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아프리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아프리카는 자연지리학적 정의에 따라 쿠네네 강과 잠베지 강 남쪽의 아프리카 지역으로, 보츠와나, 에스와티니, 레소토, 나미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짐바브웨, 모잠비크 일부를 포함한다. 유엔의 지리적 구분, 남아프리카 관세 동맹, 남부아프리카개발공동체(SADC) 회원국 등 다양한 기준으로 정의되며, 앙골라, 코모로, 마다가스카르 등 주변 국가가 포함되기도 한다. 1100년 짐바브웨 왕국, 1497년 바스코 다 가마의 남아프리카 해역 통과 등 역사를 거쳐, 17세기 네덜란드, 18세기 영국 식민 지배를 받았으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독립했다. 지형은 다양하며, 광물 자원이 풍부하여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높은 범죄율, 환경 문제, 식량 안보 문제 등 여러 과제를 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프리카 - 남아프리카 개발 공동체
    남아프리카 개발 공동체(SADC)는 남부 아프리카 16개국의 사회·경제 협력 및 정치·안보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설립된 기구이며, 자유 무역 지대를 운영하고, 개발, 경제 성장, 빈곤 감소를 목표로 한다.
  • 지리에 관한 - 측지학
    측지학은 지구의 형상, 크기, 중력장 및 시간적 변화를 측정하고 연구하는 지구과학의 한 분야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에는 GP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 역학적 현상 연구에 기여한다.
  • 지리에 관한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남아프리카
지도
지역 구분
유엔 하위 지역남부 아프리카
지리적 남부 아프리카유엔 하위 지역 포함
남부 아프리카 개발 공동체 (SADC)앙골라
보츠와나
코모로
콩고민주공화국
에스와티니
레소토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모리셔스
모잠비크
나미비아
세이셸
남아프리카 공화국
탄자니아
잠비아
짐바브웨
지정학적 구분
동아프리카부룬디
코모로
지부티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케냐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모리셔스
모잠비크
르완다
세이셸
소말리아
남수단
탄자니아
우간다
중앙아프리카앙골라
카메룬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적도 기니
가봉
상투메 프린시페
북아프리카알제리
이집트
리비아
모로코
수단
튀니지
서사하라
서아프리카베냉
부르키나파소
카보베르데
감비아
가나
기니
기니비사우
코트디부아르
라이베리아
말리
모리타니
니제르
나이지리아
세네갈
시에라리온
토고
지역 개요
위치아프리카 대륙 최남단
경제 및 무역
남아프리카 관세 동맹 (SACU)보츠와나
에스와티니
레소토
나미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기타
특징아프리카 대륙의 최남단 지역

2. 정의 및 범위

아프리카문화권인종의 차이로 사하라 사막을 기준으로 북부와 남부로 크게 나뉘는데, 남부 아프리카는 사하라 사막 이남의 흑인 아프리카 지역에 속한다. 지리적으로는 중앙아프리카 남부의 콩고 분지보다 남쪽에 위치한 완만한 구릉 지대 이남(대략 남위 10도 이남) 지역을 가리킨다. 대륙 동쪽에 있는 마다가스카르섬 등을 지리적으로 포함하는 경우도 있지만, 문화권이나 자연 체계의 관점에서 보면 공통점은 적다.

이 '''남부 아프리카'''(Southern Africaeng)라는 지역을 가리키는 용어와 그 지역의 일부를 영토로 하는 국가인 남아프리카 공화국(South Africaeng)은 명확하게 구분하여 사용해야 한다.

2. 1. 유엔의 지리적 구분 및 남아프리카 관세 동맹 (SACU)

유엔아프리카 지역 구분 방식에 따르면, 남아프리카에는 다음 5개국이 속한다.[4]



이 유엔의 정의는 코모로,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모리셔스, 마요트, 모잠비크, 레위니옹, 인도양의 흩어진 섬들(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의 일부), 잠비아, 짐바브웨동아프리카로, 앙골라중앙아프리카로, 세인트헬레나, 어센션 및 트리스탄다쿠냐를 서아프리카로 분류한다. 일부 지도 제작에서는 말라위, 잠비아, 짐바브웨를 남아프리카나 동아프리카 대신 중앙아프리카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1969년에 설립된 남부 아프리카 관세 동맹(SACU, Southern African Customs Union) 역시 유엔이 구분한 남아프리카 5개국으로 구성된다.[5]

한편, 자연지리학적 관점에서는 쿠네네 강잠베지 강 남쪽의 아프리카 지역을 남아프리카로 정의하기도 한다. 이 정의에 따르면 유엔 구분 5개국 외에 보츠와나, 에스와티니, 레소토, 나미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짐바브웨 전체와 모잠비크 남부 일부가 포함된다. 이 정의는 특히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 자연과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모잠비크를 나누기 때문에 정치, 경제, 인문 지리적 맥락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1980년 지역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설립된 남부아프리카개발공동체(SADC, Southern African Development Community)는 SACU 회원국을 포함하여 더 넓은 범위의 국가들이 참여하는 별개의 기구이다.[6]

2. 2. 남아프리카 개발 공동체 (SADC) 회원국

남부아프리카개발공동체(SADC)는 1980년 지역 내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6] 현재 회원국은 다음과 같다.



