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이 라자르 오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이 라자르 오슈는 프랑스 혁명 시기의 군인으로, 1768년 베르사유에서 태어났다. 16세에 군에 입대하여 프랑스 혁명 발발 당시 하사관이었으며, 바스티유 감옥 습격과 베르사유 행진에 참여했다. 혁명 전쟁에서 북부 전선과 네르빈덴 전투에 참전하여 승진을 거듭했고, 반혁명 혐의로 체포되었으나 석방 후 됭케르크 공방전에서 공을 세워 군 사령관이 되었다. 이후 방데 반란 진압, 아일랜드 원정 실패 등의 과정을 거쳤으며, 1797년 2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나폴레옹은 그를 "전쟁의 달인"으로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데 전쟁 참전 군인 - 앙리 드 라 로슈자클랭
    앙리 드 라 로슈자클랭은 프랑스 혁명 시기 방데 반란을 이끈 지도자이며, 농민들을 이끌고 혁명에 맞서 싸우다 21세의 나이로 전사했다.
  • 방데 전쟁 참전 군인 - 자크 카텔리노
    프랑스 혁명 당시 방데 반란 지도자였던 자크 카텔리노는 행상 출신으로 농민들의 요청에 의해 반란에 가담, 뛰어난 리더십으로 가톨릭 왕립군 총사령관이 되었으나 낭트 공략전에서 부상으로 사망했다.
  • 프랑스의 역사 - 미터법
    미터법은 프랑스에서 창안되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십진법 기반의 측정 단위계로, 지구 자오선을 기준으로 한 미터를 길이의 기본 단위로 채택하여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국제단위계로 표준화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프랑스의 역사 - 공화력 3년 헌법
    공화력 3년 헌법은 프랑스 혁명기에 제정되어 총재정부의 구성과 운영을 규정하고 양원제 입법부와 집단 행정부를 구성했으나, 제한 선거 도입과 총재 정부의 문제로 나폴레옹 쿠데타로 폐지되었다.
  • 나폴레옹 전쟁에 관한 - 미터법
    미터법은 프랑스에서 창안되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십진법 기반의 측정 단위계로, 지구 자오선을 기준으로 한 미터를 길이의 기본 단위로 채택하여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국제단위계로 표준화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나폴레옹 전쟁에 관한 - 공화력 3년 헌법
    공화력 3년 헌법은 프랑스 혁명기에 제정되어 총재정부의 구성과 운영을 규정하고 양원제 입법부와 집단 행정부를 구성했으나, 제한 선거 도입과 총재 정부의 문제로 나폴레옹 쿠데타로 폐지되었다.
루이 라자르 오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자크 루이 다비드가 그린 라자르 오슈 초상화, 1793년
1793년, 자크 루이 다비드가 그린 라자르 오슈 초상화 (추정)
이름루이 라자르 오슈
출생일1768년 6월 24일
사망일1797년 9월 19일 (29세)
출생지베르사유, 프랑스 왕국
사망지베츨라어, 신성 로마 제국
서명Signatur Lazare Hoche.PNG
군사 경력
소속[[파일:Royal Standard of the King of France.svg|22px]]프랑스 왕국
[[파일:Flag of France (1790-1794).svg|22px]]프랑스 왕국
[[파일:Flag of France.svg|22px]]프랑스 공화국
복무 기간1784년 – 1797년
최종 계급사단장
지휘모젤 군
라인 군
셰르부르 해안군
브레스트 해안군
서부군
대양 해안군
상브르와 뫼즈 군
주요 참전 전투/전쟁프랑스 혁명 전쟁
플랑드르 전역
방데 전쟁
프랑스 침공
슈앙 반란
아일랜드 원정
기타
기타 이력전쟁부 장관
에투알 개선문이름이 새겨져 있음

