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네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네이스는 트로이의 영웅 아이네이아스가 이탈리아에 정착하여 로마인의 조상이 되는 과정을 그린 베르길리우스의 서사시이다. 아이네이아스는 트로이 함락 이후 방랑하며 카르타고의 여왕 디도와 비극적인 사랑을 겪고, 이탈리아에서 라티누스 왕의 딸 라비니아와 결혼하려다 투르누스와 대결한다. 서사시는 아이네이아스의 여정과 라티움 전쟁을 다루며, 신들의 개입과 로마의 운명을 예언한다. 아이네이아스는 아우구스투스 황제를 연상시키며, 로마의 기원과 번영을 찬양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작품은 서구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쳐, 단테의 신곡, 밀턴의 실낙원 등 다양한 작품에 영감을 주었으며, 현대에도 널리 연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세기 작품 - 안티키티라 기계
안티키테라 기계는 기원전 2세기 후반 또는 1세기 초에 제작된 고대 그리스의 천문 계산 장치로, 복잡한 기어 시스템을 이용해 태양, 달, 행성의 움직임과 천문 현상을 예측하고 이집트 달력, 올림피아드 주기, 사로스 주기 등을 계산할 수 있는 뛰어난 기술력을 보여주는 유물이다. - 베르길리우스 - 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
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는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주석으로 유명한 고대 로마의 문법학자로, 다양한 형태의 《아이네이스》 주석과 도나투스 문법서 주석, 운율 관련 논문 등 여러 저작을 남겼다. - 베르길리우스 - 신곡
신곡은 단테 알리기에리가 지은 서사시로 지옥, 연옥, 천국을 여행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원래는 '코메디아'라 불렸으나 후에 '신성한 희극'으로 칭해지고, 정치적 망명과 사랑을 배경으로 사회 부조리와 인간 본성을 통찰하며, 33곡씩 총 100곡으로 구성되었다. - 고대 로마의 문학 - 변신 이야기
《변신 이야기》는 로마 시인 오비디우스가 세계 창조부터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죽음까지의 역사를 3음보 6보격으로 구성한 서사시로, 신화 속 변신을 소재로 사랑과 인간의 열정을 다루며 신들의 우스꽝스러운 면모를 드러낸다. - 고대 로마의 문학 - 사토르 마방진
사토르 마방진은 SATOR, AREPO, TENET, OPERA, ROTAS 다섯 단어로 이루어진 5x5 단어 사각형으로, 수직과 수평으로 읽어도 같은 배열을 가지며 유럽 각지에서 발견되었고 부적으로도 사용되었다.
아이네이스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AENEIS |
원제 언어 | 라틴어 |
저자 | 베르길리우스 |
쓰여진 시기 | 기원전 29–19년 |
최초 출판 | 기원전 19년 |
언어 | 고전 라틴어 |
장르 | 서사시 |
운율 | 다크틸로스 6각운 |
출판일 | 1469년 |
영어 출판일 | 1697년 |
매체 | 필사본 |
행 수 | 9,896 |
이전 작품 | 농경시 |
주제 | |
주제 | 서사시권 트로이아 전쟁 로마 건국 |
등장인물 | |
주요 등장인물 | 아이네이아스 디도 |
번역 | |
번역가 | 존 드라이든 헨리 하워드, 서리 백작 시머스 히니 앨런 만델바움 로버트 피츠제럴드 로버트 페이글스 프레데릭 알 세라 루든 |
2. 주요 등장인물
2. 1. 인간
아이네이아스(Aenēās)는 일리아스에 등장하는 트로이아의 영웅이다. 트로이 함락 후, 아들 아스카니우스(Ascanius), 아버지 안키세스와 함께 방랑 끝에 새로운 땅 이탈리아에 도착한다. 아스카니우스(Ascanius)는 아이네이아스의 아들로, 처음에는 유아로 묘사되지만, 작품 속에서 뛰어난 전사로 성장한다. 다른 이름은 이울루스(Iūlus)이다.디도(Dīdō)는 카르타고의 여왕으로, 떠돌이인 아이네이아스와 열정적인 사랑에 빠지지만, 아이네이아스가 카르타고를 떠나자 이별을 슬퍼하며 자신의 몸을 장작불에 던져 비극적인 자살을 한다. 그때, 후일 포에니 전쟁에서 로마가 카르타고 군에 시달리는 것을 암시하는 원한의 말을 남긴다.
라티누스(Latīnus)는 이탈리아 한 지역의 왕으로, 유능한 왕으로 묘사된다. 라비니아(Lāvīnia)는 라티누스의 딸이자, 투르누스와 약혼했다. 그러나 라티누스가 능력을 인정한 아이네이아스와 그녀를 결혼시키려 한 것이 투르누스가 아이네이아스와 싸우게 된 계기가 된다.
투르누스(Turnus)는 이탈리아의 한 지역의 왕으로, 그곳에 도착한 아이네이아스와 대결하게 된다. 『아이네이스』의 마지막 장면은 그와 아이네이아스의 일기토이며, 바로 승부가 나려는 순간 현존하는 작품은 끝맺는다.
2. 2. 신
《아이네이스》에서 가장 반복되는 주제 중 하나는 신의 개입이다.[21] 서사시 전반에 걸쳐 신들은 주인공들에게 끊임없이 영향을 미치고, 그들이 모두 알고 있는 운명이 일어날지라도 결과를 바꾸고 영향을 미치려고 한다.[22] 예를 들어, 주노는 아에네아스의 환영으로 나타나 팔라스의 죽음으로 인한 분노에 찬 투르누스를 진짜 아에네아스로부터 몰아낸다.[23] 주노는 결국 아에네아스가 투르누스를 이길 것을 알고 있지만, 이러한 결과를 지연시키고 피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신의 개입은 특히 4권에서 여러 번 발생한다. 아에네아스는 디도와 사랑에 빠져 이탈리아로 여행하는 그의 궁극적인 운명을 지연시킨다. 그러나 실제로 신들이 주노의 계략에 따라 그 사랑을 불어넣었다. 주노는 비너스와 이야기하며, 디도와 아에네아스의 삶과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합의를 한다.[24] 같은 책의 후반부에서, 주피터는 아에네아스에게 진정한 운명과 길을 되찾아 주기 위해 개입하여 메르쿠리우스를 아에네아스의 꿈에 보내 이탈리아로 가서 새로 찾은 연인을 떠나야 한다고 말한다.[25]
신들은 결과가 어떻게 될지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운명의 힘에 맞서 개입하려고 한다. 이러한 개입은 단지 갈등을 지속시키고 불가피한 일을 연기하기 위한 방해물일 뿐이다. 만약 신들이 인간을 대표한다면, 인간 등장인물들이 갈등과 권력 투쟁에 참여하듯이, 신들 또한 그렇게 한다.