이 중 앙골라와 콩고민주공화국은 중앙아프리카국가경제공동체에도 가입해 있다. 세이셸, 모리셔스, 코모로마다가스카르와 마찬가지로 인도양의 섬나라로, 일반적으로 남부 아프리카 지역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2. 3. 일반적인 용법

자연지리학에서 남아프리카 아지역의 지리적 경계는 쿠네네 강과 잠베지 강 남쪽의 아프리카 지역으로 정의된다. 이 정의에 따르면 남아프리카는 보츠와나, 에스와티니, 레소토, 나미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짐바브웨, 그리고 잠베지 강 남쪽에 있는 모잠비크 일부를 포함한다. 이 정의는 특히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자연 과학 분야, 예를 들어 "남아프리카 조류 도감(Roberts' Birds of Southern Africa)", 남아프리카 조류 아틀라스 프로젝트, "남아프리카 아지역 포유류(Mammals of the Southern African Subregion)"와 같은 안내서에서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 정의는 모잠비크를 둘로 나누기 때문에 정치적, 경제적 또는 인문 지리적 맥락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유엔(UN)의 아프리카 지역 구분 방식에 따르면, 남아프리카에는 다음 5개국이 속한다.[4]



이 정의는 코모로,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모리셔스, 마요트, 모잠비크, 레위니옹, 인도양의 흩어진 섬들(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의 일부), 잠비아, 짐바브웨를 동아프리카로 분류한다. 또한 앙골라를 중앙아프리카로, 세인트헬레나, 어센션, 트리스탄다쿠냐(세인트헬레나 명칭)를 서아프리카로 분류한다. 일부 지도책에서는 말라위, 잠비아, 짐바브웨를 남아프리카나 동아프리카 대신 중앙아프리카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1969년에 설립된 남부 아프리카 관세 동맹(SACU) 역시 유엔 소지역 정의와 동일하게 위의 5개국으로 구성된다.[5]

남부아프리카개발공동체(SADC)는 1980년 지역 내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다음 16개국이 회원국이다.[6]



UN 소지역 정의 외에도 다음 국가와 지역들이 종종 남아프리카에 포함되기도 한다.



콩고 민주 공화국은 일반적으로 중앙아프리카에 포함되지만, 세이셸탄자니아는 동아프리카와 더 연관성이 깊음에도 불구하고, 이 세 국가는 SADC 회원국이기 때문에 때때로 남아프리카에 포함되기도 한다.

아프리카 대륙은 문화권인종의 차이로 인해 사하라 사막을 기준으로 북부와 남부로 크게 나뉜다. 남아프리카는 사하라 사막 이남의 흑인 아프리카 지역에 속한다. 지리적으로는 중앙아프리카 남부의 콩고 분지보다 남쪽에 위치한 완만한 구릉 지대 이남(대략 남위 10도 이남) 지역을 "남부 아프리카"라고 부른다. 대륙 동쪽에 있는 마다가스카르섬 등을 지리적으로 포함하는 경우도 있지만, 문화권이나 자연 체계의 관점에서 보면 공통점은 적다.

남부 아프리카의 기후는 대부분 건조한 스텝 기후이며, 케이프타운 주변의 최남단 지역은 지중해성 기후를 나타낸다. 민족 구성을 살펴보면, 원래 코이산어족이 거주하던 이 지역에 북쪽에서 반투계 민족이 남하하였고, 이후 남쪽에서는 네덜란드 이민자의 후손인 아프리카너스가 영국의 영향으로 북상하는 역사를 거쳤다. 그 결과 현재는 여러 민족의 거주 지역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참고로, 이 '''남부 아프리카'''(Southern Africa)라는 지역을 가리키는 용어와 그 지역의 일부를 영토로 하는 국가인 남아프리카 공화국(South Africa)은 명확하게 구분하여 사용해야 한다.

3. 역사

남아프리카는 약 36억 년 전 지구상 최초의 육지가 형성된 지역 중 하나이며, 인류의 기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곳이다. 고대부터 다양한 문명이 발달했으며, 1100년짐바브웨 왕국이 등장하는 등 독자적인 역사를 이어왔다. 1497년 포르투갈인 바스코 다 가마가 남아프리카 해역을 통해 인도 항로를 발견하면서 유럽 세력의 진출이 시작되었다. 1652년 네덜란드케이프타운에 정착지를 건설했고, 이후 1795년에는 영국이 이 지역을 장악했다.