2. 생애

1768년 베르사유의 일부인 몽트뢰유 마을에서 왕실 사냥터의 마부였던 아버지 루이 오슈와 어머니 앙느 메를리에르 사이에서 태어났다.[2] 그는 두 살 때 어머니를 여의고 과일 장수를 하던 고모에게서 자랐으며, 생-제르맹-앙-레의 본당 신부였던 외삼촌에게 교육을 받았다. 외삼촌은 오슈가 교회 합창단원이 되도록 주선했다.[3]

1784년 16세의 나이에 병사로 육군에 입대했으며, 혁명 발발 당시에는 프랑스 근위대의 하사관이었다.[2] 1789년 7월 14일, 바스티유 감옥 습격 때는 민중 측에 가담했고, 8월 프랑스 근위대가 해산되자 국민위병대에 입대했다. 1789년 10월 5일 베르사유 행진에도 참여했다.

1792년 4월 프랑스 혁명 전쟁이 발발하자 종군하여 승진했다. 북부 전선의 공방전, 네르빈덴 전투에 참가하여 1793년 3월 참모 중령으로 임명되었지만, 반혁명 혐의로 체포되었다가 증거불충분으로 풀려났다. 이후 됭케르크 수비대에 전속되어 됭케르크 공방전에서 큰 공을 세워 준장으로 승진했고, 한 달 후에는 장군으로 승진하여 26세에 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베르사유의 라자르 오슈의 생가

2. 1. 초기 생애

1768년 베르사유의 일부인 몽트뢰유 마을에서 왕실 사냥터의 마부였던 아버지 루이 오슈와 어머니 앙느 메를리에르 사이에서 태어났다.[2] 그는 두 살 때 어머니를 여의고 과일 장수를 하던 고모에게서 자랐으며, 생-제르맹-앙-레의 본당 신부였던 외삼촌에게 교육을 받았다. 외삼촌은 오슈가 교회 합창단원이 되도록 주선했다.[3]

1784년 16세의 나이에 병사로 육군에 입대했으며, 혁명 발발 당시에는 프랑스 근위대의 하사관이었다.[2] 1789년 7월 14일, 바스티유 감옥 습격 때는 민중 측에 가담했고, 8월 프랑스 근위대가 해산되자 국민위병대에 입대했다. 1789년 10월 5일 베르사유 행진에도 참여했다.

1792년 4월 프랑스 혁명 전쟁이 발발하자 종군하여 승진했다. 북부 전선의 공방전, 네르빈덴 전투에 참가하여 1793년 3월 참모 중령으로 임명되었지만, 반혁명 혐의로 체포되었다가 증거불충분으로 풀려났다. 이후 됭케르크 수비대에 전속되어 됭케르크 공방전에서 큰 공을 세워 준장으로 승진했고, 한 달 후에는 장군으로 승진하여 26세에 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2. 2. 군 경력

1768년 몽트뢰유에서 군인 출신 마부와 재단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1784년 16세의 나이에 병사로 프랑스 군대에 입대하여, 프랑스 근위대 연대에서 복무했다.[3] 혁명이 일어날 때 이미 프랑스 근위대의 상병이었다.[2] 그는 혁명 이념과 국민의회를 열렬히 지지하였고 1789년 7월 14일, 바스티유 감옥 습격 때는 민중 측에 가담했다. 8월, 프랑스 근위대의 해체와 동시에 국민위병대에 하사로 입대했다. 10월 사건 항의 시위 중 그는 라파예트의 지휘 아래 왕 루이 16세와 그의 가족을 베르사유 궁전에서 호위한 근위병 중 한 명이었다.[2]