- '''비너스(Venus):''' 사랑과 미의 여신이자 아이네이아스의 어머니. 그의 안전을 걱정하여 때로는 계략을 사용하여 그를 돕는다.
- '''주피터(Iuppiter):''' 신들의 왕. 비너스에게 아이네이아스가 고난을 극복하고 로마의 기초를 세울 운명에 있다는 것을 알린다. Iuppiter omnipotens (전능한 주피터)[63]
- '''주노(Jūnō):''' 주피터의 아내. 파리스의 심판을 원망하여 트로이 멸망 후에도 아이네이아스의 여정을 방해한다.
3. 줄거리
《아이네이스》는 1권부터 6권까지(아이네이아스의 이탈리아 라티움으로의 여정)와 7권부터 12권까지(라티움 전쟁)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와 《일리아스》와 연관되어 있다.[5] 이 두 부분은 호메로스를 능가하려는 베르길리우스의 야망을 반영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여겨진다. 즉, 《오디세이아》의 방랑 모티브와 《일리아스》의 전쟁 모티브를 모두 다룬 것이다.[6] 하지만 이것은 대략적인 대응 관계이며, 그 한계를 명심해야 한다.[6]
트로이 함락 후 아이네이아스가 이탈리아에 새로운 터전을 찾아 로마인의 조상이 된다는 결정적인 이야기는 베르길리우스에 의해 확립되었지만, 트로이 이후 아이네이아스의 모험에 대한 신화는 그보다 수 세기 앞선다. 기원전 6세기부터 시작된 그리스 식민지의 확장과 더불어, 그리스 식민자들은 종종 그들의 새로운 터전과 그곳에 있던 원주민들을 기존 신화와 연결하려고 시도했다. 먼 땅을 여행하는 오디세우스의 이야기를 담은 《오디세이아》는 이미 그러한 연결고리를 제공했다. 아이네이아스의 이야기는 로마뿐만 아니라 다양한 그리스, 에트루리아, 라틴, 로마 요소들의 조합을 반영한다.
기원전 6세기 초의 그리스 도자기는 베르길리우스보다 훨씬 이전에 에트루리아에 새로운 터전을 세운 아이네이아스에 대한 초기 그리스 신화적 이야기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며, 그는 자신이 세운 도시인 라비니움에서 숭배받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라비니움에서 발견된 13개의 대형 제단은 기원전 6세기에서 4세기에 이르는 초기 그리스의 영향을 보여준다. 그 후 수세기 동안 로마인들은 그리스 식민지와 접촉하여 정복하고 아이네이아스의 전설을 자신의 신화적 이야기에 포함시켰다. 기원전 280년 에피루스의 피로스 왕과의 전쟁 이후 그리스 신화와 로마와 로마인에 관한 창건 신화에 대한 그리스 신화의 통합에 관심을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트로이는 로마를 그리스 역사 전통에 편입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했고, 과거 그리스인들이 새로운 땅과 자신들을 연결하는 데 사용했던 것과 마찬가지였다.
베르길리우스는 서사시를 그의 주제를 진술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 "...", "무기와 사람을 노래하노라..."). 그리고 서사시가 시작된 지 일곱 줄 후에 뮤즈에게 헌사를 바친다 ( "...", "오 뮤즈여, 나에게 그 원인들을 이야기하소서..."). 그런 다음 그는 이야기의 주요 갈등의 이유를 설명한다. 여신 주노가 트로이 사람들에 대해 품고 있는 분노이다. 이것은 호머의 서사시 전반에 걸쳐 그녀의 역할과 일치한다.
《아이네이스》(Aeneid)는 다른 고전 서사시들처럼 다음절로 쓰여졌다. 각 행은 다클틸(긴 음절 하나와 짧은 음절 두 개)과 스폰데(긴 음절 두 개)로 이루어진 여섯 개의 운율적 발(feet)로 구성된다. 이 서사시는 12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야기는 각각 디도, 트로이 사람들의 이탈리아 도착, 라틴인들과의 전쟁을 다루는 네 권씩 세 부분으로 나뉜다. 각 권은 대략 700~900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이네이스》는 갑작스럽게 끝나며, 학자들은 베르길리우스가 시를 완성하기 전에 사망했을 것이라고 추측해왔다.[13]
트로이의 왕자이자 비너스의 아들인 아이네이아스가 트로이 멸망 후, 여러 고난과 카르타고의 여왕 디도와의 비극적인 사랑을 겪은 후 이탈리아에 도착하여, 현지 왕의 딸과의 약혼과 그에 반대하는 세력과의 전투를 그린 서사시이다. 시에서 종종 건설이 예언되는 알바 롱가는 로마의 건국자 로물루스와 레무스의 출생지이며, 당시 로마의 기초로 여겨졌다. 단순히 신화적인 영웅을 찬양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당시 내전을 종식시킨 로마의 실권자 아우구스투스의 치세를 아이네이아스에 투영하여 칭찬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디도와 헤어진 후 저승에서 앞으로 나아갈 길에 대한 계시를 받는데, 주인공 아이네이아스에게는 미래, 베르길리우스에게는 동시대인,
내란의 1세기를 거쳐 다시 평화를 가져온 아우구스투스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양자이며, 율리우스 가문은 아이네이아스의 아들 이율루스(Iulusla)의 후손이라고 주장했기 때문에, 아이네이아스는 아우구스투스를 연상시키며, 여기에 이르는 운명을 예감하게 했다. 아우구스투스 찬양 선전의 냄새를 없애기 위해 아이네이아스가 이용되었다는 해석도 가능하지만, 베르길리우스의 손으로 용맹과 자애, 냉정과 애석이 공존하는 독자적인 매력을 지닌 존재가 되었다. 율리우스 가문 이율루스 가문(Iullusla)은 『아이네이스』 출판 후 Iulus로 표기되고 있다.
