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 공성전 (1708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릴 공성전은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중인 1708년에 일어난 전투로, 말버러 공작과 사보이 공 외젠이 이끄는 연합군이 프랑스의 릴 요새를 포위하여 함락시킨 사건이다. 프랑스군은 요새 수비를 위해 보방식 요새를 활용하고 구원군을 파견했으나, 연합군의 포격과 보급로 차단 전략에 실패했다. 12월 10일, 릴 요새가 항복하면서 공성전은 종료되었으며, 이 전투는 근대 요새 공략에서 화력과 봉쇄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08년 프랑스 - 오우데나르데 전투
오우데나르데 전투는 1708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중 오우데나르데에서 벌어진 전투로, 말버러 공작과 외젠 공자가 이끄는 연합군이 프랑스군을 격파하여 전쟁의 주도권을 연합군 측으로 가져오고 릴 공략에 성공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1708년 분쟁 - 오우데나르데 전투
오우데나르데 전투는 1708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중 오우데나르데에서 벌어진 전투로, 말버러 공작과 외젠 공자가 이끄는 연합군이 프랑스군을 격파하여 전쟁의 주도권을 연합군 측으로 가져오고 릴 공략에 성공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1708년 분쟁 - 불라빈의 난
불라빈의 난은 표트르 1세의 압제적 통치에 대한 코사크와 농민의 대규모 반란으로, 콘드라티 불라빈의 주도 하에 돈 강 유역에서 시작되었으나 차르를 대체할 대안 제시 실패와 불라빈의 죽음으로 진압되어 이후 농민 반란의 전조가 되고 코사크 통제 강화와 네크라소프파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릴 공성전 (1708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분쟁 |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
시기 | 1708년 8월 12일 – 12월 10일 |
장소 | 프랑스, 릴 |
결과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네덜란드 공화국, 오스트리아 연합군의 승리 |
교전 세력 | |
연합군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네덜란드 공화국 오스트리아 |
프랑스 | 프랑스 왕국 |
지휘관 | |
연합군 | 말버러 공작 존 처칠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프린츠 오이겐 (오스트리아) |
프랑스 | 부플레르 공작 루이 프랑수아 (수비대) 베릭 공작 제임스 피츠제임스 (구원군) 부르고뉴 공작 루이 (구원군) |
병력 규모 | |
연합군 | 약 35,000명 (공성군) 120문 (중포) 80문 (중형 박격포) 75,000명 (주변) |
프랑스 | 16,000명 (수비대) 159문 (대포) 100,000명 (주변) |
피해 규모 | |
연합군 | 13,000-16,000명 (사망 및 부상) |
프랑스 | 7,000명 (사망 및 부상) 159문 (대포 손실) |
추가 정보 | |
관련 전투 |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의 일부 |
이미지 | |
![]() |
2. 배경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초기, 프랑스군은 우세를 점했으나 1704년 블렌하임 전투 이후 수세에 몰렸다. 프랑스군은 자국 영토 보전을 위해 방어전을 전개했으나, 말버러 공작 존 처칠에 의해 방어선이 무너지면서 위기에 처했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초기 프랑스군은 우세했지만, 1704년 블렌하임 전투 이후 수세에 몰렸다. 프랑스군은 보방이 건설한 릴 요새에서 농성하며 연합군을 상대로 보급선을 끊는 전술을 펼쳤다. 1708년 7월부터 8월에 걸쳐 외젠 공과 말버러 공작이 이끄는 연합군은 80문의 공성포와 3,000대의 보급 차량을 브뤼셀에서 멘을 거쳐 릴 요새로 이동시켜 포위했다.
프랑스군은 보방이 축성한 릴 요새에서 농성하며 연합군에 맞섰고, 후방의 보급선을 끊는 전술을 사용했다.[1]
3. 전투 경과
3. 1. 릴 포위
1708년 8월 12일, 연합군은 릴 봉쇄를 시작하여 21일에 거의 완벽한 봉쇄망을 완성했다. 공성군은 참호를 파서 릴을 차단하고 식량 공급을 끊는 공격을 가하는 한편, 요새 북동쪽의 강력한 방루 3곳에 집중 포격을 가했다.
주 공격로는 북부의 성 안드레, 성 마틸렌 양쪽 문이었다. 보방의 축성법으로 건설된 요새는 이 문들이 서로 보완하여 사격을 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었고, 말버러 공작은 이 방루를 포격으로 파괴하려 했다.
루이 14세는 릴 요새 구원을 명령했고, 베릭 공과 부르고뉴 공은 합류하여 총 11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구원하러 왔다. 외젠 공과 말버러 공은 연합하여 프랑스군과 대치했으나, 프랑스군은 결전을 피하고 후퇴했다. 외젠은 다시 포위전 지휘를 맡았다.
