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길리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르길리우스는 고대 로마의 시인으로, 기원전 70년에 태어나 기원전 19년에 사망했다. 그의 주요 작품으로는 《목가》, 《농경시》, 그리고 로마 건국 신화를 다룬 서사시 《아이네이스》가 있으며, 이 작품들은 서양 문학의 고전으로 평가받는다. 베르길리우스의 생애와 작품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과 논란이 존재하며, 그의 작품은 후대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단테는 《신곡》에서 베르길리우스를 자신의 스승이자 안내자로 묘사했다. 한국에서는 천병희가 번역한 《아이네이스》가 출판되었으며, 일본에서도 여러 학자들에 의해 그의 작품들이 번역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르길리우스 - 아이네이스
《아이네이스》는 베르길리우스가 라틴어로 쓴 서사시로, 트로이 영웅 아이네이아스가 이탈리아에 정착하여 로마를 건설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며, 로마의 기원과 정체성을 강조하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함의를 지니고 서구 문학과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베르길리우스 - 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
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는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주석으로 유명한 고대 로마의 문법학자로, 다양한 형태의 《아이네이스》 주석과 도나투스 문법서 주석, 운율 관련 논문 등 여러 저작을 남겼다. - 기원전 19년 사망 - 마르쿠스 에그나티우스 루푸스
마르쿠스 에그나티우스 루푸스는 로마 공화정 말기의 인물이며, 자세한 내용은 알려져 있지 않다. - 기원전 19년 사망 - 동명성왕
동명성왕은 고구려의 건국 시조로 주몽이라고도 불리며, 탄생 설화와 부여 탈출 후 고구려 건국 이야기와 함께 주변 세력 정복으로 국가 기틀을 다진 한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베르길리우스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로마자 표기 | Publius Vergilius Maro |
이름 | 푸블리우스 베르길리우스 마로 |
다른 이름 | 베르길 |
출생일 | 기원전 70년 10월 15일 |
출생지 | 갈리아 키살피나, 로마 공화국 안데스 |
사망일 | 기원전 19년 9월 21일 |
사망지 | 브룬디시움, 이탈리아, 로마 제국 |
직업 | 시인 |
국적 | 로마 제국 |
활동 시기 | 기원전 39년 기원전 19년 |
문학 | |
장르 | 서사시 교훈시 목가시 |
사조 | 아우구스투스 시대 문학 |
대표 작품 | 《목가》 《농경시》 《아이네이스》 |
기타 | |
영향 | 호메로스 |
영향을 준 인물 | 단테 |
주요 후원자 | 마에케나스 |
안장 위치 | 네아폴리스 근교 |
언어 | 라틴어 |
이미지 | |
![]() | |
![]() | |
![]() |
2. 생애
베르길리우스는 기원전 70년 이탈리아 북부 만토바 근처의 작은 마을 안데스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평민 출신이었지만, 베르길리우스는 크레모나, 밀라노, 로마 등지에서 수사학, 철학, 의학, 천문학 등 다양한 학문을 배우며 당대 최고의 교육을 받았다.
젊은 시절 법조계 진출을 꿈꾸기도 했으나, 내성적인 성격과 건강 문제로 인해 포기하고 문학에 전념했다. 특히 에피쿠로스 학파의 영향을 받아 철학적 사유를 심화시켰다.[68]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베르길리우스는 기원전 70년 10월 15일, 이탈리아 포강 중류의 만투아(Mantua, 현재 만토바) 근교의 안데스(Andes)에서 태어났다.[4] 그의 고향은 당시 로마 공화정의 행정구역인 갈리아 키살피나(이탈리아 북부)였다.[4]베르길리우스 가문에서는 그의 선대에 호민관 마르쿠스 베르길리우스나[40] 법무관직을 역임한 가이우스 베르길리우스 바르부스의 이름이 알려져 있다.[40] 베르길리우스의 아버지에 대해서는 도공이었다는 설과[42] 관리에게 고용되었다는 설[43]이 있는데, 주인 마기우스에게 발탁되어 그의 딸 마기아와 결혼하여 양봉으로 재산을 모았다고 한다.[40] 베르길리우스는 그들 사이에서 태어난 3명의 자녀 중 막내였다.[40] 베르길리우스의 어머니 마기아 폴라는 베르길리우스를 낳기 전에 월계수가 울창하게 자라는 해몽꿈을 꾸었다고 전해진다.[40] 이 꿈과 관련하여 그의 이름 ''Vergilius''는 라틴어 ''virga''(어린나무)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베르길리우스는 15세까지 크레모나에서 소년 시절을 보낸 후,[14] 밀라노를 거쳐 로마로 가서 수사학, 웅변술, 의학, 천문학 등을 공부했다.[40] 그러나 건강이 좋지 않아 두통과 위통에 시달렸고, 때로는 토혈하기도 했다.[40] 그는 말이 느렸고, 재판 변론에 실패한 후, 내성적인 성격 탓에 철학을 공부하게 되었다.[40] 루크레티우스의 영향으로 에피쿠로스 학파에 매료되었던 것으로 보이며,[40] 나폴리로 가서 시로가 주도하던 에피쿠로스 학파에서 고대 그리스 철학을 깊이 배우게 된다.