로마의 쌍둥이 건국 신화 이후, 그리스 신화에 통합되어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진 트로이의 후예로서의 신화를 이야기하는 것도 목적이었다. 그 구성은 호메로스의 『일리아스』과 『오디세이아』를 본보기로 하고 있다. 즉, 전반부(1-6권)의 아이네이아스가 이탈리아에 도착하기까지 방황을 계속하는 부분이 『오디세이아』적이고, 후반부(7-12권)의 이탈리아에 도착한 아이네이아스가 토착 세력과 싸우는 부분이 『일리아스』적이라고 여겨진다. 전반부는 아이네이아스에 오디세우스가 투영되어 있음이 명확하지만, 후반부는 『일리아스』의 여러 영웅의 속성이 투영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약혼한 딸 라비니아와 결혼하는 이방인의 입장은 파리스를 연상시키고, 반대로 일기토에서 도망치는 적장 투르누스를 추격하는 모습은 메넬라오스를 연상시킨다. 또한 일기토 결착 후 참전한 팔라스의 칼집을 보고, 친구를 죽인 분노로 투르누스에게 복수하는 모습은 아킬레우스를 연상시킨다. 물론 전편에 걸쳐 호메로스의 영향은 크며, 이상의 『오디세이아』『일리아스』의 구분은 단지 작품 전체를 거시적으로 볼 때 타당한 것이다.
아이네이아스의 이야기를 들려주면서도, 베르길리우스 시대 로마의 패권을 예언의 형태로 보여줌으로써, 지금까지의 로마 역사를 되돌아보게 하고, 그리스군에게 패한 트로이의 후예인 로마가 승리하는 것은 운명이며, 그리스에 대한 콤플렉스를 극복하고 있다.
== 제1권: 폭풍과 카르타고 도착 ==
트로이의 영웅 아이네이아스와 그의 백성들이 이탈리아에 정착하기까지의 여정을 노래한다. 트로이에 적대적인 유노는 트로이 함대를 파멸시키려 아이올루스에게 바람을 일으키도록 명령한다.
하지만 넵투누스의 개입으로 함대는 카르타고로 피신하게 된다. 유피테르는 베누스에게 트로이 유랑민이 라비니움에 정착하여 로마를 건설할 것이라고 예언한다.
메르쿠리우스는 디도가 트로이 유랑민에게 호감을 갖도록 유도하고, 아이네이아스는 사냥꾼으로 변장한 어머니 비너스를 만나 카르타고와 디도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디도는 아이네이아스와 유랑민을 환영하고, 비너스의 영향으로 그에게 호감을 갖게 된다. 디도는 만찬에서 아이네이아스에게 트로이 함락과 7년간의 유랑에 대해 이야기해 줄 것을 청한다.
이야기는 '''사건의 한가운데에서''' 시작된다. 아이네이아스가 이끄는 트로이 함대는 지중해 동쪽에서 이탈리아로 항해 중이며, 새로운 고향을 찾고 있다. 유노는 파리스의 심판에서 선택받지 못했고, 카르타고가 아이네이아스의 후손에 의해 파괴될 것이며, 가니메데가 헤베를 대신하여 주피터의 술 따르는 사람으로 선택되었기 때문에 분노한다. 유노는 아이올로스에게 뇌물(바다 님프 중 가장 아름다운 데이오페아를 아내로)을 주고 폭풍을 일으키도록 요청하고, 아이올로스는 이를 따른다.
넵투누스는 유노의 개입에 분노하여 바람을 잠재우고, 트로이 함대는 아프리카 해안에 피난처를 마련한다. 아이네이아스는 부하들의 사기를 북돋고, 비너스는 디아나와 흡사한 사냥꾼 모습으로 나타나 그를 격려하고 카르타고의 역사를 들려준다. 아이네이아스는 디도의 호의를 얻고, 도시는 티레 난민들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로마의 경쟁자가 될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비너스는 큐피드에게 아스카니우스로 변장하여 디도에게 선물을 주도록 하고, 큐피드는 디도가 남편 시케우스에 대한 충실함을 약화시키고 아이네이아스에게 새로운 사랑을 느끼도록 만든다.
== 제2권: 트로이 함락 ==
아이네이스는 트로이 목마에 관한 자세한 이야기와 라오콘의 비극을 언급하며 트로이 전쟁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시논이 목마를 열자 그 속에 숨어 있던 아카이군이 쏟아져 나와 트로이군을 습격하여 프리아모스의 성이 함락된다. 아수라장이 된 성에서 아이네아스는 베스타 신전에 틀어박힌 헬레나를 발견하고 죽이려 하지만 베누스가 나타나 만류한다. 아이네아스는 가족들을 데리고 성에서 피신하던 중 아내 크레우사를 잃고, 아내의 화신으로부터 운명에 대한 예언을 듣는다. 결국 아이네아스는 피난민을 이끌고 이다 산으로 유랑길에 오른다.
교활한 율리시스는 그리스인 전사들이 거대한 목마에 숨어 트로이 성벽으로 진입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그리스인들은 항해를 떠난 척하며, 시논을 남겨 트로이 목마가 제물이며, 도시 안으로 가져가면 트로이 사람들이 그리스를 정복할 수 있다고 속였다. 트로이 사제 라오코온은 그리스의 계략을 간파하고 목마를 파괴하려 했지만, 바다에서 나타난 두 마리의 뱀에게 아들들과 함께 죽임을 당한다.
꿈속에서 헥토르는 아이네이아스에게 가족과 함께 도망칠 것을 조언했고, 아이네이아스는 피루스에게 프리아모스가 살해당하는 것을 목격한다. 그의 어머니 비너스가 나타나 그를 집으로 데려갔고, 여러 징조가 나타난 후 아들 아스카니우스, 아내, 아버지 안키세스와 함께 탈출했다. 도시 문에서 크레우사를 잃어버렸다는 것을 알게 된 아이네이아스는 그녀를 찾기 위해 다시 도시로 들어가 그녀의 유령을 만나 헤스페리아에 도착하는 것이 그의 운명이라는 말을 듣는다.
