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스빙고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스빙고 주는 짐바브웨 남부에 위치한 주로, 1890년 영국 남아프리카 회사의 개척자들에 의해 건설된 포트 빅토리아가 마스빙고 시로 발전하면서 짐바브웨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가 되었다. 이 주는 쇼나족의 하위 부족인 카랑가족이 주로 거주하며, 2022년 기준 약 164만 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 주요 산업은 관광업과 농업이며, 특히 그레이트 짐바브웨 국립 기념물과 카일 호가 유명하다. 정치적으로는 짐바브웨 아프리카 민족 연합 - 애국 전선(ZANU-PF)의 지지 기반이며, 7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뉘어 관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짐바브웨의 주 - 마니칼랜드주
    마니칼랜드주는 짐바브웨 동부에 위치하며 모잠비크와 국경을 접하고, 마니카족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주도는 무타레이고, 동부 고지대가 있으며, 다양한 부족과 언어적 다양성을 가진 짐바브웨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주이다.
  • 짐바브웨의 주 - 불라와요
    불라와요는 1840년대 은데벨레족 왕 로벤굴라에 의해 세워진 짐바브웨 남서부의 도시로, 한때 산업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유산 도시'로 변모를 꾀하며 교육 중심지 역할도 수행한다.
  • 짐바브웨의 행정 구역 - 마니칼랜드주
    마니칼랜드주는 짐바브웨 동부에 위치하며 모잠비크와 국경을 접하고, 마니카족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주도는 무타레이고, 동부 고지대가 있으며, 다양한 부족과 언어적 다양성을 가진 짐바브웨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주이다.
  • 짐바브웨의 행정 구역 - 불라와요
    불라와요는 1840년대 은데벨레족 왕 로벤굴라에 의해 세워진 짐바브웨 남서부의 도시로, 한때 산업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유산 도시'로 변모를 꾀하며 교육 중심지 역할도 수행한다.
마스빙고주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스빙고 주에 있는 [[그레이트 짐바브웨]] 유적
그레이트 짐바브웨 유적, 주에서 발견됨
다른 이름빅토리아 주
국가짐바브웨
주도마스빙고
설치19세기 후반
면적56,566km²
인구 (2022년)1,638,528명
인간 개발 지수 (2021년)0.588
인간 개발 지수 순위10개 중 4위
시간대CET
UTC 오프셋+2
하계 시간 (DST)CEST
UTC 오프셋 (DST)+2
행정
주지사조시아 두니라 훙게 (ZANU-PF)
선거 정보 (2008년)
2008년 선거에서 마스빙고 선거구 좌석
2008년 선거에 대한 마스빙고 선거구 좌석
위치 정보
짐바브웨의 마스빙고 (행정)
짐바브웨 마스빙고 주

2. 역사

포트 빅토리아는 1890년에 영국 남아프리카 회사의 개척자 열에 의해 건설된 최초의 대규모 정착지로서 짐바브웨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이다. 빅토리아 여왕을 기리기 위해 이름이 붙여졌다. 이 주는 주로 카란가 부족 구성원들이 거주하며, 이들은 제주루, 마니카, 나다우를 포함하는 쇼나어를 사용하는 부족의 하위 그룹이다. 이 주는 짐바브웨 남부의 건조한 로우벨트 지역에 위치해 있다.

2. 1. 초기 역사

1890년 영국 남아프리카 회사의 개척자 열이 이 지역에 대규모 백인 식민단을 처음으로 건설했다. 이들은 포트 빅토리아(현 마스빙고) 도시를 건설하고 대규모 농원을 세웠다. 그 이전까지 이 지역에는 칼랑가인, 마니카인, 제르루인 등 쇼나족의 하위 그룹에 속하는 여러 민족이 살고 있었으며, 이들은 이후에도 인구의 압도적인 다수를 유지했다. 21세기 초까지 백인 대농원이 많았지만, 로버트 무가베 정권의 정책에 따라 흑인 자영농에게 점차 잠식당하고 있다.[1]

2. 2. 백인 정착 시대

포트 빅토리아는 1890년에 영국 남아프리카 회사의 개척자 열에 의해 건설된 최초의 대규모 정착지로서 짐바브웨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이다. 빅토리아 여왕을 기리기 위해 이름이 붙여졌다.