19세기에는 샤카 줄루를 중심으로 줄루 왕국이 세력을 확장하며 유럽 제국주의에 맞섰으나, 결국 영국의 식민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다른 지역에서도 탕가니카헤헤족 추장 음콰마가 독일에 저항하는 등 식민 통치에 대한 투쟁이 이어졌다.[4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탈식민화 흐름 속에서 잠비아, 말라위, 보츠와나, 앙골라, 모잠비크, 짐바브웨, 나미비아 등 여러 국가가 독립을 이루었다. 특히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오랜 아파르트헤이트 체제가 1994년 민주 선거를 통해 종식되고 흑인 다수가 정치적 권리를 획득하는 역사적인 변화를 맞이했다. 그러나 식민 시대의 유산과 신식민주의의 영향으로 여전히 경제적 불평등, 빈곤, 폭력 등의 문제가 남아 있으며, 21세기 들어 남아프리카 국가들은 지역 통합과 발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3. 1. 초기 역사

약 36억 년 전 지구상에서 처음으로 육지가 형성된 지역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동아프리카와 남아프리카는 현생 인류(Homo sapiens)와 그 조상들이 살았던 가장 오래된 지역 중 하나로 여겨진다. 2019년 9월, 과학자들은 260개의 CT 스캔 분석을 통해 현생 인류의 최근 공통 조상의 가상 두개골 형태를 결정하고, 현생 인류가 35만 년에서 26만 년 전 사이에 동아프리카와 남아프리카의 여러 집단이 합쳐지면서 나타났다고 제안했다.[12][13] 약 30만 년 전에는 ''호모 날레디''가 아프리카에서 현생 인류와 공존했을 가능성이 있다.

산족은 남아프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주민들이다.


1100년 경에는 짐바브웨 왕국이 등장하였다. 이후 1497년 포르투갈인 바스코 다 가마가 남아프리카 해역을 건너 동아프리카인도로 가는 항로를 발견하면서 유럽 세력의 진출이 시작되었다. 1652년 네덜란드인들이 현재의 케이프타운에 무역 거점을 마련했으나, 1795년 영국에 의해 점령되었다.

1818년 샤카 줄루를 중심으로 한 줄루족반투족을 통합하여 줄루 왕국을 건설했다. 줄루 왕국은 1879년 1월 22일, 왕 케츠와요가 이끄는 2만 명의 병사로 영국과의 이산들와나 전투에서 승리하며 강력한 저항 의지를 보여주었으나, 같은 해 7월 4일 결국 영국군에게 패배했다. 1897년 줄루 왕국은 영국에 의해 강제 합병되었다. 한편, 1891년 탕가니카(현재 탄자니아 본토)의 헤헤족 추장 음콰마는 독일의 식민 통치에 맞서 저항을 시작하였으나, 1899년 독일에 붙잡혀 처형되었고 그의 머리는 베를린으로 보내지는 비극을 겪었다.[45]

3. 2. 마푼구브웨 왕국 (1075년경 ~ 1220년경)

마푼구브웨 왕국(Mapungubwe영어, 1075년경 ~ 1220년경)은 남아프리카 지역에서 가장 초기에 등장한 국가 중 하나였다. 샤셰 강(Shashe River)과 림포포 강(Limpopo River) 사이에 위치했다. 왕국의 이름은 Kalanga language|칼랑가어kck 또는 Venda language|벤다어ven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왕국은 이 지역 최초의 계급 사회 시스템을 갖춘 것으로 추정되며, 사회는 주로 가족과 농업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마푼구브웨 왕국은 13세기에 짐바브웨 왕국으로 발전했으며, 전성기에는 수도 인구가 약 5,000명에 달했다.[14] 마푼구브웨 왕국에 대한 직접적인 기록은 남아있지 않아, 역사가와 고고학자들은 주로 건물 유적을 통해 왕국의 역사를 연구하고 있다.

3. 3. 짐바브웨 왕국과 그 후계 국가들 (1220년경 ~ 1866년)

짐바브웨 왕국(약 1220년~1450년)은 오늘날의 짐바브웨 지역에 있었던 쇼나족(카랑가족)의 왕국이었다.[15] 이 왕국은 마풍구부웨 왕국의 몰락 이후 등장했으며, 수도는 현재 마스빙고 근처의 그레이트 짐바브웨에 위치했다. 그레이트 짐바브웨는 식민지 시대 이전 남부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규모의 석조 건축물이다.[15]

짐바브웨 왕국이 쇠퇴한 후, 그 뒤를 이어 두 개의 국가가 등장했다. 북쪽에는 짐바브웨의 행정 구조를 계승하고 발전시킨 무타파 왕국(1430년~1760년)이 세워졌고, 남쪽에는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았던 부투아 왕국(1450년~1683년)이 들어섰다.[15] 부투아 왕국은 토르와 왕조가 통치했으며 수도는 카미였다.[15]

왕국존속 기간위치/수도주요 특징
짐바브웨 왕국약 1220년 ~ 1450년그레이트 짐바브웨 (수도)마풍구부웨 왕국 이후 등장, 대규모 석조 건축물
무타파 왕국1430년 ~ 1760년짐바브웨 북부짐바브웨 행정 구조 계승 및 발전
부투아 왕국1450년 ~ 1683년카미 (수도)토르와 왕조 통치