2. 2. 문학 활동과 후원
베르길리우스는 시를 통해 이름을 알리면서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후원을 받게 되었다.[68] 이후 《농경시(Georgica)》 등을 아우구스투스에게 직접 낭송하기도 하였으며, 아우구스투스의 권유로 로마 건국을 다룬 서사시 《아이네이스(Aeneis)》를 집필하기 시작했다.[68] 그러나 《아이네이스》는 완성하지 못하고 사망했는데, 이 작품은 세계 문학사상 가장 뛰어난 서사시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68]《목가(Eclogues)》 출판 후 얼마 지나지 않아(기원전 37년 이전 추정),[3] 베르길리우스는 옥타비아누스의 측근인 마이케나스의 문인 모임에 합류했다. 마이케나스는 로마 문인들을 옥타비아누스 편으로 끌어들이려 했으며, 베르길리우스는 이 모임에서 호라티우스,[15] 바리우스 루푸스 등 당대 주요 문인들과 교류했다. 마이케나스의 권유로 베르길리우스는 《농경시》를 집필하여 그에게 헌정했다.
베르길리우스는 생애 마지막 11년(기원전 29~19년) 동안 《아이네이스》를 집필했는데, 프로페르티우스에 따르면 아우구스투스의 의뢰를 받았다고 한다.[16] 기원전 19년경, 베르길리우스는 《아이네이스》 수정을 위해 그리스 아카이아로 여행을 떠났으나, 메가라 근처에서 열병에 걸려 아풀리아에서 사망했다. 아우구스투스는 베르길리우스의 유언을 무시하고, 루키우스 바리우스 루푸스와 플로티우스 투카에게 최소한의 편집만으로 《아이네이스》를 출판하도록 명령했다.[17]
2. 3. 죽음과 유산
베르길리우스는 아이네이스를 완성하기 위해 그리스로 여행을 떠났으나, 병에 걸려 이탈리아로 돌아오던 중 브룬디시움에서 사망했다.[18] 세르비우스의 후기 사본 일부에 따르면 타란토에서 사망했다고도 한다. 그의 유해는 나폴리로 옮겨져 안장되었으며, 무덤에는 그가 직접 지은 다음과 같은 비문이 새겨졌다.[18] Mantua me genuit; Calabri rapuere; tenet nunc Parthenope. Cecini pascua, rura, duces|만투아가 나를 낳았고, 칼라브리아인들이 나를 데려갔으며, 지금은 나폴리가 나를 품고 있다. 나는 목장과 농장, 그리고 지휘관들을 노래했다.la (베르나드 녹스 번역)
버질의 무덤으로 알려진 구조물은 나폴리 중심부에서 3km 떨어진 피에디그로타 지역의 고대 로마 터널(grotta vecchiait) 입구에서 발견되며, 메르겔리나 항구 근처, 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포추올리 방향으로 가는 길에 위치해 있다.[19] 베르길리우스는 사망 전 이미 문학적 찬사와 존경의 대상이었지만, 중세에는 그의 이름이 기적적인 능력과 연관되면서, 수 세기 동안 그의 무덤은 순례와 숭배의 목적지가 되었다.[19] 19세기를 거치면서, 이른바 무덤은 정기적으로 그랜드 투어의 여행객들을 끌어들였고, 오늘날에도 여전히 방문객들을 불러 모으고 있다.[18]


베르길리우스의 작품들은 출판 직후부터 라틴 시에 혁명을 일으켰다.[26] '''전원시''', '''교육시''', 그리고 무엇보다 '''아이네이스'''는 모든 교육받은 로마인들이 익숙한 표준 교과서가 되었다. 베르길리우스를 계승한 시인들은 종종 자신의 시에서 의미를 창출하기 위해 그의 작품을 텍스트 간적으로 언급한다.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시인 오비디우스는 '''연애시''' 1.1.1–2에서 '''아이네이스'''의 첫 구절을 패러디했고, '''변신 이야기''' 14권에서 아이네이아스 이야기를 요약한 내용(소위 "미니 아이네이스")은 베르길리우스 이후 서사시 장르에 대한 중요한 반응으로 여겨져 왔다. 루카누스의 서사시 '''내란'''는 신적인 메커니즘을 배제하고 역사적 사건을 다루며 베르길리우스의 서사시 기법과 크게 달라, 반(反)베르길리우스적 서사시로 간주되어 왔다. 플라비우스 시대의 시인 스타티우스는 그의 12권짜리 서사시 '''테바이스'''에서 베르길리우스의 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서문에서 그의 시에 대해 "신성한 '''아이네이스'''와 경쟁하지 말고, 멀리서 따르고 항상 그 발자취를 존경하라"고 조언한다.[26] 베르길리우스는 실리우스 이탈리쿠스에게 가장 열렬한 숭배자 중 한 명을 발견한다. 실리우스는 그의 서사시 '''푸니카'''의 거의 모든 구절에서 베르길리우스를 언급한다.
