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오니더스 앨러오글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오니다스 앨러오글루는 1914년 캐나다에서 태어나 1981년 사망한 수학자이다. 시카고 대학교에서 학·석·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앨러오글루 정리를 확립했다.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퍼듀 대학교에서 가르쳤으며, 미국 공군 연구원과 록히드 마틴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록히드 재직 기간 동안 칼텍, UCLA, USC에서 세미나 및 수학 활동에 참여했으며, 칼텍에는 그의 기념 강연 시리즈가 설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수학자 - 존 찰스 필즈
    캐나다 수학자 존 찰스 필즈는 대수 함수 연구에 기여하고 수학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필즈상을 창설했으며, 토론토 대학교 교수로서 캐나다 수학계 발전에 헌신하고 국제 수학자 대회 유치에 기여했다.
  • 캐나다의 수학자 - 만줄 바르가바
    캐나다 출신 미국 수학자 만줄 바르가바는 대수적 정수론에 기여하고 필즈상을 수상했으며 현재 프린스턴 대학교 석좌교수로 수의 기하학, 초타원 곡선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
  • 수론학자 -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조제프루이 라그랑주는 이탈리아 출신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서 변분법, 라그랑주 역학 등을 개발하고 미터법 제정에 참여하며 18~19세기 수학과 역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에펠탑에 그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 수론학자 - 다카기 데이지
    다카기 데이지는 류타이론 확립에 기여하고 힐베르트의 문제 해결에도 공헌한 일본 수학자로, 계수체 이론 발전과 복소 대칭 행렬 연구로 국제적 명성을 얻었으며 수학 교과서 저술 및 문화훈장 수훈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으나, 제2차 세계대전 중 일본군 암호 해독 참여는 논란이 된다.
  • 미국의 수학자 - 시어도어 카진스키
    미국 수학자이자 "유나바머"로 알려진 시어도어 카진스키는 뛰어난 수학적 재능으로 대학 조교수를 지냈으나 산업 사회에 대한 비판으로 18년간 우편 폭탄 테러를 감행, 체포되어 가석방 없는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복역 중 사망했다.
  • 미국의 수학자 - 존 포브스 내시
    미국의 수학자 존 포브스 내시는 게임 이론의 내시 균형 개념을 제시하고 미분기하학과 편미분 방정식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겼으며 조현병을 극복하고 노벨 경제학상과 아벨상을 수상한 인물로, 그의 삶은 영화 《뷰티풀 마인드》로 알려졌다.
리오니더스 앨러오글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리오니더스 앨러오글루
원어 이름Leonidas Alaoglu
로마자 표기Rionideoseu Aelleoogeullu
그리스어Λεωνίδας Αλάογλου
로마자 표기Leonidas Alaoglou
출생과 사망
출생캐나다 앨버타주 레드디어
출생일1914년 3월 19일
사망미국 캘리포니아주 엔시노
사망일1981년 8월 25일
국적
국적캐나다, 미국
학문 분야
분야수학
직장
직장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퍼듀 대학교
미국 공군
록히드 마틴
학력
모교시카고 대학교
박사 지도 교수로런스 머리 그레이브스
로마자 표기Lawrence Murray Graves
학위 논문 제목약한 위상 공간
로마자 표기Weak topologies of Normed linear spaces
학위 취득 년도1938년
업적
알려진 업적바나흐-알라오글루 정리

2. 생애

1914년 3월 19일 캐나다 앨버타주 레드디어(Red Deer영어)에서 그리스계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의 이름은 에방겔로스 알라오글루(Ευάγγελος Αλάογλουel)였고, 어머니의 이름은 이소디아 알라오글루(Εισόδια Αλάογλουel)였다. 그의 성씨 "앨러오글루"(Alaoglu|앨러오글루영어, Αλάογλου|알라오글루el, Alaoğlu|알라오을루tr)는 터키계에서 유래했다.

시카고 대학교에 진학하여 1936년에 학사 학위를, 1937년에 석사 학위를, 그리고 1938년에는 24세의 나이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박사 학위 취득 후, 펜실베이니아 주립 칼리지, 하버드 대학교, 퍼듀 대학교에서 몇 년간 강의했다. 1944년에는 미국 공군에서 운영 분석가로 활동하기 시작했으며, 1953년부터 1981년까지는 록히드 코퍼레이션에서 선임 과학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1981년 8월 25일 캘리포니아주 엔시노에서 사망하였다.

