-25
[14]
간행물
REGULATION (EU) 2016/425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9 March 2016 o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nd repealing Council Directive 89/686/EEC
OJEU
2016-03-31
[15]
표준
EN 958:2017 – Mountaineering equipment – Energy absorbing systems for use in klettersteig (via ferrata) climbing – Safety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
[16]
뉴스
Petzl catalogue
http://www.petzl.com[...]
2011-12-05
[17]
서적
Via Ferratas of the Italian Dolomites Volume 1: 75 routes – north, central and east ranges
https://books.google[...]
Cicerone Press Limited
2018-04-17
[18]
웹사이트
Important Notes {{!}} Mammut
http://www.mammut.ch[...]
[19]
웹사이트
alpin programm
http://www.oeav-even[...]
[20]
웹사이트
Black Diamond Equipment Experience
https://www.blackdia[...]
[21]
뉴스
Klettersteige in Italy
http://www.kletterst[...]
2011-12-05
[22]
문서
Routes listed are rated 5* by www.kletersteig.de, 4 stars for "fun" by the Schall guide to the dolomites and most are listed Erlebnis Klettersteig, Die 100 schönsten Touren in den Alpen (except VF della Marmolada, Gianni Aglio/Giuseppe Olivieri and Cesco Tomaselli)
[23]
서적
Dolomiten 6
2020
[24]
뉴스
Truly, madly, steeply: a via ferrata tour of the Dolomites | Travel
https://www.theguard[...]
2019-09-17
[25]
뉴스
Klettersteige in Italy
http://www.kletterst[...]
2012-09-17
[26]
웹사이트
Via Ferrata at Corni di Canzo
https://www.ferrate3[...]
[27]
웹사이트
Histoire des via ferrata, comment sont-elles apparues ?
http://www.viaferrat[...]
[28]
서적
Via Ferrata – a complete guide to France
Cordee
2004
[29]
웹사이트
Via Ferrata - exhilarating fun in the mountains
http://uk.franceguid[...]
2018-09
[30]
웹사이트
Listings of Spanish via ferratas
http://www.rocjumper[...]
[31]
웹사이트
Via Ferrata Switzerland
http://www.rother.de[...]
[32]
뉴스
Klettersteige in Schweiz
http://www.kletterst[...]
2012-09-18
[33]
뉴스
Switzerland's via ferratas: a real cliffhanger
https://www.telegrap[...]
2008-04-03
[34]
뉴스
Klettersteige in Germany
http://www.kletterst[...]
2011-11-25
[35]
웹사이트
Vía Ferrata Andorra - La Lista Completa | RocJumper
https://www.rocjumpe[...]
2017-03-03
[36]
웹사이트
Hercegovački biser bogatiji za feratu: Planina Velež postaje svjetska alpinistička destinacija
https://visitbih.ba/[...]
2019-11-12
[37]
웹사이트
Маршрути виа ферата в България
https://www.360mag.b[...]
2020-09-02
[38]
서적
25 Klettersteige in Europa mit besonderem Charakter
https://books.google[...]
BoD – Books on Demand
2021
[39]
웹사이트
Via ferrata Vodni brana
http://ferraty.unas.[...]
[40]
웹사이트
Via Ferraty - Ledová stěna Vír
https://www.ledovast[...]
[41]
웹사이트
Ironed routs
https://vasaltutak.h[...]
[42]
웹사이트
'Ari', la prima via ferrata in Kosovo aperta con l'aiuto degli italiani
https://www.montagna[...]
2014-12-01
[43]
웹사이트
Право на сутра: Via Ferrata Berim
http://www.rts.rs/pa[...]
[44]
웹사이트
One of Europe's most attractive via ferratas opens in Kosovo
https://www.lonelypl[...]
2018-11-16
[45]
웹사이트
Via ferrata in Hemsedal to vesle Røggjin
http://www.norskeopp[...]
[46]
웹사이트
Via Ferrata - LOEN Norway
http://www.kletterst[...]
[47]
웹사이트
Via Ferrata-ruten (klatrestien) på Munken - F - Trondhjems Turistforening
https://www.tt.no/ak[...]
[48]
웹사이트
Guide to Via Ferrata in Norway
https://outtt.com/st[...]
2018-05-18
[49]
웹사이트
Via Ferrata in Romania
https://www.google.c[...]
[50]
웹사이트
Montan Club White Wolf – cea mai mare baza via ferrata – 21 trasee {{!}} Asociatia Cartea Recordurilor
https://www.recordul[...]