== 제3권: 방랑 ==
아이네이아스는 디도에게 다른 생존자들을 모아 함대를 만들고 지중해 여러 곳에 상륙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트라키아에서는 동료 트로이인 폴리도로스의 유해를 발견했고, 델로스에서는 아폴론이 그들에게 조상의 땅을 찾으라고 말했다. 그들은 크레타가 그 땅이라 믿고 도시(페르가메아)를 세웠지만, 역병 때문에 그곳을 떠났다. 스트로파데스에서는 하르푸이아 켈라이노를 만나 이탈리아를 찾으라는 말을 듣지만, 굶주림에 시달려 식탁을 먹을 때까지는 찾지 못할 것이라는 예언을 듣는다. 부트로툼에서는 트로이를 재현하려는 도시에서 헥토르의 미망인 안드로마케를 만나고, 예언 능력을 가진 프리아모스의 아들 헬레누스를 통해 자신의 운명을 듣는다. 헬레누스는 쿠마이의 시빌라를 찾아가라고 조언한다.
아이네이아스는 부트로툼을 떠나 이탈리아 남동쪽 끝을 돌아 시칠리아(트리나크리아)로 향하던 중 카리브디스의 소용돌이에 휘말린다. 곧 키클롭스의 땅에 상륙하여 오디세우스의 부하 아카이메니데스를 만나고, 폴리페모스에게서 간신히 벗어난다. 얼마 후 드레파눔에서 아버지 안키세스가 사망하고, 아이네이아스는 이탈리아로 향하지만 폭풍우로 카르타고에 도착한다. 여기서 아이네이아스는 디도에게 자신의 방랑 이야기를 마친다.
== 제4권: 디도와의 사랑과 이별 ==
디도는 아이네이아스를 사랑하게 된 것을 깨닫는다. 주노는 아이네이아스가 이탈리아에 도시를 건설하려는 운명에서 벗어나도록 비너스와 거래를 시도한다. 아이네이아스는 디도의 사랑에 마음이 기울고, 사냥 중 폭풍우를 피해 동굴에서 디도와 사랑을 나눈다. 주노는 디도가 결혼식으로 여기는 의식을 주관한다.[7]
파마(소문의 의인화)는 이들의 결합 소식을 퍼뜨리고, 디도에게 청혼했다 거절당했던 야르바스 왕은 분노하여 주피터에게 항의한다. 주피터는 메르쿠리우스를 보내 아이네이아스에게 의무를 상기시키고 떠날 것을 명한다.[7]
메르쿠리우스의 지시로 아이네이아스가 비밀리에 떠나려 하자, 디도는 배신감을 느끼고 애원하지만, 아이네이아스는 의무를 강조하며 떠난다. 상심한 디도는 장작더미에 몸을 던져 자살하며, 아이네이아스의 백성과 자신의 백성 사이에 영원한 불화를 예언하는데, 이는 한니발을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7]
== 제5권: 시칠리아에서의 경기 ==
아이네이아스는 배 위에서 디도의 장례식 화장탑 연기를 보며 불길한 징조를 느낀다.[8] 악천후로 인해 트로이인들은 시칠리아로 돌아오게 되고, 아이네이아스는 아버지의 기일에 맞춰 장례 경기를 개최한다.[8]
경기는 배 경주, 달리기 경주, 권투 경기, 궁술 대회 순으로 진행되었다.[8] 아이네이아스는 모든 경기에서 승자와 패자 모두에게 공정하게 보상하며 리더십을 보여주었다.[8] 이 경기들은 과거와 미래의 사건들을 예고하는데, 예를 들어 권투 경기는 아이네이아스와 투르누스의 최종 대결을 미리 보여주며, 궁술 대회의 비둘기는 폴리테스와 프리아모스 왕, 그리고 카밀라의 죽음과 관련이 있다.[8] 이후 아스카니우스는 소년들을 이끌고 군사 퍼레이드와 모의 전투인 트로이아 놀이를 한다.[8]
이 사건들 동안, 주노는 이리스를 시켜 트로이 여인들을 부추겨 함대에 불을 지르게 하지만, 아이네이아스와 아스카니우스의 개입으로 실패한다.[8] 아이네이아스는 주피터에게 기도하여 폭우로 화재를 진압하고, 아버지의 환영을 통해 지하 세계로 가라는 조언을 듣는다.[8] 이탈리아로의 안전한 항해를 위해 신들은 아이네이아스의 부하 팔리누루스를 희생 제물로 바치고, 팔리누루스는 솜누스에 의해 잠들어 바다에 빠진다.[8]
== 제6권: 지하 세계 방문 ==
아이네이아스는 쿠마이 시빌레의 안내를 받아 저승으로 내려간다. 그들은 아케론 강가에서 죽은 자들의 무리를 지나 카론에게 배를 타고 건너간 후, 저승의 세 머리 달린 수호자 케르베로스를 지나친다. 그런 다음 아이네이아스는 타르타로스에서 악한 자들의 운명을 보게 되고, 시빌레에게서 신들의 정의에 굴복하라는 경고를 듣는다. 그는 또한 화해할 수 없는 디도의 혼령을 만난다. 그런 다음 그는 엘리시움의 푸른 들판으로 인도된다. 거기서 그는 아버지의 혼령과 대화하고 로마의 운명에 대한 예언적인 환상을 보게 된다.
트로이의 왕자이자 비너스의 아들인 아이네이아스는 트로이 멸망 후, 카르타고의 여왕 디도와의 비극적인 사랑을 겪은 후 이탈리아에 도착한다. 베르길리우스는 아이네이아스의 이야기를 통해 로마의 기원과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대의 로마 패권을 예언의 형태로 보여준다.
== 제7권: 라티움 도착과 전쟁 발발 ==
아이네이아스는 죽음의 세계에서 돌아온 후 트로이군을 이끌고 라티움에 정착한다. 라티움의 왕 라티누스는 낯선 이들의 도착을 예언하는 신탁을 받고, 딸 라비니아를 외국인과 결혼시키라는 계시를 받는다. 신탁은 또한 라비니아를 원주민 부족인 루툴리의 지배자 투르누스와 결혼시키지 말라고 경고한다.
