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 한글 입력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크로소프트 한글 입력기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한글 입력기로, 두벌식, 세벌식 390, 세벌식 최종 자판을 지원하며, 옛 한글 입력 기능과 한자 입력 기능을 제공한다. 한자 입력은 한글 독음으로 가능하며, IME 모듈과 TSF 모듈을 통해 다양한 한자 관련 기능을 지원한다. 하지만 세벌식 자판 배열 오류, 드보락 자판 미지원, 한자 입력의 제한, 특수 문자 입력 문제, IME 모듈 기능 제한, 단축키 중복, 전각 문자 입력 문제 등의 단점과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TSF 모듈은 소프트 키보드 기능을 지원하며, MS 오피스 설치 시 필기 인식 기능도 사용할 수 있다.
윈도는 다양한 한글 입력 방식을 지원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돕는다. 오피스 XP 플러스 팩부터 TSF를 기반으로 옛 한글 입력기가 추가되었다.[1]
마이크로소프트 한글 입력기는 한글 독음으로 한자를 입력하거나, 조합이 끝난 한글을 한자로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한자는 코드 순서가 아닌 사용 빈도 순으로 배열되어 있어, 자주 쓰이는 한자가 먼저 나타난다. 예를 들어, '가'를 한자로 변환하면 '家'가 가장 먼저 표시된다.
2. 한글 입력 지원
2. 1. 두벌식 및 세벌식 자판
두벌식, 세벌식 390, 세벌식 최종 자판을 지원하며, 이어치기 외에 특별한 입력 기능은 없다. 두벌식 자판은 닿소리(자음)를 조합해서 ㄽ, ㄶ 같은 겹받침 낱자도 바로 입력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자음을 입력한 후 한자 키를 누르면 전각 기호 문자를 넣을 수 있다.
2. 2. 특수 문자 입력
닿소리(자음)를 입력한 후 한자 키를 누르면 전각 심볼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1]
3. 한자 입력 지원
IME 모듈에서는 '확장 한자 입력하기' 옵션을 통해 KS X 1001과 KS X 1002의 확장 한자를 지원하며, TSF 모듈에서는 유니코드 기본 한자 영역과 확장 A 영역 한자를 독음, 부수, 획수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글자로 된 낱말을 한꺼번에 한자로 바꾸거나 낱말을 등록하는 기능, 한자를 한글로 다시 변환하는 기능도 제공된다. 윈도우 비스타부터는 제한적으로 단어 단위 한자 입력이 가능해졌다. (윈도우 XP의 경우 오피스 2007을 설치하면 사용할 수 있다.)
3. 1. IME 모듈
IME 모듈은 한글 독음으로 한자를 입력할 수 있고, 조합이 끝난 한글도 한자로 바꿀 수 있다. IME 설정에서 '확장 한자 입력하기' 옵션을 선택하면 KS X 1001에 있는 4888자와 함께 KS X 1002의 확장 한자 2856자(파란색)를 더 지원한다.
한자는 단순히 코드 순(부수-획수 순)이 아니라 빈도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가’를 한자로 바꾸어 보면 伽가 처음이 아니라 가장 많이 사용되는 家가 처음으로 나온다. 이것은 한/글(2002 제외)의 한자 입력 방식과 유사하지만 빈도수의 근거는 알려져 있지 않다.[1]
3. 2. TSF 모듈
TSF 모듈은 유니코드 기본 한자 영역과 확장 A 영역 한자(27786글자)를 독음으로 넣을 수 있고 부수와 획수로도 입력할 수 있으며, TSF 프로토콜을 써서 여러 글자로 된 낱말을 한꺼번에 한자로 바꿀 수도 있고 낱말 등록도 할 수 있다. 한자를 한글로 도로 바꿀 수도 있다. IME 2003부터는 탭 글쇠를 눌러 펼쳐 보여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물론 이러한 이미 입력된 글자를 다시 다른 글자로 재변환하는 기능은 윈도우 98, 윈도우 2000에서도 지원하고 있는 기능이다.