[51]
웹사이트
Via Ferrata "White Wolf" – Women's Cave, Galbenul Gorge, Baia de Fier, Gorj (21 routes) (English) (A; B; C; D; E)
https://www.via-ferr[...]
2022-12-01
[52]
비디오
Guinness Book Record - Acrobatic Via Ferrata Romania - Baia de Fier - Pestera Muierilor
https://www.youtube.[...]
2022-01
[53]
웹사이트
Via Ferrata Astragalus
http://sugau.ro/via-[...]
[54]
웹사이트
Via Ferrata Vad
http://salvamontbiho[...]
[55]
웹사이트
Via Ferrata Vartop
http://salvamontbiho[...]
[56]
웹사이트
Via Ferrata "Wild Ferenc" – Red Lake, Bicaz Gorge, Harghita (English) (C/D)
https://www.via-ferr[...]
2022-12-01
[57]
웹사이트
Trasy ferrát - ViaFerrataZobor.sk
https://www.viaferra[...]
[58]
웹사이트
Vinska Gora - Gonžarjeva peč - plezalna pot
https://www.hribi.ne[...]
[59]
웹사이트
Via Ferrata Skuleberget
http://www.viaferrat[...]
[60]
뉴스
Lake District Tourist Attraction nominated as best in England
https://www.itv.com/[...]
2012-04-06
[61]
웹사이트
Opening date announced for first-of-its-kind adventure experience near Falmouth and Penryn
https://www.falmouth[...]
2020-06-29
[62]
웹사이트
The Best Via Ferrata Trails in Portugal {{!}} Wikiloc
https://www.wikiloc.[...]
[63]
웹사이트
Já abriu a mais extensa Via Ferrata de Portugal em Proença-a-Nova.
https://quilometrosq[...]
2021-12-31
[64]
웹사이트
Arbraska - Parc Rawdon - Activités - Via Ferrata
http://arbraska.com/[...]
[65]
뉴스
A via ferrata makes scaling a vertical face like climbing a jungle gym
https://www.latimes.[...]
2010-01-17
[66]
뉴스
7 Exhilarating Via Ferratas in Canada
https://www.explore-[...]
2016-09-21
[67]
웹사이트
The Fox
https://www.viaferra[...]
[68]
웹사이트
From Nordegg With Love
https://www.viaferra[...]
[69]
뉴스
Surviving The World's Most Dangerous Hike – Mt Huashan
https://www.nomadasa[...]
[70]
뉴스
Construction cliff work 'not for the faint-hearted'
https://www.bbc.co.u[...]
BBC News Online
2011-05-03
[71]
웹사이트
Via Ferrata on Mount Kenya - Climb ZA - Rock Climbing & Bouldering in South Africa
https://www.climbing[...]
2022-07-29
[72]
웹사이트
NST Online Mt Kinabalu makes tracks with Guinness record
https://web.archive.[...]
2010-02-06
[73]
웹사이트
Himalaya. Abruzzo e Nepal uniti nella costruzione del rifugio più alto dell'Himalaya
https://www.montagna[...]
2022-07-29
[74]
웹사이트
Via Ferrata in Rolwaling Nepal
https://www.dreamers[...]
2024-09-08
[75]
웹사이트
‘Biwak’ and Feratta boost economic activities of Rolwaling Valley: Peluzzi
https://www.dreamers[...]
2024-09-08
[76]
웹사이트
Off the wall: scaling the Queenstown via ferrata
https://www.atlasand[...]
2020-05-27
[77]
웹사이트
Wildwire Wanaka: NZ's most epic adventure is now half price
https://www.stuff.co[...]
2020-05-27
[78]
웹사이트
Via ferrata
http://www.omantouri[...]
[79]
웹사이트
Oman Resorts | Alila Jabal Akhdar Oman Official Site
https://www.alilahot[...]
[80]
웹사이트
America's Best Via Ferratas: 6 Great Vertical Adventures in the USA
https://gearjunkie.c[...]
2020-01-21
[81]
뉴스
You Don't Have to Be Alex Honnold to Brave This Adventure Trend
https://www.thedaily[...]
2020-01-21
[82]
웹사이트
Why You Should Hike to the Top of Picacho Peak ASAP
https://www.phoenixn[...]
2020-01-21
[83]
웹사이트
Visit Westworld for Real
https://www.outsideo[...]
2020-01-21
[84]
웹사이트
Arapahoe Basin Via Ferrata Is North America's Highest: We Climbed It & You Should Too
https://gearjunkie.c[...]
2023-0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