9월 9일 보급을 받은 포위군은 15,000명을 이끌고 북쪽을 공격했다. 릴 수비대는 이를 격퇴했으나, 양측 모두 탄약과 식량 부족에 시달렸다. 프랑스군은 보급로가 차단되었지만, 말버러 공은 맞은편 강변에 보급선을 설치해 대항했다. 프랑스군은 수문을 열어 범람시키는 전술을 사용하고 보급대를 공격했으나 격퇴당했고, 연합군은 보급을 받아 전력을 회복했다.
9월 20일, 포위군은 릴에 대한 돌격을 반복했지만, 릴은 보방이 구축한 견고한 요새였고, 1만 5천 명의 병사로 수비하던 부플레르의 저항도 거세어 큰 피해를 입었다. 외젠 공도 부상당했다가 며칠 후 복귀하여 포위를 지속했다.
3. 2. 프랑스군의 대응과 내분
8월 29일, 릴에서 동쪽으로 떨어진 헤라르츠베르헨에서 베릭 공작과 방돔 공작이 이끄는 프랑스군이 합류하여 10만 명의 대군을 이루었다. 그러나 프랑스군은 내부 의견 충돌로 인해 공세에 나서지 못했다. 9월 4일 릴 남방에서 말버러 공작의 군세와 충돌했지만, 방돔 공작은 적극적인 공격을 주장한 반면, 베릭 공작은 신중론을 펼쳤고, 부르고뉴 공작 루이는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3]
프랑스군은 포위군의 보급로를 차단하는 작전을 택했고, 동쪽으로 물러나 릴과 브뤼셀 사이의 도시 투르네에 진을 쳐 동맹군과 브뤼셀의 연락을 끊었다. 이 때문에 릴 포위군은 릴에서 북쪽의 오스텐트로 수송로를 변경해야 했다. 그러나 오스텐트에서 헨트로 이어지는 운하는 방돔에게 장악되어 있었고, 중계점인 브뤼헤도 프랑스군에 확보되어 있어 습격의 위험성이 높았다.[3]
이후 프랑스군은 10월 7일 보급로 완전 차단을 위해 운하를 따라 오스텐데로 향했지만, 말버러 공작의 진격을 알자 수문을 열어 오스텐데를 물에 잠기게 하고 철수하는 등 보급로 차단 작전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4]
3. 3. 보급 전투
9월 27일, 영국군 일부가 오스텐데로 향해 프랑스군을 물리치고 보급 물자를 릴에 전달했다. 이 보고를 받은 방돔 공작은 10월 7일 보급로 완전 차단을 결의하고 운하를 따라 오스텐데로 향했지만, 말버러 공작도 오스텐데로 진격하자 수문을 열어 오스텐데를 물에 잠기게 하고 철수했다. 오스텐데는 함락되지 않았고, 배를 이용하여 포위군에 보급을 계속했다.
3. 4. 릴 함락과 프랑스군의 퇴각
10월 22일 릴 시가가 함락되었고, 프랑스군은 시내 성채로 퇴각했다. 성 밖의 프랑스군은 의견 대립이 계속되었고, 베릭은 스트라스부르로 퇴각했다. 연합군 측도 10월 18일 아우베르케르크 경이 병사했다.
11월 26일 연합군은 스헬데 강 유역 탈환을 시도, 다음 날 11월 27일 하벨레, 아우데나르데, 케르크호베, 아우트레이베의 프랑스군을 몰아냈다. 부플레르는 12월 9일 항복하고 프랑스 본토로 퇴각했다. 방돔도 루이 14세의 명령으로 철수, 헨트, 브뤼헤는 말버러 공작에게 항복하여 네덜란드와 북프랑스는 연합군 차지가 되었다.
4. 결과 및 영향
1708년 아우데나르데 전투에서 승리한 연합군은 릴을 함락시켜 프랑스 본토 공격의 발판을 마련했다. 이로써 궁지에 몰린 루이 14세는 강화 교섭을 시작하게 되었다.
릴 공성전은 방어 화력을 중시한 보방식 요새를 장기간의 완전 봉쇄와 화력으로 함락시킨 전투였다. 이 전투는 근대 요새 공략에 화력과 봉쇄가 효과적임을 증명했다. 프랑스군은 구원에 실패했고, 연합군의 유연한 대응으로 보급선 차단도 효과를 보지 못했다.
11월 27일, 스헬데 강 유역의 프랑스군이 일소되었고, 12월 9일에는 부플레르가 항복하고 프랑스 본토로 퇴각했다. 루이 14세의 명령으로 방돔도 철수하면서 헨트와 브뤼헤가 함락되었고, 네덜란드와 북 프랑스는 연합군의 손에 들어갔다.
5. 갤러리
참조
[1]
서적
An Encyclopedia of Battles
Courier Dover Publications
1985
[2]
참조
1999
[3]
참조
1982
[4]
간행물
1908
[5]
참조
1986
[6]
참조
1985
[7]
간행물
183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