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베르트 미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베르트 미헬스는 독일 출신의 사회학자이자 정치학자로, "과두제의 철칙"으로 알려진 소수 지배의 법칙을 주장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1876년 쾰른에서 태어나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했으나, 정당의 관료화에 환멸을 느껴 비판적인 시각을 갖게 되었다. 그의 주요 저서인 《정당》에서 모든 조직이 과두제로 귀결된다는 주장을 펼쳤으며, 이후 파시즘을 지지하기도 했다. 미헬스는 1936년 로마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이론은 다양한 비판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에서 이탈리아로 이민간 사람 - 파비오 만치니
1969년 독일 태생의 이탈리아 모델 파비오 만치니는 조르지오 아르마니, 돌체앤가바나 등 유명 브랜드 모델 활동과 사회 활동 참여, Models.com 선정 "가장 섹시한 남자 목록" 등재를 통해 패션계에서 입지를 다진 인물이다. - 독일 파시스트 - 오토 슈트라서
오토 슈트라서는 나치당 초기 당원이었으나 히틀러와 결별 후 반나치 운동을 전개하며, 사회주의적 경제 정책과 민족 볼셰비즘적 운동을 펼쳤고, 나치당에서 축출 후 ‘검은 전선’을 결성하여 나치즘에 저항, 전후 서독으로 귀국하여 새로운 정치 운동을 시도한 정치인이다. - 독일 파시스트 - 표트르 샤벨스키보르크
표트르 샤벨스키보르크는 러시아 제국군 장교로, 러시아 혁명 후 독일로 망명하여 반유대주의 연감 제작, 나치즘 옹호,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암살 사건 연루, 2차 세계 대전 후 아르헨티나 이주, 군주주의 옹호 등의 극우 성향과 친나치 행적으로 역사적 비판을 받는 인물이다. - 엘리트 이론 - 빌프레도 파레토
빌프레도 파레토는 이탈리아의 경제학자이자 사회학자로, 로잔 학파를 이끌며 일반균형이론 발전과 후생경제학 개척에 기여했고, '파레토 효율성', '파레토 법칙' 등의 개념을 제시했으며, 《일반사회학 논고》에서 엘리트 순환 이론을 제시하며 사회학 발전에도 공헌했지만, 만년에 파시즘을 옹호했다는 비판도 받았다. - 엘리트 이론 - 가에타노 모스카
가에타노 모스카는 이탈리아의 정치학자로서, 모든 사회는 소수의 정치 계급에 의해 지배된다는 이론을 제시하고 민주주의를 비판하며 고전적 자유주의를 옹호했다.
로베르트 미헬스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로베르트 미헬스 |
원어 이름 | Robert Michels |
출생일 | 1876년 1월 9일 |
출생지 | 쾰른, 독일 제국 |
사망일 | 1936년 5월 3일 |
사망지 | 로마, 이탈리아 |
직업 및 소속 | |
직업 | 사회학자 |
소속 | 마르부르크 대학교 페루자 대학교 토리노 대학교 바젤 대학교 |
정치 성향 | |
정당 | 독일 사회민주당 (–1907) 국가 파시스트당 (1924–1936) |
학문적 배경 | |
학파 | 이탈리아 엘리트주의 학파 |
영향을 준 인물 | 르 봉 소렐 파레토 모스카 로리아 좀바르트 베버 |
영향을 받은 인물 | 브라이스 버넘 뒤베르제 맥켄지 립셋 노이만 몰드버그 |
주요 저서 및 사상 | |
주요 저서 | 정당 (1911) |
주요 사상 | 과두제의 철칙 온건 이론 |
2. 생애와 교육
미헬스는 1876년 1월 9일 독일 쾰른에서 태어나, 베를린의 김나지움을 졸업하고 육군 장교로 복무했다. 이후 영국과 프랑스에서 유학하고 독일로 돌아와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뮌헨 대학교(경제학), 라이프치히 대학교(역사학), 할레 비텐베르크 대학교(문학, 철학, 역사학)에서 공부해 역사학, 경제학,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파리 대학교 소르본에서도 공부했다.
