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아오케라톱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아오케라톱스는 중국 랴오닝성에서 발견된 소형 각룡류 공룡이다. 2002년 쉬싱 등 연구진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몸길이 약 50cm, 몸무게 약 2kg으로 추정된다. 눈 뒤쪽 광대뼈에 작은 뿔을 가지고 있으며, 신각룡류와 프시타코사우루스과가 분화되기 전의 초기 각룡류 중 하나로, 각룡류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뿔과 프릴은 방어보다는 과시를 위한 기관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호모 게오르기쿠스
호모 게오르기쿠스는 약 180만 년 전 조지아에서 발견된 멸종된 호미닌 종으로, 작은 뇌 용량과 원시적인 두개골을 가지며 아프리카 외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인류 중 하나로 여겨진다. - 2002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사헬란트로푸스
사헬란트로푸스는 약 700만 년 전에서 680만 년 전에 생존했던 화석 인류의 한 속으로, 2001년 차드에서 발견된 '투마이' 화석 표본을 통해 알려져 있으며, 작은 두개골과 턱뼈, 작은 뇌 용량을 특징으로 하고, 분류 및 직립 보행 여부에 대한 논쟁에도 불구하고 인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백악기 전기 아시아의 공룡 - 시노사우롭테릭스
시노사우롭테릭스는 초기 백악기 압트절에 살았던 작은 이족 보행 수각류 공룡으로, 깃털 화석이 발견된 최초의 공룡이며, 꼬리의 띠 색깔과 콤프소그나투스와 유사한 구조, 긴 꼬리가 특징이다. - 백악기 전기 아시아의 공룡 - 프시타코사우루스
프시타코사우루스는 백악기 전기 아시아에 살았던 앵무새 부리 모양의 특징을 가진 조반류 공룡 속으로, 다양한 종과 풍부한 화석 자료를 통해 생태 및 진화 연구에 기여한다. - 각룡하목 - 바가케라톱스
바가케라톱스는 백악기에 몽골 고비 사막에서 발견된 작은 크기의 원시각룡 공룡으로, 부리와 뿔이 없고 어금니와 비슷한 이빨을 가졌으며 초식성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각룡하목 - 프시타코사우루스
프시타코사우루스는 백악기 전기 아시아에 살았던 앵무새 부리 모양의 특징을 가진 조반류 공룡 속으로, 다양한 종과 풍부한 화석 자료를 통해 생태 및 진화 연구에 기여한다.
리아오케라톱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화석 발견 시기 | 중생대전기 백악기, |
학명 | Liaoceratops |
명명자 | Xu 외, 2002년 |
모식종 | Liaoceratops yanzigouensis |
모식종 명명자 | Xu 외, 2002년 |
생물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파충강 |
아강 | 이궁아강 |
하강 | 지배파충하강 |
상목 | 공룡상목 |
목 | †조반목 |
미분류 아목 | †신조반류 |
아목 | †각각아목 |
하목 | †각룡하목 |
속 | †리아오케라톱스속(Liaoceratops) |
종 | L. yanzigouensis Xu, 2002 (모식종) |
2. 발견과 명명
랴오닝성은 깃털 공룡 화석이 많이 발견된 곳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리아오케라톱스도 그 중 하나이다. 모식종인 리아오케라톱스 얀지고우엔시스(''Liaoceratops yanzigouensis'')는 2002년 쉬싱, 피터 마코비키, 왕샤오린, 마크 노렐, 요우 하이루 등이 명명하고 기재하였다. 속명은 랴오닝 지방의 이름과 그리스어로 "뿔"을 뜻하는 '케라스(keras)', "얼굴"을 뜻하는 '옵스(ops)'를 합쳐 만든 것이다. 종명은 화석이 발견된 옌지구 마을에서 따왔다.[2]
리아오케라톱스는 몸길이 50cm, 몸무게 2kg 정도의 비교적 작은 공룡이다. 완모식표본 두개골의 길이는 154mm이며, 뺨 부분에 뿔이 있고 두개골 뒤쪽에 작은 프릴이 있지만, 후대의 각룡류에서 볼 수 있는 눈 위의 뿔이나 목을 감싸는 프릴은 없다.[5]
완모식표본 '''IVPP V12738'''은 바렘절의 이셴 층에서 발견되었다. 이 지층에서는 곤충, 은행나무 화석 및 초기 트로오돈과 공룡 시노베나토르를 비롯해 다른 공룡들의 화석도 발견되었다.[3]
피터 마코비키는 "이 지역은 공룡, 포유류, 곤충, 그리고 속씨식물의 진화에 대해 매우 중요한 정보를 주고 있습니다. 리아오케라톱스보다 더 원시적인 표본들도 찾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라고 말했다.
