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뤼디거 프랑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뤼디거 프랑크는 빈 대학교 동아시아 경제 및 사회학 교수이자 동아시아 연구학과 학과장이며, 고려대학교와 북한대학원대학교의 겸임교수이다. 그는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뒤스부르크-에센 대학교에서 교수 자격을 받았다. 동독, 소련, 북한의 사회주의 체제를 경험하고 북한 김일성종합대학에서 어학 연수를 한 경험을 바탕으로 북한 및 동아시아 문제에 관해 정부, 언론, 기업에 자문 활동을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1세기 독일 사람 -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은 독일의 정치인으로, 2019년부터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위원장으로 재임하며, 독일 연방의회 의원과 독일 정부의 여러 장관을 역임했고, 유럽 그린 딜, 코로나19 대응 등 주요 정책을 추진했다.
  • 21세기 독일 사람 - 교황 베네딕토 16세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2005년부터 2013년까지 제265대 교황으로 재임하며, 가톨릭 교리를 수호하고 교회 일치와 종교 간 대화를 위해 노력했으나, 보수적인 신념과 스캔들 대처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 20세기 독일 사람 - 마르틴 하이데거
    마르틴 하이데거는 1889년에 태어나 1976년에 사망한 독일의 철학자이며, 현상학과 실존주의, 언어와 기술 비판을 탐구했고, 대표작으로 『존재와 시간』이 있으며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지만, 나치즘 협력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20세기 독일 사람 - 로베르트 미헬스
    로베르트 미헬스는 사회학자이자 정치학자로, 과두제의 철칙(Iron Law of Oligarchy) 이론을 제시했으며, 정당의 관료화와 소수 엘리트 지배의 관계를 연구했다.
  • 1969년 출생 - 이범
    이범은 386 운동권 출신의 교육 평론가이자 전 정무직 공무원으로, 메가스터디 설립 후 공교육 정상화 운동에 참여하여 서울특별시교육청 정책보좌관, 민주정책연구원 부원장 등을 역임하며 교육 관련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고 있다.
  • 1969년 출생 - 윌리엄 루이스 (언론인)
    윌리엄 루이스는 잉글랜드 출신의 언론인으로, 파이낸셜 타임스, 데일리 텔레그래프 등에서 경력을 쌓았으며, 다우존스 앤 컴퍼니의 CEO를 거쳐 2023년 워싱턴 포스트의 CEO 겸 발행인으로 임명되었다.
뤼디거 프랑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뤼디거 프랑크
원어 이름Rüdiger Frank
뤼디거 프랑크 (2014)
뤼디거 프랑크 (2014)
출생일1969년
출생지동독 라이프치히
국적독일
직업교수
학력뒤스부르크 대학교
훔볼트 대학교
김일성종합대학
학문
박사 학위 논문 제목 (독일어)Die DDR und Nordkorea der Wiederaufbau der Stadt Hamhùng von 1954 - 1962
박사 학위 논문 제목 (한국어 번역)독일 민주 공화국과 북한의 1954년 - 1962년 함흥시 재건
박사 학위 논문 연도1996년
알려진 업적북한, 동아시아 연구
소속 기관빈 대학교
기타
아시아-태평양 저널: 일본 포커스뤼디거 프랑크

2. 학술 경력

뤼디거 프랑크는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뒤스부르크-에센 대학교에서 교수 자격을 취득했다. 2002년부터 2003년까지 뉴욕의 컬럼비아 대학교 국제 및 공공 정책 대학원에서 가르쳤으며, 이후 빈 대학교 동아시아 경제 및 사회학 교수로 임명되었다.[2]

2. 1. 북한 연구

1991년부터 1992년까지 김일성종합대학에서 어학 연수를 하며 북한 체류 경험을 쌓았다.[4] 동독, 소련, 북한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북한 사회와 경제에 대한 독자적인 시각을 구축했다. 경제학, 고려학, 국제 관계에 걸친 지식을 바탕으로 동아시아와 북한의 다양한 경제 및 안보 문제를 분석하고 논평한다. 2014년, 북한에 대한 통찰을 담은 저서 ''Nordkorea. Innenansichten eines totalen Staates''를 출간했다.[5]

2. 2. 주요 직책

빈 대학교 동아시아 경제 및 사회학 교수이자 동아시아 연구학과 학과장이다.[4] 고려대학교북한대학원대학교(경남대학교) 겸임교수이다. 컬럼비아 대학교(뉴욕)와 고려대학교(서울)에서 방문교수를 역임했다.[2]

2. 3. 수상 경력

2013년,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은 프랑크를 독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경제학자 50인 중 한 명으로 선정했다.[6]

3. 자문 활동

프랑크는 북한 및 동아시아 문제에 관해 정부, 언론, 기업에 자문하고 있다.[2]

3. 1. 주요 자문 대상

핀란드 대통령 마르티 아티사리, 노르웨이 총리 그로 할렘 브룬트란트, 미국 대통령 지미 카터, 아일랜드 대통령 메리 로빈슨의 한반도 및 중국 방문에 대한 자문과 정책 보고서를 제공했다.[2]

참조

[1] 웹사이트 u:find - Rüdiger Frank https://ufind.univie[...] 2023-08-06
[2] 웹사이트 Chair of East Asian Economy and Society (EcoS) Staff https://ecos.univie.[...] 2018-02-12
[3] 웹사이트 The Asia-Pacific Journal: Japan Focus https://apjjf.org/-R[...] 2016-07-15
[4] 웹사이트 Rudiger Frank https://www.wilsonce[...] 2021-08-13
[5] 뉴스 Nordkorea. Innenansichten eines totalen Staates http://www.deutschla[...] Deutschlandfunk 2014-09-22
[6] 뉴스 Die einflussreichsten Ökonomen im Gesamt-Ranking https://www.faz.net/[...]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2013-09-05
[7] 웹인용 u:find - Rüdiger Frank https://ufind.univie[...] 2023-08-06
[8] 웹인용 Chair of East Asian Economy and Society (EcoS) Staff https://ecos.univie.[...] 2018-0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