대학 재학 중부터 반국가주의, 반군주제 사상에 경도되어 혁명적 사회주의 운동에 투신했다. 1902년 아우구스트 베벨이 이끄는 독일 사회민주당(SPD)에 입당하여 유럽 각국의 사회주의 정당을 두루 다니며 여러 사회주의자들과 관계를 맺었고, SPD 당대회에 정식 대의원으로 참가할 정도로 중요한 사회주의 이론가로 여겨졌다. 마르부르크 프로테스탄트 대학교에서 강의를 하는 동안 사회주의자가 되었고, 독일 사회민주당에서 활동했으며, 1903년 독일 연방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이탈리아에서는 이탈리아 사회당(PSI)의 좌익 분파인 이탈리아 혁명적 신디칼리즘과 관련을 맺었다. 그는 1907년 두 당을 모두 탈당했다.[8]
미헬스는 사회주의 정당과 노동조합과 교류를 하면서도, 의회에서 의석을 확대하고 거대화하는 정당이 평등과 민주주의를 실현한다는 명목으로 혁명을 외치면서 정부 정책에 타협하고 조직 유지와 존속에만 급급한 현실을 목격하게 되었다. 그는 이러한 사회주의 정당의 모습에 의문을 품고 환멸을 느꼈고, 후에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대중 정당에 대한 비판적인 저서 『현대 민주주의에서의 정당 사회학』(1911년)을 저술하여 엘리트론의 주요 이론 중 하나로 알려진 "과두제의 철칙"을 제시하였다.
SPD 우파의 의회주의적 경향을 비판한 미헬스는 SPD 좌파의 카를 카우츠키와 로자 룩셈부르크 등과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스스로는 산디칼리스트로 활동하게 된다. 이후 1903년에는 브뤼셀 신대학교 강사, 1907년에는 토리노 대학교 경제학 강사가 되어 이탈리아로 활동 거점을 옮긴다. 이 기간 동안 막스 베버와 교류를 깊이 하였고, 1913년에는 베버와 베르너 좀바르트 등이 주최하는 『사회과학 및 사회정책 잡지』의 공동 집필 및 편집자가 된다. 그러나 1914년 8월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베버와의 관계는 끊어지고, 1914년에는 스위스 바젤 대학교 경제학 교수로 초빙된다.
1912년에 열린 제1차 국제 우생학 회의에 참석하여 "정당 조직에서의 우생학"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10]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페루자 대학교와 로마 사피엔차 대학교(로마 대학교) 교수가 되어 사망할 때까지 이탈리아에 머물면서 사회사상사, 사회주의 운동사 등의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을 수행했다. 1936년 5월 2일 로마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Robert Michels|로베르트 미헬스de는 1876년 1월 9일 독일 쾰른의 부유한 가톨릭계 상인 가문에서 태어났다.[6][7] 베를린의 김나지움을 졸업하고 육군 장교로 복무하였다.2. 2. 학문 연구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뮌헨 대학교(경제학), 라이프치히 대학교(역사학), 할레 비텐베르크 대학교(문학, 철학, 역사학)에서 수학하여 역사학, 경제학,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6][7] 파리 대학교 소르본느에서도 공부했으며, 마르부르크 프로테스탄트 대학교에서 강의하는 동안 사회주의자가 되었다.[8]3. 정치 활동과 사상
로베르트 미헬스는 칼 마르크스의 유물론적 결정론을 비판하고 베르너 좀바르트의 역사적 방법론을 차용했다. 이탈리아 문화를 존경하고 사회 과학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낸 그는 루이지 에이나우디와 아킬레 로리아의 관심을 받았다. 그들의 주선으로 1907년 토리노 대학교에서 교수직을 얻어 1914년까지 경제학, 정치학, 사회경제학을 가르쳤다.[12] 이후 스위스 바젤 대학교에서 경제학 교수로 재직했으며(1928년까지),[7] 1921년에는 메시나 대학교에서도 강의했다.[12]