1890년, 최초의 대규모 백인 식민단이 이 지역에 들어서면서 포트 빅토리아(현 머싱고) 도시를 건설하고 대규모 농원을 건설했다. 그 전까지 이 지역에 살았던 것은 칼랑가인, 마니카인, 제르루인 등 쇼나족의 하위 그룹에 속하는 여러 민족이었으며, 그 후에도 인구적으로 압도적인 다수를 유지했다. 21세기 초까지 백인 대농원이 많았지만, 로버트 무가베 정권의 정책에 따라 흑인 자영농에게 점차 잠식당하고 있다.[2]

백인 정착 시대부터 2000년까지 이 지역 대부분은 소 사육에 할애되었으며, 무티리키위 호수에서 관개되는 광업과 사탕수수 재배, 자급 농업이 이루어지는 공동 구역이 있었다. 21세기 초의 토지 개혁으로 대규모 소 사육 농장과 혼합 농장이 소규모 농민들에게 재분배되고 있다.[1]

2. 3. 토지 개혁 이후

21세기 초 토지 개혁으로 대규모 소 사육 농장과 혼합 농장이 소규모 농민들에게 재분배되고 있다.[1] 1890년 최초의 대규모 백인 식민단이 이 지역에 들어섰고, 포트 빅토리아(현 머싱고) 도시를 건설하고 대규모 농원을 건설했다.[2] 그 전까지 이 지역에 살았던 것은 칼랑가인, 마니카인, 제르루인 등 쇼나족의 하위 그룹에 속하는 여러 민족이었으며, 그 후에도 인구적으로 압도적인 다수를 유지했다.[2] 21세기 초까지 백인 대농원이 많았지만, 이후 로버트 무가베 정권의 정책에 따라 흑인 자영농에게 점차 잠식당하고 있다.[2]

3. 지리

마스빙고 주는 짐바브웨 남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도는 마스빙고이다. 치레지, 트라이앵글은 이 주의 주요 도시이며, 그 외에도 마샤바와 음판다와나 같은 도시가 있다.

기후는 건조하여 농업에는 다소 부적합하지만, 목축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개용 댐이 건설되어 사탕수수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주 내에는 세이브 강, 룬데 강, 므웨네지 강, 림포포 강 등이 흐르고 있으며, 모두 인도양으로 흘러든다. A1 고속도로가 주도 마스빙고와 남아프리카 공화국과의 국경 도시인 베이트브리지를 연결하고 있다.

3. 1. 위치 및 지형

마스빙고 주는 짐바브웨 남부의 건조한 로우벨트 지역에 위치한다. 세이브 강, 룬데 강, 므웨네지 강, 림포포 강 등의 강이 흐르며, 이 강들은 모두 합류하거나 직접 인도양으로 흘러든다. 뜨거운 햇볕 아래 회색빛의 민둥산인 코피에스는 가뭄에 강하고 튼튼한 모파니 나무와 함께 이 지역의 특징적인 경관을 이룬다.[2][3][4]

3. 2. 기후

마스빙고 주는 열대 사바나 기후를 보이며, 강우량이 적고 불확실한 국가의 저지대에 위치해 있다. 주의 남부 지역 대부분은 가뭄에 취약하며, 국가 기후 지역 중 5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주의 대부분 지역은 가축 사육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농업에 적합하지 않다.[2][3][4] 치레지의 히포 밸리 농장과 트라이앵글은 카일 호의 물을 사용하여 관개 농업을 실시한다.

4. 행정 구역

마스빙고주는 7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뉜다. 각 구역은 구역 내 선거구에서 선출된 의원들로 구성된 지방 자치 의회에서 관리한다. 7개 구역은 다음과 같다.

구역명위치주요 상업 중심지 (성장 거점)마스빙고 시 중심지로부터의 거리
비키타주 중앙니카82km
치비주 중앙
자카주 중앙제레라96km
마스빙고주 중앙네만와30km
구투주 북쪽므판다와나94km
므웨네지주 남쪽
치레지주 동쪽



므판다와나는 최근에 타운 지위를 획득하여 위 표의 성장 거점에서 제외되었다.[1]

5. 인구

마스빙고 주는 면적이 56566km2이며, 2002년 기준 인구는 약 130만 명이다. 마스빙고 주민들은 땅을 일구는 것을 자랑스럽게 여기며, 남아프리카의 대부분의 반투족과 마찬가지로 식단을 보충하기 위해 축산업을 한다.[5]

인구 조사인구
2002년1,320,438
2012년1,485,090
2022년1,638,528

[5]

5. 1. 인구 구성

2022년 기준 마스빙고주의 인구는 약 164만 명이다.[5] 주민의 다수는 카랑가 부족이며, 쇼나어를 사용한다. 치레지 지구에는 샹가니 공동체가 있으며, 주의 서쪽 가장자리에는 은데벨레족이 거주한다. 북동쪽에는 다우족이 있다.

