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아 아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 (1610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아 아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은 1610년 신성 로마 제국의 페르디난트 2세와 마리아 안나 폰 바이에른의 딸로 태어났다. 1635년 37세 연상의 막시밀리안 1세와 결혼하여 바이에른 선제후비가 되었으며, 남편 사후 장남 페르디난트 마리아의 섭정을 맡아 바이에른의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665년 뮌헨에서 사망했으며, 두 아들을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이에른의 섭정 - 루트비히 3세 (바이에른)
루트비히 3세는 1913년부터 1918년까지 바이에른 왕국의 마지막 국왕으로 재위했으며, 독일 혁명으로 퇴위하여 왕국은 멸망했다. - 바이에른의 섭정 - 루이트폴트 폰 바이에른 섭정 왕자
루이트폴트 폰 바이에른 섭정 왕자는 바이에른 왕국의 왕족으로, 조카들의 섭정 기간인 "프린츠레겐텐차이트"에 예술과 문화를 부흥시키고 뮌헨을 유럽의 주요 문화 중심지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 1665년 사망 - 피에르 드 페르마
피에르 드 페르마는 17세기 프랑스의 변호사이자 수학자로, 해석기하학, 확률론, 정수론, 미적분학 등 여러 분야에 기여했으며, 특히 정수론에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비롯한 업적을 남기고 '페르마의 원리'로 물리학에도 공헌했다. - 1665년 사망 - 펠리페 4세
펠리페 4세는 1621년부터 1665년까지 스페인의 국왕이자 포르투갈의 명목상 왕이었으며, 그의 통치 기간은 스페인 제국의 쇠퇴기였고 예술 후원자로서 디에고 벨라스케스와 로페 데 베가와 같은 예술가들을 지원하고 프라도 미술관의 초석을 다졌다. - 17세기 합스부르크가 - 카를로스 2세 (스페인)
카를로스 2세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근친혼으로 인한 건강 문제와 후계자 부재로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을 야기하고 스페인 합스부르크 왕가의 종말을 가져온 스페인 국왕이다. - 17세기 합스부르크가 - 이사벨 클라라 에우헤니아
스페인 인판타 이사벨 클라라 에우헤니아는 펠리페 2세와 엘리자베트 드 발루아의 딸로, 알브레히트 7세 대공과 결혼하여 스페인령 네덜란드의 공동 통치자가 되었고, 사후에는 총독으로서 통치하며 예술을 후원하고 세속 프란치스코 수도회에 가입했다.
| 마리아 아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 (1610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마리아 안나 폰 외스터라이히 |
| 칭호 | 바이에른 선제후비 |
| 가문 | 합스부르크 가문 |
| 아버지 | 페르디난트 2세 |
| 어머니 | 마리아 안나 폰 바이에른 |
| 출생일 | 1610년 1월 13일 |
| 출생지 | 신성 로마 제국, 슈타이어마르크 공국, 그라츠 |
| 사망일 | 1665년 9월 25일 |
| 사망지 | 신성 로마 제국, 바이에른 선제후국, 뮌헨 |
| 결혼 및 자녀 | |
| 배우자 | 바이에른 선제후 막시밀리안 1세 |
| 결혼 | 1635년 |
| 사별 | 1651년 |
| 자녀 | 페르디난트 마리아 막시밀리안 필리프 히에로니무스 공작 |
| 작위 | |
| 바이에른 선제후비 | 재위 기간: 1635년 7월 15일 – 1651년 9월 27일 |
| 팔츠 선제후비 | 재위 기간: 1635년 7월 15일 – 1648년 10월 24일 |
2. 생애
신성 로마 황제 페르디난트 2세와 그의 아내 마리아 안나 폰 바이에른의 딸로 그라츠에서 태어났다. 여동생으로는 폴란드 국왕 블라디슬라프 4세의 왕비인 체칠리아 레나타가 있다.
1635년 7월 15일, 빈에서 37세 연상의 선제후 막시밀리안 1세와 결혼했다. 마리아 안나의 어머니는 바이에른 공작 빌헬름 5세의 딸이었고, 막시밀리안의 여동생이었기 때문에 이모부와 조카의 결혼이었다. 막시밀리안은 첫 번째 부인과 사별했고 자녀가 없었으므로, 마리아 안나는 후계자를 빨리 낳아야 할 책임이 있었다. 마리아 안나는 지적이고 분별력 있으며, 정력적이고 재정적인 경험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 부인과 달리 마리아 안나는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합스부르크 가문보다는 바이에른 선제후 가문의 입장에서 행동했다. 뮌헨 궁정에서 남편의 중신들과 의견을 교환하는 것을 즐겼다고 한다.
1651년 막시밀리안 1세가 사망한 후, 마리아 안나는 아들 페르디난트 마리아의 섭정을 맡았다. 1665년, 뮌헨에서 사망했다.