소위 "메시아적" 제4 전원시(나중에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예언했다고 널리 해석됨)의 결과로, 베르길리우스는 후대 고대에 예언자의 마법 능력을 지닌 것으로 여겨졌다. 베르길리우스의 시를 점술 도구로 사용하는 과정인 '''베르길리우스 점술'''은 하드리아누스 시대에 발견되며 중세까지 계속되었다. 마찬가지로 마크로비우스는 '''사투르날리아'''에서 베르길리우스의 작품을 인간의 지식과 경험의 구현체로 묘사하며, 그리스의 호메로스 개념을 반영한다.[3] 베르길리우스는 고대에 주석가들도 찾았다. 4세기 서기의 주석가인 세르비우스는 도나투스의 주석을 바탕으로 그의 저술을 했다. 세르비우스의 주석은 베르길리우스의 삶, 출처, 참조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지만, 많은 현대 학자들은 그의 작품의 가변적인 질과 종종 단순한 해석에 좌절감을 느낀다.
서로마 제국이 붕괴하던 시기에도 교양 있는 사람들은 베르길리우스가 뛰어난 시인이라는 것을 인정했다. 예를 들어,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디도의 죽음을 읽으며 울었다고 고백했다.[27] 베르길리우스 작품의 가장 잘 알려진 기존 사본에는 '''베르길리우스 아우구스테우스''', '''베르길리우스 바티카누스''', '''베르길리우스 로마누스'''와 같이 고대 후기의 사본들이 포함된다.

단테는 ''신곡''에서 베르길리우스를 지옥과 대부분의 연옥을 안내하는 인물로 묘사한다.[32] 단테는 또한 ''속어론''에서 오비디우스, 루카누스, 스타티우스와 함께 베르길리우스를 네 명의 ''규범 시인'' 중 한 명으로 언급한다(ii, vi, 7).
3. 작품
베르길리우스의 주요 작품으로는 《목가(Eclogues)》, 《농경시(Georgics)》, 《아이네이스(Aeneis)》가 있다. 이 작품들은 서양 문학의 고전으로 꼽히며, 오늘날까지도 널리 읽히고 연구되고 있다.
- '''《목가(Eclogues)》:''' 베르길리우스의 첫 작품으로, 테오크리토스의 영향을 받아 10편의 전원시로 구성되어 있다. 기원전 42년에 집필을 시작하여 기원전 39년에서 38년 사이에 출판된 것으로 추정된다.[3] 토지 몰수의 잔혹함으로 인한 상반된 감정을 극적으로 표현했지만, 전기적 사건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제시하지 않는다.
- '''《농경시(Georgics)》:''' "농업에 관하여"라는 뜻을 가진 다리우스 6행시 운율의 서사시로, 마이케나스에게 헌정되었다. 기원전 37년에서 기원전 29년 사이에 집필한 것으로 추정된다.[3] 총 4권으로 구성되어 농업 전반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 '''《아이네이스(Aeneis)》:''' 베르길리우스의 대표작이자 미완성 유작으로, 로마 건국 신화를 다룬 서사시이다. 트로이 전쟁의 영웅 아이네이아스가 이탈리아에 정착하여 로마를 건설하기까지의 여정을 그리고 있다. T. S. 엘리엇은 이를 '유럽 전체의 고전'이라고 언급했다.[21]
3. 1. 《목가》(Eclogues)

『목가』는 베르길리우스의 첫 작품으로, 테오크리토스의 영향을 받아 10편의 전원시로 구성되어 있다. '선집'이라고도 하며, 특히 영미권에서는 주로 '선집'으로 불린다.[3] 각 시는 다행격 육보로 쓰여졌다.