1912년 제1차 국제 우생학 회의에 참석하여 "정당 조직에서의 우생학"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10]
막스 베버의 뛰어난 제자로 여겨졌던 미헬스는 1906년 ''사회과학 및 사회정책 아카이브''에 자신의 저술을 발표하기 시작했고,[11] 1913년에는 공동 편집자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에 대한 미헬스의 반대 입장으로 인해 두 사람은 의견이 갈렸다.[8]
1928년, 페루자 대학교에서 경제학과 학설사 교수가 되었고,[13] 때때로 로마에서 강의했다. 말년에는 보르도에서 병을 얻었고, 1936년 5월 3일 로마에서 사망했다.[12]
3. 1. 사회주의 운동 참여
대학 재학 중부터 반국가주의, 반군주제 사상에 경도되어 혁명적 사회주의 운동에 투신했다.[6][7] 1902년 아우구스트 베벨이 이끄는 독일 사회민주당(SPD)에 입당하여 유럽 각국의 사회주의 정당을 두루 다니며 여러 사회주의자들과 관계를 맺었고, SPD 당대회에 3회 정식 대의원으로 참가할 정도로 중요한 사회주의 이론가로 여겨졌다.[8] 이탈리아에서는 이탈리아 사회당(PSI)의 좌익 분파인 이탈리아 혁명적 신디칼리즘과 관련을 맺었다. 미헬스는 이 시기에 여러 사회주의 정당과 노동조합과 교류를 깊이 할 기회를 얻었지만, 한편으로는 의회에서 의석을 확대하고 거대화하는 정당이 평등과 민주주의를 실현한다는 명목으로 혁명을 외치면서 정부 정책에 타협하고 조직 유지와 존속에만 급급한 현실을 목격하게 된다. 이상에 불타던 미헬스는 결국 이러한 사회주의 정당의 모습에 의문을 품고 환멸을 느꼈다.3. 2. 정당에 대한 비판과 환멸
대학 재학 중부터 반국가주의, 반군주제 사상에 경도되어 혁명적 사회주의 운동에 투신했던 미헬스는, 1902년 아우구스트 베벨이 이끄는 독일 사회민주당(SPD)에 입당했다. 유럽 각국의 사회주의 정당을 두루 다니며 여러 사회주의자들과 관계를 맺었고, SPD 당대회에 정식 대의원으로 3회 참가할 정도로 중요한 사회주의 이론가로 여겨졌다. 미헬스는 이 시기에 여러 사회주의 정당 및 노동조합과 교류할 기회를 얻었지만, 한편으로는 의회에서 의석을 확대하고 거대화하는 정당이 평등과 민주주의를 실현한다는 명목으로 혁명을 외치면서 정부 정책에 타협하고 조직 유지와 존속에만 급급한 현실을 목격하게 되었다. 이상에 불타던 미헬스는 결국 이러한 사회주의 정당의 모습에 의문을 품고 환멸을 느끼게 되었다.[12] 1907년 독일 사회민주당과 이탈리아 사회당을 모두 탈당했다. SPD 우파의 의회주의적 경향을 비판한 미헬스는, SPD 좌파의 카를 카우츠키와 로자 룩셈부르크 등과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스스로는 산디칼리스트로 활동했다.3. 3. 과두제의 철칙 제시
그는 1911년에 출판된 역사 및 사회학 연구서인 ''정당: 현대 민주주의의 과두적 경향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를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9] 이 책에서 그는 사회주의 정당을 포함한 모든 정당은 빠르게 관료적 과두제로 변하기 때문에 민주적일 수 없다는 "과두제의 철칙" 이론을 제시했다.3. 4. 파시즘 지지
1924년, 이탈리아 사회당 신문 "아반티!"의 전 편집장이었던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끄는 파시스트당에 가입했다.[13] 미헬스는 베니토 무솔리니의 카리스마와 노동 계급 사이의 직접적인 연결고리가 정치적 관료적 중재 없이 진정한 하층 사회 정부를 실현하는 최선의 수단이라고 확신했다.[13]4. 학문적 활동과 말년
그는 1911년에 출판된 역사 및 사회학 연구서인 ''정당: 현대 민주주의의 과두적 경향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를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9] 이 책에서 그는 모든 정당은 사회주의를 표방하는 정당을 포함하여, 빠르게 관료적 과두제로 변하기 때문에 민주적일 수 없다는 "과두제의 철칙" 이론을 제시했다.