이후 1683년, 강력한 쇼나족 국가인 로즈위 제국이 무타파 왕국과 부투아 왕국을 모두 흡수했다.[15] 로즈위 제국은 목축, 농업, 금광업을 경제 기반으로 삼았으며, 가뭄과 내부 불안정을 겪다가 1866년까지 존속했다.[15]

3. 4. 므테트와 상왕국 (18세기 후반)

므테트와 상왕국(Mthethwa Paramountcy영어)은 18세기 후반 오늘날 콰줄루-나탈주(KwaZulu-Natal영어) 지역에서 등장한 아프리카 국가였다. 이 국가는 딩기스와요(Dingiswayozu)의 통치하에 통합되고 확장되었으며, 이 지역 최초로 훈련되고 조직적인 군대를 만들었다.[16]

3. 5. 줄루 왕국 (19세기)

1818년 샤카를 중심으로 한 줄루족반투족을 통합하여 줄루 왕국을 건설했다.[45] 줄루 왕국은 샤카의 지도 아래 성장하여 오늘날의 크와줄루-나탈 주 대부분을 차지하는 세력을 이루었다. 1820년대에는 샤카의 이복형제인 딩가네와 믈랑가나 사이에 왕위 계승 분쟁으로 인한 내부 갈등이 발생했다.

1838년 2월, 부어(Boer) 캠프에 대한 줄루족(Zulu)의 공격 묘사


1830년대에 들어 부어인(Boers) 정착민들이 오렌지 강 북쪽으로 이주하면서[17] 줄루족과의 갈등이 커졌고, 이는 1838년 블러드 리버 전투로 이어졌다.

이후 줄루 왕국은 영국의 침략에 맞서 싸웠다. 1879년 1월 22일, 줄루 왕국의 왕 케츠와요가 이끄는 2만 명의 병사가 영국과의 이산들와나 전투에서 승리하기도 했으나,[45] 같은 해 7월 4일 벌어진 전투에서는 영국군에게 패배했다. 줄루 왕국은 19세기 후반 영국-줄루 전쟁 중에 결국 힘을 잃고, 1897년 영국에 의해 강제 합병되었다.[45]

3. 6. 식민지 시대

1497년 포르투갈인 바스코 다 가마가 남아프리카 해역을 지나 동아프리카인도로 향하는 항로를 개척하면서 유럽 세력의 남아프리카 진출이 시작되었다. 1652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현재의 케이프타운에 무역 거점을 마련했으나, 1795년 이 지역은 영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원주민 사회 역시 변화를 겪었다. 1818년 샤카 줄루는 여러 부족을 통합하여 강력한 줄루 왕국을 세웠다. 줄루 왕국은 팽창하는 영국 세력과 충돌하게 되었고, 1879년 1월 22일 이산들와나 전투에서 케츠와요 왕이 이끄는 줄루족 전사들이 영국군에 큰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 그러나 같은 해 7월 4일 벌어진 전투에서 결국 영국군에게 패배하였고, 1897년 줄루 왕국은 영국에 의해 완전히 합병되었다. 다른 지역에서도 식민 세력에 대한 저항이 있었다. 1891년 당시 독일령 동아프리카였던 탕가니카헤헤족 추장 음콰마는 독일의 식민 통치에 맞서 봉기했으나, 1899년 체포되어 처형당했고 그의 머리는 베를린으로 보내지는 비극을 겪었다.[4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적인 탈식민화 흐름 속에서 남아프리카 지역의 국가들도 독립을 맞이하게 되었다. 그러나 다수의 유럽계 백인 정착민이 존재했던 지역에서는 아프리카 원주민 다수에게 권력이 이양되는 과정이 순탄치 않았다. 1945년부터 1958년까지는 오히려 백인들의 권력이 강화되는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이후 점진적으로 식민지 해체가 진행되어, 과거 영국의 보호령 및 프랑스의 해외 영토였던 잠비아, 말라위, 보츠와나, 레소토, 모리셔스, 에스와티니, 마다가스카르, 코모로 등이 독립 국가가 되었다. 포르투갈 식민지였던 앙골라모잠비크는 격렬한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끝에 독립을 쟁취했다. 이 전쟁은 남부 로디지아가 1980년 짐바브웨로 독립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쳤다. 남서아프리카는 오랜 투쟁 끝에 1990년 나미비아로 독립을 이루었다.

가장 상징적인 변화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일어났다. 수십 년간 지속된 인종차별 정책인 아파르트헤이트는 국제 사회의 비난과 내부 저항에 직면했고, 마침내 1994년 민주적인 총선거를 통해 흑인 다수가 권력을 장악하면서 아파르트헤이트 정권은 종식되었다.

식민 통치는 끝났지만, 과거 제국주의 열강의 경제적 영향력은 여전히 남아 이 지역 경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20세기 후반 남아프리카 지역의 주요 경제 대국으로 부상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남아프리카 국가들 간의 통합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민주주의 정착에도 불구하고 폭력, 불평등, 빈곤과 같은 문제들은 여전히 이 지역의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3. 7. 탈식민지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사회의 압력 속에서 아프리카 대륙의 식민지 해체 과정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남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유럽계 백인 정착민들의 존재로 인해 아프리카 다수 민족에게 권력이 이양되는 과정이 순탄치 않았다. 1945년부터 1958년까지는 오히려 백인들의 권력이 강화되는 시기를 거치기도 했다.