윈도우 비스타부터 제한적으로 단어 단위로 한자 입력이 가능해졌다.(윈도우 XP의 경우 오피스 2007을 설치하면 사용할 수 있다.)
4. 단점과 문제점
마이크로소프트 한글 입력기에는 여러 단점과 문제점이 있다. 세벌식 자판 배열 오류, 드보락 자판 미지원, 한자 입력 제한, 특수 문자 입력 문제, IME 모듈 기능 제한, 단축키 중복, 전각 문자 입력 문제 등이 대표적이다.[1] 이러한 문제점들은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고 작업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4. 1. 자판 배열 오류
세벌식 최종 자판은 기호 배열에 몇 가지 오류가 있었으나, 윈도우 비스타에서 일부 수정되었다. 하지만 전각 문자에서는 여전히 잘못된 글자가 입력되며, 화상 키보드의 배열은 수정되지 않았다.[1]4. 2. 드보락 자판 미지원
드보락 자판을 지원하지 않는다.[1]4. 3. 한자 입력 제한
윈도우 비스타부터 단어 단위 한자 입력이 가능해졌으나, 이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극히 제한적이다.[1] 한자 음과 훈에 오류가 상당히 많다. IME 모듈과 TSF 모듈에서 서로 다른 경우가 있으며, IME에서 제대로 된 훈이 TSF 모듈에서 잘못 표기되거나 그 반대인 경우도 있다.[1]- 글자 단위 오류: 經·经 지알 경, 陽·阳 별 양, 麗·丽 고을 려, 慈 사람 자, 眄 애꾸는눈 면, 立 설사 립, 銹·锈 녹 쓸 수[1]
- 필요 없는 문장 부호 포함: 劝 권할, 권 / 䭽 무리. 군 (수정됨)[1]
- 띄어쓰기가 전혀 없는 경우: 䨎 깊숙하고그윽한모양 홍, 䀄 그릇에가득찬모양 몽, 㿳 손발의피부검을 치, 䁐 눈우묵하게들어갈 영, 䁢 눈아름다운모양 선, 䀛·䀜 눈가늘게뜨고볼 매[1]
- 음 오류: 榒 녘 (ㅋ 종성으로 적어야 할 이유가 없으므로 '녁'이 되는 것이 옳다), 㔹를 (반절로 盧則切로, '륵'으로 재구되어야 옳다.)[1]
4. 4. 특수 문자 입력 문제
특수 문자 입력 시, KS X 1001에 있는 기호임에도 °(각도 기호)가 없다. 비슷하게 생긴 ˚ 기호( )는 각도 기호가 아니다. 반면 전각 문자 F는 전각 라틴 알파벳( )과 단위 기호( )에 중복 배당되어 있다.[1]4. 5. IME 모듈 기능 제한
IME 모듈이 `IMR_DOCUMENTFEED/IMR_RECONVERTSTRING`을 제대로 지원하지 않아, 이를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가능한 이미 입력된 문자를 수정하는 고급 기능(예: 낱자 단위 삭제, 한영 자동 전환 등)을 IME 차원에서 구현하기 어렵다.[1]4. 6. 단축키 중복
영어 전자/반자 전환 기능이 로 되어 있는데, MS Office 단축키 중 수식 입력기와 중복되어 해당 단축키를 사용할 수 없다.4. 7. 전각 문자 입력 문제
전각 문자 자판에서 백슬래시(\\)를 입력하면 전각 백슬래시 대신 전각 원화 기호(₩)가 입력된다.[1]5. 그 밖의 기능
TSF 모듈은 소프트 키보드 기능을 지원하며, MS 오피스를 설치하면 포인팅 장비를 통한 필기 인식 기능을 쓸 수 있다.[1] 영문 오피스의 경우 TSF 모듈을 통해 소리 인식도 지원한다.
5. 1. 소프트 키보드
TSF 모듈은 글쇠 배열을 화면에 표시하고 마우스 클릭으로 키 입력 효과를 내는 소프트 키보드 기능을 지원한다.5. 2. 필기 인식
MS 오피스를 설치하면 IME와 TSF 모두 포인팅 장비를 통한 필기 인식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