부모식표본인 IVPP V12633과 추가 표본 CAGS-IG-VD-002는 어린 개체의 두개골로, 포식자의 공격 흔적이 남아있다.[4]
3. 기재와 분류
이러한 특징들은 각룡류의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각룡류는 크게 두 갈래로 나뉘는데, 하나는 트리케라톱스처럼 눈에 띄는 뿔과 프릴을 가진 신각룡류이고, 다른 하나는 프시타코사우루스과로 더 작고 앵무새 모양의 부리를 가진 공룡들이다. 리아오케라톱스는 신각룡류의 가장 원시적인 종류 중 하나로, 각룡류가 신각룡류와 프시타코사우루스과로 분리되었음을 보여준다.
필드 자연사박물관의 공룡 학예사이자 리아오케라톱스를 보고한 논문의 공저자인 피터 마코비키는 "리아오케라톱스는 뿔 달린 공룡의 초기 진화에 대해 많은 것을 알 수 있게 해준다"고 말했다. 또한 "리아오케라톱스는 신각룡류와 프시타코사우루스과가 최소한 아주 이른 백악기에는 갈라졌다는 것을 알려준다. 또 각룡류가 그들만의 특징을 우리가 전에 알던 것보다 더 일찍, 더 빠른 속도로 진화시켰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3. 1. 랴오닝성의 다른 공룡들
랴오닝성은 깃털 공룡 화석이 많이 발견되는 곳으로 유명하다. 이셴 층에서는 시노베나토르를 비롯한 다양한 공룡 화석이 발견되었다.[3]
4. 뿔과 프릴의 용도
흥미롭게도, 몸집이 작은 리아오케라톱스가 각룡류 공룡이 가진 뿔과 프릴의 역할에 대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다. 처음에는 뿔과 프릴이 공격 또는 방어를 위해 사용되었다고 생각되었지만, 오늘날 많은 고생물학자들은 이것이 짝에게 매력적으로 보이기 위한 것이거나 같은 종을 알아보는 데 유용한 도구였을 거라고 보고 있다. 리아오케라톱스는 양쪽 눈의 뒤쪽 광대뼈 부분에 옆으로 난 작은 뿔을 가지고 있다. 이 뿔은 상대적으로 작고 가벼워 마코비키는 이것이 방어가 아니라 과시에 사용되는 기관이었으리라고 본다.
참조
[1]
논문
New chronostratigraphic constraints on the Yixian Formation with implications for the Jehol Biota
2017
[2]
논문
A ceratopsian dinosaur from China and the early evolution of Ceratopsia.
[3]
논문
A basal troodontid from the Early Cretaceous of China
[4]
간행물
"A new specimen of ''Liaoceratops yanzigouensis'' (Dinosauria: Neoceratopsia) from the Early Cretaceous of Liaoning Province, China"
2007
[5]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http://worldcat.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6]
간행물
"A new specimen of ''Liaoceratops yanzigouensis'' (Dinosauria: Neoceratopsia) from the Early Cretaceous of Liaoning Province, China"
2007
[7]
간행물
"A new specimen of ''Liaoceratops yanzigouensis'' (Dinosauria: Neoceratopsia) from the Early Cretaceous of Liaoning Province, China"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