트로이인들의 호의적인 상황에 불만을 품은 유노는 지하 세계에서 복수의 여신 알렉토를 불러내어 트로이인들과 현지인들 사이에 전쟁을 일으키게 한다. 알렉토는 라티움의 여왕이자 라티누스의 아내인 아마타를 부추겨 라비니아를 투르누스와 결혼시키라고 요구하게 만든다. 또한 알렉토는 투르누스의 분노를 촉발하여 그가 트로이인들과 전쟁을 벌이도록 하며, 아스카니우스가 사냥 중에 존경받는 사슴을 다치게 한다.
이러한 사건들로 인해 아이네이아스가 전쟁을 피하려 했음에도 불구하고, 적대 행위가 시작된다. 7권은 이탈리아 전사들의 목록으로 끝맺는다.
== 제8권: 팔란테움 방문과 동맹 ==
임박한 전쟁을 앞두고, 아이네이아스는 꿈에서 티베리누스의 격려를 받은 후, 루툴리의 적들인 에트루리아인들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로마가 세워질 장소에서 그는 친절한 그리스인, 팔레네의 왕 에반데르(Evander of Pallene)를 만난다. 그의 아들 팔라스(Pallas (son of Evander))는 아이네이아스에 합류하여 루툴리에 맞서 싸울 군대를 이끌기로 동의한다. 비너스는 남편 불카누스에게 아이네이아스를 위한 무기를 만들 것을 촉구하고, 이를 선물로 아이네이아스에게 전달한다. 방패에는 로마의 미래 역사가 묘사되어 있다.
== 제9권: 트로이 진영 포위 ==
유노(Juno)의 부추김을 받은 투르누스(Turnus)가 트로이 진영을 공격한다. 유노는 투르누스에게 아이네이아스가 진영을 비웠다고 알려준다. 밤중에 트로이군 니수스(Nisus)와 유리알루스(Euryalus)가 투르누스 진영에 기습 공격을 감행하지만, 결국 목숨을 잃는다. 다음 날, 투르누스는 진영의 문을 돌파하는 데 성공하지만, 티베르 강(Tiber)으로 뛰어들어 퇴각한다.
== 제10권: 첫 번째 전투 ==
신들의 회의에서 비너스와 주노가 주피터 앞에서 설전을 벌인다. 아이네이아스는 새로운 아르카디아와 에트루리아 동맹군과 함께 포위된 트로이 진영으로 돌아온다. 이어진 전투에서 많은 이들이 죽는데, 특히 에우안데르가 아이네이아스에게 맡겼지만 투르누스에게 죽임을 당한 팔라스가 눈에 띈다. 투르누스의 측근인 메젠티우스는 아들 라우수스가 아이네이아스에게 죽는 것을 방관한 채 도망친다. 그는 스스로를 비난하고 결투에서 아이네이아스와 맞서 싸우지만, 명예로운 싸움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헛된 노력으로 끝나며 죽음을 맞이한다.
== 제11권: 휴전과 카밀라의 죽음 ==
팔라스의 장례식 후 짧은 휴전이 끝나고 전쟁이 다시 시작된다. 또 다른 토착민인 카밀라는 디아나 여신에게 헌신한 용감한 아마존 전사였으나, 비겁한 아룬스에게 독살당해 죽는다. 아룬스는 다시 디아나의 수호신인 오피스에게 죽임을 당한다.
== 제12권: 아이네아스와 투르누스의 결투 ==
아이네이아스와 투르누스 사이에 일대일 결투가 제안되지만, 아이네이아스가 투르누스보다 훨씬 우세하여, 유노의 사주를 받은 투르누스의 여신 누이 유투르나의 부추김을 받은 루툴리인들은 휴전을 깨뜨린다. 아이네이아스는 화살에 맞아 부상을 입지만, 어머니 비너스의 도움으로 곧 치유되고 전투에 복귀한다. 투르누스와 아이네이아스는 양쪽 날개에서 전투를 지배하지만, 아이네이아스가 라티움 도시를 대담하게 공격하여 (라티움의 여왕이 절망하여 자살하게 만듦) 투르누스를 다시 한번 일대일 결투로 몰아넣는다. 결투에서 투르누스는 바위를 던지려 할 때 힘이 빠지고, 아이네이아스의 창이 그의 허벅지를 꿰뚫는다. 투르누스가 무릎을 꿇고 목숨을 구걸하자, 서사시는 아이네이아스가 처음에는 투르누스의 간청에 따라 그의 목숨을 살려줄까 망설이다가, 투르누스가 어깨에 아이네이아스의 친구 팔라스의 벨트를 전리품으로 걸치고 있는 것을 보고 분노에 차서 그를 죽이는 것으로 끝맺는다.
3. 1. 제1권: 폭풍과 카르타고 도착
트로이의 영웅 아이네이아스와 그의 백성들이 이탈리아에 정착하기까지의 여정을 노래한다. 트로이에 적대적인 유노는 트로이 함대를 파멸시키려 아이올루스에게 바람을 일으키도록 명령한다. 하지만 넵투누스의 개입으로 함대는 카르타고로 피신하게 된다. 유피테르는 베누스에게 트로이 유랑민이 라비니움에 정착하여 로마를 건설할 것이라고 예언한다.메르쿠리우스는 디도가 트로이 유랑민에게 호감을 갖도록 유도하고, 아이네이아스는 사냥꾼으로 변장한 어머니 비너스를 만나 카르타고와 디도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디도는 아이네이아스와 유랑민을 환영하고, 비너스의 영향으로 그에게 호감을 갖게 된다. 디도는 만찬에서 아이네이아스에게 트로이 함락과 7년간의 유랑에 대해 이야기해 줄 것을 청한다.
이야기는 '''사건의 한가운데에서''' 시작된다. 아이네이아스가 이끄는 트로이 함대는 지중해 동쪽에서 이탈리아로 항해 중이며, 새로운 고향을 찾고 있다. 유노는 파리스의 심판에서 선택받지 못했고, 카르타고가 아이네이아스의 후손에 의해 파괴될 것이며, 가니메데가 헤베를 대신하여 주피터의 술 따르는 사람으로 선택되었기 때문에 분노한다. 유노는 아이올로스에게 뇌물(바다 님프 중 가장 아름다운 데이오페아를 아내로)을 주고 폭풍을 일으키도록 요청하고, 아이올로스는 이를 따른다.
