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사스 3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사 3세는 우라르투 왕국의 왕으로, 곡물 창고 건설을 통해 식량 비축에 힘썼다. 그는 엘리메나의 아들로, 통치 기간 동안 신바빌로니아와 메디아 왕국의 공격을 받아 우라르투는 존망의 위기에 직면했다. 루사 3세는 어려운 시기에도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치려 노력했다는 긍정적 평가와 외교적 실패와 왕국의 쇠퇴를 막지 못했다는 비판이 공존한다. 사후 그의 아들 루사 4세가 왕위를 계승했으며, 우라르투 왕국은 멸망했다. 루사 3세에 대한 사료는 부족하며, 그의 생애와 업적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라르투의 왕 - 사르두리 2세
사르두리 2세는 우라르투의 왕으로 아르기슈티 1세의 뒤를 이어 즉위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최대 세력권을 구축했으나, 아시리아의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에게 패배하며 왕국은 쇠퇴하고 그의 아들 루사 1세에게 왕위가 넘어갔다. - 우라르투의 왕 - 루사스 2세
루사 2세는 우라르투의 왕으로, 쇠퇴해가는 나라를 부흥시키기 위해 여러 활동을 펼쳤으나 쇠퇴를 막지 못했으며, 그의 사후 왕위 계승 논란이 있었다. - 기원전 7세기 통치자 - 키악사레스
키악사레스는 메디아 왕국의 왕으로서 군제 개혁, 아시리아 제국 멸망 기여, 스키타이족 지배에서의 독립, 신바빌로니아 제국과의 협력, 리디아와의 전쟁을 통해 메디아의 세력을 확장했다. - 기원전 7세기 통치자 - 프삼티크 1세
프삼티크 1세는 아시리아의 지원으로 이집트 제26왕조를 창건한 파라오로, 이집트 통일, 경제 재건, 군사력 강화, 활발한 군사 활동을 펼쳤다.
루사스 3세 | |
---|---|
기본 정보 | |
이름 | 루사 3세 |
직함 | 우라르투 왕 |
![]() | |
통치 기간 | 기원전 629년–기원전 615년 또는 기원전 590년 |
이전 통치자 | 에리메나 또는 사르두리 3세 |
다음 통치자 | 사르두리 4세 |
아버지 | 에리메나 |
어머니 | 시라네 |
자녀 | 사르두리 4세 |
2. 생애
루사 3세는 우라르투 왕국 말기의 군주로, 아버지 엘리메나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그의 통치 시기는 아시리아 제국 멸망 후 신바빌로니아와 메디아 왕국이 부상하는 등 국제 정세가 매우 불안정한 시기였다.[5] 이러한 혼란 속에서도 루사 3세는 투슈파(현재의 반), 에레브니(현재의 예레반) 등지에 곡물 창고를 건설하는 등 내치에 힘쓴 기록이 남아 있다. 그러나 우라르투 왕국 말기에 대한 사료 부족으로 그의 생애 전반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2. 1. 즉위 후
루사 3세를 비롯한 우라르투 왕국 말기에 관해서는 사료 발견이 극히 제한적이며, 여전히 불분명한 점이 많다. 이는 우라르투를 둘러싼 국제 환경의 변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우라르투의 오랜 숙적이며, 기원전 7세기 이후에는 속국으로서 협력하게 된 아시리아 제국은 기원전 609년에 신바빌로니아와 메디아 왕국의 연합군에 의해 멸망했다. 신바빌로니아 왕 나보폴라사르는 기원전 609년부터 607년에 걸쳐 우라르투를 공격했으며[5], 우라르투는 스키타이에 더해 이 두 개의 신흥국에 대한 대처를 강요받았다.루사 3세에 관해서는, 그 사적을 기록한 비문 수 점이 발견되어 실존이 확인된다. 아버지의 이름은 엘리메나이다. 비문의 내용은 투슈파(현재의 반), 에레브니(현재의 예레반), 테이슈바니(카르미르-블루르 유적) 등의 여러 도시에 곡물 창고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외교적으로는, 아마도 메디아 왕국의 속국이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아들 루사 4세가 뒤를 이었다.