『목가』의 배경은 코스 섬과 시칠리아를 기반으로 그리스 문화권의 도리스 방언의 발상지인 "아르카디아"이지만, 실제로는 당시 이탈리아의 풍물과 인물을 엮어 넣고 있으며, 이탈리아를 그 계승지로 삼고, 승화된 이상향으로 초월하여 관념화되어 있다. 이것은 테오크리토스의 『목가』 ΕΙΔΥΛΛΙΑel와 대척적이다.
전통적인 전기 기록에 따르면, 베르길리우스는 기원전 42년에 『목가』 제작을 시작하여 기원전 39-38년에 출판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베르길리우스는 『목가』 1편과 9편에서 토지 몰수의 잔혹함으로 인한 상반된 감정을 극적으로 표현했지만, 전기적 사건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제시하지 않는다.
『목가』는 헬레니즘 시대의 전원시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시각으로 그 주제를 파악하고 있다.
- 1편과 9편: 토지 몰수와 그로 인한 이탈리아 시골 지역의 영향
- 2편과 3편: 목가적이고 에로틱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동성애(2편)와 남녀를 불문한 매력(3편)
- 4편: 아시니우스 폴리오에게 헌정된 이른바 "메시아 전원시"로, 아이의 탄생과 관련하여 황금 시대의 이미지를 사용 (그 아이가 누구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 5편과 8편: 노래 경연에서 다프니스의 신화
- 6편: 실레누스의 우주적이고 신화적인 노래
- 7편: 격렬한 시적 경연
- 10편: 당대의 애가 시인 코르넬리우스 갈루스의 고통
베르길리우스는 『목가』에서 서구 문학과 시각 예술에서 여전히 공감을 얻고 있는 시적 이상향으로 아르카디아를 확립했다.[20] 또한, 칼푸르니우스 시쿨루스, 네메시아누스 등 후대 작가들이 라틴 목가시 발전의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3. 2. 《농경시》(Georgics)

《게오르기카》(Georgics)는 "농업에 관하여"라는 뜻을 가진 긴 다리우스 6행시 운율의 서사시로, 마이케나스에게 헌정되었다. 베르길리우스는 마이케나스의 권유로 이 작품을 썼다고 전해지며, 기원전 37년에서 29년 사이에 집필한 것으로 추정된다.[3]
《게오르기카》는 농장 운영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을 주제로 한다. 베르길리우스는 그리스 시인 헤시오도스의 《일과 낮》과 후기 헬레니즘 시인들의 교훈적인 전통을 따랐다.[3]
《게오르기카》는 총 4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권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권 | 내용 |
---|---|
1권 | 곡물 재배 |
2권 | 나무 재배 |
3권 | 가축과 말 |
4권 | 양봉과 꿀벌의 특징 |
2권의 "이탈리아 찬가"(Laus Italiae)는 잘 알려진 구절 중 하나이다. 3권의 서문에 나오는 신전 묘사와 3권 끝부분의 전염병 묘사도 유명하다. 4권은 양봉의 발견을 생생하게 묘사하는 에필리온(epyllion) 형식의 긴 신화적 이야기로 끝맺는데, 아리스타이오스의 이야기와 오르페우스의 저승 여행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다.
고대 학자 세르비우스(Servius)는 아리스타이오스 에피소드가 황제의 요청에 따라 베르길리우스의 친구이자 시인인 갈루스(Gallus)를 칭찬하는 긴 부분을 대체한 것이라고 추측했다. 갈루스는 아우구스투스에게 낙담하여 기원전 26년 자살했다.
《게오르기카》의 어조는 낙관과 비관 사이에서 흔들리며, 시인의 의도에 대한 비판적인 논쟁을 불러일으켰다.[3] 그러나 이 작품은 후대의 교훈적 시의 기초를 마련했다. 베르길리우스와 마이케나스는 기원전 31년 악티움 해전에서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를 물리치고 돌아온 옥타비아누스에게 《게오르기카》를 번갈아 읽어주었다고 한다.
3. 3. 《아이네이스》(Aeneis)
《아이네이스》는 베르길리우스의 대표작이자 미완성 유작으로, 로마 건국 신화를 다룬 서사시이다. T. S. 엘리엇은 이를 '유럽 전체의 고전'이라고 언급했다.[21] 이 작품은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디세이》를 본떠 만들어졌으며, 트로이 전쟁의 영웅 아이네이아스가 이탈리아에 정착하여 로마를 건설하기까지의 여정을 그리고 있다.