이후 점진적으로 탈식민지화가 진행되어, 과거 영국의 고등판무관 지역이나 프랑스의 해외 행정부였던 잠비아, 말라위, 보츠와나, 레소토, 모리셔스, 에스와티니, 마다가스카르, 코모로 등이 영국프랑스로부터 독립했다. 포르투갈 식민지 아프리카였던 앙골라모잠비크에서는 독립을 위한 격렬한 투쟁인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이 벌어졌고, 결국 두 나라는 독립을 쟁취했다. 남부 로디지아 역시 오랜 투쟁 끝에 1980년 짐바브웨로 독립을 선언했다. 과거 독일령 남서아프리카는 1990년에 나미비아로 독립을 달성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아파르트헤이트에 맞선 오랜 투쟁 끝에 1994년 민주 선거를 통해 흑인 다수가 권력을 장악하며 인종차별 정권이 종식되었다.

식민 통치 시대가 끝난 후에도 과거 제국주의 열강의 경제적 영향력은 상당 부분 유지되었으며, 특히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20세기 후반 남아프리카 지역의 주요 경제 대국으로 부상했다. 21세기에 들어서는 남아프리카 국가들 간의 통합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민주주의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폭력, 불평등, 빈곤 문제는 여전히 이 지역 전반에 걸쳐 심각한 과제로 남아 있다.

4. 지리

2002년 11월 남아프리카의 위성 이미지


빅토리아 폭포는 짐바브웨와 잠비아의 국경을 이루는 잠베지 강의 일부이다.


나미비아의 해안 사막인 나미브 사막


남아프리카의 지형은 [7], 초원, 사막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며, 저지대 해안 지역과 산악 지대가 공존한다. 이처럼 다채로운 지리적 환경은 남아프리카 지역의 독특한 자연 경관을 형성하는 기반이 된다.

4. 1. 천연 자원

남아프리카 지역은 천연자원이 매우 풍부하며, 세계적으로 중요한 광물들을 다량 보유하고 있다. 특히 세계 최대 규모의 백금 및 백금족 원소, 크롬, 바나듐, 코발트 매장량을 자랑하며, 이 외에도 우라늄, , 구리, 티타늄, , 망간, , 베릴륨, 다이아몬드 등이 풍부하다.[8]

이러한 풍부한 광물 자원은 남아프리카 지역을 다른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과 구별 짓는 중요한 특징이다. 앞서 언급된 자원 외에도 아연, 철광석, 석탄 등이 주요하게 채굴된다. 레소토, 스와질란드, 말라위와 같은 일부 작은 내륙 국가를 제외하면, 남아프리카, 보츠와나, 모잠비크, 짐바브웨, 잠비아, 나미비아, 앙골라 등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국가들은 광범위한 광상을 가지고 있다.[9]

이처럼 방대한 광물 자원은 남아프리카 지역을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부유한 지역 중 하나로 만들었으며, 높은 경제 성장 잠재력을 가지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주요 광물 자원의 분포를 살펴보면, 앙골라 북서부의 풍부한 유전에서 시작하여 중앙부의 다이아몬드 채굴 지역인 우암보 주를 거쳐, 동쪽으로는 잠비아콩고의 구리 벨트 지역으로 이어진다. 이 광물 지대는 다시 짐바브웨 중부의 그레이트 다이크 지역을 지나 남아프리카의 부시벨트 분지로 연결된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남서쪽으로는 남아프리카의 비트워터스랜드와 노던 케이프를 거쳐 남쪽 해안까지 뻗어 있다. 이처럼 동부 지역 전역에서 활발한 채굴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보츠와나 일부 지역과 나미비아 해안을 따라서는 다이아몬드 채굴이 이루어지며, 모잠비크 중부, 짐바브웨, 남아프리카 북동부에서는 석탄이 발견된다.[10]

4. 2. 기후

나미비아의 칼라하리 사막


남아프리카 지역의 기후는 북쪽은 아열대성, 남쪽은 온대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하지만 세부적으로는 습윤 아열대 기후, 지중해성 기후, 고지 아열대, 해양성 기후, 사막, 반건조 기후 지역도 포함하며, 전반적으로 건조한 스텝 기후의 특징을 보인다. 잠비아의 저지대와 나미비아보츠와나 내륙 지역을 제외하면 극심한 더위는 드물다. 남서부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의 겨울은 온화하고 건조하며, 시원한 남동풍과 높은 습도가 겨울철 서늘한 날씨를 만들기도 한다. 나미브 사막은 이 지역에서 가장 건조한 곳이다.