3. 업적과 평가
루사 3세의 치세는 우라르투 왕국 말기의 혼란기에 해당하며, 관련된 사료가 매우 부족하여 자세한 내용을 알기 어렵다.[5] 당시 우라르투는 오랜 숙적이자 기원전 7세기 이후 협력 관계였던 아시리아 제국이 기원전 609년 신바빌로니아와 메디아 왕국 연합군에 의해 멸망하는 등 급변하는 국제 정세에 직면했다. 신바빌로니아의 왕 나보폴라사르는 기원전 609년부터 607년까지 우라르투를 공격했으며[5], 이로 인해 우라르투는 기존의 스키타이 세력에 더해 새롭게 부상한 두 강대국에 대한 대응까지 강요받는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러한 어려운 환경 속에서 루사 3세는 여러 비문을 통해 투슈파(현재의 반), 에레브니(현재의 예레반), 테이슈바니(카르미르-블루르 유적) 등 주요 도시에 곡물 창고를 건설한 사실이 확인된다. 이는 혼란한 시기에 백성들의 생활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외교적으로는 당시 강력한 세력으로 부상한 메디아 왕국의 영향력 아래 들어가 속국과 유사한 지위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루사 3세는 엘리메나의 아들이며, 그의 왕위는 아들인 루사 4세에게 계승되었다.
4. 사후
루사스 3세의 뒤를 이어 사르두리 4세가 우라르투의 왕위를 계승하였다.
5. 관련 사료 및 연구
루사 3세를 포함한 우라르투 왕국 말기에 대한 사료는 매우 부족하여, 아직 밝혀지지 않은 점이 많다. 이는 당시 우라르투를 둘러싼 국제 정세의 급격한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우라르투의 오랜 경쟁 상대였고 기원전 7세기 이후로는 협력 관계를 맺기도 했던 아시리아 제국은 기원전 609년, 신바빌로니아와 메디아 왕국 연합군에 의해 멸망했다. 신바빌로니아의 왕 나보폴라사르는 기원전 609년부터 607년까지 우라르투를 공격했으며[5], 우라르투는 기존의 스키타이 세력에 더해 새롭게 부상한 이 두 강대국에 대응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
루사 3세에 대해서는 그의 행적을 기록한 비문 몇 점이 발견되어 실존이 확인된다. 이 비문들에 따르면 그의 아버지는 엘리메나이며, 루사 3세는 투슈파(현재의 반), 에레브니(현재의 예레반), 테이슈바니(카르미르-블루르 유적) 등 여러 도시에 곡물 창고를 건설했다. 외교적으로는 당시 강대국이었던 메디아 왕국의 속국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그의 뒤를 이어 아들인 루사 4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루사 3세 및 우라르투 후기 역사와 관련된 주요 연구는 다음과 같다.
저자 | 제목 | 출판 정보 |
---|---|---|
아르투냔, N. V. | 비아일리(우라르투) | 아르메니아 SSR 과학 아카데미 출판, 예레반, 1970 |
아르투냔, N. V. | 우라르투 역사 후기 몇 가지 문제 | 고대 동방, 아르메니아 SSR 과학 아카데미 출판, 예레반, 제2호, 1976 |
댜코노프, I. M. | 아시리아-바빌론 문헌에 따른 우라르투 국가의 말년 | 고대사 저널 제2호, 1951 |
로버트 롤링거 | 메디아 제국, 우라르투의 멸망, 키루스 대왕의 기원전 547년 원정 나보나이드 연대기 II 16 | 이란과 서아시아 간 고대 문화 관계 제1회 국제 컨퍼런스 회보, 테헤란, 2004 |
6. 참고 문헌
- 아르투냔, N. V. ''비아일리(우라르투)'', 아르메니아 SSR 과학 아카데미 출판, 예레반, 1970
- 아르투냔, N. V. ''우라르투 역사 후기 몇 가지 문제'' // 고대 동방, 아르메니아 SSR 과학 아카데미 출판, 예레반, 제2호, 1976
- 댜코노프, I. M. ''아시리아-바빌론 문헌에 따른 우라르투 국가의 말년'' // 고대사 저널 제2호, 1951
- 로버트 롤링거: ''메디아 제국, 우라르투의 멸망, 키루스 대왕의 기원전 547년 원정 나보나이드 연대기 II 16'', ''이란과 서아시아 간 고대 문화 관계 제1회 국제 컨퍼런스 회보'', 테헤란, 2004
참조
[1]
논문
On the Problem of the Succession of the Biainian Kings of the Ararat (Urartu) Kingdom in the Second Half of the 8th-the First Half of the 7th Century B.C.
http://www.fundament[...]
Fundamental Armenology
2015
[2]
서적
Who's Who in the Ancient Near East
[3]
논문
On the Problem of the Succession of the Biainian Kings of the Ararat (Urartu) Kingdom in the Second Half of the 8th-the First Half of the 7th Century B.C.
http://www.fundament[...]
Fundamental Armenology
2015
[4]
문서 # or other appropriate type
[5]
간행물 # or 서적 or 논문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