2. 1. 학문적 업적

앨러오글루는 1938년 시카고 대학교에서 로렌스 M. 그레이브스의 지도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의 박사 논문 "노름 선형 공간의 약한 위상"은 유명한 앨러오글루 정리를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니콜라 부르바키 그룹은 이 결과를 쌍대 위상으로 일반화하여 부르바키-앨러오글루 정리를 발표했다.

그는 펜실베이니아 주립 칼리지, 하버드 대학교, 퍼듀 대학교 등에서 강의 경력을 쌓았다. 1944년에는 미국 공군에서 운영 분석가로 활동하기도 했다. 1953년부터 1981년 은퇴할 때까지 캘리포니아 버뱅크에 위치한 록히드 코퍼레이션에서 운영 연구 분야의 선임 과학자로 일하며 다수의 연구 보고서를 작성했는데, 이 중 일부는 기밀 정보로 분류되었다.

록히드에서 근무하는 동안에도 칼텍, UCLA, USC 등에서 열리는 세미나와 같은 수학 관련 활동에 꾸준히 참여했다. 1981년 그가 사망한 후, 칼텍에서는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https://web.archive.org/web/20200806131805/http://math.caltech.edu/events/alaoglu07.html 레오니다스 앨러오글루 기념 강연 시리즈]를 만들었다. 이 강연 시리즈에는 폴 에르되시, 어빙 캡란스키, 폴 헬모스, 휴 우딘과 같은 저명한 수학자들이 연사로 참여했다.

2. 2. 록히드 마틴 연구원

1944년에 그는 미국 공군의 운영 분석가가 되었다. 1953년부터 1981년까지 그는 캘리포니아 버뱅크에 있는 록히드 코퍼레이션에서 운영 연구 분야의 선임 과학자로 일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수많은 연구 보고서를 작성했으며, 그중 일부는 기밀 정보로 분류되었다.

록히드 코퍼레이션에 재직하는 동안 그는 칼텍, UCLA, USC 등에서 열리는 세미나 및 기타 수학 관련 활동에 활발하게 참여했다. 1981년 그가 사망한 후, 칼텍에는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http://math.caltech.edu/events/alaoglu07.html 레오니다스 앨러오글루 기념 강연 시리즈]가 설립되었다. 이 강연 시리즈에는 폴 에르되시, 어빙 캡란스키, 폴 헬모스, 휴 우딘 등이 연사로 참여했다.

3. Publications


  • 앨러오글루, 레오니다스 (1937). "다섯 제곱과 여섯 제곱에 대한 점근적 와링 문제". 시카고 대학교 이학 석사 학위 논문 (24페이지). 지도교수: 레너드 유진 딕슨.
  • 앨러오글루, 레오니다스 (1938). "노름 선형 공간의 약한 위상". 시카고 대학교 철학 박사 학위 논문. 지도교수: 로렌스 그레이브스.
  • 앨러오글루, 레오니다스 (1940). "노름 선형 공간의 약한 위상". Annals of Mathematics. '''41''' (2): 252–267. doi:10.2307/1968829. jstor:1968829.
  • 앨러오글루, 레오니다스; 가렛 버코프 (1940). "일반적인 에르고딕 정리". Annals of Mathematics. '''41''' (2): 252–267. doi:10.2307/1969004. jstor:1969004.
  • 앨러오글루, 레오니다스; 펄 에르되시 (1944). "고도로 합성된 수와 유사한 수에 관하여".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56''' (3): 448–469. doi:10.2307/1990319. jstor:1990319. [http://www.renyi.hu/~p_erdos/1944-03.pdf PDF 링크].
  • 앨러오글루, 레오니다스; 펄 에르되시 (1944). "초등 정수론의 추측".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50''' (12): 881–882. doi:10.1090/S0002-9904-1944-08257-8.
  • 앨러오글루, 레오니다스; J. H. 기제 (1946). "균일한 등면 토러스".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53''' (1): 14–17. doi:10.2307/2306079. jstor:2306079.

참조

[1] 서적 American Men & Women of Science R.R. Bowker 1979
[2] 서적 A Century of Mathematics in America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98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