이 서사시는 다크틸 육보로 이루어진 12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트로이 함락에서 도망친 전사 아이네이아스가 이탈리아로 여정을 떠나 이탈리아 왕자 투르누스와 싸우고 로마가 탄생할 도시의 기반을 세우는 이야기를 묘사한다. 베르길리우스는 호머뿐만 아니라 라틴 시인 엔니우스와 헬레니즘 시인 로도스의 아폴로니우스 등 여러 작가들을 참고하여 서사시를 구성했다.[3] ''아이네이스''는 서사시 양식을 따르면서도 비극과 기원설화 등 다른 장르의 요소들을 포함하여 장르를 확장하려는 시도를 보인다. 고대 주석가들은 베르길리우스가 호머의 시에 기반하여 ''아이네이스''를 《오디세이》를 모델로 한 처음 여섯 권과 《일리아스》와 관련된 마지막 여섯 권, 두 부분으로 나눈 것 같다고 지적했다.[22]
- 1권[23] (오디세이 부분의 서두)은 시 전체에서 아이네이아스의 적이었던 주노가 함대에 불러일으킨 폭풍으로 시작된다. 폭풍은 영웅을 역사적으로 로마의 가장 치명적인 적이었던 카르타고 해안으로 몰아넣는다. 카르타고의 여왕인 디도는 로마의 조상을 환영하고 신들의 영향 아래 그에게 깊이 사랑에 빠진다.
- 2권의 연회에서 아이네이아스는 매료된 카르타고 사람들에게 트로이 함락, 아내의 죽음, 그리고 자신의 탈출 이야기를 들려준다.
- 3권에서는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아 지중해를 헤매는 자신의 방황을 들려준다.
- 4권에서 주피터는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라는 그의 의무를 상기시키며, 아이네이아스는 카르타고를 떠난다. 디도는 자살하고 아이네이아스를 저주하며 카르타고와 로마 사이의 격렬한 전쟁을 상징적으로 예감하며 복수를 부르짖게 만든다.
- 5권에서는 1년 전에 사망한 아이네이아스의 아버지 안키세스를 위한 장례식 게임이 열린다.
- 6권에서 아이네이아스는 쿠마이의 시빌라와 상담하고, 그녀는 아이네이아스를 지하세계로 안내한다. 아이네이아스는 죽은 안키세스를 만나 로마의 운명을 듣는다.
- 7권 (일리아드 절반의 시작)은 뮤즈에 대한 연설로 시작하여 아이네이아스의 이탈리아 도착과 라티누스 왕의 딸인 라비니아와의 약혼을 이야기한다. 라비니아는 이미 루툴리 왕인 투르누스와 약혼했었고, 그는 분노의 여신인 알렉토와 라비니아의 어머니인 아마타에 의해 전쟁에 뛰어든다.
- 8권에서 아이네이아스는 로마의 미래 부지에 거주하는 에반데르 왕과 동맹을 맺고, 로마 역사를 묘사한 새로운 갑옷과 방패를 받는다.
- 9권은 니수스와 에우리아루스의 루툴리 공격을 기록한다.
- 10권은 에반데르의 어린 아들인 팔라스의 죽음을 기록한다.
- 11권은 볼스키 전사 공주인 카밀라의 죽음과 아이네이아스와 투르누스 사이의 결투로 전쟁을 끝내기로 한 결정을 기록한다.
- 12권에서 라티누스의 도시 함락, 아마타의 죽음, 그리고 아이네이아스가 자비를 구하는 투르누스를 무시하고 패배시키고 죽이는 것으로 끝맺는다. 마지막 권은 지하세계로 도망치는 투르누스의 영혼이 한탄하는 이미지로 끝난다.

《아에네이스》에 대한 비평은 다양한 쟁점에 초점을 맞춘다.[24] 시 전체의 어조는 특히 논쟁의 대상이 된다. 어떤 이들은 이 시를 궁극적으로 비관적이고 아우구스투스 체제에 대해 정치적으로 파괴적인 것으로 보는 반면, 다른 이들은 새로운 제국 왕조를 기념하는 것으로 본다. 베르길리우스는 아우구스투스 체제의 상징을 사용하며, 일부 학자들은 아우구스투스와 아에네아스 사이에 강한 연관성을 본다. 하나는 로마의 건설자이고 다른 하나는 로마의 재건설자이기 때문이다. 시에는 강력한 목적론 또는 절정을 향한 추진력이 감지된다. 《아에네이스》는 로마의 미래, 아우구스투스의 업적, 그의 조상들과 유명한 로마인들, 그리고 포에니 전쟁에 대한 예언으로 가득 차 있다. 아에네아스의 방패에는 기원전 31년 악티움에서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 7세를 상대로 아우구스투스가 거둔 승리가 묘사되어 있다. 또 다른 연구의 초점은 아에네아스의 성격이다. 시의 주인공인 아에네아스는 자신의 감정과 로마 건설이라는 예언적인 의무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하는 것처럼 보인다. 비평가들은 시의 마지막 부분에서 "경건한" 그리고 "의로운" 아에네아스가 무자비하게 투르누스를 학살하는 장면에서 아에네아스의 감정적 통제력이 무너지는 것을 지적한다.