고도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하이벨트, 레소토, 그리고 잠비아짐바브웨 대부분 지역의 온도를 조절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중부와 북동부, 짐바브웨, 잠비아 일부 지역의 초원 지대는 벨트(Veld)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다시 부시벨트(Bushveld)와 하이벨트(Highveld)로 나뉜다. 잠베지 강과 림포포 강 유역처럼 고도가 낮은 지역은 상대적으로 높은 기온과 적은 강수량을 보인다.

서케이프 지역과 케이프타운 주변 최남단 지역은 지중해성 식생과 기후를 가지며, 독특한 식생인 핀보스(Fynbos)가 나타난다. 이 기후는 가든 루트를 따라 동쪽으로 그케베르하와 이스트런던까지 이어지며 점차 해양성 기후로 변한다.[11] 한편, 중서부의 나미브칼라하리 사막은 건조 지대를 형성하여, 동쪽의 더 습하고 높은 고지대, 삼림 지대, 경작지, 목초지를 대서양으로부터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드라켄스베르크


또한 드라켄스베르크 산맥과 동부 고지대는 북쪽의 모잠비크와 남쪽의 콰줄루-나탈을 중심으로 한 고지대와 해안 평야를 분리한다. 이 해안 평야 지역은 몇 년마다 홍수가 발생하기 쉽다. 동쪽에서는 잠베지 강과 림포포 강 유역의 강 시스템이 모잠비크, 남아프리카 공화국, 짐바브웨 사이의 자연적인 경계이자 해상 항로를 형성한다.[11]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서케이프를 제외한 남아프리카 대부분 지역에서는 남반구의 여름인 12월부터 2월까지가 주요 강우기이다. 반면, 서케이프에서는 6월부터 8월까지 강수량이 가장 많다.

남아프리카에는 여러 중요한 강우 생성 기상 시스템이 존재한다. 여기에는 열대-온대성 구름대, 열대 저기압, 열대성 사이클론, 차단 저기압, 그리고 중규모 대류 시스템이 포함된다. 서케이프의 6월부터 8월까지의 최대 강수량은 주로 겨울철 중위도 폭풍에 의해 발생한다.

가뭄을 포함한 연간 강수량의 변동은 전 지구적 및 지역적 해수면 온도 변화와 관련이 깊다. 주요 요인으로는 엘니뇨 남방 진동, 아열대 인도양 쌍극자, 그리고 남동 대서양의 벵겔라 해류 지역의 변화 등이 있다.

미래 기후 예측에 따르면, 지구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남아프리카의 많은 지역이 앞으로 더 덥고 건조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5. 경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금융 중심지인 요하네스버그의 샌턴 지역


남부 아프리카 지역 경제는 풍부한 광물 자원을 바탕으로 한 광업 부문과 상대적으로 발달된 2차 및 3차 산업을 특징으로 하여 아프리카의 다른 지역과 구별된다. 모잠비크말라위를 제외한 다수 국가가 비교적 양호한 사회기반시설을 갖추고 있다.

주요 수출품은 다음과 같다.



특히 다이아몬드 생산은 보츠와나나미비아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세기 들어 이 지역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짐바브웨를 중심으로 제조업 기반을 다졌다. 이를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루고 인프라, 교육, 의료 분야에 투자하여 중간 소득 국가로 발돋움하며 아프리카 내에서 시장을 넓혀갔다.[18]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세계화의 흐름과 중국산 저가 제품 유입으로 인해 지역 산업은 어려움에 직면했다. 특히 중공업, 금광업, 섬유 산업에서 일자리가 줄었으며, 짐바브웨는 국내외적 요인으로 심각한 탈산업화를 겪었다.[19] 오늘날에도 빈곤, 부패, HIV/AIDS 확산 등이 경제 성장의 발목을 잡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짐바브웨에서는 서구 국가로의 숙련 노동자 유출, 즉 두뇌 유출 현상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도 상당하다.

케이프타운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관광지 중 하나이다


경제 규모 면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지역 내 압도적인 영향력을 가진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금융, 소매, 건설 부문이 잘 발달한 반면, 다른 남부 아프리카 국가들은 주로 광업, 농업, 공공 부문, 관광 산업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짐바브웨는 오랜 경제 위기 속에서도 일부 제조업과 소규모 금융 및 부동산 부문을 유지하고 있다. 대부분의 국제 은행들은 지역 본부를 요하네스버그에 두고 있다.

남부 아프리카 국가들은 경제 구조를 다변화하고 지역 내 교역을 활성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SADC를 중심으로 철도, 도로, 항공 등 교통 및 통신 인프라 개선에 공동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남부 아프리카 전력 풀(SAPP)을 통해 안정적이고 경쟁력 있는 전력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2017년 기준 주요 전력 생산 주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에스콤(약 46,963MW), 잠비아의 제스코(2,877MW), 앙골라의 Prodel-EP(2,442MW) 등이다.