미헬스는 1912년에 열린 제1차 국제 우생학 회의에 참석하여 "정당 조직에서의 우생학"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10]
미헬스는 칼 마르크스의 유물론적 결정론을 비판했다. 미헬스는 베르너 좀바르트의 역사적 방법론을 차용했다. 미헬스는 이탈리아 문화를 존경했고 사회 과학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기 때문에 루이지 에이나우디와 아킬레 로리아의 관심을 받았다.
1924년, 그는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끄는 파시스트당에 가입했다. 미헬스는 무솔리니의 카리스마와 노동 계급 사이의 직접적인 연결고리가 정치적 관료적 중재 없이 진정한 하층 사회 정부를 실현하는 최선의 수단이라고 확신했다.
4. 1. 대학교수 재직
1907년 토리노 대학교 경제학 강사가 되어 이탈리아로 활동 거점을 옮겼다.[12] 1914년까지 경제학, 정치학, 사회경제학을 가르쳤다.[7] 1914년 스위스 바젤 대학교 경제학 교수로 초빙되었다.[7] 1921년 메시나 대학교에서도 강의했다.[12] 1928년 페루자 대학교에서 경제학과 학설사 교수가 되었고,[13] 때때로 로마에서 강의했다.4. 2. 막스 베버와의 관계
막스 베버와 깊이 교류하였으며, 베버의 뛰어난 제자로 여겨졌다. 1907년 토리노 대학교 경제학 강사 시절 베버와 교류하였다.[1] 1913년에는 베버와 베르너 좀바르트 등이 주최하는 『사회과학 및 사회정책 잡지』의 공동 집필 및 편집자가 되었다.[1] 그러나 1914년 8월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베버와의 관계는 끊어졌다.[1]4. 3. 사망
그는 보르도에서 병을 얻었고,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1936년 5월 3일 로마에서 사망했다.[12]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페루자 대학교와 로마 사피엔차 대학교(로마 대학교) 교수가 되어 사망할 때까지 이탈리아에 머물렀다. 1936년 5월 2일(또는 3일) 로마에서 사망했다(60세).5. 주요 저서 및 논문
로베르트 미헬스는 정치, 사회, 경제 등 다양한 주제에 걸쳐 많은 저서와 논문을 남겼다. 주요 저작들은 다음과 같다.
- Syndicalisme & socialisme en Allemagnede (독일의 노동조합주의와 사회주의) (1908)[14]
- Proletariato e la borghesia nel movimento socialista italianoit (이탈리아 사회주의 운동에서의 프롤레타리아와 부르주아) (1908)
- Zur Soziologie des Parteiwesens in der modernen Demokratie. Untersuchungen über die oligarchischen Tendenzen des Gruppenlebensde (현대 민주주의에서 정당 조직의 사회학: 집단 생활의 과두적 경향에 대한 연구) (1911)
- Grenzen der Geschlechtsmoralde (성 윤리의 경계) (1914)
- Probleme der Sozialphilosophiede (사회철학의 문제들) (1914)
- Imperialismo italiano, studi politico-demograficiit (이탈리아 제국주의: 정치적 및 인구 통계적 연구) (1914)
- Amour et chasteté; essais sociologiques프랑스어 (사랑과 순결: 사회학적 에세이) (1914)
- Organizzazione del commercio esteroit (대외 무역 조직) (1925)
- Sozialismus und Faschismus in Italiende (이탈리아의 사회주의와 파시즘) (1925)
- Storia critica del movimento socialista italiano : dagli inizi fino al 1911it (이탈리아 사회주의 운동의 비판적 역사: 초기부터 1911년까지) (1926)
- Corso di sociologia politicait (정치 사회학 강의) (1927)
- Sittlichkeit in Ziffern? Kritik der Moralstatistikde (숫자로 본 도덕성? 도덕 통계에 대한 비판) (1928)
- Patriotismus, Prolegomena zu seiner soziologischen Analysede (애국심, 사회학적 분석에 대한 서론) (1929)
- Einfluss der faschistischen Arbeitsverfassung auf die Weltwirtschaftde (파시스트 Arbeitsverfassung[15]이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 (1929)
- Italien von heute. Politische und wirtschaftliche Kulturgeschichte von 1860 bis 1930de (오늘날의 이탈리아 - 1860년부터 1930년까지의 정치적, 경제적 문화사) (1930)
- Introduzione alla storia delle dottrine economiche e politicheit (경제 및 정치 이론사 개론) (1932)
- Umschichtungen in den herrschenden Klassen nach dem Kriegede (전쟁 후 지배 계급의 변화) (1934)[16]
- Boicottaggio, saggio su un aspetto delle crisiit (보이콧, 위기의 한 측면에 대한 논문) (1934)
- Boycottage international프랑스어 (국제 보이콧) (1936)
- Verelendungstheorie. Studien und Untersuchungen zur internationalen Dogmengeschichte der Volkswirtschaftde (빈곤화 이론 - 국민 경제의 국제적 교리사에 대한 연구 및 조사) (1970)
- Elite e/o democraziait (엘리트 및/또는 민주주의) (1972)
- Antologia di scritti sociologiciit (사회학 논문집) (1980)
- Works on paper, 1918-1930영어 (1984)
- Critique du socialisme : contribution aux débats du début du XXè siècle프랑스어 (사회주의 비판: 20세기 초 논쟁에 대한 기여) (1992)
하위 섹션인 '저서 목록'에 상세한 내용이 이미 기술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제목과 출판 연도만 간략하게 나열하여 중복을 피했다.