《아에네이스》는 큰 성공을 거둔 것으로 보인다. 베르길리우스는 2권, 4권, 6권을 아우구스투스에게 낭독했다고 한다.[3] 그리고 6권은 황제의 누이인 옥타비아가 기절하게 했다고 한다.
기원전 19년 베르길리우스가 사망했을 때 시의 일부 구절은 미완성으로 남았고 전체적으로 편집되지 않았다. 그 결과, 현재 존재하는 《아에네이스》의 텍스트에는 베르길리우스가 출판 전에 수정하려고 했던 오류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명백한 결함은 운율적으로 미완성된(즉, 완전한 다크틸 육보 행이 아닌) 몇몇 구절뿐이다. 일부 학자들은 베르길리우스가 의도적으로 이러한 운율적으로 미완성된 구절들을 극적인 효과를 위해 남겨두었다고 주장한다.[25]
4. 베르길리우스와 관련된 논란
베르길리우스의 생애와 작품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해석과 논란이 존재한다. 그의 전기적 정보는 주로 그의 작품에 대한 주석서에 의존하고 있어, 일부 내용은 신빙성이 의심되기도 한다.[3]
- 주석서의 신빙성 문제: 베르길리우스의 생애는 주로 프로부스, 도나투스, 세르비우스 등이 작성한 주석서에 기록되어 있다. 도나투스의 전기는 수에토니우스의 저작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여겨지며, 세르비우스의 전기는 수에토니우스의 저서를 요약한 것으로 보인다.[2] 그러나 이러한 주석서의 내용 중 일부는 베르길리우스의 시에서 유래한 우의적 해석과 추론에 의존하고 있어, 사실 여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3]
- 출생지 논란: 베르길리우스는 기원전 70년 갈리아 키살피나의 만투아 근처 안데스 마을에서 태어났다고 알려져 있다.[4] 그러나 안데스의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주장이 있다. 전통적으로는 피에톨레로 여겨졌지만,[6] 로버트 시모어 코너웨이는 비문 등의 증거를 바탕으로 칼비사노 또는 카르페네돌로가 안데스라는 이론을 제시했다.[7]
5. 베르길리우스의 영향
베르길리우스의 작품들은 출판 직후부터 라틴 시에 혁명을 일으켰다. '''전원시''', '''농경시''', 그리고 무엇보다 '''아이네이스'''는 모든 교육받은 로마인들이 익숙한 표준 교과서가 되었다. 베르길리우스를 계승한 시인들은 종종 자신의 시에서 의미를 창출하기 위해 그의 작품을 텍스트 간적으로 언급한다.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시인 오비디우스는 '''연애시''' 1.1.1–2에서 '''아이네이스'''의 첫 구절을 패러디했고, '''변신 이야기''' 14권에서 아이네이아스 이야기를 요약한 내용(소위 "미니 아이네이스")은 베르길리우스 이후 서사시 장르에 대한 중요한 반응으로 여겨져 왔다.[24] 루카누스의 서사시 '''내란'''는 신적인 메커니즘을 배제하고 역사적 사건을 다루며 베르길리우스의 서사시 기법과 크게 달라, 반(反)베르길리우스적 서사시로 간주되어 왔다. 플라비우스 시대의 시인 스타티우스는 그의 12권짜리 서사시 '''테바이스'''에서 베르길리우스의 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서문에서 그의 시에 대해 "신성한 '''아이네이스'''와 경쟁하지 말고, 멀리서 따르고 항상 그 발자취를 존경하라"고 조언한다.[26] 베르길리우스는 실리우스 이탈리쿠스에게서 가장 열렬한 숭배자를 발견한다. 실리우스는 그의 서사시 '''푸니카'''의 거의 모든 구절에서 베르길리우스를 언급한다.
