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카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카시는 콩고민주공화국 오트카탕가주에 위치한 도시로, 과거 자도트빌로 불렸다. 구리, 코발트, 우라늄 등 광산 개발 거점으로 건설되었으며, 금속 정련이 주 산업이다. 징콜로브웨 광산은 1943년 맨해튼 프로젝트 보고서에서 중요한 우라늄 매장지로 묘사되었으며, 1945년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 폭탄 제조에 사용되었다. 1961년 카탕가 분쟁 당시 아일랜드 유엔군은 자도트빌에서 포위되어 항복했다. 쾨펜의 습윤 온대 기후를 보이며, 2015년 기준 약 635,000명의 인구가 거주한다. 리카시는 철도와 공항을 갖춘 교통의 요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콩고 민주 공화국의 도시 - 키상가니
키상가니는 콩고민주공화국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헨리 모턴 스탠리에 의해 재건축되어 스탠리빌로 불리다 키산가니로 개명되었으며, 콩고 강의 주요 교통 및 상업 중심지이자 여러 분쟁의 중심지였고, 현재는 6개의 코뮌으로 나뉘어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하며 상업, 금융, 산업, 문화, 예술의 중심지이자 교육 및 스포츠 시설과 풍부한 자연, 문화 유산을 가진 관광 도시이다. - 콩고 민주 공화국의 도시 - 부카부
부카부는 콩고 민주 공화국 남키부 주에 있는 도시로 키부 호반에 위치하며, 과거 키부 지역의 행정 중심지였으나 내전과 난민 위기를 겪었고, 100채가 넘는 아르데코 건축물이 남아 있으며, 멸종 위기에 처한 동부저지대고릴라의 주요 서식지인 카후지-비에가 국립공원으로 가는 관문이자 전쟁으로 인한 여성 폭력 피해자들을 위한 의료 지원 시설이 위치해 있다.
리카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리카시 시 |
국가 | 콩고 민주 공화국 |
속한 주 | 오트카탕가 주 |
코뮌 | 키쿨라 리카시 판다 시투루 |
지리 | |
해발 고도 | 1318m |
면적 | 245km² |
기후 | 온난 습윤 기후 (Cwa) |
인구 통계 | |
인구 (2015년 기준) | 635,463명 |
도시 인구 | 495,000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행정 | |
시장 | 앙리 뭉고마 |
기타 정보 | |
시간대 | 중앙 아프리카 시간 (UTC+2) |
2. 역사
리카시는 과거 '''자도빌'''(Jadotville)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풍부한 광물 자원을 바탕으로 개발된 도시이다. 특히 인근 징콜로브웨 광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의 핵무기 개발 계획인 맨해튼 프로젝트에 우라늄을 공급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 채굴된 우라늄은 1945년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 폭탄 제조에 사용되었다.[6]
1961년 콩고 위기 중에는 유엔 평화유지군으로 파견된 아일랜드 공화국 군대와 모이즈 촘베가 이끄는 카탕가 군대 간의 격전지인 자도트빌 포위전이 벌어지기도 했다.[7][8] 리카시는 구리 벨트 지대의 중요 광업 및 제련 중심지로 기능해왔다.
2. 1. 식민지 시대
리카시(당시에는 자도트빌) 서쪽 20km 지점에 위치한 징콜로브웨 광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의 핵무기 개발 계획인 맨해튼 프로젝트 관련 정보 보고서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우라늄 매장지로 언급되었다.[6] 이 광산에서 채굴된 우라늄은 1945년 일본 제국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 폭탄 제조에 사용되는 비극으로 이어졌다.[6]
1961년, 콩고 위기의 일부인 카탕가 분리 독립 분쟁에 유엔이 개입하면서, 아일랜드 공화국 소속의 유엔 평화유지군이 자도트빌에 파견되었다. 이들은 모이즈 촘베가 이끄는 카탕가 군대에 포위되어 격렬하게 저항했으나, 결국 항복하는 자도트빌 포위전을 겪었다.[7][8]
2. 2. 콩고 독립과 카탕가 분리 독립
리카시(당시 자도트빌) 서쪽 20km 지점에 위치한 징콜로브웨 광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43년 맨해튼 프로젝트 정보 보고서는 이곳을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우라늄 매장지로 평가했으며, 여기서 채굴된 우라늄은 1945년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 폭탄 제조에 사용되었다.[6]
콩고가 독립하고 카탕가 주가 분리 독립을 선언한 후, 1961년 카탕가 분쟁에 유엔이 개입하면서 자도트빌(현 리카시)은 중요한 사건의 무대가 되었다. 아일랜드 공화국 소속 유엔 평화유지군이 자도트빌에 주둔했으나, 카탕가 총리 모이즈 촘베에게 충성하는 군대에 포위되었다. 아일랜드군은 자도트빌 포위전에서 격렬하게 저항했으나 결국 항복했다.[7][8]
2. 3. 현대
리카시(당시 자도트빌) 서쪽 20km 지점에 위치한 징콜로브웨 광산은 1943년 맨해튼 프로젝트 정보 보고서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우라늄 매장지로 평가되었다. 이 광산에서 채굴된 우라늄은 1945년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 폭탄 제조에 사용되었다.[6]
1961년, 카탕가 분리 독립 시도에 대한 유엔의 개입 과정에서, 아일랜드 공화국 소속 유엔 평화유지군이 당시 자도트빌에 파견되었다. 이들은 자도트빌 포위전에서 카탕가 총리 모이즈 촘베에게 충성하는 군대에 포위되어 용감하게 싸웠으나 결국 항복했다.[7][8]
리카시는 과거 '''자도빌'''(Jadotville)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콩고 남부에 위치하며, 루붐바시에서 북서쪽으로 120km 떨어져 있다. 해발 고도는 1240m이며, 오트카탕가주에 속한다. 구리 벨트의 북쪽 끝 부근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인근에 구리, 코발트, 우라늄 등 풍부한 광물 자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주요 산업은 각종 금속 제련이며, 그 외에 폭약 및 시멘트 공장도 운영되고 있다. 2005년 추정 인구는 422,726명이다.