5. 1. 저서 목록
- Syndicalisme & socialisme en Allemagnede (독일의 노동조합주의와 사회주의) (1908)[14]
- Proletariato e la borghesia nel movimento socialista italianoit (이탈리아 사회주의 운동에서의 프롤레타리아와 부르주아) (1908; 1975)
- Zur Soziologie des Parteiwesens in der modernen Demokratie. Untersuchungen über die oligarchischen Tendenzen des Gruppenlebensde (현대 민주주의에서 정당 조직의 사회학: 집단 생활의 과두적 경향에 대한 연구) (1911, 1925; 1970). 알프레도 폴레드로(Alfredo Polledro) 박사가 독일어 원본에서 번역하고 개정 및 확장한 Sociologia del partito politico nella democrazia moderna : studi sulle tendenze oligarchiche degli aggregati politiciit(현대 민주주의에서의 정당의 사회학: 정치적 집합체의 과두적 경향에 대한 연구) (1912). 에든 폴(Eden Paul)과 시더 폴(Cedar Paul)이 이탈리아어에서 번역한 정당: 현대 민주주의의 과두적 경향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허스트 인터내셔널 라이브러리社(Hearst's International Library Co.), 1915; 프리 프레스, 1949; 도버 출판사(Dover Publications), 1959); 세이무어 마틴 립셋(Seymour Martin Lipset)의 서문과 함께 재출판 (크로웰-콜리어(Crowell-Collier), 1962; 트랜잭션 퍼블리셔스(Transaction Publishers), 1999); archive.org에서 온라인으로 [https://archive.org/details/MICHELS_Robert_Political_parties archive.org에서]; S. 장켈레비치(S. Jankélévitch)가 프랑스어로 번역한 Les partis politiques. Essai sur les tendances oligarchiques des démocraties프랑스어, 브뤼셀, 브뤼셀 대학교 출판부, 2009.
