룩셈부르크 공녀 일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룩셈부르크 공녀 일다는 룩셈부르크 대공 빌헬름 4세와 포르투갈의 마리아 안나 인판타의 딸로, 1930년 아돌프 폰 슈바르첸베르크 공작과 결혼했다. 그녀는 나치 독일의 체코슬로바키아 강제 병합 이후 이탈리아와 미국으로 망명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체코슬로바키아 내 영지를 몰수당해 오스트리아에서 거주했다. 일다는 자녀가 없어 남편 사후 슈바르첸베르크 가문은 단절되었고, 이후 카렐 슈바르첸베르크가 가문의 가독을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룩셈부르크의 공녀 - 룩셈부르크 공녀 엘리자베트 (1901년)
룩셈부르크 공녀 엘리자베트(1901년)는 룩셈부르크 대공 기욤 4세와 마리아 안 드 포르투갈의 딸로 태어나 루트비히 필리프 폰 투른 운트 탁시스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아들을 잃고 49세에 사망하였다. - 룩셈부르크의 공녀 - 룩셈부르크 공녀 소피
룩셈부르크 공녀 소피는 기욤 4세와 마리아 안의 막내딸로, 작센 공작과의 결혼을 통해 룩셈부르크와 작센 가문의 유대를 강화했으며, 39세에 폐렴으로 사망했다. - 나사우바일부르크가 - 샤를로트 (룩셈부르크)
샤를로트는 룩셈부르크 대공 빌헬름 4세의 딸로, 언니의 퇴위 후 대공이 되어 국민투표를 통해 군주제를 확립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망명 생활을 거쳐 국제 무대에서 룩셈부르크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 아들에게 양위했다. - 나사우바일부르크가 - 아돌프 (룩셈부르크)
아돌프 폰 나사우는 나사우 공국의 공작이었으며, 1890년부터 1905년까지 룩셈부르크의 대공으로, 나사우 가문 협약에 따라 룩셈부르크 대공위를 계승하였다. - 1897년 출생 - 정인승
정인승은 일제강점기 국어학자로서 국어사전 편찬에 기여하고, 해방 후에는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했으며,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옥고를 치른 후 건국훈장과 국민훈장을 수훈받았다. - 1897년 출생 - 윤보선
윤보선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국민주당 창당, 서울특별시장 및 상공부 장관 역임, 제2공화국 대통령 역임, 그리고 민주화 운동 참여 등의 활동을 했다.
룩셈부르크 공녀 일다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힐다 소피 마리 아델라이드 빌헬민 |
프랑스어 이름 | Hilda Sophie Marie Adélaïde Wilhelmine de Nassau-Weilburg, Princesse de Luxembourg |
독일어 이름 | Hilda von Luxemburg |
출생일 | 1897년 2월 15일 |
출생지 | 룩셈부르크, 콜마르-베르크, 베르크 성 |
사망일 | 1979년 9월 8일 |
사망지 | 룩셈부르크, 콜마르-베르크, 베르크 성 |
종교 | 기독교 가톨릭교회 |
가문 | |
왕가 |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 |
아버지 | 기욤 4세 |
어머니 | 마리아 아나 드 포르투갈 |
결혼과 배우자 | |
배우자 | 아돌프, 슈바르첸베르크 공자 |
결혼일 | 1930년 10월 29일 |
결혼 종료일 | 1950년 2월 27일 (사망) |
직함 | 슈바르첸베르크 공자비 |
2. 초기 생애
일다는 룩셈부르크 대공 빌헬름 4세와 그의 아내인 포르투갈의 마리아 안나 인판타의 셋째 딸이었다.[1] 그녀의 두 언니는 룩셈부르크 대공위를 계승한 마리 아델라이드와 샤를로트이다.[1]
룩셈부르크의 일다 공녀는 1930년 10월 29일 베르크 성에서 아돌프 폰 슈바르첸베르크, 제10대 슈바르첸베르크 공작과 결혼했다.[1] 부부는 농업, 야생 동물, 식물학에 대한 열정을 공유했으며, 훌루보카 근처에 있는 스타라 오보라 사냥 별장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힐다는 남편과 함께 나치당의 야심에 반대하여, 1939년 체코슬로바키아 병합이 실시되자 이탈리아로 피난했다. 이후 1940년에는 미국으로 망명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1945년의 베네슈 포고에서는 대독 협력자가 아니었기에 소령 몰수를 면했지만, 1947년에 의회를 통과한 "슈바르첸베르크 법(Lex Schwarzenbergde)"에 의해 강제로 체코슬로바키아 영내의 소령을 몰수당했다.[1] 이러한 사정으로 인해, 전후에는 어쩔 수 없이 오스트리아의 소령에서 삶을 이어갔다. 후작 부부 사이에는 자녀가 없었고, 남편의 사촌들에게도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형제계 슈바르첸베르크 가문은 1979년에 단절되었다. 형제계와 양자 연을 맺은 동생계 슈바르첸베르크 후작 가문 가주 카렐이 형제계의 가독도 함께 계승했다.
3. 결혼
1933년, 부부는 케냐 라이키피아에 엠팔라 농장을 인수했다. 일다 공녀의 남편은 영지에 현대적인 농업 방식을 도입하고 수력 발전소를 건설했으며, 노동자의 생활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그는 1938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가문의 영지를 상속받았다. 부부는 자녀를 두지 않았다.
4. 나치 독일 치하의 망명 생활
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6. 작위
7. 가계
룩셈부르크 공녀 힐다는 룩셈부르크 대공 기욤 4세와 그의 아내이자 포르투갈의 미겔 1세의 딸인 마리 안 사이에서 태어났다.[1] 6명의 자매 중 셋째 딸이었으며, 두 언니 마리 아델라이드와 샤를로트는 룩셈부르크 대공위를 계승했다.
힐다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1대 | 2대 | 3대 | 4대 |
---|---|---|---|
1. 룩셈부르크 공녀 힐다 | 2. 룩셈부르크 대공 빌럼 4세 | 4. 룩셈부르크 대공 아돌프 | 8. 나사우 공작 빌헬름 |
9. 작센힐트부르크하우젠의 루이제 공녀 | |||
5. 안할트데사우의 아델하이트마리 공녀 | 10. 안할트데사우의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공자 | ||
11. 헤센카셀의 마리 루이제 샤를로테 공녀 | |||
3. 포르투갈의 마리아 안나 인판타 | 6. 포르투갈의 미겔 1세 | 12. 포르투갈과 브라질의 주앙 6세 | |
13. 스페인의 카를로타 콰키나 인판타 | |||
7. 뢰벤슈타인의 아델라이드 공녀 | 14. 뢰벤슈타인의 상속자 콘스탄틴 | ||
15. 호엔로에랑엔부르크의 아그네스 공녀 |
8. 참고 문헌
- 장샤를 볼크만(Jean-Charles Volkmann) 저, ''왕과 공족의 계보(Généalogie des rois et des princes)'' (장폴 기세로(Jean-Paul Giserot) 출판, 1998)[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