소위 "메시아적" 제4 전원시(나중에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예언했다고 널리 해석됨) 때문에, 베르길리우스는 후대 고대에 예언자의 마법 능력을 지닌 것으로 여겨졌다. 베르길리우스의 시를 점술 도구로 사용하는 '''베르길리우스 점술'''은 하드리아누스 시대에 발견되며 중세까지 계속되었다. 마크로비우스는 '''사투르날리아'''에서 베르길리우스의 작품을 인간의 지식과 경험의 구현체로 묘사하며, 그리스의 호메로스 개념을 반영한다.[3] 베르길리우스는 고대에 주석가들도 찾았다. 4세기 서기의 주석가인 세르비우스는 도나투스의 주석을 바탕으로 그의 저술을 했다. 세르비우스의 주석은 베르길리우스의 삶, 출처, 참조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지만, 많은 현대 학자들은 그의 작품의 가변적인 질과 종종 단순한 해석에 좌절감을 느낀다.
그레고리우스 투르는 다른 라틴 시인들과 함께 베르길리우스의 작품을 읽었고 여러 곳에서 인용했지만, "그들의 거짓된 우화를 이야기해서는 안 된다. 그렇지 않으면 영원한 죽음의 심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경고했다.[28] 12세기 르네상스에서 알렉산더 넥햄은 그의 표준 예술 교육 과정에 "신성한" 《아이네이스》를 포함시켰고,[29] 디도는 그 시대의 낭만적인 여주인공이 되었다.[30] 마이올루스 드 클뤼니와 같은 수도사들은 "베르길리우스의 사치스러운 웅변"을 부정했을지도 모르지만,[31] 그의 작품의 힘을 부인할 수는 없었다.
단테는 ''신곡''에서 베르길리우스를 지옥과 대부분의 연옥을 안내하는 인물로 묘사한다.[32] 단테는 또한 ''속어론''에서 오비디우스, 루카누스, 스타티우스와 함께 베르길리우스를 네 명의 ''규범 시인'' 중 한 명으로 언급한다(ii, vi, 7).
르네상스 시대에는 많은 작가들이 버질의 뒤를 이어 서사시를 쓰는 영감을 받았다. 에드먼드 스펜서는 자신을 영국의 버질이라고 불렀고, 《실낙원》은 《아이네이스》의 영향을 받았다. 이후 버질의 영향을 받은 예술가로는 엑토르 베를리오즈와 헤르만 브로흐가 있다.[33]
"바구니 속의 버질" 전설은 중세 시대에 생겨났으며, 종종 예술 작품에 등장하고 문학에서 여성의 힘이라는 문학적 토포스의 일부로 언급되면서 여성의 매력이 남성에게 미치는 파괴적인 힘을 보여준다. 이 이야기에서 버질은 아름다운 여인, 때로는 황제의 딸이나 정부로 묘사되고 루크레티아라고 불리는 여인에게 반하게 된다. 그녀는 버질을 가지고 놀며 자신의 집에서 만날 것을 제안하고, 버질은 밤에 창문에서 내려온 큰 바구니를 타고 몰래 들어가기로 한다. 그러나 그는 바구니를 타고 벽 중간까지 올라갔다가 그대로 갇히게 되어 다음 날까지 공개적으로 조롱을 당한다. 이 이야기는 퓔리스와 아리스토텔레스 이야기와 유사하다. 이 장면을 묘사한 다른 예술가들 중 루카스 판 레이던은 목판화와 후에 판화를 제작했다.[34]
중세 시대에 버질의 명성은 마법과 예언과 그를 연결하는 전설을 불러일으켰다. 적어도 3세기부터 기독교 사상가들은 황금 시대를 가져올 소년의 탄생을 묘사한 목가 4편을 예수의 탄생을 예언한 것으로 해석했다. 결과적으로 버질은 기독교를 예고한 인물로서 성경의 히브리 예언자들과 비슷한 수준으로 여겨지게 되었다.[35] 이와 관련하여, 유대 백과사전은 중세 시대의 골렘에 대한 전설이 시인의 위서적인 힘, 즉 생명 없는 물체에 생명을 불어넣는 힘에 대한 버질 전설에서 영감을 받았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36]
기원후 2세기 초부터 버질의 작품은 마법적인 속성을 지닌 것으로 여겨져 점복에 사용되었다. "베르길리우스 점(Sortes Vergilianae)"으로 알려지게 된 이 방법에서는 구절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질문에 대한 답을 해석했다.[37] 12세기 나폴리에서 시작하여 결국 유럽 전역으로 퍼져 나간 전통에서 버질은 위대한 마법사로 여겨졌다. 버질과 그의 마법 능력에 대한 전설은 200년 이상 인기를 누리며, 그의 저술만큼이나 중요해졌다.[37] 중세 웨일스에서 버질의 유산은 그의 이름의 웨일스어 버전인 "Fferyllt" 또는 "Pheryllt"가 마법사를 위한 일반적인 용어가 되었고, 현대 웨일스어 약사를 의미하는 "fferyllydd"라는 단어로 남아 있다.[38]
6. 한국 문학과 베르길리우스
베르길리우스의 작품은 한국 문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았지만, 번역을 통해 한국 독자들에게 소개되었다.