1792년 4월 프랑스 혁명 전쟁이 발발하자 종군 승진을 하였다. 북부 전선의 공방전, 네르빈덴 전투에 참가하여 티옹빌 방어전과[2] 나뮈르 공성전(Siege of Namur (1792))에서 전투 경험을 쌓았다.[2] 1793년 3월 참모 중령으로 임명되었지만, 샤를 뒤무리에(Charles Dumouriez)가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군주국(Habsburg Monarchy)으로 망명하자 반역 혐의를 받았다.[2] 그러나 증거불충분으로 무죄 판결을 받았고, 됭케르크 수비대에 전속되어 됭케르크 공방전에서 큰 무공을 세워 준장으로 승진했다. 또한 공을 거듭하여 한달 후 장군으로 승진하여, 26세에는 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0월에 군대를 이끌고 프로이센 군과 전투를 벌였지만, 카이저슬라우테른 점령에는 실패했다. 1793년 11월 28일부터 30일까지 프로이센 왕국(Kingdom of Prussia)군과 벌인 카이저스라우테른 전투(Battle of Kaiserslautern)에서 프랑스군은 패했지만, 공포 정치(Reign of Terror) 중에도 공공안전위원회(Committee of Public Safety)는 쇼슈를 그의 지휘권에 유지했다.[4] 전열을 정비하여 12월 오스트리아 연합군을 쳐 그들을 물리쳐 라인강 언덕을 확보했다. 1793년 12월 22일 그는 프뢰슈빌러 전투(Battle of Froeschwiller (1793))에서 승리했고,[2] 12월 26일 두 번째 비셈부르크 전투(Second Battle of Wissembourg (1793))에서 그의 지휘하에 있는 프랑스군은 다고베르트 지그문트 폰 뵘제르(Dagobert Sigmund von Wurmser)의 오스트리아 군대를 알자스(Alsace)에서 몰아냈다.[2] 94년 카르로 파면되지만, 이탈리아군 사령관으로 승진하였다.

그러나 생 쥐스트의 부하 장군의 고발로 니스에서 체포되어 파리로 이송되었다. 일주일 전 결혼한 16세의 신부를 떠나 잠시 감옥에서 나날을 보내고 있었는데, 옆방에 수감된 조제핀 드 보아르네와 애인 관계가 되었다. 이 시기 오슈는 라블레, 세네카, 몽테뉴 등을 읽었다. 5월 16일 처형되기 바로 전날 테르미도르의 쿠데타가 발생하여 석방되었다.

이후 방데 반란 진압을 위해 서부군의 전임을 맡아 파견되었다. 오슈는 부임과 동시에 관용 정책을 펼쳤고, 반란군과 그렇지 않은 주민을 분리하였다. 1795년 6월 15일, 영국의 지원으로 왕당파와 부대가 키브롱 도착하자 이를 격퇴하고 대부분을 포로로 잡았다. 1796년 7월에 방데 지역의 평정을 선언했다.

같은 해인 1796년 아일랜드 원정군 사령관으로 임명된다. 12월 브레스트 항을 출항하지만 폭풍우 때문에 함대가 뿔뿔이 흩어져 원정은 실패로 끝났다. 다음 해 1797년 2월, 군사령관에 취임하면서 오스트리아군을 격파하고 몇 차례 전승을 거두었다. 1797년 4월 18일 노이비트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군을 패퇴시켰지만, 작전은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뢰벤 예비 조약에 의해 종결되었다.[4] 의회에서 왕당파와 세력 확장에 위기감을 가지고 군대를 파견하여 파리를 포위했다. 전쟁 내각의 취임을 요청하지만, 짧게 근무한 후 총재 폴 바라스의 부패에 항의하여 사직하고 군으로 돌아오지만, 몸이 좋지 않아서 1797년 30세의 나이에 전쟁터인 베츨라어에서 병사(독살설도 있다) 했다. 나폴레옹은 동료이자 라이벌이기도 했던 그를 “전쟁의 달인”으로 평가했다.

루이 라자르 오슈


1801년경 장-루이 라뇌빌(Jean-Louis Laneuville)이 그린 쇼슈

2. 3. 체포와 석방

루이 라자르 오슈는 1793년 3월 참모 중령으로 임명되었으나, 반혁명 혐의로 체포되었다. 그러나 증거 불충분으로 무죄 판결을 받고 됭케르크 수비대에 전속되어 됭케르크 공방전에서 큰 무공을 세웠다. 이후 준장을 거쳐 장군으로 승진, 26세에 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794년 3월 11일 티옹빌에서 안 아델라이드 드쇼와 결혼했으나,[2] 샤를 피슈그루가 반역죄로 고발하여 같은 해 4월 11일 파리의 카르므 감옥으로 이송된 후 콩시에르주리로 이감되었다.[2][4] 막시밀리앵 로베스피에르의 몰락과 공포 정치의 종식 후인 8월 4일에야 석방되었다.[2] 오슈는 감옥에서 조제핀 드 보아르네와 연인 관계가 되었고, 라블레, 세네카, 몽테뉴 등을 읽었다. 5월 16일 처형되기 직전 테르미도르의 쿠데타가 발생하여 석방되었다.