아프리카 대륙 내에서는 비교적 성공적인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혁신 역량, 외국인 직접 투자 유치, STEM 분야 및 연구 개발 투자 측면에서는 아시아 국가들에 비해 여전히 뒤처져 있다는 평가가 있다.[22]

5. 1. 경제 통합 노력

이 지역 16개국은 경제 발전을 위한 협력 체제로 '''남부아프리카개발공동체'''(Southern African Development Community, 약칭 SADC)를 결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SADC는 회원국 간의 경제적, 정치적 안정을 추구하며, 이를 위해 지역 무역 활성화, 통신 및 교통 인프라(철도, 도로, 항공 운송) 개선 등에 공동으로 투자하고 있다. 또한, 남부 아프리카 전력 풀(SAPP)을 통해 경쟁력 있는 전력 시장을 개발하고, 건전한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관행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에너지 개발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2]

그러나 완전한 지역 통합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과거 식민주의의 영향뿐만 아니라[20][21], 오늘날에도 빈곤, 부패, HIV/AIDS 확산, 그리고 서구 경제로의 두뇌 유출과 같은 문제들이 경제 성장을 저해하고 지역 통합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18][19]

현재 SADC 회원국은 다음과 같다.



이 중 앙골라와 콩고민주공화국은 중앙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에도 가입되어 있다. 세이셸, 모리셔스, 코모로마다가스카르와 마찬가지로 인도양의 섬나라로, 지리적으로 남부 아프리카 지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6. 범죄

가우텐주 R511 도로의 "납치 위험 지역" 경고 표지판


남아프리카 지역의 여러 국가, 특히 남아프리카 공화국레소토는 매우 높은 범죄율 문제에 직면해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살인율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 중 하나로 기록되어 왔다.[23] 멕시코 시민 안전 및 형사 사법 시민 위원회(The Citizen Council for Public Security and Criminal Justice)가 2023/2024년 순위에서 발표한 인구 30만 명 이상 도시 중 살인율이 가장 높은 상위 50개 도시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네 개 도시(넬슨 만델라 베이, 더반, 케이프타운, 요하네스버그)가 포함되었다.[24] 레소토, 에스와티니, 나미비아, 보츠와나에서도 높은 살인율이 나타나고 있다.[25]

7. 환경

칼라하리 국경공원(Kgalagadi Transfrontier Park)


남부 아프리카는 초원, 부시벨트, 카루, 사바나, 하천변 지역 등 다양한 생태 지역을 가지고 있다. 인구 밀도 증가나 수출 중심 개발로 인한 서식지 감소로 일부 지역에서는 상당한 훼손이 발생했지만, 흰 코뿔소, 사자[26], 표범, 임팔라, 쿠두, 청영양, 베르벳 원숭이, 코끼리 등 다양한 야생 동물 종이 상당수 남아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경을 따라서는 복잡한 고원 지대가 거대한 산악 지형을 만든다.

대기 오염사막화를 포함한 여러 남부 아프리카의 환경 문제가 존재한다.

8. 문화

(내용 없음 - 주어진 소스가 없음)

8. 1. 종교

(내용 없음 - 주어진 소스가 템플릿뿐이며, 지침에 따라 템플릿은 제거 대상임)

9. 식량 안보

레소토의 들판


남아프리카 지역 내 식량 안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정치적 불안정, 빈약한 거버넌스, 가뭄, 인구 증가, 도시화, 빈곤, 저성장, 부적절한 농업 정책, 교역 조건 및 체제, 자원 훼손, 그리고 최근의 HIV/AIDS 증가 등이 있다.[28][29]

이러한 요인들은 국가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콩고민주공화국은 기후 및 물리적 조건이 유리함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불안정과 빈약한 거버넌스로 인해 식량 공급 능력이 현저히 낮다. 반면, 보츠와나나미비아 같은 반건조 국가는 자체 식량 생산은 부족하지만, 경제 성장, 정치적 안정 및 양호한 거버넌스를 바탕으로 식량을 수입하여 식량 안보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고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이 지역의 주요 식량 생산국이자 수출국이다.[30]

남부 아프리카의 농업 생산 동향 및 식량 불안에 대한 데이터는 FEWS NET 및 SADC의 식량, 농업 및 자연 자원국(FARN)을 통해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데이터는 대규모 도시 인구가 있는 지역의 현실이나, 식량 불안이 단순한 1인당 가용성 문제를 넘어 식량 접근성 및 식이 적절성 문제로 이어지는 상황을 완전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31][32]

남아프리카공화국 동케이프주의 농장


도시 식량 안보는 이 지역에서 새롭게 떠오르는 우려 사항이다.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저소득 가구의 식량 불안 수준이 매우 높게 나타난다. 9개국 11개 도시(블랜타이어, 케이프타운, 가보로네, 하라레, 요하네스버그, 루사카, 마푸토, 만지니, 마세루, 더반, 윈드후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조사된 가구의 17%만이 '식량 안보' 상태였으며, 절반 이상인 57%는 '심각한 식량 불안'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33]