6. 1. 번역 및 수용
베르길리우스의 작품 번역으로는 천병희 역, 《아이네이스》(숲, 2004년 초판/2007년 개정판)가 있다.[1]참조
[1]
서적
The Complete Prose of T. S. Eliot: The Critical Edi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
백과사전
Lives
John Wiley & Sons
[3]
서적
Virgil (Publius Vergilius Maro)
Oxfo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Map of Cisalpine Gaul
http://www.gottwein.[...]
[5]
백과사전
Magius
John Wiley & Sons
[6]
문헌
Purg. XVIII.83
[7]
잡지
La terra di Virgilio
1986
[8]
서적
Castel Goffredo dalle origini ai Gonzaga
2008
[9]
서적
Vergil in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11-23
[10]
서적
Virgil in the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11-23
[11]
서적
Writing the Research Paper: A Handbook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6-11-23
[12]
논문
Vergil or Virgil?
[13]
웹사이트
Vergil and 'The Aeneid'
http://www.usu.edu/m[...]
2020-05-28
[14]
학술지
The Family of Vergil
1934
[15]
문헌
Satires 1.5, 1.6; Odes 1.3
[16]
학술지
Augustus and the "Aeneid"
[17]
백과사전
[18]
백과사전
Virgil, tomb of
John Wiley & Sons
[19]
서적
The Book of Days
https://archive.org/[...]
W and R Chambers
[20]
서적
The Discovery of the Mind: the Greek Origins of European Thought
Harper
1960
[21]
웹사이트
What Is a Classic?
http://bracchiumfort[...]
Faber & Faber
[22]
문헌
Jenkyns, p. 53
[23]
웹사이트
Globalnet.co.uk
http://www.users.glo[...]
[24]
문헌
Fowler, pp. 1605–1606
[25]
논문
Evidences of Incompleteness in the "Aeneid" of Vergil
[26]
문헌
Theb.12.816–817
[27]
서적
Virgil: The Aeneid
Cambridge
[28]
서적
The History of the Franks
Columbia University Press
[29]
서적
The Wandering Scholars
Fontana
[30]
문헌
Waddell, pp. 22–3.
[31]
문헌
Waddell, p. 101.
[32]
서적
The Divine Comedy (The Inferno, The Purgatorio, and The Paradiso)
Berkley
[33]
문헌
Gransden, pp. 108–111.
[34]
서적
Northern Renaissance Art
Harry N. Abrams
[35]
서적
The Virgilian Tradition: The First Fifteen Hundred Year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3-11-11
[36]
백과사전
Golem
[37]
서적
The Virgilian Tradition: The First Fifteen Hundred Year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8-11-11
[38]
서적
The Virgilian Tradition: The First Fifteen Hundred Year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8-11-11
[39]
웹사이트
Virgil Roman poet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24-10-15
[40]
서적
ヨーロッパの言語
岩波書店
1969
[41]
서적
内乱記
[42]
서적
Der Kleine Pauly. Lexicon der Antike in fünf Bänden
1979
[43]
라디오방송
L’Enéide, Virgile et les poètes latins
Europe 1
2013-01-11
[44]
서적
ローマ皇帝伝
[45]
서적
ローマ皇帝伝
[46]
서적
ローマ皇帝伝
[47]
서적
ウェルギリウス伝
[48]
서적
Mémoires pour l'histoire des sciences et des beaux-arts
https://books.google[...]
Jean Boudot
1736
[49]
서적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1996
[50]
서적
2005
[51]
서적
歌章
[52]
서적
歌章
[53]
라디오방송
L’Enéide, Virgile et les poètes latins
Europe 1
2013-01-11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風刺詩 & 歌章
[57]
서적
ローマ皇帝伝
[58]
서적
[59]
학술지
Augustus and the "Aeneid"
[60]
서적
[61]
백과사전
Virgil
https://archive.org/[...]
2012-06-07
[62]
학술지
Evidences of Incompleteness in the "Aeneid" of Vergil
http://www.jstor.org[...]
2015-11-01
[63]
서적
ダンテ 神曲(上)
岩波文庫
1952
[64]
서적
Critical Companion to Dante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6-11-23
[65]
서적
西洋中世奇譚集成 皇帝の閑暇
講談社学術文庫
2009
[66]
서적
パルチヴァール
郁文堂
1998
[67]
서적
Les œuvres de Virgile traduites en prose: enrichies de figures
1649
[68]
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