- Grenzen der Geschlechtsmoralde (성 윤리의 경계). 알프레도 폴레드로(Alfredo Polledro)가 개정 및 확장한 이탈리아어 번역본 Morale sessualeit (프라텔리 보카(Fratelli Bocca), 19-?). 성 윤리: 국경 지대 질문에 대한 연구''로 번역 (월터 스콧(Walter Scott), 조지 앨런 앤 언윈(George Allen & Unwin), 찰스 스크라이브너스 선즈(Charles Scribner's Sons), 1914); 테리 R. 칸달(Terry R. Kandal)의 새로운 서문과 함께 재출판 (트랜잭션 퍼블리셔스, 2001-2)
- Probleme der Sozialphilosophiede (사회철학의 문제들) (1914)
- Imperialismo italiano, studi politico-demograficiit (이탈리아 제국주의: 정치적 및 인구 통계적 연구) (1914)
- Amour et chasteté; essais sociologiques프랑스어 (사랑과 순결: 사회학적 에세이) (1914)
- Organizzazione del commercio esteroit (대외 무역 조직) (1925)
- Sozialismus und Faschismus in Italiende (이탈리아의 사회주의와 파시즘) (1925)
- Storia critica del movimento socialista italiano : dagli inizi fino al 1911it (이탈리아 사회주의 운동의 비판적 역사: 초기부터 1911년까지) (La Voce, 1926)
- Corso di sociologia politicait (정치 사회학 강의) (1927). 알프레드 드 그라지아(Alfred de Grazia)가 번역하고 서문을 쓴 ''First lectures in political sociology'' (미네소타 대학교(University of Minnesota) 출판부, 1949; 아르노 프레스(Arno Press), 1974)
- Sittlichkeit in Ziffern? Kritik der Moralstatistikde (숫자로 본 도덕성? 도덕 통계에 대한 비판) (1928)
- Patriotismus, Prolegomena zu seiner soziologischen Analysede (애국심, 사회학적 분석에 대한 서론) (1929)
- Einfluss der faschistischen Arbeitsverfassung auf die Weltwirtschaftde (파시스트 Arbeitsverfassung[15]이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 (1929)
- Italien von heute. Politische und wirtschaftliche Kulturgeschichte von 1860 bis 1930de (오늘날의 이탈리아 - 1860년부터 1930년까지의 정치적, 경제적 문화사) (1930)
- Introduzione alla storia delle dottrine economiche e politicheit (경제 및 정치 이론사 개론) (1932)
- Umschichtungen in den herrschenden Klassen nach dem Kriegede (전쟁 후 지배 계급의 변화) (1934)[16]
- Boicottaggio, saggio su un aspetto delle crisiit (보이콧, 위기의 한 측면에 대한 논문) (1934)
- Boycottage international프랑스어 (국제 보이콧) (1936)
- Verelendungstheorie. Studien und Untersuchungen zur internationalen Dogmengeschichte der Volkswirtschaftde (빈곤화 이론 - 국민 경제의 국제적 교리사에 대한 연구 및 조사), 하인즈 마우스(Heinz Maus)의 서문과 함께 (1970)
- Elite e/o democraziait (엘리트 및/또는 민주주의) (G. 볼페(G. Volpe), 1972)
- Antologia di scritti sociologiciit (사회학 논문집); 조르다노 시비니(Giordano Sivini) 편집 (1980)
- Works on paper, 1918-1930영어 (바바라 매시스 갤러리(Barbara Mathes Gallery), 1984)
- Critique du socialisme : contribution aux débats du début du XXè siècle프랑스어 (사회주의 비판: 20세기 초 논쟁에 대한 기여); 피에르 쿠르-살리(Pierre Cours-Salies)와 장-마리 뱅상(Jean-Marie Vincent)이 선정 및 발표한 논문 (에디시옹 키메(Editions Kimé), 1992)
- 이탈리아 사회주의 운동에서의 프롤레타리아와 부르주아지 (1908년)
- 이탈리아에서의 마르크스주의 역사 (1910년)
- 현대 민주주의에서의 정당 사회학 - 집단 활동의 과두제적 경향에 관한 연구 (1911년)
- 이탈리아에서의 사회주의와 파시즘으로서의 정치적 조류 (1925년)
- 사회과학으로서의 사회학 (1926년)
- 이탈리아 사회주의 운동사 (1926년)
- 독일 사회주의에서의 산디칼리즘적 경향 (1932년)
6. 과두제의 철칙
미헬스는 그의 저서 《정당론》(Political Parties)[17]에서 독일 사민당의 당내 조직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바탕으로 "민주적인 조직이라도, 불가피하게 과두제로 조직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정교한 기술적 전문성이 필요하거나, 군대와 같은 조직은 과두제로 이행하게 된다고 설명한다. 과두제는 보수화, 영속화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일반적 윤리 원칙, 과두제 구성원들의 무관심, 재정적 독립, 새로운 개인과 이념을 흡수·동화시킬 수 있는 능력에 의해 유지된다고 하였다. 또한 조직된 사회구조는 엘리트에 의한 지배를 안정화하기 때문에 현대 사회에서 관료제는 필수가 된다고 주장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모든 조직은 관료화, 집중화의 과정을 통해 과두제로 귀결된다는 과두제의 철칙(Iron Law of Oligarchy)을 주장하였다.