넵투누스는 유노의 개입에 분노하여 바람을 잠재우고, 트로이 함대는 아프리카 해안에 피난처를 마련한다. 아이네이아스는 부하들의 사기를 북돋고, 비너스는 디아나와 흡사한 사냥꾼 모습으로 나타나 그를 격려하고 카르타고의 역사를 들려준다. 아이네이아스는 디도의 호의를 얻고, 도시는 티레 난민들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로마의 경쟁자가 될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비너스는 큐피드에게 아스카니우스로 변장하여 디도에게 선물을 주도록 하고, 큐피드는 디도가 남편 시케우스에 대한 충실함을 약화시키고 아이네이아스에게 새로운 사랑을 느끼도록 만든다.
3. 2. 제2권: 트로이 함락
아이네이스는 트로이 목마에 관한 자세한 이야기와 라오콘의 비극을 언급하며 트로이 전쟁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시논이 목마를 열자 그 속에 숨어 있던 아카이군이 쏟아져 나와 트로이군을 습격하여 프리아모스의 성이 함락된다. 아수라장이 된 성에서 아이네아스는 베스타 신전에 틀어박힌 헬레나를 발견하고 죽이려 하지만 베누스가 나타나 만류한다. 아이네아스는 가족들을 데리고 성에서 피신하던 중 아내 크레우사를 잃고, 아내의 화신으로부터 운명에 대한 예언을 듣는다. 결국 아이네아스는 피난민을 이끌고 이다 산으로 유랑길에 오른다.교활한 율리시스는 그리스인 전사들이 거대한 목마에 숨어 트로이 성벽으로 진입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그리스인들은 항해를 떠난 척하며, 시논을 남겨 트로이 목마가 제물이며, 도시 안으로 가져가면 트로이 사람들이 그리스를 정복할 수 있다고 속였다. 트로이 사제 라오코온은 그리스의 계략을 간파하고 목마를 파괴하려 했지만, 바다에서 나타난 두 마리의 뱀에게 아들들과 함께 죽임을 당한다.
꿈속에서 헥토르는 아이네이아스에게 가족과 함께 도망칠 것을 조언했고, 아이네이아스는 피루스에게 프리아모스가 살해당하는 것을 목격한다. 그의 어머니 비너스가 나타나 그를 집으로 데려갔고, 여러 징조가 나타난 후 아들 아스카니우스, 아내, 아버지 안키세스와 함께 탈출했다. 도시 문에서 크레우사를 잃어버렸다는 것을 알게 된 아이네이아스는 그녀를 찾기 위해 다시 도시로 들어가 그녀의 유령을 만나 헤스페리아에 도착하는 것이 그의 운명이라는 말을 듣는다.
3. 3. 제3권: 방랑
아이네이아스는 디도에게 다른 생존자들을 모아 함대를 만들고 지중해 여러 곳에 상륙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트라키아에서는 동료 트로이인 폴리도로스의 유해를 발견했고, 델로스에서는 아폴론이 그들에게 조상의 땅을 찾으라고 말했다. 그들은 크레타가 그 땅이라 믿고 도시(페르가메아)를 세웠지만, 역병 때문에 그곳을 떠났다. 스트로파데스에서는 하르푸이아 켈라이노를 만나 이탈리아를 찾으라는 말을 듣지만, 굶주림에 시달려 식탁을 먹을 때까지는 찾지 못할 것이라는 예언을 듣는다. 부트로툼에서는 트로이를 재현하려는 도시에서 헥토르의 미망인 안드로마케를 만나고, 예언 능력을 가진 프리아모스의 아들 헬레누스를 통해 자신의 운명을 듣는다. 헬레누스는 쿠마이의 시빌라를 찾아가라고 조언한다.아이네이아스는 부트로툼을 떠나 이탈리아 남동쪽 끝을 돌아 시칠리아(트리나크리아)로 향하던 중 카리브디스의 소용돌이에 휘말린다. 곧 키클롭스의 땅에 상륙하여 오디세우스의 부하 아카이메니데스를 만나고, 폴리페모스에게서 간신히 벗어난다. 얼마 후 드레파눔에서 아버지 안키세스가 사망하고, 아이네이아스는 이탈리아로 향하지만 폭풍우로 카르타고에 도착한다. 여기서 아이네이아스는 디도에게 자신의 방랑 이야기를 마친다.
3. 4. 제4권: 디도와의 사랑과 이별
디도는 아이네이아스를 사랑하게 된 것을 깨닫는다. 주노는 아이네이아스가 이탈리아에 도시를 건설하려는 운명에서 벗어나도록 비너스와 거래를 시도한다. 아이네이아스는 디도의 사랑에 마음이 기울고, 사냥 중 폭풍우를 피해 동굴에서 디도와 사랑을 나눈다. 주노는 디도가 결혼식으로 여기는 의식을 주관한다.[7]파마(소문의 의인화)는 이들의 결합 소식을 퍼뜨리고, 디도에게 청혼했다 거절당했던 야르바스 왕은 분노하여 주피터에게 항의한다. 주피터는 메르쿠리우스를 보내 아이네이아스에게 의무를 상기시키고 떠날 것을 명한다.[7]
메르쿠리우스의 지시로 아이네이아스가 비밀리에 떠나려 하자, 디도는 배신감을 느끼고 애원하지만, 아이네이아스는 의무를 강조하며 떠난다. 상심한 디도는 장작더미에 몸을 던져 자살하며, 아이네이아스의 백성과 자신의 백성 사이에 영원한 불화를 예언하는데, 이는 한니발을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7]
3. 5. 제5권: 시칠리아에서의 경기
아이네이아스는 배 위에서 디도의 장례식 화장탑 연기를 보며 불길한 징조를 느낀다.[8] 악천후로 인해 트로이인들은 시칠리아로 돌아오게 되고, 아이네이아스는 아버지의 기일에 맞춰 장례 경기를 개최한다.[8]경기는 배 경주, 달리기 경주, 권투 경기, 궁술 대회 순으로 진행되었다.[8] 아이네이아스는 모든 경기에서 승자와 패자 모두에게 공정하게 보상하며 리더십을 보여주었다.[8] 이 경기들은 과거와 미래의 사건들을 예고하는데, 예를 들어 권투 경기는 아이네이아스와 투르누스의 최종 대결을 미리 보여주며, 궁술 대회의 비둘기는 폴리테스와 프리아모스 왕, 그리고 카밀라의 죽음과 관련이 있다.[8] 이후 아스카니우스는 소년들을 이끌고 군사 퍼레이드와 모의 전투인 트로이아 놀이를 한다.[8]
이 사건들 동안, 주노는 이리스를 시켜 트로이 여인들을 부추겨 함대에 불을 지르게 하지만, 아이네이아스와 아스카니우스의 개입으로 실패한다.[8] 아이네이아스는 주피터에게 기도하여 폭우로 화재를 진압하고, 아버지의 환영을 통해 지하 세계로 가라는 조언을 듣는다.[8] 이탈리아로의 안전한 항해를 위해 신들은 아이네이아스의 부하 팔리누루스를 희생 제물로 바치고, 팔리누루스는 솜누스에 의해 잠들어 바다에 빠진다.[8]