2. 4. 방데 반란 진압

석방 직후 호슈는 왕당파 봉기인 반데 지방의 반란을 진압하는 임무를 띤 셰르부르 해안 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2] 그는 브르타뉴에 본부를 설치하고, 초기 노력을 부대 재편성에 쏟았다.[2] 또한 1794년 11월 브레스트 해안 군 사령관직을 맡았다.[2] 호슈는 몇 달 만에 전임자들의 업무를 라 죄네 조약(1795년 2월 15일)으로 완료했지만, 곧 반란 지도부에 의해 전쟁이 재개되었다.[2][4]

호슈의 퀴베롱 전투, 샤를 포리옹(1879년 작품)


오슈는 부임과 동시에 관용 정책을 펼쳤고, 반란군과 그렇지 않은 주민을 분리하였다. 1795년 6월에서 7월 사이에 호슈는 영국 왕립 해군의 지원을 받는 왕당파 망명 귀족인 에미그레 군이 감행한 퀴베롱 원정에 맞서 방어를 이끌었고, 7월 21일 팡티에브르 요새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2][4] 1795년 6월 15일, 영국의 지원으로 왕당파와 부대가 키브롱 도착하자 이를 격퇴하고 대부분을 포로로 잡았다. 8월 말, 그는 "샤레트의 군대에 대해 공세적으로 행동하라"는 명령과 함께 서부 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2] 1795년 12월, 이전에 그의 지휘 아래 있던 세 개의 군대(서부 군, 브레스트 해안 군, 셰르부르 해안 군)가 합쳐져 새로운 대서양 연안 군을 형성했을 때, 호슈는 서부 프랑스의 모든 공화국군의 최고 사령관이 되었다.[2]

그 후 그는 기동 부대(그는 이들을 엄격한 규율 아래 유지했다)를 통해 점진적으로 가톨릭 왕당군을 제거했다.[2][4] 호슈는 반란 지도자 장 니콜라 스토플레(1796년 2월 24일)와 프랑수아 드 샤레트(3월 23일)의 체포(그리고 그 후 처형)로 이어진 작전을 지휘하여 반데 전쟁을 종식시켰다.[2] 1796년 7월에 방데 지역의 평정을 선언했다. 1796년 5월과 6월에 슈아네리 지도자들이 항복함으로써, 호슈는 3년 이상 내전의 현장이었던 서부 프랑스의 평정을 완료했다.[2][4]

2. 5. 아일랜드 원정 실패

1796년 아일랜드 원정군 사령관으로 임명된 루이 라자르 오슈는 12월 브레스트 항을 출항했지만, 폭풍우를 만나 함대가 흩어지면서 원정은 실패로 끝났다.[2][4] 오슈는 프랑스 디렉토리(French Directory)로부터 막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상을 받았으며,[2] 같은 날 아일랜드 원정을 조직하고 지휘할 임무를 맡았다.[2] 이는 아일랜드 연합인을 돕고 영국 통치에 맞선 반란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었다.[2]

오슈는 브레스트에서 군대와 48척의 함선을 모아 원정을 준비했고, 부제독 저스틴 보나방튀르 모라 드 갈(Justin Bonaventure Morard de Galles)이 함대를 지휘했다.[2] 1796년 12월 15일 아일랜드를 향해 출항했으나,[2] 폭풍우로 인해 오슈와 모라 드 갈이 탑승한 프리깃 함선 ''프라테르니테(Fraternité)''(프랑스 프리깃 아글라에(Aglaé) 1788년 건조)는 다음 날 원정대에서 이탈되었고, 이후 영국 함선의 추격을 받았다.[2] 12월 30일 아일랜드 해안에 도착했을 때, 나머지 원정대는 이미 상륙 시도 실패 후 해산된 상태였다.[2] ''프라테르니테''는 1797년 1월 11일 일드레 섬(Île de Ré)을 통해 프랑스로 돌아왔지만,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2][4]