"선출된 자가 선출한 자들을 지배하고, 위임받은 자가 위임한 자들을 지배하며, 대의원이 유권자들을 지배한다. 다양한 형태의 민주주의의 품안에서 과두정이 발전하는 것은, 사회주의 조직이건 아나키즘 조직이건 조직에는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유기적 경향이다."[18]
6. 1. 주요 내용
미헬스는 그의 저서 《정당론》(Political Parties)[17]에서 독일 사민당의 당내 조직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바탕으로 "원칙이 민주적인 조직이라도, 불가피하게 과두제로 조직된다"고 주장하였다.정교한 기술적 전문성이 필요하거나, 군대와 같은 내재한 자연적 조직이라도 과두제로 이행하게 되는 열쇠라고 설명한다. 과두제는 보수화, 영속화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일반적 윤리 원칙의 사용, 과두제 성원들의 무관심과 내재적 복종심, 재정적 독립, 대중으로부터 새로운 개인과 이념을 흡수·동화시킬 수 있는 능력에 의해 유지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조직된 사회구조는 엘리트에 의한 지배를 안정화하기 때문에 현대 사회에서 관료제는 필수가 된다고 주장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모든 조직은 관료화, 집중화의 과정을 통해 과두제로 귀결된다는 과두제의 철칙(Iron Law of Oligarchy)을 주장하였다.
6. 2. 인용문
"선출된 자가 선출한 자들을 지배하고, 위임받은 자가 위임한 자들을 지배하며, 대의원이 유권자들을 지배한다. 다양한 형태의 민주주의의 품안에서 과두정이 발전하는 것은, 사회주의 조직이건 아나키즘 조직이건 조직에는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유기적 경향이다."[18]7. 비판
로베르트 미헬스의 '과두제의 철칙'에는 여러 비판이 제기되었다. 부하린은 생산력 발달과 교육 평등을 통해 과두제가 소멸될 것이라 보았고, 뒤베르제와 노이만은 독일 사민당의 특수성을 일반화했다고 지적했다. 베버와 슘페터는 엘리트 간 경쟁을 통한 민주주의 실현 가능성을 간과했다고 비판했으며, 대중매체의 영향력을 예측하지 못한 점도 지적된다.
7. 1. 주요 비판
참조
[1]
서적
The Anti-Democratic Sources of Elite Theory: Pareto, Mosca, Michels
SAGE Publications
[2]
서적
Philosophy of Education: An Encyclopedia
Routledge
[3]
학술지
Democracy, Organization, Michels
https://www.jstor.or[...]
1965
[4]
학술지
Roberto Michels and the Study of Political Parties
https://www.jstor.or[...]
1971
[5]
학술지
Robert Michels's Political Parties in Perspective
https://www.jstor.or[...]
1971
[6]
학술지
Roberto Michels--In Memoriam
https://www.jstor.or[...]
1936
[7]
학술지
Obituary: Roberto Michels 1876-1936
https://www.journals[...]
1936
[8]
학술지
Robert Michels's Political Parties in Perspective
1971-08
[9]
학술지
Zur Soziologie des Parteiwesens in der Modernen Demokratie, by Robert Michels
https://doi.org/10.2[...]
1911
[10]
서적
Problems in Eugenics: Papers communicated to the First International Eugenics Congress Held at the University of London, July 24th to 30th, 1912
The Eugenics Education Society
[11]
논문
Max Weber and Robert Michels
1981-05-01
[12]
논문
Obituary
https://doi.org/10.1[...]
1936-06-01
[13]
뉴스
Michels, Robert 1876–1936
http://www.highbeam.[...]
2014-12-26
[14]
웹사이트
Speech by Robert Michels at international syndicalist conference (Paris, 3 April 1907). Analysis of the situation of the Left in Germany.
https://archive.org/[...]
[15]
일반
[16]
논문
Review of Umschichtungen in den herrschenden Klassen nach dem Kriege.
https://www.jstor.or[...]
1936-01-01
[17]
서적
Zur Soziologie des Parteiwesens in der modernen Demokratie: Untersuchungen über die oligarchischen Tendenzen des Gruppenlebens
Kröner
1911-01-01
[18]
서적
2002-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