3. 6. 제6권: 지하 세계 방문
아이네이아스는 쿠마이 시빌레의 안내를 받아 저승으로 내려간다. 그들은 아케론 강가에서 죽은 자들의 무리를 지나 카론에게 배를 타고 건너간 후, 저승의 세 머리 달린 수호자 케르베로스를 지나친다. 그런 다음 아이네이아스는 타르타로스에서 악한 자들의 운명을 보게 되고, 시빌레에게서 신들의 정의에 굴복하라는 경고를 듣는다. 그는 또한 화해할 수 없는 디도의 혼령을 만난다. 그런 다음 그는 엘리시움의 푸른 들판으로 인도된다. 거기서 그는 아버지의 혼령과 대화하고 로마의 운명에 대한 예언적인 환상을 보게 된다.트로이의 왕자이자 비너스의 아들인 아이네이아스는 트로이 멸망 후, 카르타고의 여왕 디도와의 비극적인 사랑을 겪은 후 이탈리아에 도착한다. 베르길리우스는 아이네이아스의 이야기를 통해 로마의 기원과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대의 로마 패권을 예언의 형태로 보여준다.
3. 7. 제7권: 라티움 도착과 전쟁 발발
아이네이아스는 죽음의 세계에서 돌아온 후 트로이군을 이끌고 라티움에 정착한다. 라티움의 왕 라티누스는 낯선 이들의 도착을 예언하는 신탁을 받고, 딸 라비니아를 외국인과 결혼시키라는 계시를 받는다. 신탁은 또한 라비니아를 원주민 부족인 루툴리의 지배자 투르누스와 결혼시키지 말라고 경고한다.트로이인들의 호의적인 상황에 불만을 품은 유노는 지하 세계에서 복수의 여신 알렉토를 불러내어 트로이인들과 현지인들 사이에 전쟁을 일으키게 한다. 알렉토는 라티움의 여왕이자 라티누스의 아내인 아마타를 부추겨 라비니아를 투르누스와 결혼시키라고 요구하게 만든다. 또한 알렉토는 투르누스의 분노를 촉발하여 그가 트로이인들과 전쟁을 벌이도록 하며, 아스카니우스가 사냥 중에 존경받는 사슴을 다치게 한다.
이러한 사건들로 인해 아이네이아스가 전쟁을 피하려 했음에도 불구하고, 적대 행위가 시작된다. 7권은 이탈리아 전사들의 목록으로 끝맺는다.
3. 8. 제8권: 팔란테움 방문과 동맹
임박한 전쟁을 앞두고, 아이네이아스는 꿈에서 티베리누스의 격려를 받은 후, 루툴리의 적들인 에트루리아인들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로마가 세워질 장소에서 그는 친절한 그리스인, 팔레네의 왕 에반데르(Evander of Pallene)를 만난다. 그의 아들 팔라스(Pallas (son of Evander))는 아이네이아스에 합류하여 루툴리에 맞서 싸울 군대를 이끌기로 동의한다. 비너스는 남편 불카누스에게 아이네이아스를 위한 무기를 만들 것을 촉구하고, 이를 선물로 아이네이아스에게 전달한다. 방패에는 로마의 미래 역사가 묘사되어 있다.
3. 9. 제9권: 트로이 진영 포위
유노(Juno)의 부추김을 받은 투르누스(Turnus)가 트로이 진영을 공격한다. 유노는 투르누스에게 아이네이아스가 진영을 비웠다고 알려준다. 밤중에 트로이군 니수스(Nisus)와 유리알루스(Euryalus)가 투르누스 진영에 기습 공격을 감행하지만, 결국 목숨을 잃는다. 다음 날, 투르누스는 진영의 문을 돌파하는 데 성공하지만, 티베르 강(Tiber)으로 뛰어들어 퇴각한다.3. 10. 제10권: 첫 번째 전투
신들의 회의에서 비너스와 주노가 주피터 앞에서 설전을 벌인다. 아이네이아스는 새로운 아르카디아와 에트루리아 동맹군과 함께 포위된 트로이 진영으로 돌아온다. 이어진 전투에서 많은 이들이 죽는데, 특히 에우안데르가 아이네이아스에게 맡겼지만 투르누스에게 죽임을 당한 팔라스가 눈에 띈다. 투르누스의 측근인 메젠티우스는 아들 라우수스가 아이네이아스에게 죽는 것을 방관한 채 도망친다. 그는 스스로를 비난하고 결투에서 아이네이아스와 맞서 싸우지만, 명예로운 싸움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헛된 노력으로 끝나며 죽음을 맞이한다.3. 11. 제11권: 휴전과 카밀라의 죽음
팔라스의 장례식 후 짧은 휴전이 끝나고 전쟁이 다시 시작된다. 또 다른 토착민인 카밀라는 디아나 여신에게 헌신한 용감한 아마존 전사였으나, 비겁한 아룬스에게 독살당해 죽는다. 아룬스는 다시 디아나의 수호신인 오피스에게 죽임을 당한다.3. 12. 제12권: 아이네아스와 투르누스의 결투
아이네이아스와 투르누스 사이에 일대일 결투가 제안되지만, 아이네이아스가 투르누스보다 훨씬 우세하여, 유노의 사주를 받은 투르누스의 여신 누이 유투르나의 부추김을 받은 루툴리인들은 휴전을 깨뜨린다. 아이네이아스는 화살에 맞아 부상을 입지만, 어머니 비너스의 도움으로 곧 치유되고 전투에 복귀한다. 투르누스와 아이네이아스는 양쪽 날개에서 전투를 지배하지만, 아이네이아스가 라티움 도시를 대담하게 공격하여 (라티움의 여왕이 절망하여 자살하게 만듦) 투르누스를 다시 한번 일대일 결투로 몰아넣는다. 결투에서 투르누스는 바위를 던지려 할 때 힘이 빠지고, 아이네이아스의 창이 그의 허벅지를 꿰뚫는다. 투르누스가 무릎을 꿇고 목숨을 구걸하자, 서사시는 아이네이아스가 처음에는 투르누스의 간청에 따라 그의 목숨을 살려줄까 망설이다가, 투르누스가 어깨에 아이네이아스의 친구 팔라스의 벨트를 전리품으로 걸치고 있는 것을 보고 분노에 차서 그를 죽이는 것으로 끝맺는다.4. 영향
『아이네이스』에 대한 비평가들의 주된 관심사는 다양하다.[9] 특히 서사시 전체의 분위기는 논쟁의 대상인데, 어떤 이들은 이 서사시가 궁극적으로 비관적이며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정권에 대해 정치적으로 파괴적이라고 보는 반면, 다른 이들은 새로운 제국 왕조를 기념하는 것으로 본다. 베르길리우스는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상징성을 활용하며, 일부 학자들은 아우구스투스와
5. 한국적 관점
참조
[1]
서적
Landmarks in Classical Literature
https://books.google[...]