인구 조사인구
2002년1,320,438
2012년1,485,090
2022년1,638,528

[5]

5. 2. 인구 변화

카랑가족이 마스빙고 주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며, 쇼나어가 주 언어이다. 치레지 지구에는 샹가니 공동체가 있으며, 은데벨레족은 주의 서쪽 가장자리에 거주한다. 북동쪽에는 다우족이 있다. 백인 인구는 독립 이후, 특히 2000년 상업 농장 침공 동안 감소했다.[5]

인구 조사인구
2002년1,320,438
2012년1,485,090
2022년1,638,528


6. 정치

마스빙고 주는 로버트 무가베 대통령의 여당인 짐바브웨 아프리카 민족 연합 - 애국 전선(ZANU-PF)의 텃밭이다.[1]

6. 1. 주 정부

마스빙고 주의 수장은 5년 임기로 국가 대통령이 임명하는 주정부 장관이다. 현 장관은 2018년에 임명된 에즈라 차드자미라이다.[1] 이 주는 상원에 6명의 선출된 의원과 다수의 추장을 보낸다.[1] 주의 7개 구역에서 선출된 26명의 국회의원이 하원으로 파견된다.[1]

6. 2. 선거

마스빙고는 ZANU-PF의 강력한 지지 기반으로 여겨진다.[6] 2005년 짐바브웨 의회 선거에서 ZANU-PF는 14개 선거구 중 1개를 제외한 모든 선거구에서 승리했다.[6] 로버트 무가베 대통령의 여당인 ZANU-PF는 2005년 선거에서 주에서 선출된 14석을 모두 독점했다.

7. 경제

마스빙고주의 경제에서 관광업과 농업은 GDP에 큰 기여를 한다. 광업 분야에서는 비키타 광산이 주요 광산이다. A1 고속도로는 마스빙고와 베이트브리지의 주요 중심지를 연결하며 남아프리카 공화국과의 국경 도시인 베이트브릿지까지 이어진다.

7. 1. 주요 산업

관광업은 GDP에 크게 기여하며, 농업 또한 마찬가지이다.

7. 2. 광업

비키타 광산이 있다.

7. 3. 교통

A1 고속도로는 마스빙고와 베이트브리지의 주요 중심지를 연결하며, 남아프리카 공화국과의 국경 도시인 베이트브릿지까지 이어진다.

8. 교육

마스빙고에는 그레이트 짐바브웨 대학교(GZU)와 개혁 교회 대학교 두 개의 대학교가 있다. 또한 마스빙고 폴리테크닉 칼리지도 있다.[1]

마스빙고에는 짐바브웨 최초의 시각 장애인 학교인 마가레타 휴고 맹학교도 있다.[1]

9. 스포츠

스포츠에 관한 내용이 없다.

10. 관광

마스빙고 주는 관광 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주도 마싱고 인근에는 짐바브웨라는 국명의 유래가 된 그레이트 짐바브웨 유적이 있어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관광은 농업과 함께 이 지역의 주요 산업 중 하나이다.[1][2]

10. 1. 주요 관광지

마스빙고 주에는 많은 관광 명소가 있다. 주의 동쪽, 모잠비크 국경을 따라 고나레주 국립공원이 있는데, 이는 가자, 크루거, 고나레주 국경 간 국립 공원 개념의 일부이다. 동쪽으로 한 시간도 채 안 되는 거리에는 짐바브웨가 그 이름을 따온 세계적으로 유명한 석조 유적인 그레이트 짐바브웨 국립 기념물이 있다. 석조 유적지에서 조금 더 가까운 곳에는 무티리키위 레크리에이션 공원에서 사람들이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즐기는 거대한 호수인 카일 호가 있다. 관광은 농업과 마찬가지로 주의 GDP에 주요 기여를 한다.[1] 주도 마싱고에서 가까운 곳에 국명의 유래가 된 그레이트 짐바브웨 유적이 있어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며, 관광은 농업 다음으로 주에서 두 번째로 큰 산업이다.[2]

11. 저명한 인물


  • 넬슨 차미사, MDC 동맹당 대표
  • 에머슨 음난가과, 치비에서 자란 짐바브웨의 대통령
  • 시몬 무젠다[8]
  • 에드슨 즈보고
  • 폴 탕기 므호바 므콘도
  • 크리스펜 만디즈비드자
  • 스탠 무덴게
  • 알로이스 치도다
  • 슈바이 마호바
  • 조시아 퉁가미라이
  • 조시아 훙웨[9]
  • 폴 마타비레
  • 비탈리스 즈비나바셰, 짐바브웨 국방군의 제2대 최고 사령관
  • 마이클 혼비, 치레지에서 태어난 미국 정치인

참조

[1]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2] 웹사이트 Millions in need of food aid http://allafrica.com[...] 2008-02-17
[3] 웹사이트 Experiment success http://allafrica.com[...] 2008-02-17
[4] 웹사이트 Harsh Times https://query.nytime[...] 2008-02-17
[5] 웹사이트 Zimbabwe: Administrative Division (Provinces and Districts)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and Map https://www.citypopu[...] 2024-02-17
[6] 웹사이트 Results for Parliamentary Elections March 31, 2005 http://www.kubatana.[...] Zimbabwe Election Commission 2005-04
[7] 뉴스 Mbeki meets Zim's political leaders http://www.buanews.g[...] 2008-01-17
[8] 뉴스 Frail Zimbabwe Vice President Dies at 80 https://apnews.com/6[...] 2003-09-20
[9] 뉴스 Zimbabwe: Zanu PF Split Over Zvobgo http://allafrica.com[...] 2003-10-02
[10]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