도시 식량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농업 생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후 변화, 도시 주민들의 식량 구매 방식을 바꾸고 있는 슈퍼마켓의 확장,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 이동, 실업 및 빈곤 등이 있다.[34][35][36][37] 이 지역의 전반적인 식량 불안, 특히 도시 지역의 식량 불안 문제는 고칼로리 정크푸드와 가공식품 소비 증가와 관련이 깊다. 이는 영양실조와 비만, 고혈압과 같은 식이 관련 만성 질환이 동시에 나타날 가능성을 높인다.[38][39] 예를 들어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인구의 50% 이상이 굶주림을 경험하는 동시에 61%가 과체중이거나 병적인 비만 상태이다.[40][41][42] 다른 남부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데이터는 아직 제한적이다.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이 지역 일부는 심각한 가뭄을 겪었다.[43]

참조

[1] 웹사이트 https://unstats.un.o[...]
[2] 웹사이트 Southern Africa https://saylordotorg[...]
[3] 웹사이트 https://www.cia.gov/[...]
[4] 웹사이트 Composition of macro geographical (continental) regions, geographical subregions, and selected economic and other groupings http://millenniumind[...]
[5] 웹사이트 Southern African Customs Union (SACU) official website http://www.sacu.int/[...] 2022-03-03
[6] 웹사이트 Southern African Development Community :: Home https://www.sadc.int[...]
[7] 서적 Vegetation of Southern Afric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8] 웹사이트 Mining http://www.sadc.int/[...] 2013-06-27
[9] 웹사이트 A visual journey across African landscapes https://news.globall[...] 2019-10-22
[10] 웹사이트 Southern African Landscapes and Environmental Change https://www.routledg[...]
[11] 웹사이트 Africa: Physical Geography http://www.nationalg[...] 2012-01-04
[12] 뉴스 Scientists Find the Skull of Humanity's Ancestor — on a Computer - By comparing fossils and CT scans, researchers say they have reconstructed the skull of the last common forebear of modern humans. https://www.nytimes.[...] 2019-09-10
[13] 논문 Deciphering African late middle Pleistocene hominin diversity and the origin of our species
[14] 서적 Huffman
[15]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3-Volume Set Routledge 2013-07-04
[16] 서적 Longman History of Southern Africa Longman Publishing 1978
[17] 서적 Diamonds Gold and War Public Affairs
[1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core.ac.uk/d[...]
[19] SSRN Zimbabwe is Currently Experiencing a De-Industrialization Trend. Discussing the Causes of De-Industrialization in Zimbabwe and Offering Suggestion on How the Country Can Reverse the Trend 2017-03-08
[20] 서적 Deep Histories: gender and colonialism in Southern Africa Rodopi
[21] 서적 Politics in Southern Africa: state and society in transition Rienner
[22] 웹사이트 Should the African lion learn from the Asian tigers? A comparison of FDI-oriented industrial policy in Ethiopia, South Korea and Taiwan https://developingec[...] 2019-08-20
[23] 웹사이트 https://dataunodc.un[...]
[24] 웹사이트 https://businesstech[...]
[25] 웹사이트 https://dataunodc.un[...]
[26] IUCN Panthera leo
[27] 뉴스 Bridging a hundred year-old separation http://www.namibians[...] 2011-11-30
[28] 논문 New variant famine: AIDS and food crisis in southern Africa 2003-10-01
[29] 논문 What drives food insecurity in southern Africa? a meta-analysis of household economy studies
[30] 웹사이트 Toward a Typology of Food Security in Developing Countries https://web.archive.[...] 2010-01
[31] 웹사이트 Southern Africa Country Centers http://www.fews.net/[...]
[32] 웹사이트 Food Security http://www.sadc.int/[...]
[33] 서적 The state of urban food insecurity in Southern Africa http://queensu.ca/sa[...] AFSUN
[34] 논문 Beyond the food desert: finding ways to speak about urban food security in South Africa 2012-06-01
[35] 논문 Food security in Southern African cities: The place of urban agriculture 2011-06-21
[36] 논문 Comparative urban food geographies in Blantyre and Gaborone 2013-06-18
[37] 논문 Urban agriculture and poverty reduction: Evaluating how food production in cities contributes to food security, employment and income in Malawi 2011-03-01
[38] 서적 Rapid urbanization and the nutrition transition in southern Africa African Food Security Urban Network (AFSUN)
[39] 논문 Association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indicators and obesity in adolescent students in Botswana, an African country in rapid nutrition transition 2012-04-01
[40] 웹사이트 Obesity in SA http://www.hcgsoutha[...] 2013-06-29
[41] 논문 Underweight, overweight and obesity among South African adolescents: results of the 2002 National Youth Risk Behaviour Survey 2008-06-12
[42] 논문 THE ASSESSMENT OF FOOD INSECURITY IN SOUTH AFRICA http://npc.gov.za/Me[...] 2013-06-29
[43] 웹사이트 Hunger in Africa continues to rise, says New UN report https://www.busiweek[...] 2019-02-15
[44] 웹사이트 Composition of macro geographical (continental) regions, geographical sub-regions, and selected economic and other groupings http://unstats.un.or[...] 국제연합 2015-02-23
[45] 서적 2005-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