3. 인구
리카시의 인구는 2015년 기준으로 약 635,000명이다.[2] 2005년 추정 인구는 422,726명이었다. 1990년대에는 국제 연합(UN)이 당시 샤바 주에서 발생한 민족 간 폭력 사태를 피해 온 난민들을 돕기 위해 리카시와 그 주변 지역에 급식 센터와 난민 센터를 운영했다.[4] 이로 인해 도시 인구가 약 41,000명 증가하기도 했다.[5]
4. 지리
리카시는 콩고 민주 공화국 남부에 위치하며, 루붐바시에서 북서쪽으로 120km 떨어진 지점에 있는 오트카탕가주 소속 도시이다. 해발 고도는 1240m이며, 2005년 추정 인구는 422,726명이다. 옛 이름은 '''자도빌'''(Jadotville|자도빌프랑스어)이다.
이 도시는 구리 벨트의 북쪽 끝 근처에 자리 잡고 있으며, 주변에 구리, 코발트, 우라늄 등의 광산이 풍부하여 광산 개발의 거점 도시로 건설되었다. 주요 산업은 각종 금속의 정련이며, 그 외에 폭약 및 시멘트 공장도 운영되고 있다.
4. 1. 기후
리카시는 습윤 온대 기후(쾨펜: ''Cwa'')를 띤다.[13]
5. 경제
리카시는 특히 광업을 중심으로 한 산업 중심지이며,[9] 주변 지역의 운송 허브 역할을 한다. 인근에는 풍부한 구리와 코발트 매장량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광산과 정제 공장이 운영되고 있다.[10]
2019년 초에는 인근 카마탄다 지역에 1700만달러 규모의 분쇄 공장이 설치되어 가동을 시작했다. 이 공장에서 분쇄된 광석은 판다 지역의 힙 리치(heap leach) 시설로 보내진다. 이후 구리를 함유한 용액은 리카시의 시투루(Shituru) 공장 전해실로 옮겨져 고품질 구리 음극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11]
또한 리카시에는 상업적으로는 고갈되었지만, 여전히 수공업 광부들이 채굴하는 버려진 금광도 존재한다. 광업 외에도 폭약 및 시멘트 공장 등 다양한 산업 시설이 있다.
6. 교통
리카시에는 국철 노선 역이 있다. 이 노선은 주로 화물 열차가 운행되며, 여객 열차는 거의 운행되지 않는다. 철도는 일레보, 킨두, 루붐바시 등 주요 도시와 연결된다. 또한, 리카시에는 공항이 있어 항공 교통 이용이 가능하다.
참조
[1]
웹사이트
HENRI MUNGOMA installé officiellement comme nouveau maire de la ville de LIKASI
https://www.youtube.[...]
RCK TV - Likasi
2023-01-27
[2]
웹사이트
caid.cd/index.php/donnees-par-villes/ville-de-likasi/?domaine=fiche
https://www.caid.cd/[...]
[3]
웹사이트
PopulationStat.com
https://populationst[...]
[4]
간행물
"Current Situation: 11. Shaba Region, Zaire"
http://www.unscn.org[...]
ACC/SCN Secretariat with Shoham, Jeremy
1993-12-08
[5]
간행물
"Current Situation: 11. Shaba/Kasai Regions, Zaire"
http://www.unscn.org[...]
ACC/SCN Secretariat with Shoham, Jeremy
1994-10-17
[6]
뉴스
"Triangle of death" looms over Congo's mining heartlands
https://www.reuters.[...]
2024-02-08
[7]
뉴스
The True Story of the Heroic Battle That Inspired the New Netflix Film The Siege of Jadotville
https://time.com/440[...]
2024-02-08
[8]
뉴스
Five Irish soldiers took their own lives after Jadotville siege
https://www.irishtim[...]
2024-02-08
[9]
뉴스
Slowdown blights DR Congo economy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3-27
[10]
서적
"Likasi"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008
[11]
간행물
Le nouveau visage de Gécamines
https://business-et-[...]
2021-09-13
[12]
웹사이트
Climate:Likasi
http://en.climate-da[...]
Climate-Data.org
2014-04-10
[13]
웹사이트
Climate:Likasi
http://en.climate-da[...]
Climate-Data.org
2014-04-10
[14]
웹인용
Climate:Likasi
http://en.climate-da[...]
Climate-Data.org
2014-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