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는 고대 로마의 학자로,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 대한 주석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주석은 두 가지 주요 필사본 전통으로 전해지는데, 하나는 세르비우스의 것으로 여겨지는 짧은 주석이고, 다른 하나는 10~11세기에 확장되어 'Servius auctus' 또는 'Servius Danielis'로 불리는 주석이다. 세르비우스는 베르길리우스 주석 외에도 문법, 운율 등에 대한 논문을 남겼으며, 그의 저작 전체를 망라하는 판본과 하버드 세르비우스 판본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르길리우스 - 아이네이스
《아이네이스》는 베르길리우스가 라틴어로 쓴 서사시로, 트로이 영웅 아이네이아스가 이탈리아에 정착하여 로마를 건설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며, 로마의 기원과 정체성을 강조하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함의를 지니고 서구 문학과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베르길리우스 - 신곡
신곡은 단테 알리기에리가 지은 서사시로 지옥, 연옥, 천국을 여행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원래는 '코메디아'라 불렸으나 후에 '신성한 희극'으로 칭해지고, 정치적 망명과 사랑을 배경으로 사회 부조리와 인간 본성을 통찰하며, 33곡씩 총 100곡으로 구성되었다. - 아이네이스 - 베르길리우스 로마누스
베르길리우스 로마누스는 19점의 삽화가 수록된 고전 필사본으로, 최소 두 명의 화가가 참여하여 제작되었으며, 현재는 바티칸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 아이네이스 - 팔라디움
팔라디움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 도시의 수호물로 숭배받던 아테나 또는 미네르바의 목상으로, 트로이 함락 후 로마로 옮겨져 로마 통치의 신성한 징표로 여겨졌으며, 콘스탄티노플로 옮겨졌다는 소문도 있다. - 4세기 작가 - 이암블리코스
이암블리코스는 3세기 후반에서 4세기 초 시리아 출신의 신플라톤주의 철학자로, 플로티노스의 철학을 발전시키고 수 상징주의와 신비주의를 도입하여 후대 철학에 영향을 미쳤으며, 신과의 합일과 종교적 의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신동술 사상을 옹호했다. - 4세기 작가 - 파울루스 알렉산드리누스
파울루스 알렉산드리누스는 로마 제국 후기 알렉산드리아 출신의 점성술사로, 헬레니즘 점성술의 주요 개념을 다룬 《입문》을 저술하여 후대 점성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 | |
---|---|
인물 정보 | |
이름 | 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 |
라틴어 이름 | Servius Grammaticus |
활동 시기 | 4세기 후반 ~ 5세기 초반 |
직업 | 로마의 문법학자 |
주요 저서 | |
저서 제목 (라틴어) | In Tria Virgilii Opera Expositio |
저서 제목 (번역) | 베르길리우스의 세 작품 해설 |
다른 제목 (라틴어) | Commentarii in Virgilium Commentarii in Vergilii Opera Vergilii Carmina Commentarii |
내용 | 베르길리우스 작품에 대한 주석 |
학문적 중요성 | |
영향 | 마크로비우스의 작품에 영향을 줌 |
참고 자료 | |
eNotes.com | Macrobius Criticism - Essay - eNotes.com |
2. 이름
세르비우스(Servius)라는 이름은 고대부터 18세기까지 라틴어 V와 U가 통합되면서 세르비우스(Seruius)로도 나타난다. 세르비우스의 주석에 대한 많은 중세 필사본에는 praenomen 마리우스 또는 '''마우루스'''와 cognomen 호노라투스가 붙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름, 즉 기독교 성인들이 공유하는 이름의 진정성은 현재 의심받고 있다.[2]
세르비우스는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In Vergilii ''Aeneidem'' Commentarii''|아이네이스 주석la)에 대한 주석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 주석은 두 가지 다른 필사본 전통으로 전해진다.
3. 베르길리우스 주석
이탈리아에서 작성된 세 번째 부류의 필사본은 핵심 텍스트에 석사가 삽입되어 있어 ''Virgilii Opera Expositio''의 지속적인 유용성을 보여준다.
3. 1. 세르비우스 판본 (Servius)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 대한 주석서는 두 가지 다른 필사본 전통으로 전해진다.[3] 그중 하나는 비교적 짧은 주석으로, 필사본 머리글과 내부 증거를 통해 세르비우스의 저작으로 여겨진다.[4]
3. 2. 확장 판본 (Servius auctus 또는 Servius Danielis)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주석서는 두 가지 필사본 전통으로 전해진다.[3] 10세기와 11세기에 유래된 두 번째 부류는 동일한 텍스트를 훨씬 확장된 주석에 포함한다. 방대한 추가 내용은 원본 스타일과 대조적이며, 이 필사본들에는 세르비우스의 이름이 없다. 이 주석서는 1600년에 처음 출판한 피에르 다니엘(Pierre Daniel)의 이름을 따서 'Servius auctus' 또는 'Servius Danielis'로 알려져 있다.[4] 추가된 내용은 고대 자료를 바탕으로 하며, 현재는 유실된 역사 및 고대 문헌에 상당 부분 근거하고 있다. 저자는 익명이며 아마도 기독교인이었을 것이다.[5]
3. 3. 기타 판본
이탈리아에서 작성된 세 번째 부류의 필사본은 핵심 텍스트에 석사가 삽입되어 있어 ''Virgilii Opera Expositio''의 지속적인 유용성을 보여준다.
4. 기타 저작
세르비우스는 베르길리우스 주석 외에도 다음과 같은 저작을 남겼다.
- 아일리아스 도나투스의 문법(''Ars grammatica'')에 대한 주석 모음
- 운율 종결에 관한 논문(''De finalibus'')
- 다양한 시적 운율에 관한 논문(''De centum metris'')
게오르그 틸로와 헤르만 하겐이 편집한 판본(1878–1902)은 세르비우스 저작 전체를 망라하는 유일한 판본으로 남아 있다. 현재 하버드 세르비우스(''Servianorum in Vergilii Carmina Commentariorum: Editionis Harvardianae'') 간행 사업이 진행 중이며, 계획된 5권 중 2권(아이네이스 1–2, 1946년)과 3권(아이네이스 3–5, 1965년)이 출판되었다.
5. 판본
게오르그 틸로와 헤르만 하겐이 편집한 판본(1878–1902)은 세르비우스 저작 전체를 망라하는 유일한 판본이다. 현재 하버드 세르비우스(''Servianorum in Vergilii Carmina Commentariorum: Editionis Harvardianae'') 판본 작업이 진행 중이며, 5권으로 계획된 이 판본 중 2권(아이네이스 1-2권, 3-5권)이 출판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Macrobius Criticism - Essay - eNotes.com
https://www.enotes.c[...]
2022-09-01
[2]
서적
Guardians of Language: The Grammarian and Society in Late Antiquity
Berkeley
1997
[3]
간행물
Prolegomena to Servius 5: the manuscript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5
[4]
서적
Figure del pensiero medievale. Fondamenti e inizi IV-IX secolo
Jaca Book
2009
[5]
백과사전
Servius Maurus Honoratus
1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