Fitzroy Dearborn
1999
[2]
뉴스
New translation of 'Aeneid' restores Virgil's wordplay and original meter
http://news.cornell.[...]
2016-12-05
[3]
웹사이트
Chapter 11: Vergil and The Aeneid
http://www.usu.edu/m[...]
2016-12-05
[4]
웹사이트
Why Read the Aeneid in Latin?
http://ancienthistor[...]
About.com
2016-12-05
[5]
논문
Vergil's ''Aeneid'' and Homer
https://www.perseus.[...]
1964
[6]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Virgil
[7]
서적
The Aeneid, translated by Robert Fagles, introduction by Bernard Knox
Viking Penguin
2006
[8]
학술지
The Function of Vergil's Funeral Games
1972
[9]
서적
Oxford Classical Dictionary
1996
[10]
서적
[11]
백과사전
Virgil
[12]
웹사이트
Virgil:Aeneid II
http://www.poetryint[...]
Poetryintranslation.com
2012-11-27
[13]
서적
1990
[14]
웹사이트
perseus.tufts.edu
[15]
학술지
Pietas versus Violentia in the Aeneid
1931
[16]
서적
1983
[17]
서적
1983
[18]
서적
1983
[19]
학술지
Dido, Aeneas, and the Concept of 'Pietas'
1972
[20]
서적
1983
[21]
학술지
The Gods in the Aeneid and The Effects of Divine Manifestation on the Reader's Perspective in Vergil's Aeneid
1982
[22]
학술지
Fate and Free Will in Vergil's Aeneid
1956
[23]
서적
1983
[24]
서적
1983
[25]
서적
1983
[26]
서적
1983
[27]
서적
1983
[28]
서적
Virgil's The Aeneid
Vintage Books
1990
[29]
서적
1983
[30]
서적
1983
[31]
학술지
Refining Fire in "Aeneid" 8
2000
[32]
서적
1983
[33]
서적
1983
[34]
서적
Virgil's The Aeneid
Vintage Books
1990
[35]
학술지
Pietas versus Violentia in the Aeneid
1931
[36]
서적
Fitzgerald 1983, 12.1291–1294.
[37]
논문
The "Reassurance of Fratricide" in The Aeneid
[38]
서적
Virgil's The Aeneid
Vintage Books
[39]
논문
Augustus' Divine Authority and Virgil's Aeneid
[40]
논문
Refining Fire in Aeneid 8
[41]
서적
Fitzgerald 1983, 2.1036–1040.
[42]
서적
Fitzgerald 1983, 6.1058–1067.
[43]
서적
The Aeneid
[44]
서적
vita of Virgil by Aelius Donatus
[45]
서적
Flesh Made Word: Saints' Stories and the Western Imagination
https://books.google[...]
Harvard UP
[46]
서적
Twisted Roots: Latin America's Living Past
https://books.google[...]
Algora
[47]
서적
A Companion to the Study of Virgil
https://archive.org/[...]
Brill
[48]
서적
Reading the Qur’ān in Latin Christendom, 1140–1560
https://books.google[...]
U of Pennsylvania Press
[49]
논문
The Manuscripts of the Commentary of Servius Danielis on Virgil
[50]
서적
The Classical Tradition
https://books.google[...]
Harvard UP
[51]
서적
A Companion to Catullu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52]
웹사이트
Latin : Virgil; Course Description
http://apcentral.col[...]
College Board
2011-08-30
[53]
논문
Brian Friel and the Politics of the Anglo-Irish Language
http://digitalcommon[...]
[54]
서적
Confucius to Cummings: An Anthology of Poetry
New Directions
[55]
웹사이트
Passions and a Man
http://www.powells.c[...]
2007-01-11
[56]
웹사이트
Aeneid Wars
https://athenaeumrev[...]
2021-06-03
[57]
웹사이트
The Aeneid By Virgil
http://www.bookmarks[...]
2023-01-14
[58]
웹사이트
Ballad Full Text
http://ebba.english.[...]
[59]
웹사이트
Ukrainian Literature in English: Articles in Journals and Collections, 1840-1965
http://www.chass.uto[...]
[60]
웹사이트
The Aeneid
http://www.wdl.org/e[...]
World Digital Library
2013-12-25
[61]
웹사이트
Russian animation in letters and figures | Films | ╚ENEIDA╩
http://www.animator.[...]
Animator.ru
2012-11-27
[62]
웹사이트
ЛІНГВІСТЫЧНЫ АНАЛІЗ ПАЭМЫ "ЭНЕІДА НАВЫВАРАТ"
http://mowaznaustwa.[...]
2009-04-12
[63]
서적
アエネーイス、4.206等
[64]
논문
『牧歌』 Bucolica 管見 -その1- O anima cortese mantoana やさしきマントヴァの魂よ-ダンテ
https://hdl.handle.n[...]
早稲田商学同攻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