1797년 작, 「아일랜드 침략의 종말; 또는 프랑스 함대의 파괴」에서 제임스 길레이(James Gillray)는 호슈의 아일랜드 원정 실패를 풍자적으로 그렸다.


아일랜드에서 오슈와 함께 상륙할 예정이었던 아일랜드 연합 지도자 울프 톤(Wolfe Tone)은 회고록을 통해 오슈가 "인도적인 성향"을 지녔다고 평가하며, 혁명의 폭력적인 방향에 대해 비판적으로 반성했다고 기록했다.[5] 오슈는 많은 피가 흘러 자유의 원칙에 큰 해를 끼치고 프랑스 혁명에 더 많은 어려움을 야기했다고 언급하며, "사람을 단두대에서 처형하면 한 개인을 제거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의 친구와 친척들을 영원히 정부의 적대자로 만듭니다"라고 덧붙였다.[5]

2. 6. 사망

9월 2일, 호슈는 라인 모젤 군의 지휘권을 받고 베츨라 근처 코블렌츠에 본부를 설치했다.[2] 프랑크푸르트에서 돌아온 9월 13일 이후 그의 건강은 급격히 악화되었고, 9월 19일 폐결핵(결핵)으로 29세의 나이로 베츨라에서 사망했다.[4] 그가 독살되었다는 믿음이 퍼졌지만, 그 의심은 근거 없는 것으로 보인다.[4] 그는 4일 후 친구인 프랑수아 마르소 옆 코블렌츠 페터스베르크 요새에 매장되었다.[4]

10월 1일 파리의 마르스 광장에서 호슈를 위한 장례식이 거행되었다.[2] 1919년 라인란트 점령 중이던 프랑스군은 그의 유해를 오스트리아군에 대한 마지막 전투를 시작했던 노이비트 근처 바이센투름의 1797년 건설된 ''호슈 장군 기념비''에 다시 매장했다.

바이센투름의 ''호슈 장군 기념비''

3. 평가 및 유산

루이 라자르 오슈는 훌륭한 군인이자 혁명가로 평가받는다.[2][8] 나폴레옹은 동료이자 라이벌이기도 했던 그를 “전쟁의 달인”으로 평가했다.

베르사유 궁전 정문에서 멀지 않은 정원이 있는 오슈 광장(Place Hoche)에 동상이 있으며, 루브르 궁전(Louvre Palace)에도 또 다른 동상이 있다. 쥘 달루(Jules Dalou)의 마지막 주요 작품인 또 다른 동상은 브르타뉴(Brittany)의 기베롱(Quiberon)에 있다. 앵발리드(Les Invalides)에는 오슈를 위한 기념관도 있다. 파리 메트로(Paris Metro)의 한 역도 "호슈(Hoche)"라고 불린다.

쥘 달루(Jules Dalou)가 1902년에 제작한 기베롱(Quiberon) 전투 승리를 기념하는 호슈(Hoche) 동상


오슈의 좌우명은 "행동, 말이 아니다"라는 뜻의 라틴어 "Res non verba"였다.[2][8]

참조

[1]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military history
[2] 서적 Lazare Hoche: notice sommaire https://books.google[...] Impr. Maretheux
[3] 서적 Lazare Hoche https://gallica.bnf.[...] Hachette
[4] 백과사전 Hoche, Lazare
[5] 서적 The Legacy of History Mercier Press
[6] 서적 Feuilles d'Histoire du XVII au XX Siècle, Tome 6 Librairie R. Roger et F. Chernoviz
[7] 서적 La Vie du Général Kléber
[8] 서적 Prisma Latijns Citatenboe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