2. 1. 오스트리아 대공녀 시절
1610년 신성 로마 제국 그라츠에서 내오스트리아 대공 페르디난트 2세와 그의 첫 번째 아내 마리아 안나의 다섯 번째 자녀이자 둘째 딸로 태어났지만, 생존한 자녀 중에서는 맏딸이었다. 마리아 안나는 1616년에 사망한 어머니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을 가능성이 크다.마리아 안나는 사냥을 특히 좋아했으며, 엄격한 예수회 교육을 받았다. 신중함, 정돈된 생활, 위엄과 같은 뛰어난 덕성을 갖춘 미인으로 여겨졌으며, 모국어인 독일어 외에도 유창한 이탈리아어를 구사했다.[1]
1619년 그녀의 아버지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와 보헤미아 국왕, 헝가리 국왕이 되었는데, 이는 그녀의 지위를 상당히 높이는 사건이었다.[1] 1622년, 당시 황제였던 페르디난트 2세는 엘레오노라 곤차가와 재혼했다.[1]
2. 2. 바이에른 선제후비 시절
1635년 7월 15일, 빈 아우구스티너 교회에서 막시밀리안 1세와 마리아 안나의 결혼식이 거행되었다. 프란츠 폰 디트리히슈타인이 결혼식을 주례했다.[2] 마리아 안나는 합스부르크 상속권을 포기하지 않는 특별 조항을 맺은 결혼 계약을 맺었다. 지참금으로 바서부르크 성, 크라이부르크, 노이마르크트 지역에서 확보된 을 받았고, 과부가 되었을 때 트라우스니츠 성 (란츠후트)을 받기로 했다.[2] 이 결혼은 프랑스 왕국에 맞서 신성 로마 제국과의 동맹을 강화하는 의미도 있었다.마리아 안나는 남편의 국정을 도왔고, 바이에른 선제후국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3] 1636년 10월 31일, 첫 아들 페르디난트 마리아를 출산했으나, 출산 후유증으로 말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쇠약해졌다. 1638년 9월 30일에는 둘째 아들 막시밀리안 필리프 히에로니무스를 출산했다.[2]
1644년 프랑스군이 필립스부르크 요새를 점령하자, 마리아 안나는 남편을 대신하여 오빠 레오폴트 빌헬름에게 평화 협상 참여를 촉구했다.[4]
2. 3. 섭정
1651년 막시밀리안 1세가 사망한 후, 마리아 안나는 아들 페르디난트 마리아의 섭정을 맡았다.[5] 막시밀리안 1세는 사망 직전, 아내에게 다가올 섭정에 대한 지침을 주기 위해 ''트루하르지게 인포메이션''(신뢰 정보)을 작성했다.[4] 법적으로는 막시밀리안 1세의 형제 알브레히트 6세가 페르디난트 마리아의 섭정이 되었고 제국과 선제후 궁정에서 그 지위를 확정받았지만, 마리아 안나는 법무 및 기타 국가 행정 업무에 대한 모든 책임을 맡았다.[5]1664년, 섭정 종료 후에도 마리아 안나는 아들의 가까운 조언자로 남아있었다.[6] 1665년에는 국가를 성 요셉의 후원 아래 두는 것을 제안했다.[6]
3. 사망
1665년 뮌헨에서 5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성 미카엘 교회에 묻혔으며, 심장은 알퇴팅 성모 성지에 안치되었다.
4.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 페르디난트 마리아 | 1636년 | 1679년 | 바이에른 선제후 |
| 막시밀리안 필리프 히에로니무스 | 1638년 | 1705년 | 바이에른로이히텐베르크 공작 |

5. 평가
마리아 안나는 지적이고 분별력 있으며, 정력적이고 재정적인 경험이 풍부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전 부인 엘리자베트와 대조적으로,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합스부르크 가문보다는 바이에른의 이익을 위해 노력했다. 뮌헨 궁정에서 남편의 중신들과 의견을 교환하는 것을 즐겼다고 한다. 남편 사후에는 장남 페르디난트 마리아의 섭정을 맡아 바이에른을 통치하며 뛰어난 정치적 역량을 발휘했다.
6. 대중문화
마리아 안나는 소설 ''1634: 바이에른 위기(1634: The Bavarian Crisis)'' (에릭 플린트 & 버지니아 드마르세 저, Baen Books)의 중심 인물이다.[1] 그녀는 막시밀리안과의 결혼을 피해 사촌인 돈 페르난도에게 도망쳤는데, 그는 스스로를 "저지대 국가의 왕"이라고 선언했다.[1]
7. 가계도
| 1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안나 대공녀 |
|---|---|
| 2 | 신성 로마 황제 페르디난트 2세 |
| 3 | 바이에른의 마리아 안나 |
| 4 | 오스트리아 대공 카를 2세[9] |
| 5 | 바이에른의 마리아 안나[9] |
| 6 | 바이에른 공작 빌헬름 5세[10] |
| 7 | 로렌의 레나타[10] |
| 8 | 신성 로마 황제 페르디난트 1세[11] |
| 9 |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안나[11] |
| 10 | 바이에른 공작 알브레히트 5세[12] |
| 11 | 오스트리아의 안나 대공녀[12] |
| 12 | 바이에른 공작 알브레히트 5세[13] |
| 13 | 오스트리아의 안나 대공녀[13] |
| 14 | 로렌 공작 프랑수아 1세[14] |
| 15 | 덴마크의 크리스티나[14] |
참조
[1]
문서
[2]
서적
Maximilian I. der Katholische, Kurfürst von Bayern und der dreißigjährige Krieg
Fleischmann
[3]
서적
Maximilian I. der Katholische, Kurfürst von Bayern und der dreißigjährige Krieg
Fleischmann
[4]
서적
Frauen-Musik-Kultur
Böhlau Verlag Köln Weimar
[5]
서적
Grundriß der bayerischen Geschichte
Jaquet
[6]
서적
Die Habsburgermonarchie 1620 bis 1740
Franz Steiner Verlag
[7]
서적
Henriette Adelaide. Kurfürstin von Bayern
Pustet, Regensburg
[8]
서적
Henriette Adelaide. Kurfürstin von Bayern
Pustet, Regensburg
[9]
NDB
Ferdinand II.
[10]
BLKO
[11]
BLKO
[12]
BLKO
[13]
ADB
Wilhelm V. (Herzog von Bayern)
[14]
웹사이트
Christina of Denmark, Duchess of Milan and Lorraine, 1522-1590
https://archive.org/[...]
E. P. Dutt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